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식부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식부궁은 전한 애제 시기의 인물로, 젊어서 《춘추》를 익히고 용모가 수려하여 비범하다는 평을 받았다. 애제 즉위 후 부안과 교우하며 손총과 함께 애제의 부름을 받았으며, 중산효왕의 태후 저주 사건과 무염현의 기이한 현상을 틈타 동평양왕을 모함하여 열후에 봉해졌다. 이후 애제의 총애를 받으며 권력을 남용하고 전횡을 일삼았으나, 동현의 총애에 반대하다가 파면당했다. 낙양에서 체포되어 문초를 받던 중 사망했으며, 그의 일족은 처벌받았다.

2. 생애

젊어서 박사의 제자가 되어 《춘추》를 배웠고, 웅장한 용모로 주위에서 범상치 않은 인물로 여겨졌다.[1]

애제 즉위 후, 애제의 장인인 부안과 같은 군 출신이라 친구가 되었고, 교우 관계가 넓어졌다. 장안의 손총과 친해져 함께 애제에게 상서를 올려 불려갔다.[1]

당시 애제는 병을 앓고 있었고, 동평양왕이 황제를 저주한다는 소문이 돌았다. 식부궁과 손총은 이를 고발하면 열후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여 동평왕 유운이 황제를 저주한다고 모함했다.[1]

애제는 조사를 지시했고, 동평왕 등은 죄를 받았다. 손총은 남양 태수, 식부궁은 광록대부·좌조급사중이 되었다. 애제는 시중 동현을 총애하여 열후로 만들고 싶어, 식부궁 등의 고발을 전달한 것이 동현이었다고 조서를 내려 식부궁은 의릉후(宜陵侯)에 봉해졌다.[1] 승상왕가는 동평왕 사건에 의심을 품고, 동현에 대한 총애가 지나치며, 식부궁 등이 좋지 않은 인물임을 말했지만, 죄를 얻었다.

식부궁은 애제에게 신임을 받아 거리낌 없이 논의했기에 사람들은 그의 발언을 두려워했다. 승상 왕가·어사대부 가연·좌장군 공손록·사례교위 포선 등을 비판했다.[1] 수로를 개설하여 부국강병을 꾀하려 했지만, 장안성에 수로를 개설하려던 계획은 논란으로 중단되었다.[1]

애제의 동현 총애는 심해졌고, 외척 정씨·부씨는 이를 못마땅하게 여겼다. 부안은 식부궁과 모의하여 보정 지위를 얻으려 했다. 식부궁은 흉노선우를 속여 오손과 흉노를 분리시키고, 천문으로 병란을 예측하여 대장군을 변방에 파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좌장군 공손록승상 왕가는 반대했지만 애제는 부안대사마위장군, 정명대사마표기장군으로 임명했다.[1]

그러나 임명 당일 일식이 있었고, 동현이 계책을 비판하자 부안은 관직이 박탈되었고, 식부궁 등은 파면되었다.[1]

봉지로 간 식부궁은 조정 정치를 조롱하고, 천문을 보고 천자 길흉을 판단하며 저주를 행했다고 고발당했다.[2] 원수 2년(기원전 1년), 애제는 시어사와 정위감을 파견하여 체포, 낙양에서 심문하게 했다. 고문 직전 식부궁은 하늘을 우러러 외치다 쓰러져 코와 귀에서 피를 흘리며 사망했다.[2] 모의자 100명 이상이 연루되었고, 어머니는 저주 죄로 처형, 아내와 가족은 합포군으로 유배, 동족으로 친하게 지내던 자는 파면되었다.[2]

2. 1. 출세

젊어서 박사(博士)의 제자가 되어 《춘추》를 익혔다. 용모가 건장하고 수려하여 주위에서 비범하게 여겼다.[1] 애제 즉위 후, 애제의 장인인 부안과 같은 군 출신인 것을 계기로 교우하였다.[1] 장안 사람 손총과 친교를 맺어 함께 애제의 부름을 받았다.[1] 애제가 병을 앓자, 손총과 함께 동평양왕이 애제를 저주하였다고 모함하여 출세하였다.[1] 광록대부 및 좌조(左曹)·급사중에 임명되고, 의릉후(宜陵侯)에 봉해졌다.[1]

2. 2. 권력 남용과 전횡

식부궁은 애제의 신임을 받아 거리낌 없이 자신의 의견을 내뱉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그의 발언을 두려워하였다. 식부궁은 승상 왕가, 어사대부 가연, 좌장군 공손록, 사례교위 포선 등을 참소하였다.[1] 또한 수로를 파 부국강병을 행할 것을 설파하고, 사신에게 명하여 장안성에 수로를 파 수운에 이용하려 하였으나 반대에 부딪혀 그만두었다.[1]

애제가 동현을 총애함이 나날이 더해가자 외척 정(丁)씨·부(傅)씨는 이를 불쾌히 여겼고, 부안은 식부궁과 모의하여 지위를 얻으려 하였다.[1] 식부궁은 흉노선우를 속여 오손과 흉노를 이간할 것을 제안함과 동시에, 천문으로 병란이 일어날 조짐이 발견됨을 근거로 대장군을 변경에 보내 군의 기강을 엄중히 하여 이민족을 진무할 것을 주청하였다.[1] 공손록왕가는 반대하였으나 애제는 듣지 않았고, 부안대사마 위장군에, 정명을 대사마 표기장군에 임명하였다.[1]

2. 3. 몰락

애제는 동현을 총애하고 있었는데, 식부궁은 이를 반대하다가 미움을 사 파면되었다.[1] 봉지로 간 식부궁은 조정의 정치를 비웃었고, 천문을 보고 천자의 길흉을 판단하여 저주를 퍼부었다는 혐의를 받았다.[2] 이 일은 곧 애제의 귀에 들어갔고, 애제는 시어사와 정위감을 보내 그를 체포하여 낙양에서 문초하였다.[2] 식부궁은 고문을 받으려던 찰나에 하늘을 우러러 소리치더니 쓰러졌고, 코와 귀에서 피를 흘리더니 얼마 후 죽었다.[2]

식부궁과 함께 일을 도모하여 하옥된 자가 백여 명이었다.[2] 어미 성(聖)은 부엌신에게 황제를 저주한 죄로 처형되었고,[2] 아내 충한(充漢)을 비롯한 가솔들은 합포군에 유배되었으며, 일족 중 친한 사이였던 자는 파면되었다.[2]

3. 가계

식부궁의 가계는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4. 저서

《식부궁집》 1권[2] 혹은 5권[3]이 있으나, 현재 전해지지 않는다.

참조

[1] 서적 성보(姓譜)
[2] 서적 수서
[3] 서적 신당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