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신명순성왕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명순성왕후는 고려 태조 왕건의 제3비로, 충주 유씨 가문 출신이다. 유긍달의 딸로, 왕건과의 정략 결혼을 통해 고려 왕실에 들어왔으며, 광종 때 신명순성왕태후로 추존되었다. 슬하에 5명의 왕자와 2명의 공주를 두었으며, 정종과 광종 두 왕의 어머니이다. 그녀의 자녀들은 고려 초기의 정치적 기반을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 태조의 왕비 - 신성왕후
    신성왕후는 신라 왕족 출신으로 태조 왕건의 다섯 번째 왕후이며, 경순왕의 사촌누이로서 그의 항복 후 태조와 혼인하여 아들 왕욱을 낳았고, 왕욱의 아들 현종이 왕위에 오르면서 왕태후로 추존되었다.
  • 고려 태조의 왕비 - 신혜왕후
    신혜왕후 류씨는 고려 태조 왕건의 왕후이며, 고려 건국을 보필하고 국사 보좌에 기여했으며, 태조와 합장된 현릉에 묻혔다.
  • 충주 유씨 - 유애리
    유애리는 1981년 KBS 8기 공채 아나운서로 입사하여 다양한 TV 및 라디오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KBS 주요 보직과 방송통신심의위원회, 건국대학교 등에서 활동하며 방송 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여러 상을 수상한 대한민국의 아나운서이다.
  • 충주 유씨 - 유진룡
    유진룡은 대한민국의 행정가이자 학자로, 문화체육관광부 차관과 장관을 역임하며 진보적인 문화 정책을 추진했고, 장관직 이후에는 대학교 교수 및 부총장, 수림문화재단 이사장, 예술의전당 이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 후삼국 시대 - 혜종 (고려)
    혜종은 고려 태조 왕건의 장남이자 제2대 왕으로, 왕위 계승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었으나 박술희의 지지를 받아 즉위했으나, 측근 세력과 이복동생들의 왕위 위협 속에서 재위 2년 만에 사망했다.
  • 후삼국 시대 - 강씨 (후고구려)
    강씨는 신천 강씨 출신으로 후고구려 왕비이자 궁예의 부인이며 청광, 신광 형제의 어머니였으나, 궁예의 폭정에 간언하다 간통 의심을 받아 비극적인 최후를 맞았다.
신명순성왕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칭호충주원대부인 (충주원대부인)
왕후 시호신명순성왕후 (신명순성왕후)
태후 시호신명순성태후 (신명순성태후)
왕태후 시호신명순성왕태후 (신명순성왕태후)
신상 정보
출생미상
출생지충주
사망미상
배우자태조
자녀왕태, 정종, 광종, 문원대왕, 증통, 낙랑공주, 흥방궁주
가문충주 유씨
아버지유긍달
고모
작위왕후
재위 시작미상
재위 종료943년
태후신명순성태후
재위 시작945년
재위 종료949년
기타
종교불교

2. 생애

유(劉)씨이며, 이름은 전해지지 않는다. 본관은 충주로, 후삼국시대 충주 지역의 호족이었던 유긍달(劉兢達)의 딸이다. 고려 태조 왕건의 호족 혼인동맹 정책에 따라 정략결혼을 하였다. 만약 신명순성왕후가 900년생이라면 왕건과의 혼인 시기는 왕건이 태조로 즉위한 이후가 가장 유력하며, 물론 즉위 이전에 혼인했을 가능성도 있다.

신명왕후(神明王后)로도 알려져 있으며, 광종 때 신명순성왕태후(神明順成王太后)로 추존되었다. 왕후로서의 시호는 고려사에 기록되어 있지 않으며, 시호의 왕태후에서 왕후로 바꿔 불렀을 가능성이 크다. 고려사에는 간혹 신명왕태후로 기록된 경우도 있다(고려사 열전 종실 편). 시호가 추가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이에 대한 기록은 없고 대부분의 역사서에서 신명순성왕태후라 기록되어 있기에 처음 받은 시호가 신명왕태후였는지는 확인할 사료가 부족하다. 이 때문인지 2000년 이후로는 신명왕후보다 신명순성왕후로 표기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고려사 세가 정종 편과 고려사 열전 신명순성왕태후 편에는 순성(順成)과 발음이 같은 순성(順聖)으로 표기된 기록도 있다. 고려사는 조선시대에 쓰여졌으며 사료가 부족해 인명의 오류와 누락이 상당히 많다.[1]

3. 두 군주의 어머니

슬하에 왕자 5명과 공주 2명을 두었는데, 왕건의 29명의 부인 중 가장 많은 자식을 둔 왕후이다. 왕건에게 가장 많은 총애를 받은 부인이었던 듯하며, 충주 유씨 가문은 같은 호족 출신인 혜종의 가문에 비해 가문의 위세가 훨씬 강했다. 충주 유씨 가문은 다른 가문과의 혼인 결합을 통해 가문의 세력을 키워나갔다.[1]

태자 왕태는 919년에서 944년 이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며, 별다른 기록이 없어 요절한 것으로 보인다. 흥복원부인의 딸과 혼인했으나, 후사가 없어 적어도 15세 이후에 사망했을 것으로 보인다.[1]

차남 왕요는 고려 제3대 왕 정종이며, 3남 왕소는 고려 제4대 왕 광종으로서 국가의 기반을 확립한 왕이다.[1]

혜종의 재위 기간이 3년이 채 되지 않아, 태조에 이어 국가를 정비할 역할이 그녀의 소생들에게 넘어갔다. 두 아들 모두 국가 쇄신에 진력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정종은 요절해 뜻을 다 이루지 못했지만, 광종은 초기 고려의 체제를 확립한 명군으로 평가받는다.[1]

4남 왕정경종의 장인이 되어 사후 문원대왕으로 추존되었다. 태조 왕건의 제6비 정덕왕후의 장녀 문혜왕후와 혼인했다.[1]

5남은 출가하여 승려가 되어 증통국사로 불렸다.[1]

장녀 낙랑공주신라 마지막 왕 경순왕에게 시집갔다. 935년~936년경순왕에게 시집간 것으로 추정되어 낙랑공주가 왕요나 왕소보다 나이가 많았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요절한 왕태보다 나이가 많았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1]

차녀 흥방궁주는 태조 왕건의 제6비 정덕왕후 류씨의 삼남이자 이복 오빠인 원장태자와 혼인하였다.[1]

4. 가계

관계이름
아버지유긍달
어머니미상
배우자태조
장남왕태
차남정종
3남광종
4남문원대왕
5남증통국사
장녀낙랑공주 (경순왕의 아내)
차녀흥방궁주 (원장태자의 아내)


5. 대중문화

참조

[1] 서적 한권으로읽는고려왕조실록 https://books.google[...] Deullyeok 2000
[2] 웹사이트 성씨정보 고려 왕후록(王后錄) - 고려의 왕비 :+ http://www.surname.i[...] 2021-10-04
[3] 웹사이트 정종 총서 http://db.history.go[...] 2021-06-26
[4] 서적 한국사 를 바꾼 여인들 https://books.google[...] Books Town 2021-06-26
[5] 웹사이트 화제 급상승' 전미선, 청순 단아했던 신명순성황후 열연했던 유작 '태조 왕건'도 관심... "어땠기에? http://www.nbnnews.c[...] 2019-06-30
[6] never 神明順成王后 https://m.terms.nave[...]
[7] 문서 광종은 즉위 2년(951년)에 모후(母後)의 원당(願堂)으로 불일사(佛日寺)를 세웠고, 954년에는 숭선사(崇善寺)를 세워 명복을 빌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