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효값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실효값(RMS)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전류나 전압의 크기를 나타내는 방법으로, 교류 회로에서 평균 전력을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실효값은 순시값을 제곱하여 평균한 값의 제곱근으로 정의되며, 시간에 따라 변하는 전압과 전류의 실효값을 사용하여 평균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정현파 교류의 경우 실효값은 최댓값을 √2로 나눈 값과 같으며, 교류 전압계 및 전류계는 정현파 교류에서 실효값을 표시한다. 비정현파 교류를 측정할 때는 측정 기기의 종류에 따라 표시되는 값이 다를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측정 - 측지학
측지학은 지구의 형상, 크기, 중력장 및 시간적 변화를 측정하고 연구하는 지구과학의 한 분야로, 고대 그리스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현대에는 GPS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지구 역학적 현상 연구에 기여한다. - 측정 - 불확실성
불확실성이란 현재나 미래를 정확히 예측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하며, 확률을 알 수 없는 근본적인 불확실성도 존재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과는 구별되며, 과학, 경제,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뤄지는 중요한 개념이다. - 음향학 - 신시사이저
신시사이저는 전자 회로로 소리를 합성하는 전자 악기로, 1960년대 로버트 무그 등에 의해 현대적인 형태로 발전하여 다양한 음향 합성 방식을 사용하며 여러 장르의 음악과 영화 사운드트랙에 널리 활용된다. - 음향학 - 사인파
사인파는 고조파가 없는 단일 주파수 파형으로, 삼각함수로 표현되며 진폭, 각진동수, 위상 등의 매개변수로 특징지어지고, 푸리에 분석을 통해 복잡한 파형으로 분해 및 합성이 가능하며, 전자공학, 음악, 물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전기공학 - 전기 전도체
전기 전도체는 전기를 잘 통하는 물질로, 금속, 전해질, 초전도체, 반도체 등이 있으며, 구리, 은, 알루미늄 등 다양한 재료가 전선 등에 사용된다. - 전기공학 - 옴의 법칙
옴의 법칙은 1827년 게오르크 옴이 발표한, 전압(V)은 전류(I)와 저항(R)의 곱(V=IR)으로 표현되는, 전압, 전류, 저항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본 법칙이다.
실효값 | |
---|---|
개요 | |
정의 | 교류 전압, 전류의 크기를 나타내는 척도 |
특징 | 전력 계산에 유용 |
관련 개념 | 평균 전력, 최대 전력, 순시 전력 |
활용 분야 | 전기 공학, 전자 공학, 오디오 공학 |
정의 (수학적) | |
계산 방법 | 파형의 제곱 평균 제곱근을 구함 |
수식 | V_{\mathrm{rms}} = \sqrt \int_0^T [v(t)]^2 \, dt} |
설명 | V_{rms}: 실효값 T: 주기 v(t): 시간 t에서의 전압 또는 전류 |
파형별 실효값 | |
정현파 | V_{\mathrm{rms}} = {V_{\mathrm{peak}} \over \sqrt{2}} \approx 0.707 V_{\mathrm{peak}} |
구형파 | V_{\mathrm{rms}} = V_{\mathrm{peak}} |
삼각파/톱니파 | V_{\mathrm{rms}} = {V_{\mathrm{peak}} \over \sqrt{3}} \approx 0.577 V_{\mathrm{peak}} |
활용 | |
전력 계산 | P = V_{\mathrm{rms}} I_{\mathrm{rms}} \cos \theta P: 평균 전력 I_{rms}: 전류의 실효값 θ: 전압과 전류 사이의 위상차 |
오디오 신호 | 음량 측정 및 비교 |
주의사항 | |
파형 의존성 | 실효값은 파형에 따라 다른 값을 가짐 |
직류 성분 | 직류 성분이 포함된 경우, 실효값 계산 시 고려해야 함 |
2. 정의 및 계산
시간에 따라 변하는 순간 전류 와 저항 을 이용해 순간 전력 를 구하면 다음과 같다.
:
시간에 따른 평균 전력 는 다음과 같이 표현 가능하다. (는 함수의 평균값)
:
전류의 실효값(RMS)으로 평균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즉, 시간에 따라 전압과 전류가 변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실효값을 마치 시간 불변의 물리량인 것처럼 적용해서 평균 전력을 구할 수 있다.
일반적인 주기적 전류 파형 [A]의 실효값 [A]는 “순시값 을 제곱하여 평균한 값의 제곱근(root mean square)”으로 정의한다. 평균은 1주기에 걸쳐 적분하여 주기 ''T''로 나눈 값이므로, 실효값 는 다음과 같다.
:
만약 교류인 경우를 가정하여 라고 하면, 도 주기함수이므로 평균값은 주기 만큼의 적분값을 T로 나눈 것이 되므로, 전류의 실효값 는 다음과 같다.
:
마찬가지로 전압의 실효값을 계산하면 이 된다.
2. 1. 일반적인 주기 함수
일반적인 주기 함수 (주기 )의 실효값 는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이 값은 순시값 를 제곱하여 평균한 값의 제곱근(root mean square)으로 정의된다. 평균은 1주기에 걸쳐 적분하여 주기 ''T''로 나눈 값이다.
2. 2. 정현파 교류 (사인파)
정현파 교류의 경우, 실효값은 최댓값(진폭)을 로 나눈 값과 같다. 전류의 순시값을 , 전압의 순시값을 라고 할 때, 전력의 순시값 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이 를 1주기에 걸쳐 적분하고 주기로 나누면 평균 전력 을 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실효값과 최댓값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유도할 수 있다.
:
따라서, 실효값과 최댓값의 관계는 다음과 같다.
:
:
마찬가지로 전압의 실효값을 계산하면 이 된다.
정현파 교류 전압과 전류에 대해 각각 절댓값의 평균을 “정현파 교류의 평균값”이라고 하며, 각각 *V*av [V], *I*av [A]로 표기한다.
:
:
3. 평균값과 실효값의 관계 (정현파 교류)
정현파 교류 전압과 전류에 대해 각각 절댓값의 평균을 “정현파 교류의 평균값”이라고 한다. 전압의 평균값 *V*av [V]는 다음과 같다.
:
- ωT*/2 = *π*이므로 다음과 같다.
:
전류의 평균값 *I*av [A]는 다음과 같다.
:
실효값/평균값을 파형률이라고 한다.
4. 전력 계산
시간에 따라 변하는 순간 전류 ${\displaystyle I(t)}$와 저항 ${\displaystyle R}$을 이용해 순간 전력 ${\displaystyle P(t)}$를 구할 수 있다.
: ${\displaystyle P(t)=I^{2}(t)R}$
시간에 따른 평균 전력 ${\displaystyle P_{\mathrm {avg} }}$에 대해 다음 등식이 성립한다. (단, ${\displaystyle \langle \ldots \rangle }$는 함수의 평균값.)
: ${\displaystyle {\begin{aligned}P_{\mathrm {avg} }&=\langle P(t)\rangle \\&=\langle I^{2}(t)R\rangle \\&=R\langle I^{2}(t)\rangle \\&=\left(I_{\mathrm {RMS} }\right)^{2}R\end{aligned}}}$
이로써 전류의 실효값(RMS)으로 평균 전력을 계산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displaystyle P_{\mathrm {avg} }=\left(V_{\mathrm {RMS} }\right)^{2}/R}$이므로, 다음이 성립한다.
: ${\displaystyle P_{\mathrm {avg} }=V_{\mathrm {RMS} }I_{\mathrm {RMS} }}$
다시 말해, 시간에 따라 전압과 전류가 변하는 경우에도 각각의 실효값을 마치 시간 불변의 물리량인 것처럼 적용해서 평균 전력을 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만약 교류인 경우를 가정하여 ${\displaystyle I(t)=I_{p}\sin(\omega t)}$라고 하면, ${\displaystyle I^{2}(t)}$도 주기함수이므로 평균값은 주기 ${\displaystyle T=2\pi /\omega }$만큼의 적분값을 T로 나눈 것이 되므로, 전류의 실효값 ${\displaystyle I_{\mathrm {RMS} }}$는 다음과 같다.
: ${\displaystyle {\begin{aligned}I_{\mathrm {RMS} }&={\sqrt \int _{0}^{T}I^{2}(t)\,dt}}\\&={\sqrt \int _{0}^{T}I_{p}^{2}\sin ^{2}(\omega t)\,dt}}\\&=I_{p}{\sqrt \int _{0}^{T}{\frac {1-\cos(2\omega t)}{2}}\,dt}}\\&=I_{p}{\sqrt \left[{\frac {t}{2}}-{\frac {\sin(2\omega t)}{4\omega }}\right]_{0}^{T}}}\\&=I_{p}{\sqrt {\frac {T}{2}}}}={\frac {I_{p}}{\sqrt {2}}}\end{aligned}}}$
마찬가지로 전압의 실효값을 계산하면 ${\displaystyle V_{\mathrm {RMS} }=V_{p}/{\sqrt {2}}}$이 된다.
5. 측정 및 표시
5. 1. 진실효값 (True RMS)
일반적인 주기적 전류 파형 [A]의 실효값 [A]는 “순시값 을 제곱하여 평균한 값의 제곱근(root mean square)”으로 정의된다. 평균은 1주기에 걸쳐 적분하여 주기 ''T''로 나눈 값이므로, 다음 식 가 실효값이 된다.:
교류전압계, 교류전류계는 정현파 교류에서는 실효값을 표시한다. 하지만 엄밀하게는, 평균값의 상수배
:
을 표시하는 타입과, 진실효값을 표시하는 타입이 있다. 정현파 교류를 측정하는 경우 이들은 일치하므로 구별할 필요는 없지만, 비정현파 교류를 측정하는 경우 표시된 값이 어떤 의미인지를 구별할 필요가 있다.
아날로그 전압계, 전류계에서는, 정류기형은 평균값 표시, 가동철편형은 진실효값 표시이다. 디지털 전압계, 전류계에서는 「진실효값 표시」가 가능한 기종이 많으며, 특히 명기하는 경우가 많다.
5. 2. 측정 기기
아날로그 전압계와 전류계에서는 정류기형은 평균값 표시를, 가동철편형은 진실효값 표시를 한다. 디지털 전압계와 전류계에서는 '진실효값 표시'가 가능한 기종이 많으며, 특히 명기하는 경우가 많다. 교류전압계 및 교류전류계는 정현파 교류에서 실효값을 표시한다. 하지만 평균값의 상수배를 표시하는 타입과 진실효값을 표시하는 타입이 있다. 정현파 교류 측정 시에는 이들이 일치하므로 구별할 필요가 없지만, 비정현파 교류 측정 시에는 표시된 값이 어떤 의미인지 구별해야 한다.6. 관련 용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