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시화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시화호는 총 길이 12.7km의 방조제로 이루어진 인공 호수이다. 대부도와 오이도를 잇는 주 방조제를 포함하여 4개의 방조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호수 면적은 43.8km², 유역 면적은 476.5km²이다. 1980년대 초 중동 지역 건설 경기 침체로 인한 유휴 인력과 장비를 활용하고 국내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시작된 시화지구 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조성되었다. 초기에는 담수호로 계획되었으나, 수질 오염으로 인해 1997년부터 해수를 유입하기 시작하여 2000년에는 해수화가 결정되었다. 현재는 조력 발전소 건설, 인공 습지 조성 등을 통해 수질 개선을 도모하고 있으며, 생태계 보고로서 천연기념물을 비롯한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고, 친수공원으로 변화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산시의 지리 - 대부도
    대부도는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한 섬으로, 과거 여러 국가를 거쳐 현재는 5개 행정동으로 나뉘며 관광업과 어업이 주요 산업이고, 육지 및 주변 섬과 연결되어 있으며 람사르 협약에 등록된 갯벌과 다양한 관광 명소가 있다.
  • 안산시의 지리 - 수리산
    수리산은 광주산맥의 주요 산으로서 군포시 북서쪽에 위치하여 안산시, 안양시와 경계를 이루며, 태을봉을 주봉으로 슬기봉, 관모봉, 수암봉 등의 봉우리와 규암으로 이루어진 봉우리 및 절벽이 특징이고, 설화와 한국 전쟁의 역사, 다양한 스포츠 활동과 체험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자연 공간이다.
  • 시흥시의 지리 - 오이도
    오이도는 시화지구 개발로 육지와 연결되었지만 섬 명칭을 유지하며, 신석기 시대 유적과 해양단지를 중심으로 한 음식점, 빨간등대, 박물관 등 관광 명소가 있는 수도권의 대표적인 관광지이다.
  • 시흥시의 지리 - 소래염전
    소래염전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건설한 천일염전으로, 인천광역시와 시흥시 일대에 조성되어 소금 생산의 주요 기지 역할을 수행했으며, 폐쇄 후 일부는 생태공원으로 조성되어 개발과 보존 논란이 있었고, 현재는 일부 시설이 남아있다.
  • 화성시의 지리 - 동탄신도시
    동탄신도시는 수도권 균형 발전을 위해 2001년부터 개발이 추진된 신도시로, 화성시 동탄면 일원에 동탄1, 2신도시로 조성되어 2007년부터 입주가 시작되었으며, 9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교육 및 교통 시설을 갖추고 있다.
  • 화성시의 지리 - 제부도
    경기도 화성시에 있는 제부도는 역삼각형 모양에 넓은 갯벌과 해수욕장을 갖춘 관광지로, 과거 저비섬 또는 접비섬으로 불리다 조선 시대에 제부라는 이름을 얻었으며 당산과 탑자산이 위치하고 해안가를 따라 상업 시설이 조성되어 있다.
시화호
개요
시화호 전경
시화호 전경
위치대한민국 경기도 안산시, 화성시, 시흥시
좌표37°18′06″N 126°40′16″E
면적56.2km²
만수 면적56.5km²
유역 면적457.7km²
평균 수심2.8m
최대 수심5.7m
저수량1억 5800만m³
담수량3억 3200만m³
역사
조성 목적농업 용수 확보, 홍수 조절
방조제 완공1994년
문제점 발생수질 오염 심각화
개선 노력지속적인 정화 사업 추진
주요 시설
시화호 조력 발전소세계 최대 규모의 조력 발전 시설
시화호 갈대 습지 공원생태 복원 및 환경 교육 공간
시화호 철새 도래지다양한 철새 관찰 가능
환경
수질과거 심각한 오염
현재 지속적인 개선 노력 중
생태계철새, 어류 등 다양한 생물 서식
생태 복원 노력 진행 중
활용
관광시화호 조력 문화관, 갈대 습지 공원 등
조력 발전신재생 에너지 생산
환경 교육생태 체험 학습 기회 제공
기타
영문명Sihwa Lake
로마자 표기Sihwa-ho

2. 기본 정보

시화호 항공사진


'''시화호'''는 1987년 6월에 착공하여 1994년 1월에 시흥시 오이도대부도 방아머리를 잇는 방조제가 완성되면서 만들어진 인공 호수이다. 시화호라는 이름은 방조제 양쪽 끝 지명인 "'''시'''흥"과 "'''화'''성"의 머리글자를 따서 지어졌다.

원래 시화호는 간척지에 농지 및 공업단지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담수호로 계획되었다. 그러나 완공 이후 시화호 유역의 공장 폐수 및 생활 하수 유입으로 수질이 급격히 악화되었다. 1997년부터 해수를 유입하기 시작했고, 2000년 12월 대한민국 정부는 시화호의 담수화를 포기하고 해수화를 선언했다.

시화호 주변에는 세계적인 희귀종인 장다리물떼새를 비롯하여 고니, 검은머리갈매기 등의 조류가 서식하고 있다. 또한 주변 갯벌에는 대형 무척추동물, 갯지렁이, 갑각류, 연체동물 등이 서식하고 있어 생태계의 보고로 여겨진다.

2. 1. 제원

구분내용
길이12.7 km
구성 방조제
호수 면적43.8km2
유역 면적476.5km2
총저수량3.32억m3
간척지 면적133.7km2
관리 수위EL(-) 1.00 m (방재 기간 EL(-) 1.50 m 이하)
홍수위EL(-) 0.09 m
최대 수심18m
해수 유입량연간 380만 톤 (해수 유통 300만 톤/일 중 100만 톤 순수 유입, 체류 일수 300일)
최고 조수간만차10.3m
최대 유속7.5m/s



2. 2. 수리적 특성

구분내용
길이12.7km (4개 방조제)
방조제 구성주방조제(대부도~오이도): 11.21km, 대선방조제(대부도~선감도): 0.33km, 불도방조제(선감도~불도~탄도): 0.29km, 탄도방조제(탄도~화성 전곡항): 0.85km
호수 면적43.8km2
유역 범위476.5km2 (수질에 직접적 영향)
총저수량3.32억m3
간척지 면적총 133.7km2
관리 수위EL(-) 1.00m (방재 기간 EL(-) 1.50m 이하)
홍수위EL(-) 0.09m
최대 수심18m
해수 유입량연간 380만 톤 (해수 유통 300만 톤/일 중 100만 톤 순수 유입, 체류 일수 300일)
최고 조수 간만 차10.3m
최대 유속7.5m/s


3. 시화호 간척 사업

시화지구 개발사업은 해외건설 철수업체를 지원하고, 대규모 국토 확장을 통해 고용 증대와 경기 진작을 이끌어내며, 수도권 인구 및 산업을 분산시키는 복합적인 목적으로 시작되었다.[1]

1987년 6월에 착공하여 1994년 1월 시흥시 오이도대부도 방아머리를 잇는 주방조제가 완성되면서 시화호가 탄생했다. 시화호라는 명칭은 방조제 양쪽 끝 지명인 "'''시'''흥"과 "'''화'''성"의 머리글자를 따서 붙여졌다.

원래 시화호는 간척지에 조성될 농지 및 공업단지 용수 공급을 위한 담수호로 계획되었으나, 완공 이후 수질 오염이 급격히 악화되어 1997년부터 해수를 유입시키기 시작했고, 2000년 12월 대한민국 정부는 시화호 담수화를 포기하고 해수화를 선언했다.

시화호 주변에는 세계적인 희귀종인 장다리물떼새를 비롯하여 고니, 검은머리갈매기 등 조류가 있으며, 주변 갯벌에는 대형 무척추동물, 갯지렁이, 갑각류, 연체동물 등이 서식하고 있어 생태계의 보고이다.

3. 1. 사업 추진 배경

시화지구 개발사업은 해외건설 철수업체를 지원하고, 대규모 국토 확장을 통해 고용 증대와 경기 진작을 이끌어내며, 수도권 인구 및 산업을 분산시키는 복합적인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1980년대 초 중동 지역 건설 경기 침체로 해외 건설 부문이 어려워지자, 유휴 인력과 장비를 활용하여 해외 건설 철수 업체를 지원하고 국내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경제계에서 건의가 있었다. 이는 시화지구 개발사업 추진의 가장 큰 배경이 되었다.[1] 시화 지구 개발 사업은 대규모 간척 사업을 통해 공업 단지, 도시, 농지 등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단기적으로는 1980년대에 중동 지역의 경기 침체로 인해 해외 사업에서 철수한 건설 업체의 유휴 장비와 노동력을 활용하라는 경제계의 건의가 사업 추진 배경에 작용했다.

3. 2. 사업 경과

1980년대중동지역 건설 경기가 침체되면서 해외 건설 부문이 어려워졌다. 이에 따라 유휴 인력과 장비를 활용하여 해외 건설 철수 업체를 지원하고 국내 경기를 부양하기 위해 경제계에서 시화지구 개발사업을 건의하였다.[1] 시화지구 개발사업은 대단위 국토 확장을 통한 고용 증대와 경기 진작, 수도권 인구 및 산업 분산이라는 복합적인 목표를 가지고 시작되었다.

1987년 6월에 착공하여 1994년 1월에 시흥시오이도대부도의 방아머리를 잇는 주방조제가 완성되면서 시화호가 탄생했다. 시화호라는 명칭은 방조제 양쪽 끝 지명인 "'''시'''흥"과 "'''화'''성"의 머리글자를 따서 붙여졌다.

원래 시화호는 간척지에 조성될 농지 및 공업단지의 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담수호로 계획되었으나, 완성 이후 시화호 유역의 공장 폐수 및 생활 하수의 유입으로 수질이 급격히 악화되었다. 1997년 이후 해수를 유입시키기 시작했고, 2000년 12월 대한민국 정부는 시화호의 담수화를 포기하고 해수화를 선언했다.

4. 수질 오염과 해수화

시화호는 본래 간척지에 조성될 농지나 산업단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담수호로 계획되었으나, 완공 이후 공장 폐수와 생활 하수가 유입되면서 수질이 급격히 나빠졌다. 1997년부터 해수를 유입하기 시작했고, 2000년 12월에는 대한민국 정부가 담수화를 포기하고 해수화를 선언했다.[1]

1996년 7월, 정부는 '시화호 수질 개선 계획'을 발표하고, 환경 기초 시설 확충, 하수관로 정비, 배수 갑문 운용 등 다양한 대책을 제시했다. 1997년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 14.7ppm을 정점으로 수질이 개선되는 듯했으나, 1999년 이후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이에 정부는 인공 습지를 조성하고, 시화 조력 발전소를 건설했다.

해수화 이후 시화호를 떠났던 생물들이 돌아오고, 사람들은 친수공원에서 레저 활동을 즐기기 시작했다. 2002년부터는 매년 핀수영 대회가 열리고, 요트 애호가들이 요트를 즐기는 등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4. 1. 수질 오염 원인

본래 시화호는 간척지에 조성될 농지산업단지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담수호로 계획했으나, 완공 이후 시화호 유역의 공장 오폐수 및 생활하수의 유입으로 수질이 급격히 악화되었다.[1] 초기 계획 단계에서 충분한 준비 없이 경제적인 필요에 의해 사업을 서둘러 추진해야 했던 것이 요인 중 하나였지만, 이러한 개발이 추진된 1980년대 환경보다 개발이 우선시되는 사회 경제적 조건 하에서 국가 전체에 만연했던 환경 의식의 부재가 낳은 결과이다.[1]

호수의 면적에 비해 유역 면적이 작고, 유역의 대부분은 구릉지와 길이 10km 내외의 하천으로, 유입 수량이 부족하여 수질 관리가 어려운 지형이다.[1] 또한 방조제 폐쇄 당시 시화호로 유입되는 하수량은 하루 490000m3에 달했지만, 이 중 64%는 하수 처리되지 않았다.[1]

4. 2. 해수화 결정

본래 시화호는 간척지에 조성될 농지산업단지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담수호로 계획했으나, 완공 이후 시화호 유역의 공장 오폐수 및 생활하수의 유입으로 수질이 급격히 악화되었다. 1997년 이후 해수를 유입하기 시작했고, 2000년 12월 정부는 시화호의 담수화를 포기하고 해수화를 선언하였다.[1]

4. 3. 해수화 이후의 변화

1997년 이후 해수를 유입시키기 시작했고, 2000년 12월 대한민국 정부는 시화호의 담수화를 포기하고 해수화를 선언했다.[1] 1996년 7월 대한민국 정부는 "시화호 수질 개선 계획"을 발표하고 환경 기초 시설의 신·증설, 하수관로 정비 등 오염원 차단 대책과 함께 배수 갑문 운용을 통한 호내 해수 유출입 방식을 제시했다. 이 계획이 본격적으로 시행된 1997년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 값 14.7ppm을 정점으로 시화호의 수질은 급속히 개선되는 양상을 보였지만, 1999년 이후 COD 값은 4에서 5ppm을 유지하며 더 이상의 개선을 보이지 않아 대한민국 정부는 인공 습지를 조성하여 운영 중이며, 시화 방조제에는 25만kW의 Sihwa Lake Tidal Power Station|시화 조력 발전소영어(2011년 가동)가 건설되었다. 조력 발전소로 인해 기존보다 6배의 해수가 유출입될 전망이며, 청정에너지 생산이라는 본래의 목적은 물론 수질 개선도 기대되고 있다.

해수화 이후, 시화호를 떠났던 생물들도 돌아오기 시작했으며, 사람들은 수변 친수공원에서 레저 활동을 즐기기 시작했다. 수영에 지장이 없는 수준까지 수질이 개선되어 2002년 이후 매년 핀수영 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며, 시흥시 생활체육협의회 주관으로 공유 수면 점용 허가를 받은 요트 애호가들이 요트를 즐기고 있다.

시화호 주변에는 세계적인 희귀종인 장다리물떼새를 비롯하여 고니, 검은머리갈매기 등의 조류가 있으며, 주변의 갯벌에는 대형 무척추동물, 갯지렁이, 갑각류, 연체동물 등이 서식하고 있어 생태계의 보고이다.[2]

5. 시화호의 현재와 미래

시화호는 담수호에서 해수호로 전환된 이후 생태계가 회복되고 시민들을 위한 친수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대한민국 정부는 시화호 조력발전소 건설 및 인공 습지 조성 등 수질 개선과 환경 복원을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시화호는 지속적인 발전이 기대된다.[1]

5. 1. 현재 상황

시화호는 원래 농지나 산업단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담수호로 계획되었으나, 공장 폐수와 생활 하수의 유입으로 수질이 심각하게 오염되었다. 1997년부터 바닷물을 유입시키기 시작했고, 2000년 12월 대한민국 정부는 담수화를 포기하고 해수화를 선언하였다.[1]

1996년 7월 대한민국 정부는 "시화호 수질 개선 계획"을 발표하고, 오염원을 차단하고 배수 갑문을 통해 바닷물을 유출입하는 방식을 제시했다. 이 계획으로 1997년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 값이 14.7ppm을 기록한 이후 수질이 빠르게 개선되었지만, 1999년 이후에는 4~5ppm 수준에서 더 이상 개선되지 않았다. 이에 대한민국 정부는 인공 습지를 조성하고, 시화 방조제에 25만kW 규모의 시화호 조력발전소(2011년 가동)를 건설하였다.[1] 조력 발전소는 해수 유출입량을 6배 증가시켜 수질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1]

해수화 이후, 시화호를 떠났던 생물들이 돌아오기 시작했다. 시화호 주변에는 장다리물떼새, 큰고니, 검은머리물떼새 등 천연기념물을 포함한 다양한 조류가 서식하고 있다.[2] 주변 갯벌에는 대형 무척추동물, 갯지렁이류, 갑각류, 연체동물 등 총 214종이 서식하는 등 생태계의 보고로 자리매김했다.

또한, 시화호는 수영에 지장이 없을 정도로 수질이 개선되어 2002년부터 매년 핀수영 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며, 시흥시 생활체육협의회 주관으로 요트 애호가들이 요트를 즐기는 등 시민들을 위한 친수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1]

5. 2. 미래 전망

해수화 이후 시화호를 떠났던 생물들이 돌아오기 시작했으며, 사람들이 레저 활동을 즐기는 수변 친수공원으로의 변화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수질이 수영에 지장이 없는 수준까지 개선되어 2002년 이후 매년 핀수영 대회가 개최되고 있으며, 시흥시 생활체육협의회 주관으로 공유 수면 점용 허가를 받은 요트 애호가들이 요트를 즐기고 있다.[1]

대한민국 정부는 인공 습지를 조성하여 운영 중이며, 시화 방조제에는 25만kW의 시화호 조력발전소(2011년 가동)가 건설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조력 발전소로 인해 기존보다 6배의 해수가 유출입될 전망이며, 청정에너지 생산이라는 본래의 목적은 물론 수질 개선도 기대되고 있다.[1]

참조

[1] 간행물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1998-03-01 #날짜 정보가 부족하여 1일로 설정.
[2] 문서 아산호/평택호 명칭 혼용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