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장다리물떼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다리물떼새는 도요목 장다리물떼새과에 속하는 조류로, 1758년 칼 폰 린네에 의해 명명되었다. 몸길이는 약 33-36cm이며, 검은색 등과 흰색 배, 분홍색 다리와 가늘고 긴 검은색 부리를 가진 것이 특징이다. 습지, 호수, 연못 등에서 서식하며 곤충과 갑각류를 먹는다. 장다리물떼새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며, 일부 개체군은 철새로 이동한다.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에서는 이 종을 '관심 필요'로 지정하고 있으며, 개체수는 증가 추세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의 나그네새 - 슴새
    슴새는 태평양에 서식하는 해양성 조류로, 동아시아 해안 섬에서 번식하며 어류, 낙지 등을 먹고 땅 속에 둥지를 틀지만, 과거 식용 및 깃털 채취와 현재 어업 활동 등으로 위협받고 있다.
  • 한국의 나그네새 - 제비갈매기
    제비갈매기는 갈매기목 제비갈매기과에 속하는 해양 조류로, 길고 뾰족한 날개와 갈라진 꼬리를 가지며, 계절에 따라 머리 색과 부리 색이 다르고, 전 세계에 넓게 분포하며 이동성이 강하고, 작은 물고기를 주식으로 하며, 여러 아종이 있고, 서식지 감소 등으로 위협받고 있지만 최소관심종으로 분류된다.
  • 1758년 기재된 새 - 코뿔새
    코뿔새는 검은 깃털과 흰 꼬리, 뿔 모양 돌기가 있는 큰 새로, 열대우림에 살며 특이한 번식 습성을 가지고 말레이시아의 국조이자 취약종으로 보호받고 있다.
  • 1758년 기재된 새 - 갈매기
    갈매기는 도요목 갈매기과에 속하는 바닷새의 총칭으로, 전 세계 연안과 하구 등에서 서식하며 잡식성으로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한국에서는 겨울철새이자 여러 지역의 상징 새이기도 하다.
  • 대한민국의 포획·채취 등의 금지 야생생물 - 계곡산개구리
    계곡산개구리는 대한민국 산간 계곡에 서식하며 흑색 반점이 있는 연한 갈색 또는 황갈색의 몸, 2월에서 4월 사이 둥근 알 덩어리 번식, 서식지 파괴 및 환경 오염으로 인한 개체수 감소, 야생 개체 포획 및 식용 금지 등의 특징을 가진다.
  • 대한민국의 포획·채취 등의 금지 야생생물 - 가마우지
    가마우지는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녹색 광택이 나는 검은 깃털과 부리 기부 주변의 흰색, 노란색 피부가 특징인 바닷새로, 암초 해안에 서식하며 물고기를 잡아먹고, 일본에서는 우카이 어업에 이용되며 일부 지역에서 보호받고 있다.
장다리물떼새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검은날개장다리물떼새
검은날개장다리물떼새
마리발레 자연 보호 구역의 검은날개장다리물떼새
마리발레 자연 보호 구역의 검은날개장다리물떼새
상태관심 필요 (LC)
학명Himantopus himantopus
명명자Linnaeus, 1758
이전 학명Charadrius himantopus Linnaeus, 1758
한국어 이름세이타카시기 (セイタカシギ), 장다리물떼새
H. himantopus 분포도
H. himantopus의 분포 (sensu lato 참고)
분포 지역번식지
거주지
통과지
비번식지
생물학적 특징
몸길이37cm
부리검고 가늘다
다리매우 길고 분홍색
수컷 몸 윗면진한 녹색
암컷 몸 윗면어두운 갈색
먹이어류, 곤충, 갑각류
기타 정보
IUCN 적색 목록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의 멸종 위기 등급 관심 필요 (LC)

2. 분류

장다리물떼새는 1758년 스웨덴의 박물학자 칼 폰 린네가 그의 저서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처음 기술했다.[2][3] 당시에는 물떼새속(''Charadrius'')으로 분류되어 ''Charadrius himantopus''라는 이명을 부여받았고, 기준 산지는 남유럽으로 지정되었다.[2][3] 현재는 1760년 프랑스의 박물학자 마튀랭 자크 브리송이 도입한 장다리물떼새속(''Himantopus'')으로 분류되며[4], 이 종은 단형종으로 별도의 아종은 인정되지 않는다.[4]

이 새를 포함한 장다리물떼새속 전체의 분류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 때때로 장다리물떼새(''H. himantopus'')는 여러 아종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단일 종(''H. himantopus sensu lato'', '일반 장다리물떼새')으로 간주되기도 한다. 반면, 좁은 의미(''sensu stricto'')에서는 '검은날개장다리물떼새'라고도 불리며, 유라시아에서 남아시아까지 분포하는 ''H. h. himantopus''와 아프리카 지역의 ''H. h. meridionalis'' 두 그룹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5]

2. 1. 장다리물떼새속

장다리물떼새속(학명: ''Himantopus'' Brisson, 1760)은 도요목 장다리물떼새과에 속하는 한 이다.[11][12] 이 속은 1760년 프랑스의 박물학자 마튀랭 자크 브리송이 도입하였다. 속명 ''Himantopus''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으며, "끈발" 또는 "가죽 끈 발"을 의미한다.

장다리물떼새(''H. himantopus'')는 1758년 칼 폰 린네가 그의 저서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Charadrius himantopus''라는 이명으로 처음 기술했으며, 기준 산지는 남유럽이다.[2][3] 현재는 ''Himantopus'' 속으로 분류되며, 이 속에는 총 5종이 포함된다.[4]

이 속의 분류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있다. 때때로 장다리물떼새(''H. himantopus'')는 4개의 다른 종들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단일 종(''H. himantopus sensu lato'', 일반 장다리물떼새)으로 간주되어 5~7개의 아종을 가지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 반면, 좁은 의미의 장다리물떼새(''H. himantopus sensu stricto'', 검은날개장다리물떼새)는 유라시아에서 남아시아까지 분포하는 ''H. h. himantopus''와 아프리카 지역의 ''H. h. meridionalis'' 두 아종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기도 한다.[5] 과거 장다리물떼새의 아종으로 분류되었던 종들이 현재는 독립된 종으로 분리되어 인정받고 있다.[11]

검은장다리물떼새를 제외한 대부분의 종은 복부가 흰색이고 등면이 검은색 또는 회색인 공통점을 가지지만, 머리 부분 등에서 외관상 차이를 보인다. 검은장다리물떼새는 전체적으로 검은색 깃털을 가져 다른 종들과 색상 패턴이 뚜렷하게 다르다.

장다리물떼새속에 속하는 종들은 다음과 같다.[11][12]

종명 (국명)학명영명분포특징
장다리물떼새H. himantopus (Linnaeus, 1758)Black-winged Stilt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남부 등 광범위하게 분포일본에서 관찰되는 대부분의 개체는 이 종 또는 오스트레일리아장다리물떼새이다.
오스트레일리아장다리물떼새H. leucocephalus Gould, 1837White-headed Stilt호주 전역머리 부분의 흰색 영역이 넓다.
검은목장다리물떼새H. mexicanus (Statius Müller, 1776)Black-necked Stilt미국 남부 및 서부 ~ 페루, 브라질 동부머리 부분이 검고 눈 주위가 희다. 하와이 아종(H. m. knudseni Stejneger, 1887)은 희귀종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11], 본토 아종(H. m. mexicanus (Statius Müller, 1776))보다 검은 부분이 더 넓다. 2001년 일본 교토부, 오사카부, 나라현에서 고의로 방사된 개체가 확인되어 외래종으로 지정되었다.[26]
남미장다리물떼새H. melanurus Vieillot, 1817White-backed Stilt페루, 브라질 북부 ~ 아르헨티나 중남부검은목장다리물떼새보다 크고 머리 정수리가 희다.
검은장다리물떼새H. novaezelandiae Gould, 1841Black Stilt뉴질랜드몸 전체가 검은색이다.


3. 형태

성체의 몸길이는 약 37cm[16]이며, 날개 편 길이는 약 70cm[15]이다. 다리는 매우 길어 뿌리부터 발가락 끝까지 약 25cm에 달하며, 색깔은 분홍색 또는 붉은색이다. 부리이쑤시개처럼 길고 가늘며 검은색[20][21]이고, 홍채는 붉은색[15][16]이다.

전체적으로 등 부분은 검은색, 배 부분은 흰색으로 대비가 뚜렷하며, 머리와 목은 기본적으로 흰색이지만 검은색 무늬의 정도는 개체나 성별, 계절에 따라 다르다. 수수한 새가 많은 도요새류 중에서도 눈에 띄는 독특한 외형을 가졌다[25].

수컷은 등이 녹색 광택이 도는 검은색인 반면, 암컷은 등이 갈색을 띠어 검은색 날개깃과 대조를 이룬다[15]. 또한 암컷은 수컷보다 머리와 목의 검은색 부분이 적은 경향이 있다. 수컷은 여름철 번식기에 머리 뒤쪽까지 검은색이 뚜렷해지지만, 겨울에는 암컷처럼 머리가 거의 흰색이 된다. 머리 깃털의 검은 무늬는 개체차가 크다[15].

여름깃에서는 머리 꼭대기부터 목덜미까지 검은색이지만, 겨울깃에는 이 부분이 흰색 또는 회색으로 변한다[15]. 겨울에는 전체적으로 깃털 색이 여름보다 옅어지고, 다리 색도 여름의 붉은색에서 분홍색으로 변한다[16][22].

어린 새는 성조와 달리 등이 검은색 대신 회갈색 또는 회색이며[15], 머리에도 갈색 반점이 있다[15]. 날개깃 가장자리는 옅은 색(흰색 또는 모래색)을 띠어[14] 날 때 선처럼 보이기도 한다. 전체적으로 성조 암컷과 비슷하지만 날개깃에 갈색 기운이 더 강하고 다리 색깔도 더 옅다[14].

날개는 검고, 첫째날개깃 10개, 둘째날개깃 15~18개, 셋째날개깃 6개로 이루어져 있으며, 꼬리 깃은 12개이다[23]. 날 때는 가느다란 다리를 뒤로 쭉 뻗고 난다[14].

4. 생태

습지, 갯벌, 호소, 하구, 등 다양한 물가 환경에 서식한다.[15]

야츠 갯벌에 서식하는 '''장다리물떼새''' (겨울깃털). 앞쪽이 수컷, 뒤쪽이 암컷.


식성은 동물성으로, 주로 곤충갑각류(새우, 등), 작은 물고기, 갯지렁이[16] 등을 먹는다.[15] 긴 다리를 이용해 물가를 걸어 다니며, 부리를 물속에 비스듬히 넣어 먹이를 찾는다. 특히 긴 다리 덕분에 갯벌과 같은 얕은 물에서 다른 왜가리도요·물떼새류보다 더 깊은 곳까지 들어가 먹이를 구할 수 있다.[15] 먹이를 찾을 때는 특징적으로 목을 흔들면서 걷는다.[16] 바닷가에서 먹이를 잡은 후에는 담수역으로 이동하여 몸을 씻기도 한다.[14]

4. 1. 번식

모든 장다리물떼새의 번식지는 습지, 얕은 호수 및 연못이다.[15] 일부 개체군은 철새이며 겨울에는 해안으로 이동하지만, 더 따뜻한 지역에 서식하는 개체군은 일반적으로 정착해 살거나 단거리 미조이다. 유럽에서는 정상적인 서식지 북쪽으로 봄철에 과잉 이동하는 미조로 관찰되며, 때로는 북유럽 국가에서 번식하기도 한다. 영국에서는 1987년에 짝이 성공적으로 번식했으며, 27년 만인 2014년에는 잉글랜드 남부에서 두 번의 성공적인 번식 사례가 있었다.[6] 2017년에는 잉글랜드 남부에서 13마리의 새끼가 둥지를 떠났고,[7] 2022년에는 잉글랜드 북부에서 4마리의 새끼가 성공적으로 둥지를 떠나, 가장 북쪽에서의 번식 성공 기록으로 여겨진다.[8][9]

번식기에는 암수 한 쌍으로 생활하며 영역을 갖는다.[15] 비번식기에는 작은 무리로 생활하는데,[15] 이는 암컷과 수컷을 중심으로 한 가족 단위 무리일 가능성이 있다.

둥지


둥지는 물 근처의 맨땅에 위치하며, 종종 작은 무리를 지어 둥지를 틀기도 하고, 때로는 알락꼬리마도요와 함께 둥지를 튼다. 일본에서의 번식 시기는 4-6월이며, 물가의 시야가 좋은 곳에 마른 풀 등을 쌓아 둥지를 짓고 4개의 알을 낳는다 (지표면에 그대로 낳는 경우도 있다). 포란은 암수가 함께 하며, 포란 기간은 26-27일이다. 둥지가 기상 영향(수해 등)을 받기 쉽고 포식자의 위협도 많아 알의 부화율은 20% 미만으로 낮은 편이다.

새끼는 부화 후 바로 둥지를 나와 스스로 먹이를 찾는 조숙성을 보인다. 어미 새는 새끼를 외부 적으로부터 보호하지만, 먹이를 주거나 먹이 잡는 법을 가르치지는 않는다. 암컷의 절반 정도는 새끼를 키우는 중에 수컷과 새끼를 남겨두고 번식지를 떠나기도 하며, 이 경우 남은 수컷이 새끼를 계속 돌본다. 새끼는 부화 후 약 26일이 지나면 날 수 있게 된다.

검은날개장다리물떼새는 ''아프리카-유라시아 이동 물새류 보존 협정''이 적용되는 종 중 하나이다.

5. 분포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 남부를 중심으로 널리 분포한다.

모든 장다리물떼새의 번식지는 습지, 얕은 호수 및 연못이다. 일부 개체군은 철새이며 겨울에는 해안으로 이동한다. 더 따뜻한 지역에 서식하는 개체군은 일반적으로 정착해 살거나 단거리 미조이다.

유럽에서는 정상적인 서식지 북쪽에서 정기적으로 봄에 과잉 이동하는 미조이며, 때로는 북유럽 국가에서 번식하기도 한다. 영국에서는 1987년에 짝이 성공적으로 번식했으며, 27년의 공백 후 2014년에는 잉글랜드 남부에서 두 번의 성공적인 번식 사례가 있었다.[6] 2017년에는 잉글랜드 남부에서 13마리의 새끼가 둥지를 떠났고,[7] 2022년에는 잉글랜드 북부에서 4마리의 새끼가 성공적으로 둥지를 떠났는데, 이는 장다리물떼새의 가장 북쪽 번식 성공으로 여겨진다.[8][9]

일본에서는 나그네새 또는 텃새이다. 과거에는 미조로 드물게 기록되는 정도였으나, 1975년 아이치현의 간척지에서 처음으로 일본 내 번식이 확인되었다. 매립지가 증가한 1978년 이후 도쿄만, 이세만, 미카와만 주변에서도 번식이 확인되어 텃새로 정착하게 되었다. 현재는 각지에서 생존이 확인되고 있으며, 도쿄만 부근의 지바현 나라시노시 야츠 간석지 등에서는 연중 관찰된다. 2007년에는 가사이 린카이 공원 야생 조류원에서 3건의 번식이 확인되었고, 2009년 6월에는 오키노에라부 섬에서 1건의 번식이 확인되었다.

6. 보전 상태

국제 자연 보전 연맹(IUCN)은 2004년부터 레드 리스트에서 관심 필요(LC) 종으로 분류하고 있다.[10] 전 세계적으로 총 개체수는 450,000~780,000마리로 추정되며, 개체수는 증가하는 추세이다.[10]

일본에서는 환경성에 의해 레드 리스트의 위기종 II류(VU)로 지정되어 있다.[28][27] 또한 다음의 도도부현에서 레드 리스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29] 나라현 등 일부 지역에서는 정착이 확인된 외래종인 검은목두루미와의 교잡이 우려되고 있다.[30]

분류해당 도도부현
위급종 IA류(CR)나가사키현
최중요 보호 생물(A)지바현[31][32]
위급종 I류(CR 또는 EN)후쿠이현[33], 가가와현[34]
위기종 IB류(EN)도쿄도, 야마구치현[35], 에히메현[36], 오이타현[37]
위기종 II류(VU)아이치현[38], 도쿠시마현[39][40], 가고시마현, 오키나와현
중요 희소 야생 생물(B 랭크)아오모리현[41][42]
B 랭크효고현[43]
준위협(NT)니가타현[44], 시즈오카현, 교토부[45], 시마네현[46], 오카야마현[47], 고치현, 미야자키현
희소종홋카이도[48][49], 이바라키현[50]
정보 부족(DD)이와테현, 미에현[51]
기타 (희소(D))후쿠시마현
기타 (희소종)시가현


6. 1. 한국의 보전 노력

장다리물떼새는 한일 조류 보호 협정 지정종이다.[42]

7. 이름의 유래

장다리물떼새는 1758년 스웨덴의 박물학자 칼 폰 린네가 그의 저서 《자연의 체계》 제10판에서 정식으로 기술했다. 그는 이 종을 물떼새와 함께 인 ''Charadrius''에 포함시키고 이명으로 ''Charadrius himantopus''라고 명명했으며, 기준 산지는 남유럽으로 지정했다.[2][3] 현재 사용되는 속명 ''Himantopus''는 1760년 프랑스의 박물학자 마튀랭 자크 브리송이 도입한 것이다.[4] 학명 ''Himantopus''는 그리스어에서 유래했으며, "끈발" 또는 "가죽 끈 발"을 의미하는데, 이는 새의 길고 가는 다리를 묘사한 것이다.[24]

국명 '장다리물떼새'는 이름 그대로 긴 다리에서 유래했다.[25] 영명인 'Black-winged Stilt'는 '검은 날개'와 죽마(stilt)처럼 가늘고 긴 다리를 의미한다.[24]

참조

[1] 간행물 "''Himantopus himantopus''" 2021-11-13
[2] 서적 Systema Naturae per regna tria naturae, secundum classes, ordines, genera, species, cum characteribus, differentiis, synonymis, locis https://www.biodiver[...] Laurentii Salvii
[3] 서적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https://www.biodiver[...] Harvard University Press
[4] 웹사이트 Buttonquail, thick-knees, sheathbills, plovers, oystercatchers, stilts, painted-snipes, jacanas, Plains-wanderer, seedsnipes https://www.worldbir[...]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2023-12
[5] 웹사이트 Black-winged Stilt ''Himantopus himantopus'' (Linnaeus, 1758) https://avibase.bsc-[...] Denis Lepage 2017-08-19
[6] 웹사이트 27-year first as rare black-winged stilt chicks hatch at RSPB reserves in southern England http://www.rspb.org.[...] 2015-11-16
[7] 웹사이트 UK's rare black-winged stilt numbers soar http://www.countryfi[...] BBC 2017-08-20
[8] 뉴스 Potteric Carr: Black-winged stilt chicks in northern first https://www.bbc.co.u[...] 2022-06-17
[9] 웹사이트 Review of the Week: 13-19 June 2022 https://www.birdguid[...] 2022-08-11
[10] 웹사이트 "''Himantopus himantopus'' (Black-winged Stilt) in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Version 2013.1." http://www.iucnredli[...] 국제자연보호연합(IUCN) 2013-10-27
[11] 웹사이트 IOC World Bird List 3.5 (Shorebirds & allies) http://www.worldbird[...] 국제조류학회(IOC) 2013-10-27
[12] 웹사이트 "''Himantopus'' Brisson, 1760" http://www.itis.gov/[...] ITIS 2012-10-27
[13] 웹사이트 日本鳥類目録 改訂第7版 http://ornithology.j[...] 日本鳥学会 2012-09-15
[14] 문서 叶内 (2006)、304頁
[15] 문서 中川 (2010)、67頁
[16] 문서 真木 (2012)、101頁
[17] 문서 2007年以後も毎年葛西臨海公園野鳥園で繁殖が確認されているが、アオダイショウにより卵が食べられることなどが原因で雛は育っていない。
[18] 웹사이트 広報誌「緑と水のひろば」 http://www.tokyo-par[...] 東京都公園協会 2012-03
[19] 문서 中村 (2009)、12頁
[20] 문서 嘴の先端が上に沿った同科の別種のソリハシセイタカシギがあり、稀に旅鳥または冬鳥として日本に飛来する
[21] 문서 叶内 (2006)、303頁
[22] 문서 叶内 (2006)、305頁
[23] 문서 笹川 (2011)、382頁
[24] 문서 国松 (1995)、104頁
[25] 문서 高木 (2002)、142-143頁
[26] 웹사이트 侵入生物データベース・クロエリセイタカシギ https://www.nies.go.[...] 国立環境研究所 2013-10-28
[27] 문서 1998年版の第2次レッドリストでは絶滅危惧IB(EN)類の指定を受けていて、2006年版の第3次レッドリストで絶滅危惧II類(VU)にカテゴリー変更された。
[28] 웹사이트 【鳥類】環境省第4次レッドリスト(2012)<分類群順> https://www.env.go.j[...] 環境省 2012-08-28
[29] 웹사이트 日本のレッドデータ検索システム「セイタカシギ」 http://jpnrdb.com/se[...] (エンビジョン環境保全事務局) 2012-10-24
[30] 웹사이트 要注意外来生物に係る情報及び注意事項 http://www.env.go.jp[...] 環境省 2013-10-28
[31] 문서 千葉県のカテゴリー最重要保護生物(A)は環境省の絶滅危惧IA類(CR)相当
[32] 웹사이트 千葉県レッドデータブック動物編(2011年改訂版) http://www.bdcchiba.[...] 千葉県 2011
[33] 웹사이트 福井県レッドデータブック(動物編)・セイタカシギ http://www.erc.pref.[...] 福井県 2004
[34] 웹사이트 香川県レッドデータブック・セイタカシギ http://www.pref.kaga[...] 香川県 2004-03
[35] 웹사이트 レッドデータブックやまぐち・セイタカシギ http://www.pref.ehim[...] 山口県 2002
[36] 웹사이트 愛媛県レッドデータブック・セイタカシギ http://www.pref.ehim[...] 愛媛県 2003
[37] 웹사이트 レッドデータブックおおいた2011 https://www.pref.oit[...] 大分県 2011
[38] 웹사이트 レッドデータブックあいち2009・セイタカシギ http://www.pref.aich[...] 愛知県 2009
[39] 웹사이트 徳島県版レッドデータブック http://www.pref.toku[...] 徳島県 2001
[40] 웹사이트 徳島県版レッドリスト(改訂版)鳥類 http://www.pref.toku[...] 徳島県 2011-08
[41] 문서
[42] 웹사이트 青森県レッドデータブック(2010年改訂版) http://www.pref.aomo[...] 青森県 2010
[43] 문서
[44] 웹사이트 レッドデータブックにいがた http://www.pref.niig[...] 新潟県 2001-03
[45] 웹사이트 京都府レッドデータブック・セイタカシギ http://www.pref.kyot[...] 京都府 2002
[46] 웹사이트 しまねレッドデータブック・セイタカシギ http://www1.pref.shi[...] 島根県 2004
[47] 웹사이트 岡山県版レッドデータブック2009 http://www.pref.okay[...] 岡山県 2009
[48] 문서
[49] 웹사이트 北海道レッドデータブック・セイタカシギ http://rdb.hokkaido-[...] 北海道 2001
[50] 문서
[51] 웹사이트 三重県レッドデータブック2005・セイタカシギ http://www.eco.pref.[...] 三重県 2005
[52] 웹인용 장다리 물떼새 짝집기 http://plug.hani.co.[...] No 2016-06-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