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팔진법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십팔진법은 18을 밑으로 하는 위치 기수법으로, 0부터 H까지 18개의 숫자를 사용한다. 십진법과 달리 9+9=10, 9x2=10으로 계산하며, 3, 6, 9의 배수 연산과 1/2, 1/3, 1/9의 분수 계산에 용이하다. 십팔진법은 육진법, 십이진법과 유사한 장점을 가지며, 20까지의 역수는 B를 제외하고 순환절이 4자리 이하로 짧다. 
십팔진법은 18을 밑으로 하는 위치 기수법이다. 십진법에서 "9 + 1 = 10", "5 × 2 = 10"으로 계산하는 것과 달리, 십팔진법에서는 "9 + 9 = 10", "9 × 2 = 10"으로 계산한다. 십팔진법은 보통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G, H의 18개 숫자를 사용한다. 오른쪽 끝 또는 소수점이 1의 자릿수를 나타내며, 왼쪽으로 한 자리씩 옮겨갈 때마다 18배, 오른쪽으로 한 자리씩 옮겨갈 때마다 1/18이 된다. 예를 들어 (11)18에서 왼쪽의 "1"은 십팔을, 오른쪽의 "1"은 일을 나타내어 합쳐서 십구를 나타낸다. (50)18은 십진법으로 90 (5×181)을, (100)18은 324 (1×182)를 의미한다. 십팔진수는 괄호와 아래첨자 18로 표기한다(예: (10)18).
2. 기수법
십팔진법은 약수에 9가 포함되어 3개, 6개, 9개씩 묶어 세거나 1/3, 1/6, 1/9 등 3의 배수로 나누기가 쉽다. 십팔진수 4자리는 십진수 5자리(10000(18) = 104976(10))와 같고, 십팔진수 5자리는 육진법 8자리와 같다.
2. 1. 정수의 예
| 진법 | 36 | 64 | 243 | 729 | 1000 | 1620 | 2000 | 5832 | 6561 | 10000 | 46656 | 62113 | 104976 | 297432 | 
|---|---|---|---|---|---|---|---|---|---|---|---|---|---|---|
| 육진법 | 100 | 144 | 1000 | 1000000 | ||||||||||
| 구진법 | 1000 | 10000 | ||||||||||||
| 십진법 | 36 | 64 | 243 | 729 | 1000 | 1620 | 2000 | 5832 | 6561 | 10000 | 46656 | 62113 | 104976 | 297432 | 
| 십이진법 | 100 | |||||||||||||
| 십육진법 | 100 | |||||||||||||
| 십팔진법 | 20 | 3A | 249 | 31A | 500 | 632 | 1000 | 1249 | 1CFA | 8000 | ABCD | 10000 | 2F000 | 
- 18 = 십진법 26 (1×18 + 8)
- 20 = 육진법 100 = 십진법 36 (2×18)
- 2D = 십진법 49 (2×18 + 13)
- 3A = 육진법 144 = 십진법 64 (3×18 + 10)
- 49 = 십진법 81 (4×18 + 9)
- 5A = 십진법 100 (5×18 + 10)
- 80 = 십이진법 100 = 십진법 144 (8×18)
- 90 = 십진법 162 (9×18)
- C6 = 십진법 222 (12×18 + 2)
- D9 = 십진법 243 (13×18 + 9)
- E4 = 십육진법 100 = 십진법 256 (14×18 + 4)
- 100 = 십진법 324 (1×182)
- 249 = 구진법 1000 = 십진법 729 (2×182 + 4×181 + 9)
- 31A = 십진법 1000 (3×182 + 1×181 + 10)
- 500 = 십진법 1620 (5×182)
- 632 = 십진법 2000 (6×182 + 3×181 + 2)
- E5F = 십진법 4713 (14×182 + 5×181 + 15)
- 1000 = 십진법 5832 (1×183)
- 1249 = 구진법 10000 = 십진법 6561 (1×183 + 2×182 + 4×181 + 9)
- 1CFA = 십진법 10000 (1×183 + 12×182 + 15×181 + 10)
- 8000 = 육진법 1,000,000 = 십진법 46656 (8×183)
- ABCD = 십진법 62113 (10×183 + 11×182 + 12×181 + 13)
- 10000 = 십진법 104976 (1×184)
- 2F000 = 십진법 297432 (2×184 + 15×183)
2. 2. 사칙 연산의 예
"9+9 = 10", "9×2 = 10"으로 계산하는 방법이 십팔진법이다. 십진법의 18은 십팔진법에서 10이 된다. 십팔진법은 약수에 9가 포함되어 있어서 3개씩, 6개씩, 9개씩 묶어서 세거나, 1/3, 1/6, 1/9 등 3의 배수로 나누는 것이 매우 쉽다.십팔진수 4자리는 십진수 5자리(10000(18) = 104976(10) = 2130000(6))에 해당하고, 십팔진수 5자리는 육진수 8자리(100000(18) = 104300000(6) = 1889568(10))에 해당한다.
십팔진법 사칙연산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
| 십진법 | 십팔진법 | 
|---|---|
| 81 + 19 = 100 | 49 + 11 = 5A | 
| 2000 - 56 = 1944 | 632 - 32 = 600 | 
| 4 × 9 = 36 | 4 × 9 = 20 | 
| 99 × 81 = 8019 | 59 × 49 = 16D9 | 
| 360 ÷ 9 = 40 | 120 ÷ 9 = 24 | 
| 1620 ÷ 6 = 270 | 500 ÷ 6 = F0 | 
십팔진법은 9+9 = 10, 9×2 = 10으로 계산하는 방법이다. 십진법의 18은 십팔진법으로 10이 된다. 십팔진법은 약수에 9가 포함되어 있어 3의 배수로 나누거나 세기 편리하다는 특징이 있다.
3. 가분성
십팔은 소인수분해하면 2 × 32이므로, "세육" 또는 "이구"라고 할 수 있다. 18의 약수는 2, 3, 6, 9이므로, 1/2, 1/3, 1/9이 나누어떨어진다는 점에서 육진법 및 십이진법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특히 십팔진법에서는 9로 나누는 것이 한 자리에서 가능하다.
1/4 (2-2)의 소수는 육진법(분자 32)과 십진법(분자 52)과 달리 분자가 34이다. 십팔진법에서 단일 자릿수 소수의 순환절은 짧은 편이다. 예를 들어 1/B은 순환절이 십 자리이고, 2, 3, 5, 7은 2승까지 모두 순환절이 4자리 이하이다.
1000 (십진법 5832)의 바로 앞 수인 HHH는 73의 배수이며, 10000 (십진법 104976)의 바로 앞 수인 HHHH는 52, D, H, 11의 배수이다. 12 (이십)까지의 역수는 B를 제외하고 순환절이 4자리 이하로 줄어든다. 백(십진법 100, 십팔진법 5A) 이하의 정사각 수의 역수는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소수도 모든 순환절은 4자리 이하이다. 5-3 (십팔진법 1/6H)는 순환절이 이십 자리이다.
숫자가 증가하는 속도는 십팔진수 4자리가 십진수 5자리에 해당하고(10000(18) = 104976(10)), 십팔진수 5자리가 육진수 8자리에 해당한다(100000(18) = 104300000(6)).
3. 1. 주요 분수
| valign="top"| | valign="top"| | valign="top"| | 
; 20 (육진법 100(6) = 십진법 36)까지의 주요 단위 분수
| 분수 | 십팔진법 | 육진법 | 십이진법 | 십진법 | 이십진법 | 
|---|---|---|---|---|---|
| 1/2 | 0.9 | 0.3 | 0.6 | 0.5 | 0.A | 
| 1/3 | 0.6 | 0.2 | 0.4 | 0.3333… | 0.6D6D… | 
| 1/4 | 0.49 | 0.13 | 0.3 | 0.25 | 0.5 | 
| 1/5 | 0.3AE7… | 0.1111… | 0.2497… | 0.2 | 0.4 | 
| 1/6 | 0.3 | 0.1 | 0.2 | 0.16666… | 0.36D6D… | 
| 1/7 | 0.2A5… | colspan="4" | | |||
| 1/8 | 0.249 | 0.043 | 0.16 | 0.125 | 0.2A | 
| 1/9 | 0.2 | 0.04 | 0.14 | 0.1111… | 0.248HFB… | 
| 1/A | 0.1E73A… | 0.03333… | 0.12497… | 0.1 | 0.2 | 
| 1/B | 0.1B834G69ED… | colspan="4" | | |||
| 1/C | 0.19 | 0.03 | 0.1 | 0.08333… | 0.1D6D6… | 
| 1/D | 0.16GB… | colspan="4" | | |||
| 1/E | 0.152A… | colspan="4" | | |||
| 1/F | 0.13AE7… | colspan="4" | | |||
| 1/G | 0.1249 | 0.0213 | 0.09 | 0.0625 | 0.15 | 
| 1/H | 0.1111… | colspan="4" | | |||
| 1/10 | 0.1 | 0.02 | 0.08 | 0.05555… | 0.1248HFB… | 
| 1/11 | 0.0H0H… | colspan="4" | | |||
| 1/12 | 0.0G3AE7… | 0.01444… | 0.07249… | 0.05 | 0.1 | 
| 1/16 | 0.0D9 | 0.013 | 0.06 | colspan="2" | | |
| 1/17 | 0.0CH5… | 0.01235… | 0.04 | 0.0G | |
| 1/19 | 0.0C | 0.012 | 0.054 | 0.037… | |
| 1/1E | 0.0A249 | 0.01043 | 0.046 | colspan="2" | | |
| 1/20 | 0.09 | 0.01 | 0.04 | 0.02777… | 
3. 2. 20에서 100까지의 분수
20(육진법 100, 십진법 36)에서 100까지의 분수는 다음과 같다.| 분수 | 십팔진법 | 육진법 | 십이진법 | 십진법 | 
|---|---|---|---|---|
| 1/2C | 0.06D9 | 0.0043 | 0.03 | - | 
| 1/2D | 0.06B… | 1/121 | - | 1/49 | 
| 1/30 | 0.06 | 0.004 | 0.028 | 1/54 | 
| 1/3A | 0.051249 | 0.003213 | 0.023 | 1/64 | 
| 1/40 | 0.049 | 0.003 | 0.02 | 1/72 | 
| 1/49 | 0.04 | 0.0024 | 0.0194 | 0.012345679… (1/81) | 
| 1/56 | 0.036D9 | 0.00213 | 0.016 | 1/96 | 
| 1/5A | 0.0345DC… | 0.0020543… | - | 0.01 (1/100) | 
| 1/60 | 0.03 | 0.002 | 0.014 | 1/108 | 
| 1/6H | 0.02ABE9E4AGHF76383D71… | - | - | 0.008 (1/125) | 
| 1/72 | 0.029A249 | 0.0014043 | 0.0116 | 1/128 | 
| 1/80 | 0.0249 | 0.0013 | 0.01 | 1/144 | 
| 1/90 | 0.02 | 0.0012 | 0.00A8 | 1/162 | 
| 1/AC | 0.01C6D9 | 0.001043 | 0.009 | 1/192 | 
| 1/C0 | 0.019 | 0.001 | 0.008 | 1/216 | 
| 1/D9 | 0.016 | 0.00052 | 0.00714 | 1/243 | 
| 1/E4 | 0.014E1249 | 0.00050213 | 0.0069 | 1/256 | 
| 1/G0 | 0.01249 | 0.00043 | 0.006 | 1/288 | 
| 1/100 | 0.01 | 0.0004 | 0.0054 | 1/324 | 
3. 3. 100 이상의 분수
| 십팔진법 | 육진법 | 십이진법 | 십진법 | 
| 1/160 = 0.00D9 | 0.0004 | 0.0054 | 1/432 | 
| 1/190 = 0.00C | 0.00024 | 0.00368 | 1/486 | 
| 1/249 = 0.008 | 0.000144 | 0.002454 | 1/729 | 
| 1/490 = 0.004 | 0.000052 | 0.001228 | 1/1458 | 
| 1/560 = 0.0036D9 | 0.000043 | 0.001 | 1/1728 | 
| 1/6D9 = 0.002C | 0.0000332 | 0.0009594 | 1/2187 | 
| 1/1000 = 0.001 | 0.000012 | 0.000368 | 1/5832 | 
| 1/1249 = 0.000G | 0.00001104 | 0.00031B14 | 1/6561 | 
4. 성질
| 7의 거듭제곱 | 십진법 | 십팔진법 | 
|---|---|---|
| 7³ | 343 | 111 | 
| 7⁴ | 2401 | 777 | 
| 7⁵ | 16807 | 5555 | 
| 7⁶ | 117649 | 33333 | 
| 7⁷ | 823543 | 111111 | 
| 7⁸ | 5764801 | 777777 | 
| 7⁹ | 40353607 | 5555555 | 
| 7¹⁰ | 282475249 | 33333333 | 
                        
7의 거듭제곱 중 일부는 십진법과 십팔진법에서 모두 회문수이다.
십팔진법에서 레퓨닛 소수는 R2, R19이다. 다음 레퓨닛 소수는 R25667이며, 확률적 소수이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