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간은 여호수아기에 등장하는 인물로, 여리고 성을 점령한 후 하나님의 명령을 어기고 전리품을 훔친 죄로 인해 처벌받았다. 아간은 여리고에서 금 덩이, 은, 바빌론 겉옷을 약탈했고, 이로 인해 이스라엘 백성은 아이 성 전투에서 패배하고 약 36명이 죽는 집단 처벌을 받았다. 제비뽑기를 통해 아간이 범인으로 지목되었고, 그는 자백한 후 가족과 소유물과 함께 아골 골짜기에서 돌에 맞아 죽고 불태워졌다. 아간 이야기는 아골 골짜기의 어원을 설명하는 어원 신화로 해석되기도 하며, 문헌 비평가들은 이 이야기의 기록 시기와 출처에 대한 논쟁을 제기한다. 랍비 문헌에서는 아간의 처벌과 회개에 대한 다양한 해석이 제시되며, 죄의 결과, 하나님의 공의, 회개의 중요성 등 신학적 의미를 부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투석형된 사람 - 야고보 (예수의 형제)
    야고보 (예수의 형제)는 예루살렘 교회의 지도자이자 신약성서 야고보서의 저자로 여겨지는 인물로, 의로운 야고보라고도 불리며 요세푸스의 유대 고대사에 따르면 아나누스 벤 아나누스의 명령으로 돌에 맞아 죽었다고 기록되어 있고, 예수와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초기 기독교 외경에서도 중요한 인물로 등장한다.
  • 투석형된 사람 -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
    페트로니우스 막시무스는 서로마 제국의 고위 관료로 경력을 쌓아 로마의 도시 장관과 이탈리아의 프라이토리아 총독을 역임했고, 발렌티니아누스 3세를 암살하고 황위에 올랐으나 75일 만에 살해당했다.
  • 여호수아기 - 라합
    라합은 성경에 등장하는 여리고의 여인으로, 이스라엘 정탐꾼을 숨겨주고 가족과 함께 생명을 구원받았으며, 예수의 조상 중 한 명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 여호수아기 - 데라
    데라는 성경에 등장하는 인물로 아브라함의 아버지이며, 갈대아 우르를 떠나 하란에 머물다 205세에 사망했고, 종교적 전통에 따라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 유다 지파 - 다윗
    이스라엘의 2대 왕 다윗은 목동 출신으로 골리앗을 물리치고 이스라엘을 통일하여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종교 및 문화 발전에 기여했지만 밧세바와의 죄와 아들 반란 등 어두운 면도 존재하며, 그의 생애는 여러 종교에서 다양하게 해석되고 역사적 논쟁도 있다.
  • 유다 지파 - 유다의 사자
    유다의 사자는 성경 속 유다 지파를 상징하며 유대교, 기독교, 에티오피아 왕실, 라스타파리 운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힘, 왕권, 주권을 나타내는 중요한 상징으로 사용된다.
아간
성경 인물 정보
이름아간
다른 이름아갈, 아찬
아버지갈미
부족유다 지파
관련된 장여호수아 7
상세 정보
헤렘 규칙을 어기고 전리품을 훔침
처벌돌로 쳐 죽임 (투석형)
비고그의 죄로 인해 이스라엘 백성이 아이 성 전투에서 패배함

2. 여호수아기의 기록

여호수아기 7장에 따르면, עכן|아간he은 여리고 전투에서 얻은 전리품 중 일부를 훔쳐 여호수아의 지시를 어겼다. 여호수아는 "은과 금과 놋과 철의 그릇은 다 여호와께 구별될 것이니 여호와의 곳간에 들일지니라"라고 지시했지만, 아간은 금 덩이와 은, "고운 바빌론 겉옷"을 약탈했다.

이 행위로 인해 이스라엘 백성은 하느님으로부터 집단 처벌을 받았다. 아간과 그의 가족, 가축들은 돌에 맞아 죽은 뒤 불태워졌고, 그 위에 돌무더기가 쌓였다. 이스라엘 백성은 제비뽑기(성스러운 제비뽑기 우림과 둠밈)[1]를 사용하여 아간이 하느님의 지시를 어겼음을 확인했다.

2. 1. 아이성 전투 패배

עכן|아간he여호수아기 7장에 따르면, 아이성 전투에서 이스라엘 백성이 패배한 원인을 제공한 인물이다. 그는 여리고 전투에서 얻은 전리품 중 일부를 훔치는 죄를 지었다. 여호수아는 "은과 금과 놋과 철의 그릇은 다 여호와께 구별될 것이니 여호와의 곳간에 들일지니라"라고 지시했지만, 아간은 이 지시를 어기고 금 덩이와 은, "고운 바빌론 겉옷"을 약탈했다.[1]

이러한 아간의 행동으로 인해 이스라엘 백성은 하느님으로부터 집단 처벌을 받았고, 아이성 전투에서 패배하여 약 36명의 이스라엘 백성이 죽었다. 이스라엘 백성은 제비뽑기를 통해 아간을 범인으로 지목했고, 아간과 그의 자녀, 가축들은 돌에 맞아 죽었다. 그들의 유해는 불태워졌고, 그 위에 돌무더기가 쌓였다. 이후 여호와는 이스라엘을 향한 분노를 거두었다.

2. 2. 제비뽑기와 처벌

여호수아 시대에 이스라엘 백성은 아이성 전투에서 패배했다. 이에 여호수아가 하느님께 기도하자, 하느님은 이스라엘 백성 중 아간이 여리고 성 점령에서 얻은 전리품을 훔치는 죄를 지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여호수아는 제비뽑기(성스러운 제비뽑기 우림과 둠밈)[1]를 통해 아간을 찾아냈고, 아간은 여호수아의 지시를 어기고 금 덩이와 은, "고운 바빌론 겉옷"을 약탈했다고 자백했다.

여호수아기는 이 행위로 인해 이스라엘 백성이 하느님으로부터 집단 처벌을 받았고, 아이성 정복 첫 시도에서 실패하여 약 36명의 이스라엘 백성이 죽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아간과 그의 자녀, 가축들은 돌에 맞아 죽었고, 그들의 유해는 불태워졌으며 그 위에 돌무더기가 쌓였다. 이후 여호와는 이스라엘을 향한 분노를 거두었다.

3. 해석

여호수아기에서는 여리고와 아이성 사이에 있는 아간이 형벌을 받은 장소가 그를 기념하여 아골 골짜기로 알려지게 되었다고 말한다. 이 이야기는 아골 골짜기를 필연적으로 건너는 지점에서 '아골'의 민간어원을 제공하는 어원 신화로도 해석된다.[2][3]

그러나 본문에서 아간이 훔친 옷을 바빌론(시날에서)의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스라엘의 침공 시기는 일반적으로 기원전 15세기 또는 12세기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기원전 1595년에서 기원전 627년 사이에 바빌론은 외국의 지배를 받았다. 이러한 이유로 몇몇 문헌 학자들은 아골 이야기의 이 부분이 기원전 7세기 또는 그 이후에 기록되었다고 믿는다.

아골 이야기가 실제로 일어난 일에 대한 정확한 역사적 기록인지, 아니면 단순한 어원 신화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또한, 이야기의 작성 시기에 대해서도 논란이 있는데, 일부 학자들은 이 이야기가 기원전 7세기 또는 그 이후에 작성되었다고 주장한다.

문헌 비평가들은 아골 이야기가 두 개의 이전 원본 텍스트에서 짜깁기되었을 수 있다고 믿는다. 여호수아기 7장 25절의 첫 부분에 나오는 "온 이스라엘이 '''그'''를 돌로 쳤다"라는 구절은 "그들을 불에 태우고 돌로 쳤다"라는 구절의 끝 부분과는 다른 스타일과 전통을 보여준다.[1] 반복되는 표현, "그"에서 "그들"로의 전환, 그리고 히브리어 동사 "돌로 치다"의 전환은 이 이야기가 두 개의 다른 출처에서 나온 혼합물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1][3]

3. 1. 어원 신화

여호수아기에서는 여리고와 아이성 사이에 있는 아간이 형벌을 받은 장소가 그를 기념하여 아골 골짜기로 알려지게 되었다고 말한다. 이 이야기는 아골 골짜기를 필연적으로 건너는 지점에서 '아골'의 민간어원을 제공하는 어원 신화로도 해석된다.[2][3]

그러나 주목해야 할 한 가지 항목은 본문에서 아간이 훔친 옷을 바빌론의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는 것이다. (시날에서) 이스라엘의 침공 시기는 일반적으로 기원전 15세기 또는 12세기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기원전 1595년에서 기원전 627년 사이에 바빌론은 외국의 지배를 받았다. 이러한 이유로 몇몇 문헌 학자들은 아골 이야기의 이 부분이 기원전 7세기 또는 그 이후에 기록되었다고 믿는다.

문헌 비평가들은 아골 이야기가 두 개의 이전 원본 텍스트에서 짜깁기되었을 수 있다고 믿는다. 여호수아 7장 25절의 첫 부분에 나오는 "온 이스라엘이 '''그'''를 돌로 쳤다"라는 구절은 "그들을 불에 태우고 돌로 쳤다"라는 구절의 끝 부분과는 다른 스타일과 전통을 보여준다.[1] 반복되는 표현, "그"에서 "그들"로의 전환, 그리고 히브리어 동사 "돌로 치다"의 전환은 이 이야기가 두 개의 다른 출처에서 나온 혼합물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1][3]

3. 2. 역사적 배경 논란

여호수아기에서는 여리고와 아이성 사이에 있는 아간이 형벌을 받은 장소가 그를 기념하여 아골 골짜기로 알려지게 되었다고 말한다. 이 이야기는 아골 골짜기를 필연적으로 건너는 지점에서 '아골'의 민간 어원을 제공하는 병인학적 신화로도 해석된다.[2][3]

하지만 주목해야 할 한 가지 항목은 본문에서 아간이 훔친 옷을 바빌론(시날에서)의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스라엘의 침공 시기는 일반적으로 기원전 15세기 또는 12세기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기원전 1595년에서 기원전 627년 사이에 바빌론은 외국의 지배를 받았다. 이러한 이유로 몇몇 문헌 학자들은 아골 이야기의 이 부분이 기원전 7세기 또는 그 이후에 기록되었다고 믿는다.

여호수아기 7장의 기록에 따르면, 아간은 여호수아가 "은과 금과 놋과 철의 그릇은 다 여호와께 구별될 것이니 여호와의 곳간에 들일지니라"는 지시를 어기고 여리고에서 금 덩이와 은, "고운 바빌론 겉옷"을 약탈했다. 여호수아기는 이 행위의 결과로 이스라엘 백성이 하느님으로부터 집단 처벌을 받았다고 주장하며, 이로 인해 그들은 아이를 정복하려는 첫 번째 시도에서 실패하여 약 36명의 이스라엘 백성이 죽었다고 한다. 이스라엘 백성은 제비뽑기(성스러운 제비뽑기 우림과 둠밈)[1]를 사용하여 누구를 탓해야 하는지 결정했고, 아간을 지목한 후 그와 그의 자녀, 가축들을 돌로 쳐 죽였다. 본문에 따르면, 그들의 유해는 이스라엘 백성에 의해 불태워졌고, 그 위에 돌무더기가 쌓였다. 이후 여호와는 이스라엘을 향한 분노를 거두셨다.

아간에 대한 이 처벌의 장소는 여리고와 아이 사이에 위치하며, 그를 기려 ''아골 골짜기''로 알려지게 되었다.[2][3]

그러나 아골 이야기가 전체적으로 이 시기에 쓰여졌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문헌 비평가들은 아골 이야기가 두 개의 이전 원본 텍스트에서 짜깁기되었을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여호수아 7장 25절의 첫 부분에 나오는 "온 이스라엘이 '''그'''를 돌로 쳤다"라는 구절은 "그들을 불에 태우고 돌로 쳤다"라는 구절의 끝 부분과는 다른 스타일과 전통을 보여준다.[1] 반복되는 표현, "그"에서 "그들"로의 전환, 그리고 히브리어 동사 "돌로 치다"의 전환은 이 이야기가 두 개의 다른 출처에서 나온 혼합물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1][3]

3. 3. 랍비 문헌의 해석

여호수아기는 아간이 형벌을 받은 장소가 그를 기념하여 아골 골짜기로 알려지게 되었다고 말한다. 이 이야기는 아골 골짜기를 반드시 건너야 하는 지점에서 '아골'의 민간어원을 제공하는 어원 신화로 해석되기도 한다.[2][3]

본문에서 아간이 훔친 옷을 바빌로니아(시날에서 온)의 것으로 묘사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스라엘의 침공 시기는 일반적으로 기원전 15세기 또는 12세기로 거슬러 올라가지만, 기원전 1595년에서 기원전 627년 사이에 바빌론은 외세의 지배를 받았다. 이러한 이유로 일부 문헌 학자들은 아간 이야기의 이 부분이 기원전 7세기 또는 그 이후에 기록되었다고 믿는다. 그러나 많은 성경 학자들은 판관 사무엘이 그 당시의 역사적인 책들에서 이 이야기를 편집했을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아간 이야기가 전체적으로 이 시기에 쓰여졌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문헌 비평가들은 아골 이야기가 두 개의 이전 원본 텍스트에서 짜깁기되었을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여호수아기 7장 25절의 첫 부분에 나오는 "온 이스라엘이 '''그'''를 돌로 쳤다"라는 구절은 "그들을 불에 태우고 돌로 쳤다"라는 구절의 끝 부분과는 다른 스타일과 전통을 보여준다.[1] 반복되는 표현, "그"에서 "그들"로의 전환, 그리고 히브리어 동사 "돌로 치다"의 전환은 이 이야기가 두 개의 다른 출처에서 나온 혼합물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1][3]

유대교 주석가들은 아간의 범죄와 처벌에 대해 다양한 해석을 제시했다. 아간의 처벌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처벌에 대한 랍비들의 견해를 참조.

3. 3. 1. 처벌에 대한 랍비들의 견해

여호수아기 7장에 따르면, 아간은 여호수아가 "은과 금과 놋과 철 그릇은 모두 여호와께 구별될 것이니 여호와의 곳간에 들일지니라"라고 한 지시를 어기고 여리고에서 금덩이와 은, 그리고 "고운 바빌론 겉옷"을 약탈했다.[1] 이 때문에 이스라엘 백성은 하느님에게서 집단 처벌을 받아 아이 성을 처음 공격했을 때 실패했고, 약 36명이 죽었다.[1]

이스라엘 백성은 제비뽑기(우림과 둠밈)로 아간을 범인으로 지목해 그와 그의 자녀, 가축들을 돌로 쳐 죽였다.[1] 그들의 유해는 불태우고 돌무더기를 쌓았다. 그러자 여호와는 이스라엘을 향한 분노를 거두었다.[1]

라시, 게르소니데스 등 유대교 주석가들은 짐승들에게만 돌을 던졌고, 아간의 아들딸은 그저 현장을 보고 경고를 받기 위해 불려왔을 뿐이라고 말한다. 이는 탈무드 속 랍비들의 의견과도 같다(산헤드린 44a에 대한 라시 주석 참고).[1] 다만, 그들은 아간의 아내와 자녀들이 죄를 알고도 침묵했기에 공범이라고 본다.

다른 랍비 전승에 따르면 아간은 여리고에서 마법 우상을 훔쳐 이스라엘 사람 36명이 아이 성 앞에서 죽게 했다.[1] 여호수아가 아간과 자녀들을 돌로 쳐 죽이고 불태운 건 그들이 죄를 숨겼기 때문이다.

랍비들은 아간이 근친상간, 안식일 위반 등 다섯 가지 죄를 지었다고 보았다.[1] 그러나 아간은 참회하는 죄인의 모범으로 칭송받기도 한다. 공개적으로 죄를 고백하고 벌을 받아 게헨나에서 영원히 멸망하지 않게 되었기 때문이다.[1] 미쉬나 산헤드린 6:2는 "사형당할 죄수는 게헨나에서 구원받기 위해 공개적으로 자백해야 한다"고 말한다. 아간은 "진실로 내가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 죄를 지었고, 이렇게 했다"며 모든 죄를 고백했다. 여호수아가 "어찌 우리를 괴롭게 했느냐? 여호와께서 오늘 너를 괴롭게 하시리라"고 한 말은, "현세에서 벌을 받음으로써 내세에서는 풀려날 수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산헤드린 43b-44; 여호수아 5:25에 대한 킴히 주석 참고).

4. 신학적 의미

여호수아기 7장에 따르면, 아간은 여호수아가 "은과 금과 놋과 철로 만든 그릇은 모두 여호와께 바칠 것이니 여호와의 창고에 넣으라"는 지시를 어기고, 여리고에서 금덩이와 은, 그리고 "아름다운 바빌론 외투"를 훔쳤다.[1]

이러한 아간의 행동은 이스라엘 백성이 하느님으로부터 집단 처벌을 받는 원인이 되었다. 이 때문에 아이 성을 정복하려는 첫 시도는 실패로 돌아갔고, 약 36명의 이스라엘 사람이 목숨을 잃었다.[1] 이스라엘 백성은 제비뽑기(우림과 둠밈)를 통해 범인을 찾았고, 아간이 지목되었다.

유대교 전통에서는 아간의 죄와 관련하여 그의 회개를 중요하게 다룬다. 일부 랍비들은 아간의 자녀들은 처형 현장에 있었을 뿐이며, 실제로 돌로 쳐 죽임을 당한 것은 가축들이었다고 해석하기도 한다.

4. 1. 죄의 결과

여호수아기 7장의 기록에 따르면, 아간은 여호수아가 "은과 금과 놋과 철의 그릇은 다 여호와께 구별될 것이니 여호와의 곳간에 들일지니라"(וְכֹ֣ל ׀ כֶּ֣סֶף וְזָהָ֗ב וּכְלֵ֤י נְחֹ֙שֶׁת֙ וּבַרְזֶ֔ל קֹ֥דֶשׁ ה֖וּא לַֽיהוָ֑ה אוֹצַ֥ר יְהוָ֖ה יָבֽוֹא|Ve'chol | kesef ve'zahav u'chlei ne'choshet u'varzel kodesh hu la'YHWH otzar YHWH yavo.he)[1]는 지시를 어기고 여리고에서 금 덩이와 은, "고운 바빌론 겉옷"을 약탈했다.

여호수아기는 이 행위로 이스라엘 백성이 하느님으로부터 집단 처벌을 받았고, 이 때문에 아이를 정복하려는 첫 시도에서 실패하여 약 36명의 이스라엘 백성이 죽었다고 주장한다.(וַיַּכּ֨וּ מֵהֶ֜ם אַנְשֵׁי֙ עָ֔י כִּשְׁלֹשִׁ֥ים וְשִׁשָּׁ֖ה אִ֑ישׁ וַֽיִּרְדְּפ֞וּם לִפְנֵ֣י הַשַּׁ֗עַר עַד־הַשְּׁבָרִים֙ וַיַּכּ֣וּם בַּמּוֹרָ֔ד וַיִּמַּ֥ס לְבַב־הָעָ֖ם וַיְהִ֥י לְמָֽיִם|Vayaku me'hem anshei Ai kish'loshim ve'shishah ish vayirdifum lifnei hasha'ar ad-ha'shvarim vayakum ba'morad vayimas levav-ha'am va'yihi le'mayim.he)[1] 이스라엘 백성은 제비뽑기(성스러운 제비뽑기 우림과 둠밈)를 사용하여 누구를 탓해야 하는지 결정했고, 아간을 지목한 후 그와 그의 자녀, 가축들을 돌로 쳐 죽였다. 본문에 따르면, 그들의 유해는 이스라엘 백성에 의해 불태워졌고, 그 위에 돌무더기가 쌓였다. 이후 여호와는 이스라엘을 향한 분노를 거두었다.

4. 2. 하나님의 공의

여호수아기 7장의 기록에 따르면, 아간은 여호수아가 "은과 금과 놋과 철의 그릇은 다 여호와께 구별될 것이니 여호와의 곳간에 들일지니라"는 지시를 어기고 여리고에서 금 덩이와 은, "고운 바빌론 겉옷"을 약탈했다.

여호수아기는 이 행위의 결과로 이스라엘 백성이 하느님으로부터 집단 처벌을 받았다고 주장하며, 이로 인해 그들은 아이를 정복하려는 첫 번째 시도에서 실패하여 약 36명의 이스라엘 백성이 죽었다.[1] 이스라엘 백성은 제비뽑기(성스러운 제비뽑기 우림과 둠밈)를 사용하여 누구를 탓해야 하는지 결정했고, 아간을 지목한 후 그와 그의 자녀, 가축들을 돌로 쳐 죽였다. 본문에 따르면, 그들의 유해는 이스라엘 백성에 의해 불태워졌고, 그 위에 돌무더기가 쌓였다. 이후 여호와는 이스라엘을 향한 분노를 거두었다.

4. 3. 회개의 중요성

아간은 여호수아기 7장에 따르면, 여호수아가 "은과 금과 놋과 철의 그릇은 다 여호와께 구별될 것이니 여호와의 곳간에 들일지니라"라는 지시를 어기고 여리고에서 금 덩이와 은, "고운 바빌론 겉옷"을 약탈했다.

이러한 아간의 행동은 이스라엘 백성이 하느님으로부터 집단 처벌을 받는 원인이 되었다. 그 결과, 아이 성을 정복하려는 첫 번째 시도에서 실패하여 약 36명의 이스라엘 백성이 죽었다.[1] 이스라엘 백성은 제비뽑기(성스러운 제비뽑기 우림과 둠밈)를 통해 아간을 범인으로 지목했고, 그와 그의 자녀, 가축들을 돌로 쳐 죽였다. 그들의 유해는 불태워졌고, 그 위에 돌무더기가 쌓였다. 이후 여호와는 이스라엘을 향한 분노를 거두었다.

아간의 죄에 대한 회개는 유대교 전통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다. 라시, 게르소니데스 등 유대교 주석가들은 아간의 자녀들은 처형 현장에 있었을 뿐이며, 실제로 돌로 쳐 죽임을 당한 것은 가축들이었다고 주장한다. 이는 아간의 아내와 자녀들이 범죄를 알고도 침묵했기 때문에 공범으로 간주되었지만, 탈무드의 랍비들의 의견(산헤드린 44a에 대한 라시의 주석 참조)과도 일치한다.

다른 랍비 전승에 따르면, 아간의 죄는 단순한 약탈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그는 여리고에서 마법의 힘을 가진 우상을 훔쳤는데, 이 우상은 금으로 된 혀, 값비싼 망토, 은으로 된 선물들을 가지고 있었다. 이 우상을 훔침으로써 아간은 아이 성 앞에서 이스라엘의 의로운 사람 36명(대법원 구성원)을 죽게 만들었다. 여호수아는 대제사장의 흉패에 있는 열두 개의 보석을 통해 범인을 알게 되었고, 가장 엄격한 처벌을 내렸다. 신명기 24:16에도 불구하고 아간과 그의 자녀들에게 돌을 던져 죽이고 불태우는 형벌을 가한 것은 그들이 범죄를 알고도 숨겨진 우상에 대해 즉시 지도자들에게 알리지 않았기 때문이다.

랍비들은 아간을 참회하는 죄인의 모범으로 칭송한다. 그의 공개적인 자백과 그에 따른 처벌은 그를 게헨나에서 영원한 멸망으로부터 구원했기 때문이다. 미쉬나 산헤드린 6:2는 "사형을 당할 죄수는 게헨나의 멸망에서 구원받기 위해 공개적으로 자백하도록 명령받는다"라고 말한다. 아간은 "진실로 내가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 죄를 범하였고, 내가 이같이 행하였나이다"라고 말하며 자신의 모든 죄를 자백했다. 그의 자백이 그를 영원한 멸망에서 구원했다는 사실은 여호수아가 아간에게 한 말, "너는 어찌 우리를 괴롭게 하였느냐? 여호와께서 오늘 너를 괴롭게 하시리라"는 말에서 알 수 있다. 이 말은 "현세에서 그렇게 함으로써 너는 내세에서 풀려날 수 있다"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5. 현대적 적용

(요약 및 참조할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았으므로, 섹션 제목에 해당하는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참조

[1] 간행물 Achan http://www.jewishenc[...]
[2] 서적 The A to Z of Ancient Israel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3] 백과사전 Achan https://www.encyclop[...]
[4] 문서 Jewish Encyclope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