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동 (은평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사동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은평구에 위치한 행정동이다. 신사동이라는 명칭은 신사동 200번지 부근에 있었다는 새절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지며, 조선 시대에는 한성부 북부 연은방에 속했다. 1914년 고양군 은평면 신사리로, 1949년 서대문구에 편입되었고, 1979년 은평출장소가 서대문구에서 분구되어 은평구 관할이 되었다. 1989년 신사제1동과 신사제2동으로 분동되었다. 증산로, 은평로, 가좌로가 지나가며, 서울 지하철 6호선 새절역과 응암역을 이용할 수 있다. 상신초등학교, 서신초등학교, 신사초등학교, 덕산중학교, 상신중학교, 숭실중학교, 숭실고등학교 등 여러 학교가 위치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은평구의 행정 구역 - 녹번동
녹번동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 위치한 동으로, 조선시대 '녹번이 고개'에서 유래하여 서대문구 녹번리를 거쳐 녹번동으로 변경되었고, 녹신동 통합 후 분리, 은평구 신설과 함께 이속되었으며, 지하철역과 교육기관, 도서관 등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은평구의 행정 구역 - 응암동
응암동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 위치한 동으로, 백련산 매바위에서 유래된 지명을 가지며, 조선시대 한성부 연은방에 속했고, 서대문구를 거쳐 은평구로 이속되었으며, 지하철역과 여러 학교가 위치해 있다. - 서울 은평구의 법정동 - 녹번동
녹번동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 위치한 동으로, 조선시대 '녹번이 고개'에서 유래하여 서대문구 녹번리를 거쳐 녹번동으로 변경되었고, 녹신동 통합 후 분리, 은평구 신설과 함께 이속되었으며, 지하철역과 교육기관, 도서관 등이 위치해 있다. - 서울 은평구의 법정동 - 응암동
응암동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 위치한 동으로, 백련산 매바위에서 유래된 지명을 가지며, 조선시대 한성부 연은방에 속했고, 서대문구를 거쳐 은평구로 이속되었으며, 지하철역과 여러 학교가 위치해 있다. - 1989년 폐지 - 하계동
하계동은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속한 동으로, 1980년 공릉동에서 분동되었으며 서울 지하철 7호선 하계역, 세이브존, 을지병원 등이 위치해 있다. - 1989년 폐지 -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은 소련의 영향으로 세워진 공산주의 국가로,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즈와 니콜라에 차우셰스쿠의 독재 통치, 인권 침해, 경제적 긴축 정책을 겪었으며 1989년 혁명으로 몰락 후 민주주의 체제로 전환되었으나 공산주의 시대에 대한 논란이 남아있다.
신사동 (은평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한글 표기 | 신사동 |
한자 표기 | 新寺洞 |
로마자 표기 | Sinsa-dong |
신사제1동 정보 | |
면적 | 0.84 km² |
세대 | 12,034 (2023년 4월 기준) |
인구 | 26,733 (2023년 4월 기준) |
법정동 | 신사동 |
통 | 29 |
반 | 225 |
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은평구 은평로2길 2 |
홈페이지 | 신사1동 주민센터 |
![]() | |
신사제2동 정보 | |
면적 | 1.00 km² |
세대 | 8,761 (2023년 4월 기준) |
인구 | 19,208 (2023년 4월 기준) |
법정동 | 신사동 |
통 | 28 |
반 | 204 |
주민센터 주소 | 서울특별시 은평구 증산로15길 47 |
홈페이지 | 신사2동 주민센터 |
![]() | |
지도 정보 | |
![]() | |
2. 유래
신사동(新寺洞)의 명칭은 신사동 200번지 부근에 있었다는 새절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나, 현재 그 터의 흔적은 전혀 찾아볼 수 없다. 고종 때 만든 《육전조례》나 《동국여지비고》뿐만 아니라 영조 때 겸재 정선이 만든 《도성대지도(都城大地圖)》에도 이미 신사동계(新寺洞契)라는 지명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그 명칭의 유래가 매우 오래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3] 신사동(新寺洞)의 이름은 신사동 근처에 위치한 새로운 사찰에서 유래되었다고 전해진다.
조선 시대에는 한성부 북부 연은방(성외) 신사동계(新寺洞契)에 속했으며, 신사동(新寺洞)이라고 불렸다. 풋나무골, 고택골, 새력굴 등의 옛 지명이 전해져 내려온다. 1914년 4월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경기도 고양군 은평면 신사리로 변경되었다.[4] 1949년 8월 13일 서대문구 은평출장소 관할로 편입되었고,[4] 1950년 3월 15일 신사리에서 신사동으로 변경되었다. 1979년 10월 1일 은평출장소가 서대문구에서 분구되어 은평구 관할로 변경되었으며,[5] 1989년 9월 1일 신사동이 신사제1동과 신사제2동으로 분동되었다.
3. 역사
3. 1. 조선 시대
조선 시대 한성부 북부 연은방(성외) 신사동계(新寺洞契)에 속했으며, 신사동(新寺洞)이라고 불렸다. 풋나무골, 고택골, 새력굴 등의 옛 지명이 전해져 내려온다.
3. 2. 일제강점기
1914년 4월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조선 한성부 북부 연은방(성외) 신사동계(新寺洞契)에 속한 신사동(新寺洞)에서 경기도 고양군 은평면 신사리로 변경되었다.[4] 풋나무골, 고택골, 새력굴 등의 옛 지명이 전해진다.
3. 3. 대한민국
4. 교통
신사동 동쪽에는 증산로가 지나고, 은평로와 가좌로의 서쪽 끝부분에 위치하며, 봉산터널을 통해 경기도 고양시 원흥지구와 연결된다. 대중교통으로는 버스 노선을 이용해 서울 각지로 이동할 수 있으며, 서울 지하철 6호선 새절역과 응암역을 이용할 수 있다.
4. 1. 도로
신사동 동쪽을 증산로가 지나고 있고, 은평로와 가좌로의 서쪽 끝부분에 있다. 봉산터널의 개통에 따라 경기도 고양시 원흥지구로 연결된다.4. 2. 대중교통
신사동을 경유하는 버스 노선을 이용해 서울 각지로 이동할 수 있다. 서울 지하철 6호선 개통 이전에는 녹번역이나 연신내역으로 가는 버스를 이용해야만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었으나, 현재는 신응교 앞에 있는 새절역, 북동쪽 신사오거리에 있는 응암역에서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다.5. 교육
참조
[1]
웹사이트
신사동 (Sinsa-dong 新寺洞)
http://www.doopedia.[...]
Doosan Encyclopedia
2008-04-18
[2]
웹사이트
각 동의 연혁 및 현황:신사동
http://www.eplib.or.[...]
은평역사문화관
[3]
웹사이트
각 동의 연혁 및 현황:신사동
http://www.eplib.or.[...]
은평역사문화관
[4]
문서
시·도의관할구역및구·군의명칭·위치·관할구역변경의건 (제정 1949년 8월 13일 대통령령 159호) 및 서울시구출장소설치에관한건 (제정 1949년 8월 13일 대통령령 160호)에 의함
[5]
문서
서울특별시은평구등7개구설치및구관할구역조정에관한규정 (제정 1979년 9월 26일 대통령령 제9630호)에 의함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