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조형주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조형주의(Neoplasticism)는 화가 피에트 몬드리안이 주창한 미술 운동으로, 1917년 네덜란드에서 시작되었다. 이 운동은 건축과 회화를 중심으로, 수직선과 수평선, 원색, 그리고 검정, 흰색, 회색만을 사용하여 극도의 단순함과 추상성을 추구했다. 신조형주의는 테오 판 되스뷔르흐가 창간한 잡지 "데 스테일"을 통해 널리 알려졌으며, 헤리트 리트펠트의 슈뢰더 주택과 같은 건축물, 그리고 디자인에 큰 영향을 미쳤다. 주요 참여 예술가로는 몬드리안, 리트펠트, 야코뷔스 아우트 등이 있으며, 현재에도 여러 미술관에서 관련 작품을 전시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의 건축 - MVRDV
MVRDV는 비니 마스, 야코프 반 라이스, 나탈리 드 브리스가 설립한 네덜란드의 건축 사무소로, 사회적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독창적인 건축 스타일을 추구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있다. - 네덜란드의 건축 - 스탓하위스
스탓하위스는 말레이시아 믈라카에 위치한 역사적인 건축물로, 네덜란드 식민지 시대에 총독 관저로 건설되어 영국 식민지 시대를 거쳐 현재는 믈라카 역사 민족학 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 1917년 창간 - 이즈베스티야
이즈베스티야는 러시아어로 "소식"을 뜻하며, 소련 시대 주요 일간지로서 정부 입장을 대변했으나, 소련 해체 후 민영화 과정을 거쳐 친정부 성향을 강화하며 2024년 유럽연합으로부터 제재를 받았고, 과거 푸틴 대통령을 비판했으나 현재는 정부 대변 매체로 인식된다. - 1917년 창간 - 스타스 앤 스트라이프스 (신문)
스타스 앤 스트라이프스는 미국 국방부와 의회의 승인을 받아 발행되는 독립적인 일간 군사 뉴스 매체로, 남북 전쟁 중 창간되어 미군 기지에 배포되며, 헌법 수정 조항 제1조의 보호 아래 편집권의 독립성을 유지하고 있다.
신조형주의 | |
---|---|
기본 정보 | |
![]() | |
개요 | |
명칭 | 더 스테일 |
다른 이름 | https://ko.wikipedia.org/wiki/%EC%8B%A0%EC%A1%B0%ED%98%95%EC%A3%BC%EC%9D%98 (nl) |
활동 기간 | 1917년–1931년 |
국가 | 네덜란드 |
주요 인물 | 테오 판 두스뷔르흐 피에트 몬드리안 헤리트 리트펠트 J.J.P. 아우트 바르트 반 데르 레크 |
영향 | |
영향 받은 것 | 입체파 모더니즘 |
영향을 준 것 | 바우하우스 추상 미술 미니멀리즘 구성주의 |
2. 역사
20세기 초, 인상주의의 혁신적인 회화 개념을 뒤따라 입체파가 중요하고 영향력 있는 새로운 조류로 떠올랐다. 네덜란드에서도 이 "새로운 미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그러나 네덜란드는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중립을 유지했기 때문에, 1914년 이후 네덜란드의 예술가들은 국외로 나갈 수 없었고, 특히 당시 예술의 중심지였던 파리와 고립되었다.
이 시기에 화가 테오 반 되스버그는 잡지를 창간하고 새로운 미술 운동을 시작하기 위해 다른 예술가들을 찾아 다녔다. 반 되스버그는 작가, 시인, 비평가이기도 했는데, 독립된 예술가보다는 예술에 대해 저술하는 것에서 더 성공한 인물이었다.[7] 그는 화려한 성격과 외향적인 성격 덕분에 새로운 인간관계를 만드는 데 익숙했고, 미술계에서 유용한 인맥을 갖고 있었다.
피트 몬드리안이 주창한 신조형주의(Neoplasticism, Neoplasticism|네오 플라스티시즘영어)는 이 그룹의 중요한 이념이었다. 그러나 리더인 테오 반 되스뷔르흐는 회화보다 건축을 중시하여 1924년에는 수직과 수평뿐만 아니라 대각선을 도입한 요소주의(엘리멘탈리즘)를 주장했다. 그 때문에 몬드리안은 1925년에 그룹을 탈퇴했다.
그 후 잡지 『데 스테일』은 1928년까지 간행되었고, 그룹 자체는 테오 반 되스뷔르흐가 사망한 1931년까지 지속되었지만, 큰 조류가 되지는 못했다. 그러나 그 세련된 스타일은 네덜란드를 대표하는 캐릭터 "미피"(1955년)를 탄생시킨 딕 브루너[23]나 이브 생 로랑의 "몬드리안 룩"(1955년) 등에 영향을 주었다.[25]
이 그룹은 건축과 추상 회화를 중시하고, 바우하우스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다다이즘과 러시아 구성주의의 가교 역할을 하는 등 국경과 미술 분야를 넘어선 활동을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2. 1. 초기 역사 (1917년 ~ 1920년)
제1차 세계 대전 중 네덜란드는 중립국이었기 때문에, 1914년 이후 네덜란드 예술가들은 국외로 나갈 수 없었다. 이로 인해 그들은 국제 미술계, 특히 당시 예술 중심지였던 파리와 사실상 고립되었다.[7]이 시기에 화가이자 작가, 시인, 비평가였던 테오 반 되스버그는 문예지를 창간하고 새로운 미술 운동을 시작하기 위해 다른 예술가들을 찾아 나섰다. 그는 예술가보다는 예술에 대한 글쓰기로 더 성공한 인물이었다.[7] 그는 화려한 성격과 외향적인 성격 덕분에 새로운 관계를 쉽게 맺었고, 미술계에서 유용한 인맥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

1915년경, 반 되스버그는 결국 "데 스테일" 잡지의 창립 멤버가 될 예술가들을 만나기 시작했다. 그는 암스테르담 시립 미술관 전시회에서 피트 몬드리안을 처음 만났다. 몬드리안은 1912년 파리로 이주하여 그곳에서 자신의 이름을 "몬드리아안"에서 "몬드리안"으로 바꾸었는데,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당시 네덜란드를 방문 중이어서 파리로 돌아갈 수 없었다. 그는 라렌의 예술가 공동체에 머물면서 바르트 판 데르 렉을 만났고, M. H. J. 스호엔마에커르스를 정기적으로 만났다. 1915년, 스호엔마에커르스는 《새로운 세계관》(''Het nieuwe wereldbeeld'')을 출판했고, 1916년에는 《시각 수학의 원리》(''Beginselen der beeldende wiskunde'')를 출판했다. 이 두 출판물은 몬드리안과 데 스테일의 다른 구성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반 되스버그는 J. J. P. 아우트와 헝가리 예술가 빌모스 후사르도 알고 있었다. 1917년, 이 예술가들과 시인이자 음악가인 안토니 코크의 협력으로 데 스테일이 창립되었다. 젊은 건축가 헤리트 리트벨트는 1918년에 이 그룹에 합류했다. 데 스테일은 전성기에 100명의 회원을 보유했고, 잡지는 300부 발행되었다.
초기 몇 년 동안, 판 데르 렉이 예술적 견해 차이로 1918년에 떠났음에도 불구하고, 그룹은 비교적 동질적이었다. 모든 구성원이 서명한 선언문이 발행되었다. 당시의 사회적, 경제적 상황은 그들의 이론에 중요한 영감의 원천이 되었으며, 건축에 대한 그들의 아이디어는 헨드릭 페트뤼스 베를라헤와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신조형주의"(''Nieuwe Beelding'')라는 이름은 1917년 몬드리안이 처음 사용한 용어로, 그는 "데 스테일" 잡지에 "회화에서의 신조형주의"라는 제목의 12개의 연작 기사를 썼다. 1920년 그는 ''Le Néo-Plasticisme''라는 제목의 책을 출판했다.
2. 2. 1920년 이후
1921년경부터 데 스테일 그룹의 성격은 변화하기 시작했다. 반 되스버그가 바우하우스와 협력하면서, 카지미르 말레비치와 러시아 구성주의의 영향이 나타나기 시작했는데, 모든 구성원들이 이에 동의한 것은 아니었다.[23] 1924년 반 되스버그가 사선이 수평선이나 수직선보다 더 생명력이 있다는 요소주의(엘리멘타리즘) 이론을 제안하자, 몬드리안은 그룹을 탈퇴했다.또한, 데 스테일 그룹은 다다이즘의 영향을 받아 I. K. 본셋의 시와 알도 카미니의 "반철학"과 같은 새로운 요소들을 받아들였는데, 이는 논란을 야기하기도 했다. 반 되스버그가 사망한 후에야 본셋과 카미니가 그의 가명이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3]
2. 3. 반 되스버그의 죽음 이후 (1931년 이후)
테오 반 되스버그가 1931년 다보스에서 사망하면서 데 스테일은 중추적인 역할을 했던 인물을 잃게 되었다. 그의 사망 이후 이 모임은 더 이상 생존할 수 없었다.[23] 개별 구성원들은 서로 연락을 유지했지만, 강력한 중심 인물이 없이는 데 스테일이 존속할 수 없었다. 따라서 데 스테일을 긴밀하게 조직된 예술가들의 모임으로 생각하기는 어렵다. 데 스테일의 구성원들은 서로 알고는 있었지만, 대부분의 정보 교환은 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예를 들어 피에트 몬드리안과 헤릿 리트벨트는 직접 만난 적이 없다.1931년 이후에도 많은 예술가들이 이 운동의 기본 개념을 고수하였다. 몬드리안은 1920년경 창시한 양식에 따라 작업을 계속했고, 리트벨트는 데 스테일의 원리에 따라 가구를 디자인했다. 반면 바르트 판 데르 레크는 데 스테일을 탈퇴한 이후 원래의 상징적인 구성으로 되돌아갔다.
3. 원칙과 영향
데 스테일 운동은 입체파 회화와 신비주의, 수학자 스훈마케르스(M.H.J. Schoenmaekers)의 신플라톤주의 철학에서 온 "이상적인" 기하학적 형태(예를 들어 "완벽한 곧은 선")에 대한 개념에서 영향을 받았다. 데 스테일은 건축의 바우하우스 양식과 국제주의 양식, 의복 및 인테리어 디자인 등에 영향을 주었으나, 입체주의, 미래주의, 초현실주의와 같은 "ism"(주의)의 일반적인 기준이나 바우하우스와 같은 예술학교의 원칙을 따르지는 않았다. 다만, 집합적인 프로젝트이자 공동 기획이었다.
음악에서 데 스테일은 작곡가이자 몬드리안의 친구였던 야코프 반 돔셀라에르에게 영향을 주었다. 1913년에서 1916년 사이에 그는 주로 몬드리안의 회화에서 영감을 받은 ''Proeven van Stijlkunst''(예술 양식적인 실험들)을 작곡했다. 이 미니멀리즘적이고 혁명적인 음악은 "수평적"이고 "수직적"인 음악적 요소를 정의하고 두 원칙의 조화를 추구했다. 반 돔셀라에는 생전에 비교적 덜 알려졌고, 데 스테일 그룹 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지는 못했다.
데 스테일은 건축과 추상 회화를 중시하고, 바우하우스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다다이즘과 러시아 구성주의를 잇는 가교 역할을 하는 등 국경과 미술 분야를 넘어선 활동을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3. 1. 신조형주의의 원칙
피에트 몬드리안은 자신의 에세이 "회화 예술의 신조형주의"에서 신조형주의의 원칙을 제시했다.[1] 그는 "이 새로운 조형적 아이디어는 외형, 즉 자연 형태와 색상의 세부 사항을 무시할 것이다. 반대로, 형태와 색상의 추상, 즉 직선과 명확하게 정의된 기본 색상으로 표현되어야 한다"고 썼다. 이러한 제약 조건으로 그의 예술은 오직 원색과 비색, 오직 사각형과 직사각형, 오직 직선과 수평 또는 수직선만 허용했다.[2]신조형주의는 건축과 회화에서 궁극적인 단순함과 추상성을 추구했다. 오직 수직선과 수평선, 사각형 형태 만을 사용하도록 했으며, 빨강, 노랑, 파랑 같은 원색과 검정, 흰색, 회색의 세 가지 주요 명암으로 형태상의 표현 방식도 제한되었다. 신조형주의 작품들은 대칭을 피하고 대조를 활용하여 미적인 균형을 달성했다.

많은 3차원 신조형주의 작품들에서, 수평선과 수직선은 서로 엇갈리는 층이나 평면에 위치하는데, 이리하여 각각의 요소들이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다른 요소들에 의해 방해받지 않도록 했다. 이 특징은 헤리트 리트펠트의 슈뢰더 주택이나 적청 의자에서 찾아볼 수 있다.

데 스테일 운동은 1924년경까지 몬드리안의 원칙을 따랐지만, 테오 판 되스뷔르흐가 요소주의의 원칙을 도입하면서 변화가 생겼다. 요소주의는 역동적인 대각선 사용, 색상이 작품에 더 많은 에너지를 불어넣을 수 있도록 허용, 조화롭고 균형 잡힌 관계의 거부 등을 포함했다. 이로 인해 몬드리안은 1925년에 그룹을 탈퇴했다.
"양식"이라는 뜻의 더 스테일(De Stijl)이라는 이름은 고트프리트 젬퍼의 저서에서 유래했다는 추측이 일반적이다. 제임스 컬[27]은 이 개념이 유물론과 기능주의를 찬양하는 것으로 오도되었다고 주장한다.
3. 2. 건축에 미친 영향
건축에 신조형주의가 끼친 영향은 1931년 이후에도 오랫동안 중요하게 남아있었다. 루트비히 미스 반 데어 로에는 신조형주의의 개념을 지지한 주요 인물이다. 1923년에서 1924년 사이, 리트펠트는 슈뢰더 주택을 설계했는데, 신조형주의의 원리에 따라 완공된 유일한 건물이다. 신조형주의의 영향을 받은 대표적 예인 야코뷔스 아우트의 건물들은 로테르담(카페 드 위니(Café De Unie))과 후크 판 홀란드에서 찾아볼 수 있다.
미스 반 데어 로에는 데 스테일의 사상을 지지한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이었다. 리트벨트는 1923년에서 1924년 사이에 데 스테일의 원칙에 완전히 따라 만들어진 유일한 건물인 리트벨트 슈뢰더 하우스를 설계했다. J.J.P. 아우드의 데 스테일의 영향을 받은 작품으로는 로테르담의 카페 데 유니와 후크 판 홀란트의 노동자 주택이 있다. 다른 예로는 찰스 & 레이 임스 부부의 임스 하우스와 소피 토이버-아르프, 장 아르프, 반 되스부르흐가 디자인한 스트라스부르의 오베트 무도홀의 실내 장식이 있다.[1]
3. 3. 다른 분야에 미친 영향
신조형주의는 바우하우스 양식과 국제주의 양식 건축, 의복 및 인테리어 디자인 등에 영향을 주었다.[27] 그러나 이 운동은 입체파, 미래주의, 초현실주의와 같은 "ism"(또는 주의)의 일반적인 기준을 따르지 않으며, 바우하우스와 같은 예술학교의 원칙에 충실한 것도 아니었다. 다만 이것은 집합적인 프로젝트이며, 공동의 기획이었다.음악에서는 신조형주의는 몬드리안의 가까운 친구인 야코프 반 돔셀라에르의 작품에 영향을 미쳤다. 1913년에서 1916년 사이 그는 ''Proeven van Stijlkunst''(예술 양식적인 실험들)을 작곡하는데, 이는 주로 몬드리안의 회화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다.[6] 이 미니멀리즘적이면서도 당시로서는 혁명적인 음악은 "수평적"이고 "수직적"인 음악적 요소를 정의하고 두 원칙들의 조화를 이루려 했다. 반 돔셀라에는 그가 살아있을 때는 상대적으로 잘 알려져 있지 않았고, 더 스테일 그룹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지는 못했다.
그 세련된 스타일은 네덜란드를 대표하는 캐릭터 "미피"(1955년)를 탄생시킨 딕 브루너[23]나 이브 생 로랑의 "몬드리안 룩"(1955년) 등에 영향을 주었다.[25]
4. 주요 참여 예술가 (신조형주의자) 목록
이 목록은 완전하지 않다. 많은 예술가들이 데 스테일과의 관계를 잃어버렸기 때문에, 신조형주의에 기여한 사람들의 개요를 완성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이름 | 활동 분야 | 출생-사망 |
---|---|---|
막스 빌 | 건축가 겸 디자이너 | 1908년–1994년 |
일리야 볼로토프스키 | 화가, 조각가[12] | 1907년–1981년 |
버고인 딜러 | 화가[13] | 1906년–1965년 |
테오 반 되스버그 | 화가, 디자이너, 작가, 시인, 데 스테일의 공동 창립자, 1917–1931년 데 스테일 편집자[14] | 1883년–1931년 |
코르넬리스 판 에이스테런 | 건축가[15] | 1897년–1981년 |
장 고랭 | 화가, 조각가[15] | 1899년–1981년 |
로베르트 판트 호프 | 건축가[16] | 1887년–1979년 |
빌모스 후사르 | 화가[17] | 1884년–1960년 |
프레데릭 존 키슬러 | 건축가, 극장 디자이너, 예술가, 조각가[18] | 1890년–1965년 |
안토니 콕 | 시인, 작가[19] | 1882년–1969년 |
바르트 판 데르 레크 | 화가[14] | 1876년–1958년 |
피트 몬드리안 | 화가, 데 스테일의 공동 창립자[14] | 1872년–1944년 |
말로우 모스 | 화가[15] | 1889년–1958년 |
J. J. P. 아우트 | 건축가[14] | 1890년–1963년 |
헤리트 리트펠트 | 건축가, 디자이너[14] | 1888년–1964년 |
쿠르트 슈비터스 | 화가,[20] 조각가[21] | 1887년–1948년 |
조르주 반통겔루 | 조각가[14] | 1886년–1965년 |
프리드리히 포르뎀베르게-길데바르트 | 화가[26],[14] | 1899년–1962년 |
얀 빌스 | 건축가[22] | 1891년–1972년 |
5. 현대의 데 스테일
헤이그 시립박물관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몬드리안 작품을 소장하고 있으며, 암스테르담 시립박물관은 리트펠트와 반 되스버그의 많은 작품들을 전시하고 있다.[1] 위트레흐트의 센트랄 박물관은 세계에서 가장 큰 리트펠트 콜렉션을 보유하고 있으며, 슈뢰더 주택과 그 옆의 "쇼 하우스", 슈뢰더 주택 관련 기록 등을 소유하고 있다.[1]
데 스테일 관련 전시회는 정기적으로 개최된다.[1] 데 스테일은 모스크바 지하철의 루뱐체보역과 살라리에보역 디자인에도 영향을 주었다.[2]
참조
[1]
서적
"The New Plastic in Painting" in The New Art - The New Life: the collected writings of Piet Mondrian
https://archive.org/[...]
Thames and Hudson
1987
[2]
웹사이트
Neo-plasticism – Art Term
http://www.tate.org.[...]
[3]
서적
A Dictionary of Architec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4]
간행물
De Stijl: 1917–1931, Visions of Utopia
1982-09
[5]
간행물
Der Kampf um den neuen Stil
https://www.e-period[...]
[6]
웹사이트
Jakob van Domselaer - Proeven van Stijlkunst
https://www.youtube.[...]
2024-12-16
[7]
서적
Grundbegriffe der Neuen Gestaltenden Kunst (Grondbeginselen der Nieuwe beeldende Kunst [Principles of Neo-Plastic Art])
Lund Humphries (1968)
1918
[8]
간행물
This 100-Year-Old Dutch Movement Shaped Web Design Today
https://backchannel.[...]
2017-01-26
[9]
문서
Piet Mondrian, ''Le Néo-Plasticisme, Principe Général de l'Equivalence Plastique''
http://digi.ub.uni-h[...]
Universitätsbibliothek Heidelberg
1920
[10]
웹사이트
Marble and Mondrian: a tour of Moscow metro
http://www.dw.com/en[...]
DW
2017-04-06
[11]
웹사이트
Type design for Rumyantsevo Moscow Metro station
http://www.artlebede[...]
2017-04-06
[12]
웹사이트
Ilya Bolotowsky
http://www.sullivang[...]
Sullivan Goss
2015-09-24
[13]
웹사이트
Burgoyne Diller
http://www.sullivang[...]
Sullivan Goss
2015-09-24
[14]
웹사이트
De Stijl
http://www.tate.org.[...]
The Tate
2006-07-31
[15]
웹사이트
de Stijl
http://the-artists.o[...]
the-artists.org
2008-12-28
[16]
웹사이트
Robert Van 'T Hoff in The Kröller-Müller Museum
http://en.nai.nl/col[...]
Het Nieuwe Instituut
2015-09-24
[17]
웹사이트
Vilmos huszar De Stijl
http://www.moma.org/[...]
MoMA
2015-09-24
[18]
웹사이트
AD Classics: Endless House / Friedrick Kiesler
http://www.archdaily[...]
ArchDaily
2011-04-11
[19]
서적
De Stijl and Dutch Modernism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3-09-20
[20]
서적
Design
Laurence King
1998
[21]
웹사이트
Spaces for the Permanent Collection - sprengel-museum.com
http://www.sprengel-[...]
[22]
서적
De Stijl and Dutch Modernism
https://books.google[...]
Manchester University Press
2003-09-20
[23]
서적
ディック・ブルーナ : “ミッフィー”を生んだ絵本作家
河出書房新社
2020-04
[24]
웹사이트
モンドリアン・ルック Mondorian Look
https://artscape.jp/[...]
大日本印刷株式会社
2024-02-28
[25]
문서
おかしな建築の歴史 : Architectural Keyword 125
エクスナレッジ
[26]
웹인용
De Stijl
http://www.tate.org.[...]
The Tate
2006-07-31
[27]
서적
A Dictionary of Architec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