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심흥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흥선은 1925년 개성 출생으로, 육군 준장, 육군 대장, 합참의장, 총무처 장관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군인, 정치인, 외교관이다. 그는 1946년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5.16 군사 정변에 참여했으며, 이후 공보부 장관, 육군참모차장, 육군사관학교 교장 등을 거쳤다. 1970년 육군 대장으로 진급 후 합참의장을 역임하고 예편한 뒤 스페인 대사, 총무처 장관을 지냈다. 국군의 현대화와 향토 방위의 기틀을 마련한 주역으로 평가받으며, 과천 제2정부 종합 청사 신축을 주도했다. 1978년 폐암으로 사망하여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페인 주재 대한민국 대사 - 조태열
    조태열은 서울대 법대와 옥스퍼드 대학을 졸업하고 외무고시 합격 후 외교관으로 활동하며 WTO 분쟁패널 의장, 외교부 제2차관, 주 유엔 대사 등을 역임하고 2024년 외교부 장관으로 임명되었으며, G7 가입 추진 및 한중 관계 개선 등 활발한 외교 활동을 펼치고 있는 시인 조지훈의 아들이자 독립운동가 조헌영의 손자이다.
  • 대한민국의 공보부 장관 - 홍종철 (1924년)
    홍종철은 한국 전쟁에 참전한 군인 출신으로, 5·16 군사 정변 이후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 겸 문교사회위원장, 박정희 정부의 대통령경호실장, 문교부 차관, 공보부 장관, 문화공보부 장관, 문교부 장관을 역임한 정무직 공무원이다.
  • 대한민국의 공보부 장관 - 김동성 (1925년)
    김동성은 대한민국의 외교관, 정치인, 교육자로 서울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국방부 장관 특별보좌관, 서울대학교 교수, 공보부 장관, 주 아르헨티나 대사, 제9대 국회의원, 한국음악협회 회장, KBS교향악단 총감독 등을 역임했다.
  • 대한민국의 총무처 장관 - 허정
    허정은 일제강점기 임시정부에서 활동하고 해방 후 제헌 국회의원, 교통부 장관, 사회부 장관, 서울특별시장 등을 역임한 대한민국의 정치인이자 독립운동가로, 4·19 혁명 후 대통령 권한대행 및 국무총리를 지내며 제2공화국 수립에 기여했다.
  • 대한민국의 총무처 장관 - 이상배 (1939년)
    이상배는 행정고시 합격 후 울진군수, 안동시장, 경상북도지사, 환경청장, 서울특별시장 등 주요 행정 관료를 역임하고 제15·16·17대 국회의원을 지낸 정치인이다.
심흥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심흥선
한자 표기沈興善
출생일1925년 1월 18일
사망일1978년 9월 19일
출생지경기도 개성
사망지서울특별시 중구 명동 성모병원
묘소국립서울현충원 장군 제2묘역
거주지서울특별시 용산구 동부이촌동
국적대한민국
배우자이춘길(李春吉)
자녀1남 3녀
군 경력
소속 조직일본 육군
대한민국 육군
최종 계급소위 (일본 육군)
대장 (한국 육군)
학력
학력대한민국 국방대학원 행정학 석사 수료
주요 경력
경력육군 포병학교 교장
육군 병기기지 사령관
육군 헌병감
초대 공보부 장관
초대 대간첩대책본부 본부장
육군참모차장
제21대 육군사관학교 교장
제12대 합참의장
스페인 대사
제15대 총무처 장관
공직 경력
제1대 공보부 장관임기: 1961년 5월 22일 ~ 1961년 7월 6일
대통령: 윤보선
총리: 장도영 내각수반, 송요찬 내각수반
제12대 합참의장임기: 1970년 8월 6일 ~ 1972년 6월 2일
대통령: 박정희
총리: 정일권 국무총리, 백두진 국무총리, 김종필 국무총리 서리, 김종필 국무총리
장관: 정래혁 국방부 장관, 유재흥 국방부 장관
제15대 총무처 장관임기: 1973년 12월 3일 ~ 1977년 12월 19일
대통령: 박정희
총리: 김종필 국무총리, 최규하 국무총리 서리, 최규하 국무총리
정당무소속
서훈
서훈1등 보국 훈장

2. 생애

1946년 12월, 경비사관학교 2기로 졸업하고 소위로 임관했다(군번 10197).[3] 남조선국방경비대 사령관 송호성의 전속 부관이 되었으나, 교통사고를 일으켜 제주도 제9연대 인사과장으로 좌천되었다.[2][4] 제주 4·3 사건 발생 직후인 4월 10일에 사령부로 소환되었다.[4]

1950년 6월, 미국 포병학교를 졸업하고[5] 같은 해 7월 귀국했다. 1959년에는 육군본부 군수참모부 차장을, 1962년에는 육군본부 관리참모부 차장을 역임하였다.

1961년 5월 20일부터 7월 6일까지 초대 공보부 장관을 지냈다.[16] 1972년 8월 23일스페인 대사관 대사에 임명되었다.[26] 1973년 12월 3일부터 1977년 12월 19일까지 제15대 총무처 장관을 역임했다.[11][27]

2. 1. 초기 생애 및 학력

1925년 경기도 개성에서 태어났다. 이세호와 동기였다.[2] 학도병으로 일본군 소위를 역임했다. 송도중학교를 졸업하였다.

학력
1942년 경기도 개성 송도 고등학교 졸업[12]
1946년 제2기 육군사관학교 졸업[11]
1947년 조선경비보병학교 졸업
1948년 통위부 보병학교 졸업
1949년 육군보병학교 졸업
1950년 육군포병학교 졸업
1954년 ~ 1955년 미국육군참모대학교 학사[11]
1959년 국방대학원 수료[8]


2. 2. 군 경력

1952년 육군 포병학교 교장을 역임했다.[12] 1954년 4월, 제1야전군 포병부장이 되었다. 1955년 미국 육군지휘참모대학교를 졸업했다.

1956년부터 1958년까지 육군 제9사단장(육군 준장)을 역임했다.[11] 1958년부터 1960년 5월 29일까지 육군 병기기지 사령관(육군 준장)을,[13] 1960년 5월 30일에는 육군 헌병감(육군 준장)을 역임했다.[13]

1961년 1월 21일 육군 소장으로 승진했다.[14] 1961년 5월 16일 박정희와 함께 5.16 군사 정변을 일으켰다.[15] 1961년 7월 육군참모본부 관리참모부장(육군 소장)을 역임했다.[17]

1965년 2월 26일 제1군단장(육군 소장),[18] 1966년 제3군단장(육군 소장)을 역임했다.[19] 1967년 1월 육군 중장으로 승진하여[20] 1967년 1월 7일 합동참모본부 본부장(육군 중장)을 역임했다.[21] 1968년 1월 초대 대간첩대책본부 본부장(육군 중장)을 겸임했고,[22][23][12] 1968년 8월 7일 육군참모차장(육군 중장)을 역임했다.[24] 1969년 5월 3일부터 1970년 7월 27일까지 제21대 육군사관학교 교장(육군 중장)을 역임했다.[25]

1970년 8월 6일 육군 대장으로 승진함과 동시에 제12대 합참의장에 임명되었다.[8][12] 1972년 예편했다.

2. 3. 정치 경력

2. 4. 사망

1978년 9월 19일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 성모병원에서 지병인 폐암으로 사망하였다.[28][9] 9월 21일 동작구 동작동 국립묘지 장군 제2묘역에 안장되었다.[28]

3. 평가 및 비판

심흥선은 국군의 현대화와 향토 방위의 기틀을 마련하는데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12] 총무처 장관 재임 시절 과천 제2정부 종합 청사 신축을 주도하고 총괄 감독하였다.[30][31][32][33]

3. 1. 긍정적 평가

3. 2. 비판적 평가

심흥선은 국군의 현대화와 향토 방위의 기틀을 마련한 주역으로 평가받는다.[12] 총무처 장관 재임 시절에는 과천 제2정부 종합 청사 신축을 주도하고 총괄 감독하였다.[30][31][32][33]

4. 상훈

참조

[1] 웹사이트 (38)청송 심씨(靑松沈氏)-212,717명 http://www.seoulecon[...] 2022-08-16
[2] 웹사이트 打ち明ける話- 李世鎬 元陸軍参謀総長 "全斗煥、正規陸士出身に昇進・補職の恩恵を求める" http://m.monthly.cho[...] 月刊朝鮮 2024-11-01
[3] 서적 朝鮮戦争/韓国編 上巻
[4] 뉴스 済州4・3事件と第11連隊長 故朴珍景大領 http://www.jejukyeon[...] 2024-11-01
[5] 서적 朝鮮戦争/韓国編 中巻
[6] 웹사이트 Shim Heung Sun https://valor.milita[...] Military Times 2019-06-22
[7] 기타 심흥선 대장 묘비문 참조
[8] 뉴스 동아일보 1970-07-04
[9] 뉴스 경향신문 1978-09-19
[10] 뉴스 경향신문 1977-12-21
[11] 뉴스 경향신문 1973-12-03
[12] 뉴스 경향신문 1970-07-04
[13] 뉴스 동아일보 1960-05-31
[14] 뉴스 경향신문 1961-01-22
[15] 뉴스 경향신문 1965-05-15
[16] 뉴스 경향신문 1961-05-21
[17] 뉴스 동아일보 1964-08-27
[18] 뉴스 경향신문 1965-02-26
[19] 뉴스 동아일보 1966-11-16
[20] 뉴스 경향신문 1966-11-16
[21] 뉴스 경향신문 1967-01-07
[22] 뉴스 매일경제 1968-02-01
[23] 뉴스 경향신문 1968-01-24
[24] 뉴스 경향신문 1968-08-07
[25] 뉴스 경향신문 1969-04-17
[26] 뉴스 경향신문 1972-08-23
[27] 뉴스 동아일보 1977-12-20
[28] 뉴스 매일경제 1978-09-20
[29] 뉴스 경향신문 1970-09-26
[30] 뉴스 매일경제 1977-09-20
[31] 뉴스 동아일보 1977-09-20
[32] 뉴스 경향신문 1977-09-20
[33] 뉴스 경향신문 1978-01-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