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내막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내막염은 심장 내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세균이나 진균 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성 심내막염과 비감염성 심내막염으로 분류된다. 감염성 심내막염은 심장 판막에 주로 발생하며, 듀크 기준을 통해 진단하고, 항생제 투여 및 심장 수술로 치료한다. 비감염성 심내막염에는 비세균성 혈전성 심내막염과 립만-삭스 심내막염이 있으며, 류마티스열은 심장 판막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심장병 - 관상동맥질환
관상동맥질환은 동맥경화증으로 인해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혀 심장 근육에 혈액 공급이 부족해지는 질환으로, 협심증, 심근경색, 심부전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며 흡연,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비만, 운동 부족, 스트레스 등이 위험 요인이고, 생활 습관 개선, 약물 치료, 경피적 관상동맥 중재술, 관상동맥 우회술 등으로 치료하며 예방을 위해 위험 요인 관리와 건강한 생활 습관 유지가 중요하다. - 심장병 - 심방조동
심방조동은 심장이 빠르거나 불규칙하게 뛰는 부정맥의 일종으로 심계항진, 호흡 곤란, 흉통, 어지럼증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심부전, 뇌졸중 등의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어 심전도 검사로 진단하고 약물, 전기적 심율동전환, 고주파 전극도자 절제술 등으로 치료한다. - 설치류 매개 질병 - 페스트
페스트는 쥐벼룩을 통해 전파되는 예르시니아 페스티스균에 의한 감염병으로, 림프절 부종, 전신 출혈, 폐렴 등 다양한 증상을 보이며, 항생제로 치료 가능하지만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고, 역사적으로 대규모 범유행을 일으켰으며 현재도 일부 지역에서 발생하고 생물무기로 사용될 가능성도 있다. - 설치류 매개 질병 - 살모넬라
살모넬라는 장내세균과에 속하는 그람음성 간균 속으로, 두 종과 2,500개 이상의 혈청형이 존재하며, 오염된 식품 섭취를 통해 식중독 및 다양한 질병을 유발하고, 식품 가열 조리 및 위생 관리, 장티푸스 백신 접종으로 예방이 가능하며, 항생제 내성 문제도 존재한다. - 염증 - 신장염
신장염은 콩팥에 발생한 염증으로, 자가면역질환, 요로감염, 루푸스, 격렬한 운동 등이 원인이 되어 혈뇨, 핍뇨, 요독증, 고혈압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혈액 검사, X레이, 초음파 등으로 진단하고 원인에 따라 치료한다. - 염증 - 신우신염
신우신염은 신장의 신우와 신실질에 발생하는 감염으로, 급성(고열, 배뇨통, 옆구리 통증)과 만성(지속적인 옆구리 통증, 체중 감소)으로 나뉘며, 대장균과 장구균이 주요 원인균이고, 항생제로 치료하며, 요로의 구조적 이상, 당뇨병, 면역 저하 등이 위험 요인이다.
심내막염 | |
---|---|
질병 개요 | |
질병 명칭 | 심내막염 |
진료과 | 심장학, 감염병학 |
증상 및 징후 | |
증상 | (구체적인 증상 정보 필요) |
합병증 | |
합병증 | (구체적인 합병증 정보 필요) |
발병 시기 | |
발병 시기 | (구체적인 발병 시기 정보 필요) |
지속 기간 | |
지속 기간 | (구체적인 지속 기간 정보 필요) |
유형 | |
유형 | (구체적인 유형 정보 필요) |
원인 | |
원인 | (구체적인 원인 정보 필요) |
위험 요인 | |
위험 요인 | (구체적인 위험 요인 정보 필요) |
진단 | |
진단 | (구체적인 진단 방법 정보 필요)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 (구체적인 감별 진단 정보 필요) |
예방 | |
예방 | (구체적인 예방 방법 정보 필요) |
치료 | |
치료 | (구체적인 치료 방법 정보 필요) |
약물 치료 | |
약물 | (구체적인 약물 정보 필요) |
예후 | |
예후 | (구체적인 예후 정보 필요) |
빈도 | |
빈도 | (구체적인 빈도 정보 필요) |
사망률 | |
사망률 | (구체적인 사망률 정보 필요) |
이미지 | |
![]() | |
외부 링크 | |
MedlinePlus | 001098 |
eMedicine | emerg/164 med/671 ped/2511 |
MeSH ID | D004696 |
2. 감염성 심내막염
감염성 심내막염은 판막의 심내막(심장의 내부 표면)에 세균이나 진균 등의 미생물이 감염되어 발생하는 질환이다.[3]
심장 판막은 혈액 공급을 받지 않아 면역 세포가 직접 도달하기 어렵기 때문에, 세균이 부착하여 증식하면 면역 반응이 제대로 일어나지 않는다. 이는 치료에도 어려움을 준다.[12]
류마티스열은 심장 판막 손상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며, 반복적인 염증과 섬유화가 특징이다.[13] 선진국에서는 연쇄상구균 감염에 대한 페니실린 치료로 류마티스열 발생이 감소했지만, 개발도상국이나 고령층에서는 여전히 류마티스열로 인한 심장 판막 질환이 문제가 되고 있다.[14]
감염성 심내막염은 연간 10만 명당 약 5명 정도 발생하며, 발생률은 지역에 따라 다르다.[10] 남성이 여성보다 더 자주 감염되며, 감염자의 약 25%가 사망한다.[3][10] 치료를 받지 않으면 거의 치명적이다.[3]
2. 1. 원인 및 위험 요인
심내막염의 원인은 주로 세균 감염이며, 드물게 진균 감염도 원인이 될 수 있다.[3] 가장 흔한 원인균은 연쇄상구균과 포도상구균이다.[3]심내막염의 위험 요인은 다음과 같다.
심장 판막은 혈액 공급을 받지 못해 면역 반응이 약하며, 세균이 쉽게 부착하고 증식할 수 있다. 판막 손상은 세균 부착 위험을 더욱 높인다.[12] 류마티스열은 심장 판막 손상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반복적인 염증과 섬유화가 특징이다.[13]
2. 2. 증상 및 합병증
심장 심내막의 감염으로 인해 발열, 피부 출혈, 심잡음, 피로감, 빈혈 등이 나타날 수 있다.[3] 합병증으로는 판막 기능 부전, 심부전, 뇌졸중, 신부전 등이 있다.[4][3]2. 3. 진단
감염성 심내막염 진단은 1994년에 처음 기술되고 2000년에 수정된 듀크 기준에 따른다.[5] 임상적 특징과 미생물학적 검사가 감염성 심내막염 진단의 첫 단계이다. 심장 초음파 검사는 감염성 심내막염 진단의 핵심 영상 검사법이며, 영상 검사 또한 중요하다.[5] 2-[18F]플루오로데옥시글루코스 (FDG)를 이용한 컴퓨터 단층 촬영, 자기 공명 영상,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컴퓨터 단층 촬영 (PET/CT)과 같은 대체 영상 검사법도 감염성 심내막염의 진단 및 관리에 점점 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5]2. 4. 치료 및 예방
감염성 심내막염 치료는 혈액 배양 검사를 통해 원인균을 확인하고, 그에 맞는 항생제를 정맥 주사로 투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3] 항생제 선택은 혈액 배양 검사 결과를 기반으로 한다.[3] 경우에 따라 손상된 판막을 복구하거나 교체하는 심장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3][7]치과 시술 후 항생제 사용의 유용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해 왔다.[6] 고위험군 환자에게는 예방이 권장된다.[3] 감염성 심내막염의 고위험군에는 이전의 감염성 심내막염 환자, 수술적 또는 경피적 삽입 인공 판막 또는 심장 판막 성형술 후 환자, 치료받지 않은 선천성 심장 질환(CHD) 및 수술적으로 교정된 선천성 심장 질환 환자가 포함된다.[8][9]
3. 비감염성 심내막염
비감염성 심내막염은 미생물 감염 없이 혈전이나 면역 복합체 등에 의해 심장 내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비세균성 혈전성 심내막염(NBTE)과 립만-삭스 심내막염 등이 여기에 속한다.[2]
3. 1. 종류
비세균성 혈전성 심내막염(NBTE)은 이전에 손상되지 않은 판막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된다.[2] 감염성 심내막염과 달리, NBTE의 증식은 작고 무균이며 판막 가장자리나 첨판을 따라 모이는 경향이 있다.[2] NBTE는 전신 세균 감염이나 임신과 같은 과응고 상태, 정맥 카테터를 가진 환자, 암 환자, 특히 트루소 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는 점액성 선암종 환자에게서 발생할 수 있다.[2] 일반적으로 NBTE는 자체적으로 많은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증식의 일부가 떨어져 나가 심장이나 뇌로 색전증을 일으키거나 세균이 자리 잡을 수 있는 초점이 되어 감염성 심내막염을 일으킬 수 있다.[2]립만-삭스 심내막염은 루푸스 홍반 환자에게서 더 자주 발생하며 면역 복합체의 침착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2] 감염성 심내막염의 증식은 큰 반면, NBTE와 립만-삭스 심내막염은 작은 증식을 포함한다.[2] 립만-삭스 심내막염의 면역 복합체는 염증 반응을 유발하여 NBTE와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NBTE와 달리, 립만-삭스 심내막염은 침착 위치에 대한 선호도가 없는 것으로 보이며 판막의 아랫면이나 심지어 심내막에도 형성될 수 있다.[2]
3. 2. 특징
비세균성 혈전성 심내막염(NBTE)은 이전에 손상되지 않은 판막에서 가장 흔하게 발견된다.[2] 감염성 심내막염과 달리, NBTE의 증식(vegetation)은 작고 무균이며 판막 가장자리나 첨판을 따라 모이는 경향이 있다.[2][12] 또한 감염성 심내막염과 달리, NBTE는 신체에서 염증 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2] NBTE는 전신 세균 감염이나 임신과 같은 과응고 상태에서 보통 발생하지만, 정맥 카테터를 가진 환자에게서도 때때로 나타난다.[2][12] NBTE는 암 환자, 특히 트루소 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는 점액성 선암종 환자에게서도 발생할 수 있다.[2][12] 일반적으로 NBTE는 자체적으로 많은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증식의 일부가 떨어져 나가 심장이나 뇌로 색전증을 일으키거나 세균이 자리 잡을 수 있는 초점이 되어 감염성 심내막염을 일으킬 수 있다.[2][12]다른 형태의 무균 심내막염은 립만-삭스 심내막염이라고 하며, 이 형태는 루푸스 홍반 환자에게서 더 자주 발생하며 면역 복합체의 침착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2][12] NBTE와 마찬가지로, 립만-삭스 심내막염은 작은 증식을 포함하는 반면, 감염성 심내막염은 큰 증식으로 구성된다.[2][12] 이러한 면역 복합체는 염증 반응을 유발하여 NBTE와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NBTE와 달리, 립만-삭스 심내막염은 침착 위치에 대한 선호도가 없는 것으로 보이며 판막의 아랫면이나 심지어 심내막에도 형성될 수 있다.[2][12]
4. 류마티스열과 심내막염 (대한민국의 관점)
심장 판막은 혈액 공급을 받지 않아 백혈구와 같은 면역 세포가 직접 도달하기 어렵다. 따라서 세균이 판막에 부착하여 증식하면 면역 반응이 둔화되고, 약물 치료도 어려워진다.
류마티스열은 전 세계적으로 심장 판막 손상의 주요 원인이었다. 만성 류마티스열은 반복적인 염증과 섬유증 소실을 특징으로 하며, 판막 엽의 비후, 교련부 유합, 건삭의 단소화 및 비후와 같은 해부학적 변화를 일으킨다.[13] 류마티스열은 항생제 투여 중단 후, 특히 최초 발병 후 3~5년 사이에 재발하는 경우가 많다. 판막에 문제가 있는 경우 심장 합병증은 장기적이고 심각해질 수 있다.
연쇄상구균에 의한 인두 및 편도 감염증(Strep throat)에 대한 페니실린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대한민국을 포함한 선진국에서는 류마티스열이 많이 감소하였다. 그러나 과거에는 류마티스열의 불충분한 치료로 인한 심장 판막 질환(승모판 탈출, 재감염에 의한 판막 심내막염, 판막 파열 등)이 문제가 되었다.[14]
2004년부터 2005년 사이, 인도의 한 병원에서는 심내막염 환자 24명 중 4명이 류마티스열로 인한 장기간의 발열과 심각한 승모판 역류를 보였다. 이 중 한 명은 승모판 후첨 탈출증이었다.[15]
참조
[1]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https://archive.org/[...]
McGraw-Hill
2005-05
[2]
서적
Robbins Basic Pathology
Saunders/Elsevier
[3]
웹사이트
Infective Endocarditis - Cardiovascular Disorders
http://www.merckmanu[...]
2017-09
[4]
학술지
Infective Endocarditis in Low- and Middle-Income Countries.
2017-02
[5]
학술지
Infective Endocarditis: A Contemporary Review
2020-05
[6]
학술지
Antibiotic prophylaxis for infective endocardit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eprints.white[...]
2017-06
[7]
학술지
2023 ESC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endocarditis.
2023-10-14
[8]
학술지
2023 ESC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endocarditis.
2023-10-14
[9]
학술지
Factors associated with long-term outcomes in adult congenital heart disease patients with infective endocarditis: a 16-year tertiary single-centre experience.
2023-05-02
[10]
학술지
The Changing Epidemiology of Infective Endocarditis in the Twenty-First Century.
2017-05
[11]
서적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McGraw-Hill
[12]
서적
Robbins Basic Pathology
Saunders/Elsevier
[13]
서적
Robbins and Cotran pathologic basis of disease
http://www.robbinspa[...]
Elsevier Saunders
[14]
웹사이트
Rheumatic fever
http://www.nlm.nih.g[...]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3-01-27
[15]
학술지
Can we diagnose Infective endocarditis without vegetation ?
https://drsvenkatesa[...]
2007-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