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측지학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측지학은 지구의 형상과 중력장을 측정하고 이해하는 과학으로, 고대 그리스어 "지구의 분할"에서 유래되었다. 에라토스테네스는 기원전 3세기에 지구의 크기를 최초로 계산했으며, 측지학은 지구의 고체 표면, 해수면, 대기 등에 적용된다. 주요 개념으로는 지오이드, 타원체, 측지 좌표계 등이 있으며, 측지학적 문제로는 제1 및 제2 측지 문제가 있다. 측량 방법으로는 수준기, 세오돌라이트, GPS, 중력계 등이 사용되며, 지구 표면의 시간적 변화를 연구하는 데에도 활용된다. 대한민국은 2002년부터 세계측지계(GRS80 타원체, ITRF 좌표계)를 법제화하여 사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도학 - 위도
    위도는 지구 표면의 남북 위치를 각도로 나타내며, 지구를 회전 타원체로 가정했을 때 법선과 적도면이 이루는 각으로 측정하여 적도를 0°로 북극과 남극까지 나타내고, 기후와 지리적 특징 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 지도학 - 측지계
    측지계는 지구의 형태와 위치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위도, 경도, 고도 등을 정의하고 측량, 지도 제작, GPS 등에 활용되는 기준 좌표계이다.
  • 측지학 - 위도
    위도는 지구 표면의 남북 위치를 각도로 나타내며, 지구를 회전 타원체로 가정했을 때 법선과 적도면이 이루는 각으로 측정하여 적도를 0°로 북극과 남극까지 나타내고, 기후와 지리적 특징 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 측지학 - 측지계
    측지계는 지구의 형태와 위치를 수학적으로 모델링하여 위도, 경도, 고도 등을 정의하고 측량, 지도 제작, GPS 등에 활용되는 기준 좌표계이다.
  • 측정 - 불확실성
    불확실성이란 현재나 미래를 정확히 예측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하며, 확률을 알 수 없는 근본적인 불확실성도 존재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과는 구별되며, 과학, 경제,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다뤄지는 중요한 개념이다.
  • 측정 - 양 (크기)
    양은 측정 대상의 크고 작음이나 많고 적음을 나타내며, 수학에서는 크기와 다수로, 일본산업규격에서는 수와 계량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는 현상, 물체, 물질의 성질로 정의되고, 분리량, 연속량, 외연량, 내포량 등으로 분류되며, 물리학에서는 차원과 단위의 배수로 표현되는 물리량을 다루고, 산업량, 감각량, 감성량 등 다양한 분야에서 특정 목적에 따라 정의된다.
측지학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분야지구의 모양, 방향, 중력 측정 과학
관련 분야지구물리학, 천문학, 지도 제작, 측량
어원그리스어 "γεωδαισία" (geōdaisía, "지구를 나누다")
주요 개념
기준면지오이드, 준거 타원체
좌표계위도, 경도, 고도
거리 측정측지선
공간 기준계국가 좌표계, 세계 측지계, 국제 지구 기준 좌표계
기술초장기선 전파 간섭법, 위성항법시스템, 전자 기준점, 삼각측량
역사측지학의 역사
국가 좌표계 및 기준
1929년 해면측지계NGVD 29
영국 지형조사 1936년OSGB36
1942년 좌표계SK-42
유럽 좌표계 1950년ED50
남미 측지계 1969년SAD69
GRS 80GRS 80
지리 좌표 1983년ISO 6709
북미 측지계 1983년NAD 83
세계 측지계 1984년WGS 84
북미 수직 측지계 1988년NAVD 88
유럽 지구 기준 좌표계 1989년ETRS89
중국 암호화 좌표계 2002년GCJ-02
지점 인터넷 링크 2010년Geo URI
국제 지구 기준 좌표계국제 지구 기준 좌표계
공간 참조계 식별자 (SRID)공간 참조계 식별자 (SRID)
유니버설 횡단 메르카토르 도법 (UTM)유니버설 횡단 메르카토르 도법 (UTM)

2. 역사

측지학은 과학 이전의 고대 시대부터 시작되었으며, 측지학이라는 단어 자체는 고대 그리스어 단어 γεωδαισία|게오다이시아grc(직역하면 "지구의 분할")에서 유래했다.[8]

초기 지구 형상에 대한 생각은 지구가 평평하다고 여기고 하늘은 그 위를 덮는 물리적 돔이라고 생각했다.[9] 구형 지구에 대한 초기 주장 두 가지는 달의 그림자가 관측자에게 원형으로 보인다는 점과 북극성이 남쪽으로 향하는 여행자에게 점점 더 낮게 보인다는 점이었다.[10]

자오선호

측지학의 기원은 기원전 3세기에 이집트에서 에라토스테네스가 지구의 크기를 구한 데서 시작되었다고 한다. 당시, 하지의 정오에 시에네(현재의 아스완)의 깊은 우물 바닥에 태양빛이 비치는 것이 알려져 있었다.[23] 같은 하지 정오, 에라토스테네스는 알렉산드리아에 있던 해시계 중앙에 수직으로 세운 막대의 길이와 그 그림자의 길이의 비율을 통해 태양이 천정에서 남쪽으로 7.2° 기울어져 있음을 알아냈다.[24] 알렉산드리아-시에네 간 거리는 5,000 스타디아(약 920km)로 알려져 있었고, 또한 지구의 크기에 비해 태양까지의 거리는 매우 멀기 때문에 지구에 비치는 태양광선은 평행한 광선으로 간주할 수 있었기에, 에라토스테네스는 지구의 둘레를 다음과 같이 계산하는 데 성공했다.

:5,000 × 360 ÷ 7.2 = 250,000 스타디아 (약 46000km)

에라토스테네스가 계산한 지구 둘레의 길이는 현재 가장 정확한 값과 비교해 불과 15%만 클 뿐이며, 당시 기술 수준으로 보아도 놀라운 수준이었다고 한다.[25] 오늘날, 이 업적을 기념하여 그는 '측지학의 아버지'라고 불린다.

3. 정의

측지학의 영문 명칭인 Geodesy는 그리스 문자 γεωδαισία 또는 geodaisia ("지구를 분해하다")에서 유래되었으며, 측지학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는 중력장 안에서의 위치를 다룬다.[8]

영어에서 지오데시(geodesy)는 지리 공간 정보를 측정하고 표현하는 과학을 의미하는 반면, 지오매틱스(geomatics)는 측량을 포함한 지역 및 국지적 규모에서 지오데시의 실제 응용을 포괄한다.

지구의 형상은 광범위하게는 적도의 팽창으로부터 야기된 지구의 회전과 지구 중력장에 견디기 위한 화산의 충돌과 같은 지질학적 과정들의 경쟁의 산출물이다. 지구의 형상은 고체의 지표면, 액체의 수면(동적 해수면 지형) 및 지구의 대기에 적용된다. 이 때문에, 지구 중력장 연구를 물리적 측지학이라 부른다.[2]

4. 지구 타원체와 지오이드

지구의 형태는 지형을 제외하면 지오이드로 설명된다. 이는 해류기압 변화가 없는 상태의 평균 해수면으로, 대륙 아래로 연장된다. 타원체와 달리 지오이드는 불규칙하여, 점 위치 확인 같은 기하학적 문제 해결에는 적합하지 않다. 지오이드와 타원체 사이의 거리를 ''지오이드 고도''라고 하며, GRS80 타원체를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110m 정도 차이가 난다.

지오이드, 지구의 형태를 근사적으로 나타낸 것; 여기서는 수직 과장(10000의 수직 축척 계수)이 적용되었습니다.


타원체 - 지구를 수학적으로 나타낸 것. 지오데틱 좌표에서 매핑할 때, 위도 원은 잘린 원뿔을 형성합니다.


타원체는 일반적으로 지오이드와 같은 크기(부피)를 갖도록 선택되며, 장반축(적도 반지름)과 편평률로 설명된다. 지구의 역학적 편평률은 위성 궤도 섭동 관측을 통해 고정밀도로 결정할 수 있다.

1980년 국제 지구물리 및 지구측지학 연맹(IUGG)에서 채택된 GRS80 타원체는 6378137m의 장반축과 1:298.257의 편평률을 가진다. GRS 80은 전지구측위시스템(GPS)에 의한 위치 확인의 기초가 되며 널리 사용된다.

지오이드는 조석계와 같은 물리적 객체로부터 측정을 통해 지구상에서 위치를 찾을 수 있는 "실현 가능한" 표면이다. 반면 타원체는 추상적인 표면이다.

실제 지구 모양은 산과 바다가 있어 타원체가 아니다. 그래서 평균 해수면을 등중력퍼텐셜로 하는 가상적인 면인 지오이드가 고안되었다.

지오이드면과 준거타원체의 차이는 수준측량 및 삼각측량으로 구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위성측량으로 정밀도가 높아지고 있다. 지오이드면은 등포텐셜면이므로, 정밀한 중력측정으로도 높이를 구할 수 있다.

4. 1. 주요 지구 타원체

19세기 전반부터 지오이드면에 가까운 형태의 타원체를 구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당시에는 전 지구 규모로 타원체의 형태를 결정하는 방법이 없었기 때문에 지역별 자오선호 길이 측량에 의해 타원체가 결정되었다. 동아시아에서 결정된 베셀 타원체(1841년) 등이 그 예이다. 1967년 국제측지학 및 지구물리학 연맹(IUGG) 총회에서 새로운 타원체가 결정되었으나, 전 세계적으로 통일된 위도·경도를 제공하지는 못했다.

인공위성의 주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1980년 IUGG에서 전 세계적으로 통일된 GRS80 타원체가 결정되었다. 1984년에는 미국 국방부에 의해 WGS 84 타원체가 결정되었다. WGS 84 타원체는 GRS 80을 기반으로 하며, 실용상 GRS 80과 거의 차이가 없다.[22]

일본에서는 오랫동안 베셀 타원체가 사용되었지만, 2002년 4월부터 GRS 80 타원체와 국제 지구 기준 좌표계(ITRF) 좌표계에 기반한 세계측지계에 따른 위도·경도 표시가 법제화되었다.

명칭년도장반경 (단위 m)단반경 (단위 m)편평률의 역수 (1/f)
베셀 타원체1841년6377397.155m6356079m299.152 813
GRS801980년6378137m6356752.31414m298.257 222 101
WGS 84 타원체1984년6378137m6356752.314245m298.257 223 563


5. 측지 좌표계

3차원 공간 내 점의 위치는 세 개의 직교 좌표(x, y, z)로 가장 편리하게 설명할 수 있다. 위성 측지학 시대 이전에는 원점과 관련된 좌표계를 사용했는데, 이는 연직선(수직) 방향의 지역적 편차 때문에 지구 중심과 수백 미터 차이가 있었다. ED 50(유럽 측지원점 1950) 또는 NAD 27(1927년 북미 측지원점)과 같은 지역 측지원점은 해당 유효 영역 내 지오이드에 대한 지역적 "최적합" 타원체를 가지고 있어, 이 영역에서 연직선의 편차를 최소화한다.[1]

GPS 위성은 지구 중심을 기준으로 공전하기 때문에, 위성 측지학에서 사용되는 좌표계의 원점은 자연스럽게 지구 중심이 된다. 위성의 위치는 이러한 좌표계 내에서 계산된다.[1]

5. 1. 좌표계의 종류

3차원 공간에서 점의 위치는 직교 좌표(x, y, z)로 나타낼 수 있다. 위성 위치 측정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러한 좌표계는 일반적으로 지구 질량 중심을 원점으로 하는 지구 중심 좌표계를 사용하며, Z축은 지구의 자전축과 일치한다.

위성 측지학 시대 이전에는 지역 측지원점과 관련된 좌표계를 사용했는데, 이는 지구 중심과 수백 미터 차이가 있었다. ED50(유럽 측지원점 1950) 또는 NAD 27(1927년 북미 측지원점)과 같은 지역 측지원점은 해당 지역의 지오이드에 가장 적합한 타원체를 기준으로 하며, 연직선 편차를 최소화한다.

GPS 위성은 지구 중심을 기준으로 공전하기 때문에, 위성 측지학에서 사용되는 좌표계의 원점은 자연스럽게 지구 중심이 된다.

지구 중심 좌표계는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관성 참조계: 좌표축은 항성 또는 이상적인 자이로스코프의 회전축에 대해 방향을 유지한다. X축은 춘분점을 가리킨다.

# 공동 회전 참조계 (ECEF 또는 "지구 중심, 지구 고정"): 축은 지구에 고정되어 있다. X축은 그리니치 천문대의 자오선 평면에 있다.

이 두 시스템 간의 좌표 변환은 (겉보기) 항성시로 설명되며, 지구의 축 회전 변화(일장 변화)와 극운동을 고려하여 더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다.

측량 및 지도 제작과 같은 측지 응용 분야에서는 평면에서 두 가지 유형의 좌표계가 사용된다.

# '''극좌표계''': 평면의 점은 기준선으로부터 각도 ''α''와 특정 지점으로부터의 거리 ''s''로 정의된다.

# '''직교 좌표계''': 점은 서로 수직인 두 축 ''x''와 ''y''로부터의 거리로 정의된다. 측지학에서는 ''x''축이 북쪽을, ''y''축이 동쪽을 가리킨다.

지도 투영을 통해 3차원 좌표를 평면 좌표로 변환할 수 있다. 지구 곡면을 평면에 완벽하게 투영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등각 투영과 같이 각도와 길이 비율을 유지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UTM(Universal Transverse Mercator)이 이러한 투영의 예시이다. 지도 평면에서 ''x''와 ''y'' 직교 좌표를 사용하며, 이때 사용되는 북쪽 방향은 국지적인 북쪽이 아닌 ''지도'' 북쪽이다. 두 방향의 차이를 자오선 수렴각이라고 한다.

평면에서 극좌표와 직교 좌표 간의 변환 공식은 다음과 같다.

:\begin{align}

x &= s \cos \alpha\\

y &= s \sin \alpha

\end{align}

역변환은 다음과 같다.

:\begin{align}

s &= \sqrt{x^2 + y^2}\\

\alpha &= \arctan\frac{y}{x}.

\end{align}

6. 측지학적 문제

측지학에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주요 문제가 있다.


  • '''제1 측지 문제'''(직접 또는 순방향 측지 문제): 한 점의 좌표와 다른 점까지의 방위각거리가 주어졌을 때, 다른 점의 좌표를 결정한다.
  • '''제2 측지 문제'''(역 또는 역방향 측지 문제): 두 점의 좌표가 주어졌을 때, 이 두 점을 연결하는 선(직선, 곡선 또는 지오데식)의 방위각과 길이를 결정한다.


평면 기하학에서 두 문제에 대한 해는 간단한 삼각법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지구 표면의 작은 영역에 대해 유효하다. 그러나 구면에서는 해가 훨씬 더 복잡해진다. 예를 들어 역 문제에서, 두 점을 연결하는 대원의 호를 따라 이동할 때 양 끝점에서의 방위각이 다르기 때문이다.

일반적인 해는 고려되는 표면에 대한 지오데식이라고 하며, 지오데식에 대한 미분 방정식은 수치적으로 풀 수 있다. 회전 타원체에서 지오데식은 타원 적분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으로 급수 전개로 평가된다. 빈센티의 공식을 참고.

7. 관측 개념


  • '''연직선''' 또는 '''수직''' : 국지 중력 방향을 나타낸다.
  • '''천정''' : 어떤 지점에서 위쪽으로 연장된 중력 벡터와 천구가 교차하는 점(방향)이다.
  • '''천저''' : 아래쪽으로 연장된 중력 벡터가 (가려진) 천구와 교차하는 반대쪽 점(방향)이다.
  • '''천구의 지평선''' : 어떤 지점에서 중력 벡터에 수직인 평면이다.
  • '''방위각''' : 지평선 평면 내의 방향 각도이다. 일반적으로 북쪽(측지학 및 천문학) 또는 남쪽(프랑스)에서 시계 방향으로 측정된다.
  • '''고도''' : 지평선 위 물체의 각도 높이이다. 천정거리에서 90도를 뺀 값과 같다.
  • '''국지 지구 중심 좌표''' : 방위각(지평선 평면 내의 방향 각도), 고도각(또는 천정각), 거리이다.
  • '''북 천극''' : 지구의 (세차 운동장동) 순간적인 자전축을 북쪽으로 연장하여 천구와 교차하는 지점이다. (남천극도 마찬가지이다.)
  • '''천구의 적도''' : 지구의 적도면과 천구의 (순간적인) 교차점이다.
  • '''자오선 평면''' : 천구의 적도에 수직이고 천극을 포함하는 평면이다.
  • '''국지 자오선''' : 천정과 천극 방향을 포함하는 평면이다.

8. 측정 방법

측지 기준점


일반적인 지리 위치 확인, 또는 간단히 위치 확인은 다양한 기술을 사용하여 지구상의 지점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측지 위치 확인'''은 측지 방법을 사용하여 육지, 바다 또는 우주상의 지점에 대한 정밀한 측지 좌표 집합을 결정한다. 이는 좌표계 내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점 위치 확인''' 또는 '''절대 위치 확인''') 또는 다른 지점을 기준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대 위치 확인'''). 공간 내의 한 지점의 위치는 알려진 위치의 지상 또는 지구 외부 지점("알려진 지점")과 알려지지 않은 위치의 지상 지점("알려지지 않은 지점")을 연결하는 측정값으로부터 계산된다.

전통적으로 측지학자들은 국가 내에서 점 위치 확인을 허용하기 위해 네트워크의 계층 구조를 구축했다. 이 계층 구조에서 가장 높은 것은 삼각 측량 네트워크였으며, 일반적으로 측정 테이프, 코너 프리즘 및 빨간색과 흰색 폴을 사용하여 수집된 지역 매핑 및 측량 측정이 연결되는 트래버스(다각형) 네트워크로 밀집되었다.

오늘날에는 특수 측정(예: 지하 또는 고정밀 엔지니어링)을 제외하고 GPS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고차 네트워크는 정적 GPS를 사용하여 측량하여 지상 지점 간의 벡터를 결정한다.

실시간 동역학 위치 확인(RTK GPS)은 측량 매핑에서 자주 사용된다. 이 측정 기술에서 알려지지 않은 지점은 근처 지상의 알려진 지점에 빠르게 연결될 수 있다.

점 위치 확인의 한 가지 목적은 매핑 측정, 즉 (수평 및 수직) 제어에 대한 알려진 지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국가에 수천 개의 측지적으로 결정된 지점이 있을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국가 매핑 기관에서 문서화한다. 부동산 및 보험에 종사하는 측량사는 이를 사용하여 지역 측정을 연결한다.

상대 중력계


높이 차이와 높이 기준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기준면(수준면)은 평균 해수면으로 알려져 있다. 전통적인 수준기해수면 위의 (실용적인 목적으로 가장 유용한) 높이를 직접 측정한다.

NASA에 의한 의 중력장 변화


중력 측정 장치, 추(왼쪽)와 절대 중력계(오른쪽)


세오돌라이트는 목표 지점에 대한 수평각과 수직각(국부적인 수직선에 대한)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기구이다. 또한 타키미터는 전자적으로 또는 전자 광학적으로 목표 지점까지의 거리를 결정하며, 작동이 고도로 자동화되거나 로봇화되어 있다. 동일한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자유 위치법이다.

일반적으로 지역 상세 측량에는 타키미터가 사용되지만, 각도 프리즘과 강철 테이프를 사용하는 구식 직사각형 기법은 여전히 저렴한 대안이다. 앞서 언급했듯이, 실시간 운동학(RTK) GPS 기술도 신속하고 비교적 정확하다. 수집된 데이터는 태그가 지정되고 지리 정보 시스템(GIS)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기 위해 디지털로 기록된다.

측지 GNSS (가장 일반적으로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 수신기는 지구 중심 좌표계에서 3D 좌표를 직접 생성한다. 그러한 좌표계의 하나는 WGS84이며, 국제 지구 자전 및 기준계 서비스(IERS)의 좌표계도 있다. GNSS 수신기는 대규모 기준 네트워크 측량에 있어 지상 장비를 거의 완전히 대체했다.

지구 자전 불규칙성과 판 구조 운동을 모니터링하고 전 지구적 측지 측량을 위해 초장기선 간섭계(VLBI)를 사용하여 퀘이사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달 레이저 거리 측정(LLR)을 사용하여 달에 있는 프리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고, 위성 레이저 거리 측정(SLR)을 사용하여 인공위성에 있는 프리즘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중력은 중력계를 사용하여 측정하며,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첫째, 자유 낙하(예: 진공관 내 반사 프리즘)의 가속도를 측정하는 것을 기반으로 하는 ''절대 중력계''가 있다. 이들은 수직 지리 공간 제어를 설정하거나 현장에서 사용된다. 둘째, ''상대 중력계''는 스프링 기반이며 더 일반적이다. 이들은 광범위한 지역에 걸친 중력 측량에 사용되어 이러한 지역에 대한 지오이드의 형상을 설정한다. 가장 정확한 상대 중력계는 ''초전도 중력계''로, 지구 표면 중력의 10억분의 1000에 민감하다. 20여 개의 초전도 중력계가 전 세계적으로 지구의 조석, 자전, 내부, 해양 및 대기 하중 연구와 뉴턴의 중력 상수 검증에 사용된다.

미래에는 시간 지연의 특수 상대론적 개념을 광 시계로 측정하여 중력과 고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될 수 있다.

위의 타원체는 준거타원체(지구타원체)라 불리며, 지오이드면에 가장 근사한 타원체이다. 지오이드면과 준거타원체의 차이는 수준측량 및 삼각측량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최근에는 위성측량에 의해 그 정밀도가 높아지고 있다.

지오이드면은 등포텐셜면이므로, 정밀한 중력측정에 의해서도 지오이드면의 높이를 구할 수 있다. 중력의 지역적인 이상에 대해서는, 인공위성 궤도의 분석으로부터 구할 수 있다.

9. 시간적 변화

측지학에서는 시간에 따라 변하는 지표면, 질량체, 물리장 및 동역학 시스템을 연구하기 위해 다양한 기법을 사용한다. 지구 표면의 점들은 다양한 메커니즘으로 인해 위치가 변한다.


  • 판구조론에 따른 대륙판 운동[13]
  • 특히 단층선 근처의 단속적인 지각 운동
  • 조석 및 조석 하중으로 인한 주기적 효과[14]
  • 후빙기 지반 융기 (등자기 조정으로 인한)
  • 대기, 빙권, 지표 수문 및 해양을 포함한 수문학적 변화로 인한 질량 변화
  • 하루 미만의 극 운동[15]
  • 자전 속도 변화[16]
  • 지구 질량 중심(지구 중심) 변화[17]
  • 저수지 건설 또는 석유나 물 추출과 같은 인위적인 움직임


GPS를 이용한 전 지구적 판 구조 운동


초장기선 간섭계(VLBI)의 작동 방식


지구역학은 지구 지각의 변형과 운동, 그리고 지구 전체의 운동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지구의 불규칙한 자전 연구도 지구역학에 포함되기도 한다. 지구역학 연구에는 전 지구 측지 관측 시스템(GGOS[19])에 속한 기지국에 의해 실현되는 지구 고정 좌표계가 필요하다.[18]

전 지구적 규모의 지구역학 현상을 연구하는 기법은 다음과 같다.

  • GPS, 글로나스, 갈릴레오, 베이더우를 이용한 위성 위치 측정
  • 초장기선 간섭계 (VLBI)
  • 위성 레이저 거리 측정 (SLR)[20] 및 달 레이저 거리 측정 (LLR)
  • DORIS
  • 지역 및 국지적 정밀 수준 측량
  • 정밀 타키미터
  • 지상, 공중, 선박 및 우주 기반 중력측정을 이용한 중력 변화 모니터링
  • 해양 표면, 해수면 상승 및 빙상 모니터링 연구를 위한 마이크로파 및 레이저 관측 기반 위성 고도계
  • 위성 영상을 이용한 간섭형 합성 개구 레이더 (InSAR)

NASA 프로젝트 매니저가 우주측지학 프로젝트에 대한 그의 작업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으며, GPS, VLBI, LLR/SLR, DORIS의 네 가지 기본 기술에 대한 개요를 포함합니다.

참조

[1] 서적 Cambridge English Dictionary 2024-06-08
[2] 서적 Geodesy: The Concepts https://shop.elsevie[...] Elsevier 1986-11-01
[3] 서적 What is Geodesy? https://www.iag-aig.[...]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eodesy
[4] 웹사이트 What is geodesy? https://oceanservice[...] US Department of Commerce,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24-06-09
[5] 웹사이트 Geodesy https://c4g.lsu.edu/[...] 2024-06-08
[6] 웹사이트 Geodesy Definition, Characteristics & Branches https://study.com/ac[...] 2024-06-08
[7] 웹사이트 Geodetic Surveyors https://www.onetonli[...] 2020-11-26
[8] 서적 The Routledge Handbook of Mapping and Cartography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24-12-06
[9] 서적 The Dome of Eden: A New Solution to the Problem of Creation and Evolution https://books.google[...] Wipf and Stock Publishers 2024-12-06
[10] 서적 Geometry In Our Three-dimensional World https://books.google[...] World Scientific 2024-12-06
[11] 학술지 Comparison of different methods for estimating the geoid-to-quasi-geoid separation
[12] 기타
[13] 학술지 ITRF2014 plate motion model 2017-06
[14] 학술지 Impact of loading displacements on SLR-derived parameters and on the consistency between GNSS and SLR results https://boris.unibe.[...] 2013-08
[15] 학술지 Sub-daily polar motion from GPS, GLONASS, and Galileo 2021-01
[16] 학술지 System-specific systematic errors in earth rotation parameters derived from GPS, GLONASS, and Galileo 2020-07
[17] 학술지 Geocenter coordinates derived from multi-GNSS: a look into the role of solar radiation pressure modeling 2021-01
[18] 학술지 Impact of network constraining on the terrestrial reference frame realization based on SLR observations to LAGEOS 2019-11
[19] 학술지 Global Geodetic Observing System 2015–2018 2019
[20] 학술지 Laser geodetic satellites: a high-accuracy scientific tool 2019-11
[21] 기타
[22] 웹사이트 国家画像地図局(現 アメリカ国家地球空間情報局)技術報告8350.2 http://earth-info.ng[...]
[23] 기타
[24] 기타
[25] 기타
[26] 웹사이트 測地学 https://hanja.dict.n[...]
[27] 웹사이트 Geodesy http://www.merriam-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