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성왕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성왕후는 신라 왕족 출신으로 고려 태조 왕건의 다섯 번째 왕후이다. 경순왕의 사촌 누이로, 935년 신라가 고려에 항복한 후 태조와 혼인하였다. 그녀의 아들인 안종 왕욱은 헌정왕후와의 사이에서 고려 현종을 낳았으며, 현종 즉위 후 왕후로 추존되어 신성왕태후라는 시호를 받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 태조의 왕비 - 신혜왕후
신혜왕후 류씨는 고려 태조 왕건의 왕후이며, 고려 건국을 보필하고 국사 보좌에 기여했으며, 태조와 합장된 현릉에 묻혔다. - 고려 태조의 왕비 - 장화왕후
장화왕후는 고려 태조의 제2비이자 혜종의 어머니로, 태조와의 만남과 혜종 출생 설화, 그리고 삼한 통일에 기여한 나주 오씨 가문의 위상을 보여주는 인물이다. - 고려의 왕태후 - 순경태후
순경태후는 김약선의 딸이자 최우의 외손녀로 고려 원종의 왕비이며 충렬왕의 어머니로, 사후 왕후와 태후로 추존되었고 원나라로부터 '고려 왕비' 칭호를 받았으며 능은 강화 가릉이다. - 고려의 왕태후 - 안혜왕후
안혜왕후는 고려 희종과 성평왕후의 딸로 고종의 왕비가 되었으며, 고종과의 사이에서 원종 등을 낳고 1232년 사망 후 안혜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아들 원종의 즉위 후 왕태후로 추존되었다. - 신라의 왕족 - 궁예
궁예는 신라 왕족의 서자로 추정되며 후삼국시대에 후고구려를 건국하고 태봉으로 국호를 변경한 인물이며, 말년에 폭정을 일삼다 신하들에게 축출되어 사망했다. - 신라의 왕족 - 이차돈
이차돈은 신라 법흥왕 때 불교 공인을 위해 순교한 인물로, 자신의 죽음을 통해 왕의 위엄을 세우고 신하들의 반대를 잠재워 신라 불교의 초석을 다지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였다.
신성왕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작위 | 태후(太后), 왕태후(王太后) |
휘 | 미상(未詳) |
다른 이름 | 대부인(大夫人), 경주부인(慶州夫人), 레이디 대량원 (대량원부인, 大良院夫人; disputed) |
시호 | 신성(神成; "Divine and Constructive") |
존호 | 신성왕태후(神成王太后) |
출생 | 900년, 신라(新羅) 금성(金城) |
사망 | 몰년 미상, 고려(高麗) 개성(開城) |
매장지 | 정릉(貞陵), 개성시(Kaeseong-si), 황해북도(North Hwanghae Province) |
가문 | 경주 김씨(Gyeongju Kim), 계림 김씨(鷄林 Kim), 신라 김씨(Silla Kim) |
종교 | 불교(佛敎) |
가족 관계 | |
부친 | 김억렴(Kim Eok-ryeom) |
모친 | 미상(未詳) |
배우자 | 태조(太祖) (918년 결혼) |
자녀 | 1남 안종(安宗) |
친인척 | 헌정왕후(獻貞王后), 현종(顯宗), 성목장공주(成穆長公主) |
왕실 | |
왕조 | 고려(Goryeo), 신라(Silla) |
거주지 | 고려(高麗) |
생애 및 업적 | |
주요 활동 | 태후(太后), 왕태후(王太后) |
즉위 | 신성왕후(神成王后) |
재위 (왕태후) | 1010년 ~ ? |
전임 | 신정왕후(神靜王后) |
후임 | 정덕왕후(貞德王后) |
2. 생애
신라 왕족 출신으로, 문성왕의 5대손이자 경순왕의 큰아버지인 잡간(匝干) 김억렴(金億廉)의 딸이다. 935년 11월 경순왕이 고려에 항복한 직후, 고려 태조의 요청과 경순왕의 추천으로 고려 태조의 다섯 번째 왕후가 되었다. 혼인 시기는 935년 말에서 936년 초 사이로 추정된다.
2. 1. 혼인 전
'''신성왕태후 김씨'''는 신라 왕족으로, 문성왕의 5대손이며 경순왕의 큰아버지인 잡간(匝干) 김억렴(金億廉)의 딸이다.[9][10]935년 11월, 신라의 마지막 왕인 경순왕이 고려에 항복할 뜻을 밝히자, 고려 태조는 이에 대한 답례로 사신을 보냈다.[9] 태조는 사신을 통해 신라 왕족과의 혼인을 원한다는 뜻을 전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지금 왕께서 나라를 나에게 주시니 그 선물이 참으로 크다. 바라건대 신라의 종실(宗室)과 혼인하여 양국의 관계가 오래도록 돈독하기를 바란다."
이에 경순왕은 자신의 사촌 누이인 김씨를 추천하며 다음과 같이 답했다.
:"저의 백부(伯父) 김억렴(金億廉)에게 딸이 있는데 덕행(德)과 용모(容貌)가 모두 뛰어나니(雙美), 이 사람이 아니면 왕후의 자리에 합당한 이가 없을 것입니다."[10]
이후 경순왕은 김씨를 고려로 보내 고려 태조의 다섯 번째 왕후가 되게 하였다.[11] 신성왕후가 고려 태조와 혼인한 시기는 경순왕이 항복 의사를 밝힌 935년 11월 직후부터 936년 초 사이로 추정된다.
2. 2. 고려 태조와의 혼인
신성왕후가 고려 태조의 다섯 번째 왕후가 된 것은 신라 경순왕이 고려에 항복한 935년 11월 직후부터 936년 초 사이로 추정된다.935년 11월, 신라의 마지막 임금인 경순왕이 고려에 항복할 뜻을 밝히자, 고려 태조 왕건은 답례로 사신을 보냈다.[9] 이때 태조는 "지금 왕께서 나라를 나에게 주시니 그 선물이 매우 크다. 바라건대 신라 종실과 혼인하여 양국의 관계가 오래 지속되기를 바란다."라고 하며 신라 왕족과의 혼인을 원한다는 뜻을 전했다.
이에 경순왕은 자신의 백부(큰아버지)인 김억렴에게 덕과 용모를 두루 갖춘 딸이 있다고 답하며 그녀를 추천했다.[10]
:"우리 백부(伯父) 김억렴(金億廉)에게 딸이 있어 덕(德)과 용모가 쌍미(雙美)한지라 이가 아니면 내정(內政)을 구비(具備)할 수 없을 것입니다."[10]
이후 경순왕은 자신의 사촌 누이인 김씨를 고려로 보내 고려 태조의 다섯 번째 왕후가 되게 하였다.[11]
2. 3. 사후
신성왕후의 소생으로는 아들 왕욱(王郁)이 있으며, 그는 사후 안종(安宗)으로 추존되었다. 왕욱은 경종의 제4왕후였던 헌정왕후 황보씨와 정을 통하여 아들을 낳았는데, 그가 바로 고려 제8대 국왕인 현종이다.[13] 1008년 손자 현종이 즉위한 후, 1010년 신성왕후를 왕후로 추존하여 시호를 신성왕태후(神成王太后)라 하고 능호를 정릉(貞陵)이라고 하였다. 원당은 경기도 장풍군에 있는 현화사이다.[14]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생몰년 및 재위 기간 | 비고 |
---|---|---|---|
왕조부(王祖父) | 김균정(金均貞) | ? ~ 836년 | |
대조부(大祖父) | 신무왕(神武王) | ? ~ 839년 | 재위 839년 |
현조부(玄祖父) | 문성왕(文聖王) | ? ~ 857년 | 재위 839년 ~ 857년 |
고조부(高祖父) | 김안(金安) | 추존 홍의대왕(弘毅大王) | |
증조부(曾祖父) | 김민공(金敏恭) | 추존 권흥대왕(眷興大王) | |
조부(祖父) | 김인경(金仁慶) | 추존 의흥대왕(懿興大王), 일명 김실홍(金實虹) | |
아버지 | 김억렴(金億廉) | 875년 ~ ? | |
어머니 | 미상 | 875년 ~ 935년 | |
작은 아버지 | 김효종(金孝宗) | 추존 신흥대왕(神興大王) | |
남동생 | 김유렴(金裕廉) | ||
배우자 | 고려 태조 왕건(王建) | 877년 ~ 943년 | 제1대 국왕, 신성대왕(神聖大王), 재위 918년 ~ 943년 |
아들 | 고려 안종 왕욱(王郁) | 920년 ~ 996년 | 추존 안종(安宗), 효의대왕(孝懿大王) |
며느리 | 헌정왕후 황보씨(皇甫氏) | 959년? ~ 992/993년 | 효숙왕태후(孝肅王太后), 고려 경종의 제4비 |
손자 | 고려 현종 왕순(王詢) | 992년 ~ 1031년 | 제8대 국왕, 원문대왕(元文大王), 재위 1009년 ~ 1031년 |
신성왕후는 문성왕의 고손녀이자 김억렴의 딸이었으며, 김억렴은 경순왕의 삼촌이므로 신성왕후는 경순왕의 사촌이었다.[12]
참조
[1]
서적
韓國人物史硏究
https://books.google[...]
Jingren Cultural Society
2006
[2]
웹사이트
https://www.culturec[...]
2021-06-24
[3]
서적
https://books.google[...]
2005
[4]
서적
Overlooked Historical Records of the Three Korean Kingdoms
https://books.google[...]
Jimoondang
2006
[5]
서적
https://books.google[...]
Humanist
2003
[6]
웹사이트
http://www.surname.i[...]
2021-10-04
[7]
서적
https://books.google[...]
Silla Tomb Preservation Society
2008
[8]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1-06-23
[9]
서적
https://books.google[...]
Deullyeok
2000
[10]
웹사이트
https://www.culturec[...]
2021-06-24
[11]
서적
三國史記形成論
https://books.google[...]
Sinseowon
2007
[12]
서적
https://books.google[...]
Pureun History
1999
[13]
문서
고려사절요
[14]
웹사이트
문화콘텐츠닷컴 〈현화사〉
http://www.culture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