맨위로가기

시크 경보병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크 경보병대는 1857년 영국령 인도 육군 소속으로 창설된 제23, 제32, 제34 시크 개척대를 전신으로 하는 인도 육군의 보병 연대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중 재창설되었으며, 독립 후 인도 육군에 배속되어 고아 합병 작전, 파반 작전 등 여러 작전에 참여했다. 현재 19개의 정규 대대, 3개의 국토방위군 대대, 3개의 라스트리야 라이플스 대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크교 문화와 펀자브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 병사들은 마자비 및 람다시아 시크교도에게서만 징집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의 보병연대 - 마라타 경보병대
    마라타 경보병대는 1660년대 시바지 마하라지가 창설한 인도 육군의 보병 연대로, 게릴라 전술과 용맹함을 바탕으로 마라타 제국을 강화하고 인도 독립 후 다양한 분쟁에서 공을 세우며 현재까지 인도 국방에 기여하고 있다.
  • 1947년 설립 - 인도 자치령
    인도 자치령은 1947년 영국령 인도 분할로 수립되어 자와할랄 네루 총리와 조지 6세 국왕 체제 하에 존속하다 1950년 인도 공화국으로 전환되는 동안 종교 갈등, 난민 문제, 번왕국 통합, 카슈미르 전쟁, 헌법 제정 등 격동적인 시기를 겪었다.
  • 1947년 설립 -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는 1947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사립 종합대학교로, 죽전캠퍼스와 천안캠퍼스를 운영하며, 생명과학, 정보통신, 문화콘텐츠 등 다양한 분야의 학과를 운영하며 연구 활동과 국제 교류를 진행한다.
시크 경보병대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개요
시크 경보병대 휘장
시크 경보병대 휘장
창설1941년
현재현재
소속인도 육군
종류경보병
역할보병
규모19개 대대
주둔지우타르프라데시 주 파테흐가르흐
주둔지 설명연대 본부
연대장중장 라심 발리
주요 지휘관베드 프라카시 말리크 장군
비크람 싱 장군
마노지 무쿤드 나라바네 장군
표어데그 테그 파테흐 (자선과 무기의 승리)
구호볼레 소 니할, 사트 스리 아칼!
수훈
훈장아쇼크 차크라: 2개
마하 비르 차크라: 7개
키르티 차크라: 12개
비르 차크라: 23개
샤우리아 차크라: 13개
세나 메달: 82개
파람 비시스트 세바 메달: 4개
아티 비시스트 세바 메달: 8개
유드 세바 메달: 3개
비시스트 세바 메달: 17개
공훈 표창: 49회
육군 참모총장 표창 카드: 122회

2. 역사

300x300px


시크 경보병대의 전신인 제23, 제32 및 34 왕립 시크 개척대는 모두 영국령 인도 육군 소속으로, 1857년 인도 대반란 시기에 창설되어 1857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2] 제23 시크 개척대는 펀자브 보병 제15(개척) 연대로 창설되었으며, 개척대였지만, 특별히 돌격 개척대로 훈련된 정규 보병 연대로 기능했다. 제32 시크 개척대와 제34 왕립 시크 개척대는 1857년에 펀자브 공병대로 창설되었다. 이들은 제2차 아편 전쟁, 아비시니아 원정, 제2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티베트 원정, 그리고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복무했다.[2] 1922년, 육군은 단일 대대 연대에서 다대대 연대로 개편되었고, 제23, 제32 및 제34 시크 개척대는 제3 시크 개척대로 통합되었다. 1929년에는 시크 개척대 군단으로 개칭되었고, 1933년에 해체되었다.[2]

1941년 10월 1일, 제2차 세계 대전 중 마자비 및 람다시아 시크 경보병대로 재창설되었다.[3] 이후 람다시아 시크에게도 모집이 개방되었다.[3] 연대는 시크 개척대 군단의 전투 명예, 군기 및 전통을 물려받았다.[3] 1944년 시크 경보병대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2. 1. 연대 창설 이전



시크 경보병대의 전신인 제23, 제32 및 34 왕립 시크 개척대는 모두 영국령 인도 육군 소속으로, 1857년 인도 대반란 시기에 창설되어 1857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2] 제23 시크 개척대는 펀자브 보병 제15(개척) 연대로 창설되었으며, 개척대였지만, 특별히 돌격 개척대로 훈련된 정규 보병 연대로 기능했다. 제32 시크 개척대와 제34 왕립 시크 개척대는 1857년에 펀자브 공병대로 창설되었다. 이들은 제2차 아편 전쟁, 아비시니아 원정, 제2차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 티베트 원정, 그리고 제1차 세계 대전에서 복무했다.[2] 1922년, 육군은 단일 대대 연대에서 다대대 연대로 개편되었고, 제23, 제32 및 제34 시크 개척대는 제3 시크 개척대로 통합되었다. 1929년에는 시크 개척대 군단으로 개칭되었고, 1933년에 해체되었다.[2]

2. 2. 제2차 세계 대전 중 재창설



1941년 10월 1일, 제2차 세계 대전 중 마자비 및 람다시아 시크 경보병대로 재창설되었다.[3] 이후 람다시아 시크에게도 모집이 개방되었다.[3] 1944년 시크 경보병대로 이름이 변경되었다.[3]

3. 독립 이후

인도 독립 이후 시크 경보병대는 새로 창설된 인도 육군에 배속되었다.

==== 고아 합병 작전 (1961) ====

1961년 고아 합병 당시, 시크 경보병대 제2 및 제4 대대는 제50 공수여단의 병력을 증강했다.[4] 이 대대는 서부 부대의 일환으로 공격의 주력 부대를 지원했다.[4] 그들은 지뢰밭, 장애물, 4개의 강 장애물을 빠르게 통과하여 파나지에 가장 먼저 도착했다.[4]

==== 파반 작전 (1987) ====

제13 시크 경보병대는 1987년 스리랑카에서 인도 평화 유지군의 일환으로 파반 작전에 투입되었다. 자프나 대학교 헬기 강습에 참여했는데, 이 작전은 LTTE 지도부를 자프나 대학교의 전술 사령부에서 점령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하지만 이 작전은 정보 및 계획 실패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다.

비렌드라 싱 소령이 이끄는 제13 시크 경보병대의 델타 중대가 헬기로 처음 투입되었다. 그러나 LTTE는 작전 전에 인도군의 무선 통신을 가로채 매복을 설치하여 공격했다. 헬기가 심하게 파손되어 추가 투입이 불가능해졌고, 그 결과 360명 중 30명만이 대학교에 도착했다. 완전히 포위된 D 중대 병력 30명은 밤새 전멸했다. 비렌드라 싱 소령과 삼파란 싱 하사는 아침 무렵 사망했고, 오전 11시 30분까지 3명의 병력만 남았다. 탄약이 떨어진 그들은 돌격했으나 2명은 총격으로 사망했고, 고라 싱 이병은 포로로 잡혔다.

40명의 시크 병사가 남아 4일 동안 싸웠고, 탄약이 다 떨어지자 돌격하여 사망했다.

일주일 뒤 증원군이 도착했을 때, 시크 경보병대 군복과 장비 조각, 수천 개의 탄피가 흩어져 있는 전장을 발견했다. 고라 싱 이병에 따르면, 사망한 시크 병사들은 무기와 장비를 빼앗기고 나체로 인근 사원에 놓여졌으며, 그 후 기름 통으로 태워졌다. LTTE는 팔랄리에 있는 IPKF 본부에 연락하려 했으나, 시신 수습 노력은 헛되었다고 주장했다.

3. 1. 고아 합병 작전 (1961)

1961년 고아 합병 당시, 시크 경보병대 제2 및 제4 대대는 제50 공수여단의 병력을 증강했다.[4] 이 대대는 서부 부대의 일환으로 공격의 주력 부대를 지원했다.[4] 그들은 지뢰밭, 장애물, 4개의 강 장애물을 빠르게 통과하여 파나지에 가장 먼저 도착했다.[4]

3. 2. 파반 작전 (1987)

제13 시크 경보병대는 1987년 스리랑카에서 인도 평화 유지군의 일환으로 파반 작전에 투입되었다. 자프나 대학교 헬기 강습에 참여했는데, 이 작전은 LTTE 지도부를 자프나 대학교의 전술 사령부에서 점령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하지만 이 작전은 정보 및 계획 실패로 인해 큰 피해를 입었다.

비렌드라 싱 소령이 이끄는 제13 시크 경보병대의 델타 중대가 헬기로 처음 투입되었다. 그러나 LTTE는 작전 전에 인도군의 무선 통신을 가로채 매복을 설치하여 공격했다. 헬기가 심하게 파손되어 추가 투입이 불가능해졌고, 그 결과 360명 중 30명만이 대학교에 도착했다. 완전히 포위된 D 중대 병력 30명은 밤새 전멸했다. 비렌드라 싱 소령과 삼파란 싱 하사는 아침 무렵 사망했고, 오전 11시 30분까지 3명의 병력만 남았다. 탄약이 떨어진 그들은 돌격했으나 2명은 총격으로 사망했고, 고라 싱 이병은 포로로 잡혔다.

40명의 시크 병사가 남아 4일 동안 싸웠고, 탄약이 다 떨어지자 돌격하여 사망했다.

일주일 뒤 증원군이 도착했을 때, 시크 경보병대 군복과 장비 조각, 수천 개의 탄피가 흩어져 있는 전장을 발견했다. 고라 싱 이병에 따르면, 사망한 시크 병사들은 무기와 장비를 빼앗기고 나체로 인근 사원에 놓여졌으며, 그 후 기름 통으로 태워졌다. LTTE는 팔랄리에 있는 IPKF 본부에 연락하려 했으나, 시신 수습 노력은 헛되었다고 주장했다.

4. 부대 구성

시크 경보병대는 현재 19개의 정규 대대와 3개의 국토방위군 대대, 그리고 3개의 라스트리야 라이플스 대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대대부터 제19대대까지의 정규 대대와, 국토방위군 소속의 제103 보병대대, 제158 보병대대, 제163 보병대대가 있다. 또한, 라스트리야 라이플스 소속으로는 제2 RR, 제19 RR, 제49 RR 대대가 있다. 제9대대는 영국 왕립 해병대와 유사한 특수 상륙 작전 임무를 수행한다.

제9 시크 경보병대대 병력이 말라바르 2006에 참가하기 위해 USS 복서(LHD 4)에 도착했다. 말라바르 2006은 미국, 인도, 캐나다 군대 간의 상호 운용성을 높이고 국제 안보 협력 임무를 지원하기 위한 다국적 훈련이다.

5. 문화

시크 경보병대는 강력한 시크교 문화와 펀자브 문화를 유지하고 있다.[5] 방그라는 병사들의 정기적인 오락 활동 중 하나이다. 연대는 자체적인 연대 구르드와라(시크교 사원)를 유지하며, 병사들은 샤바드 키르탄(찬송) 등 시크교 예배를 수행한다. 구루 고빈드 싱의 가르침과 '산트-시파히'(성자-군인) 개념은 연대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친다.[6]

아칼리 니항s


아칼리 니항 종단의 전통 무기인 차크람과 키르판은 시크 경보병대 휘장에 사용되고 있다.[5] 역사적으로 마자비 시크교도들은 구루 고빈드 싱의 군대와 란지트 싱에 의해 창설된 칼사 군대에서 오랫동안 복무했다. 대부분의 경우 시크교 병사들은 전투에 들어가기 전에 아르다스를 외치고 전투에 임했다.

연대 모토는 '데그 테그 파테'(평화 속의 번영과 전쟁에서의 승리)이며, 전투 구호는 "조 볼레 소 니할, 삿 스리 아칼!"(주님의 이름을 암송하는 자는 영원히 승리할 것이다!)이다.

6. 징집

시크 경보병대는 "단일 카스트" 연대로, 병사들은 오직 마자비와 람다시아 시크교도들로부터만 징집된다.[7][8] 마자비 시크교도들은 연대에 입대 자격을 얻기 위해 마자비 시크교도임을 증명하는 신분증명서와 다른 최소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모든 인도 육군 연대와 마찬가지로 장교는 인도의 모든 지역과 공동체에서 올 수 있다.

2020년 모스크바 전승 기념일 퍼레이드 동안 붉은 광장에 있는 연대원들

7. 서훈

시크 경보병대는 그동안 수많은 훈장과 표창을 받았다.[9] 아쇼카 차크라(Ashoka Chakra (military decoration)) 1개,[9] 마하 비르 차크라 15개, 키르티 차크라 16개, 비르 차크라 23개, 샤우랴 차크라 28개, 세나 메달 182개, 파람 비시쉬트 세바 메달 14개, 아티 비시쉬트 세바 메달 28개, 유드 세바 메달 13개, 비시쉬트 세바 메달 17개, 언급 훈장 109개, 육군참모총장 표창 카드 322개를 수여받았다. 산트 싱 준장은 마하 비르 차크라를 두 번 수상했다.

참조

[1] 웹사이트 Anniversary Celebrations of Sikh LI http://mod.nic.in/sa[...] 2011-02-03
[2] 웹사이트 The Story of the Renowned and the Redoubtable Sikh Light Infantry http://sikhli.info/i[...] 2016-02-18
[3] 서적 The Sikhs of the Punjab https://archive.org/[...] 1921
[4] 웹사이트 BHARAT RAKSHAK MONITOR: Volume 4(3) http://www.bharat-ra[...] 2013-02-04
[5] 서적 Unseen faces and untold cases, heroes and villains of Sikh rule Bahri Publications
[6] 웹사이트 Sikh army regiments infantry valour war http://www.info-sikh[...]
[7] 서적 Army and Nation: The Military and Indian Democracy Since Independence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8] 간행물 The Indian Armed Forces' Sikh and Non-Sikh Officers' Opinions of Operation Blue Star
[9] 웹사이트 Ashoka Chakra Recipients https://books.google[...] 0101-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