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두와 전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두와 전투는 1896년 3월 1일 에티오피아의 아두와에서 벌어진 이탈리아와 에티오피아 간의 전투이다. 이탈리아는 우치알리 조약을 통해 에티오피아를 보호령으로 만들려 했지만, 메넬리크 2세가 이를 거부하면서 전쟁이 시작되었다. 에티오피아군은 이탈리아군보다 압도적인 병력 우위를 바탕으로 승리했으며, 이탈리아는 막대한 사상자를 내고 패배했다. 이 전투의 결과로 이탈리아는 아디스아바바 조약을 체결하고 에티오피아의 독립을 인정했다. 아두와 전투는 아프리카 국가가 유럽 열강에 승리한 대표적인 사례로, 범아프리카주의와 아프리카 민족주의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에티오피아에서는 아두와 승전 기념일로 기념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6년 에티오피아 -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은 1895년부터 1896년까지 이탈리아의 에티오피아 보호령 시도와 우찰레 조약 해석 차이로 발발하여, 아드와 전투에서 에티오피아가 승리함으로써 에티오피아의 독립을 확립하게 된 전쟁이다. - 에티오피아가 참가한 전투 - 삼각고지 전투
삼각고지 전투는 한국 전쟁 중 철원군 근처 삼각고지에서 유엔군과 중국 인민지원군이 벌인 고지 쟁탈전으로, 유엔군이 전선 확장을 위해 공격했으나 중국군의 저항으로 막대한 사상자를 내고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채 작전을 중단한 전투이다.
아두와 전투 - [전쟁]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분쟁 | 아두와 전투 |
일부 |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
날짜 | 1896년 3월 1일 |
위치 | 아두와, 티그라이 주, 에티오피아 |
결과 | 에티오피아의 승리 |
교전 세력 | |
교전국 1 | 에티오피아 제국 |
교전국 2 | 이탈리아 왕국 |
지휘관 | |
지휘관 1 | 메넬리크 2세 타이투 베툴 라스 마콘넨 라스 미카엘 라스 멩게샤 테클레 하이마노트 라스 알룰라 |
지휘관 2 | 오레스테 바라티에리 비토리오 다보르미다 주세페 아리몬디 마테오 알베르토네 |
병력 규모 | |
병력 1 | 73,000–100,000명 |
병력 2 | 14,519–17,770명 |
사상자 규모 | |
사상자 1 | 3,886–7,000명 사망 |
사상자 2 | 약 6,000명 사망 3,865명 포로 |
2. 배경
1889년 에티오피아 제국의 요한네스 4세가 사망하자 에티오피아는 큰 혼란에 빠졌고, 이 틈을 타 이탈리아는 메넬리크 2세를 도와 왕위에 앉혔다. 이탈리아는 메넬리크 2세와 우치알리 조약을 체결하고 에티오피아를 보호국으로 해석하여 1890년 1월에 에리트레아를 식민지로 만들었다. 그러나 메넬리크 2세는 1893년 9월에 조약 자체를 거부하며 이탈리아와 전투 체제로 돌입했다.[3]
1896년 2월 말, 이탈리아군과 에티오피아군은 모두 보급 문제에 직면했다. 이탈리아 본국의 압박에 오레스테 바라티에리 장군은 공격을 결정했다. 2월 29일 밤, 이탈리아군은 아두와로 진격했지만, 험난한 지형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고, 부대 간 연락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28]
우찰레 조약의 이탈리아어 버전은 에티오피아가 모든 외교 업무를 이탈리아를 통해 수행해야 한다고 명시하여 사실상 에티오피아를 이탈리아의 보호령으로 만들었으나, 암하라어 버전은 황제가 원할 경우 외교 관계에서 이탈리아의 호의를 이용할 수 있다고 명시하여 해석에 차이가 있었다. 이탈리아 외교관들은 암하라어 원문에 이 조항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메넬리크 2세가 조약의 수정본에 고의로 서명했다고 주장했다.[3]
이탈리아는 에티오피아가 이탈리아어 버전의 조약을 준수하도록 군사적 해결책을 결정했고, 제1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이 발발했다. 1894년 12월, 바흐타 하고스가 이탈리아에 대한 반란을 주도했으나 진압되었고, 1895년 1월 코아티트 전투에서 이탈리아군이 라스 멩게샤 요하네스를 격파했다.
1895년 말, 이탈리아군은 에티오피아 영토 깊숙이 진격하여 티그라이의 상당 부분을 점령했다. 1895년 12월 7일, 암바 알라기 전투에서 에티오피아군이 이탈리아 부대를 전멸시키자, 이탈리아군은 티그라이 지방의 더 방어 가능한 위치로 철수했다. 1896년 2월 말, 양측 모두 보급품이 부족해졌고, 이탈리아군 사령관 오레스테 바라티에리는 에티오피아군이 현지에서 조달하여 생활하고 있어, 현지 농민의 보급품이 고갈되면 흩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그러나 이탈리아 정부는 바라티에리 장군에게 행동을 촉구했다.
3. 전투 과정
3월 1일 새벽, 에티오피아군은 이탈리아군을 기습 공격했다. 에티오피아군은 이탈리아군보다 4배나 많은 8만 명의 병력을 보유하고 있었고, 지형적 이점도 활용하여 이탈리아군을 각개격파했다. 에티오피아 황제 메넬리크 2세와 황후 타이투 베툴은 직접 군대를 지휘하며 전투에 참여했다. (한국의 관점: 여성 지도자의 활약은 여성의 사회 참여가 제한적이던 당시 시대상을 고려할 때 주목할 만하다.)
이탈리아군은 에티오피아군의 맹공에 큰 피해를 입고 패퇴했다. 특히, 알베르토네 여단은 라스 알룰라가 이끄는 티그라이 군대의 공격을 받고 큰 피해를 입었다.[31] 이탈리아 포병대가 초반에는 에티오피아군에 큰 피해를 주었지만, 발차 사포가 이끄는 에티오피아군 포병대에 의해 무력화되었다.[32][31]
주세페 아리몬디 여단은 3시간 동안 에티오피아군의 공격을 막아냈지만, 메넬리크 2세가 직접 이끄는 25,000명의 예비대가 투입되면서 결국 무너졌다.[33] 비토리오 다보르미다 여단은 다른 이탈리아 부대와 고립된 채 에티오피아군의 포위 공격을 받고 전멸했다.[36][35][37]
바라티에리 장군은 전투에서 패배했음을 깨닫고 퇴각 명령을 내렸지만, 퇴각하는 이탈리아군은 에티오피아 기병대와 지역 농민들의 공격을 받아 큰 피해를 입었다.[34]
3. 1. 양측 군대
아두와 전투에서 이탈리아군은 에티오피아군에 비해 병력 수가 크게 부족했다. 이탈리아군은 2만 명이었던 반면, 에티오피아군은 그 4배인 8만 명에 달했다. 또한 이탈리아군은 조직력도 떨어졌고, 전투 장비도 충분하지 않았다.[7] 이러한 열세는 1896년 3월 1일 아두와 전투에서 이탈리아군의 패배로 이어졌다.
3. 1. 1. 에티오피아군
메넬리크 2세 휘하의 에티오피아군은 최소 73,000명에서 최대 100,000명이 넘는 병력을 보유하여 이탈리아군보다 약 5배나 많았다.[7][8] 군대는 황제 메넬리크 2세, 황후 타이투 베툴, 각 지역의 라스들이 이끌었다. 군대의 대부분은 소총병이었지만, 창으로만 무장한 기병과 보병도 상당수 있었다.[10][11][12]
에티오피아군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었다:
지휘관 | 병력 구성 | 비고 |
---|---|---|
스와; 네구스 네가스티 메넬리크 2세 | 소총 25,000정 / 말 3,000필 / 대포 32문[6] | 황제 직속 부대 |
세미엔; 이타기에 타이투 베툴 | 소총 3,000정 / 말 600필 / 대포 4문[6] | 황후 직속 부대 |
고잠; 네구스 테클레 하이마노트 | 소총 5,000정[6] | |
하르; 라스 마코넨 | 소총 15,000정[6] | |
티그레이; 라스 멩게샤 요하네스 및 라스 알룰라 | 소총 12,000정 / 대포 6문[6] | |
월로; 라스 미카엘 | 소총 6,000정 / 말 5,000필[6] | |
곤다르; 라스 올리에 | 소총 8,000정[6] | |
라스타; 와그슘 광굴 | 소총 6,000정[6] | |
기타 | 창병과 검객 약 20,000명과 무장한 농민 다수[6] |
3월 1일 전투 당일, 메넬리크 2세는 에티오피아군이 진격한다는 소식을 듣고, 황후 타이투 베툴과 함께 군대에 전진을 명령했다. 네구스 테클레 하이마노트가 우익, 라스 멩게샤가 좌익, 라스 마코넨이 중앙을 이끌었고, 라스 미카엘이 오로모 기병대를 이끌었다. 메넬리크 2세와 타이투 황후는 예비대를 지휘했다.[29][30]
3. 1. 2. 이탈리아군
이탈리아군은 약 1만 4천 명에서 1만 7천 명의 병력을 보유했다.[13][14] 이들은 이탈리아 본토에서 징집된 병사와 에리트레아 출신 아스카리 병사로 구성되었다.[16][17] 이탈리아군은 4개의 여단으로 편성되었는데, 알베르토네 장군 휘하의 한 여단은 이탈리아 장교가 지휘하는 에리트레아 아스카리로 구성되었다.[15] 나머지 세 여단은 다보르미다, 엘레나, 아리몬디 준장 휘하의 이탈리아 부대로, 정예 베르살리에리와 알피니 부대도 있었지만, 대부분은 이탈리아 본토 연대에서 징집된 경험이 부족한 징집병이었다.[16]이탈리아군은 구식 소총, 열악한 통신 장비, 바위 지형에 부적합한 신발 등 여러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18] 또한, 예산 제약과 물자 부족으로 인해 소총과 포는 구형 모델이었고, 의류 및 기타 장비도 품질이 떨어졌다.[27]
에리트레아 주둔 이탈리아 작전 부대는 오레스테 바라티에리 장군이 지휘했으며, 참모장은 자키노 발렌자노 중령이었다. 이탈리아군 부대 구성은 다음과 같다.[19][20][1][20]
구분 | 부대명 | 지휘관 | 병력 | 비고 |
---|---|---|---|---|
우익 | 제2 보병 여단 | 비토리오 다보르미다 장군 | 4,833명 / 포 18문 | |
제3 아프리카 보병 연대 | 오타비오 라그니 대령 | 제5, 6, 10 아프리카 보병 대대 | ||
제6 아프리카 보병 연대 | 체사레 아이라기 대령 | 제3, 13, 14 아프리카 보병 대대 | ||
원주민 기동 민병대 대대 | 로도비코 데 비토 소령 | |||
아스마라 치테트 출신 원주민 중대 | 알베르토 세르마시 대위 | |||
제2 포병 여단 | 알베르토 졸라 소령 | 제5, 6, 7 산악 포병 포대[23] | ||
중앙 | 제1 보병 여단 | 주세페 아리몬디 장군 | 3,324명 / 포 12문 | |
제1 아프리카 베르살리에리 연대 | 프란체스코 스테바니 대령 | 제1, 2 아프리카 베르살리에리 대대 | ||
제1 아프리카 보병 연대 | 우고 브루사티 대령 | 제2, 4, 9 아프리카 보병 대대 | ||
제5 원주민 대대 제1 중대 | 피에트로 파베시 대위 | |||
제8, 11 산악 포병 포대[23] | ||||
좌익 | 원주민 여단 | 마테오 알베르토네 장군 | 4,339명 / 포 14문 | |
제1, 6, 5, 8 원주민 대대 | ||||
"오쿨레 쿠사이" 원주민 불규칙 부대 | 알레산드로 사펠리 중위 | |||
제1 포병 여단 | 프란체스코 데 로사 소령 | 제1, 2, 3, 4 원주민 산악 포병 포대[25][26] | ||
예비 | 제3 보병 여단 | 주세페 엘레나 장군 | 3,032명 / 포 12문 | |
제4 아프리카 보병 연대 | 조반니 로메로 대령 | 제7, 8, 11, 12 아프리카 보병 대대 | ||
제5 아프리카 보병 연대 | 루이지 나바 대령 | 제15, 16 아프리카 보병 대대, 제1 아프리카 알피니 대대 | ||
제3 원주민 대대 | 주세페 갈리아노 중령 | |||
제1, 2 속사포병 포대, 공병 중대 |
아두와 전투에서 이탈리아군은 약 6,100명이 사망했고(장교 261명, 백인 부사관 및 사병 2,918명, 영구 실종자 954명, 아스카리 약 2,000명), 1,428명이 부상당했다(이탈리아인 470명, 아스카리 958명).[39][40] 또한, 이탈리아인 1,865명과 아스카리 2,000명이 포로로 잡혔다.[39][40] 포로로 잡힌 아스카리 800명은 반역자로 여겨져 오른손과 왼발이 절단되었다.[44][45]
4. 결과 및 영향
1896년 10월, 이탈리아는 아디스아바바 조약을 체결하고 에티오피아의 독립을 인정했다.[3] 이 전투에서 이탈리아군은 막대한 사상자를 냈다. 조지 버클리는 이탈리아 측 사상자를 약 6,100명으로 기록했으며, 여기에는 장교 261명, 백인 부사관 및 사병 2,918명, 영구 실종자 954명, 아스카리 약 2,000명이 포함되었다. 부상자는 1,428명이었고, 1,865명의 이탈리아인과 2,000명의 아스카리가 포로로 잡혔다.[39][40] 리처드 콜크는 이탈리아 사망자 수를 총 5,900명으로 추정했다.[41] 반면 에티오피아 측 사상자는 버클리가 사망 7,000명, 부상 10,000명으로 추정했고,[28][42] 콜크는 동시대 자료를 인용하여 사망 3,886명, 부상 6,000명으로 기록했다.[41]
이탈리아군은 에리트레아로 후퇴하면서 모든 포병 무기와 소총 11,000정, 대부분의 수송 장비를 버리고 갔다. 포로로 잡힌 아스카리 800명은 에티오피아인들에게 반역자로 여겨져 오른손과 왼발이 절단되었다.[44][45]
이탈리아 여론은 아두와 전투 패배 소식에 분노했다.[53] 이탈리아 주요 도시에서는 가두 시위가 벌어졌고, 크리스피 총리는 3월 9일에 사임했다. 로마, 토리노, 밀라노 등지에서는 아프리카 주둔군의 귀환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54]
메넬리크 2세는 이탈리아군을 완전히 몰아내기보다는 우치알리 조약 폐지에 가까운 요구 조건을 제시하며 에티오피아의 독립을 보존하는 데 주력했다. 당시 에티오피아는 기근에서 회복 중이었고, 곧 우기가 시작될 예정이었기 때문에 장기간의 군사 작전은 어려운 상황이었다.[55]
아두와 전투의 승리는 에티오피아의 독립을 확고히 했을 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민족주의 운동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에티오피아는 아프리카에서 유럽 열강에 맞서 승리한 상징적인 국가가 되었으며, 범아프리카주의 운동의 결집점이 되었다.[61]
한편, 이탈리아는 군사적 패배로 인해 아프리카 식민지 확장에 큰 타격을 입었다. 이 패배는 이탈리아 내에서 국가적 트라우마로 여겨졌으며,[63] 훗날 파시즘 정권의 등장과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의 배경이 되었다.
5. 아두와 전투의 의의
아두와 전투는 아프리카 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유럽 열강의 식민 지배에 맞서 아프리카 국가가 승리한 대표적인 사례이기 때문이다. 이 전투의 승리로 에티오피아는 유럽 열강에 의한 식민지화를 피할 수 있었다.[59][60]
1896년 10월, 에티오피아와 이탈리아는 아디스아바바 조약을 체결하여 에티오피아의 독립을 인정했다. 이탈리아는 우치알리 조약을 파기하고 에티오피아 전체를 보호국으로 만들려던 계획을 포기했다.[55][56][57]
이 승리는 범아프리카주의 운동과 아프리카 민족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에티오피아는 아프리카의 독립과 저항의 상징이 되었으며, 식민지 해방을 위한 투쟁에 나선 아프리카 민족주의자들에게 큰 영감을 주었다.[61][62]
아두와 전투는 이탈리아 군에게는 굴욕적인 패배였다. 이탈리아에서는 이 패배를 "복수"해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되었고, 이는 훗날 파시즘 부흥의 한 원인이 되었다. 베니토 무솔리니는 1936년 아디스아바바를 점령했을 때 "아두아가 복수되었다"라고 선언하기도 했다.[63]
하지만 이 승리는 에티오피아 사회에 보수적인 경향을 강화시켜, 서구 기술 도입을 늦추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했다는 지적도 존재한다.[63]
5. 1. 현대의 기념
아드와 승전 기념일은 에티오피아의 공휴일로, 매년 아두와 전투의 승리를 기념한다. 학교, 은행, 우체국, 정부 기관 등은 문을 닫고, 의료 시설은 예외적으로 운영된다. 일부 택시와 대중교통은 운행하지 않으며, 상점들은 평소보다 일찍 문을 닫는다.[64]기념 행사는 공공장소에서 열리는데, 아디스아바바의 메넬리크 광장에서는 정부 관계자, 참전 용사, 외국 외교관, 일반 시민 등이 참석하여 승리를 기념한다. 에티오피아 경찰 오케스트라는 애국가를 연주한다.[65]
시민들은 전통 의상을 입고 기념 행사에 참여한다. 남성들은 조드푸르 바지와 조끼를 입고, 에티오피아 국기, 배너, 플래카드, 전통 방패와 칼(쇼텔)을 휴대한다. 여성들은 하베샤 케미스라고 불리는 전통 에티오피아 의상을 입거나 검은색 가운을 입고 왕관을 쓰기도 한다. 이들은 타이투 베툴 황후를 비롯한 에티오피아 애국 여성들의 전통적인 스타일을 따른다.[64][65]
메넬리크 2세의 부인 타이투 베툴 황후는 아두와 전투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수천 명의 여성들이 간호사로 훈련받거나 군인들에게 음식과 물을 제공하고 부상자를 돌보는 등 전투에 참여했다.[65]
아디스아바바 외에도 바히르 다르, 데브레 마르코스, 아두와 등 주요 도시에서도 기념 행사가 열린다.[64]
기념 행사에는 에티오피아의 삼색기, 메넬리크 2세와 타이투 베툴 황후, 테클레 하이마노트 왕, 미카엘 왕, 발차 사포, 피타우라리 합테 기요르기스 디나그데, 피타우라리 게베예후 등 주요 인물들의 이미지가 사용된다. 참전 용사들은 메달을 착용하고, 젊은이들은 메넬리크 2세, 타이투 베툴, 하일레 셀라시에 등 황실 인물들로 장식된 티셔츠를 입는다. 에지게예후 시바바우의 발라드와 테디 아프로의 "티쿠르 세우(Tikur Sew)"와 같은 애국적인 노래가 연주되는데, "티쿠르 세우"는 메넬리크 2세의 승리와 그의 어두운 피부색을 칭송하는 노래이다.
참조
[1]
서적
Adwa Victory Centenary Conference, 26 February – 2 March 1996
[2]
뉴스
The battle of Adwa: an Ethiopian victory that ran against the current of colonialism
https://theconversat[...]
2021-06-04
[3]
웹사이트
Battaglia di Adua
http://www.arsmilita[...]
2006-06-04
[4]
서적
The Life and Times of Menelik II: Ethiopia 1844–1913
Red Sea Press
[5]
서적
The Race for Fashoda
Weidenfeld & Nicolson
[6]
서적
Armies of the Adowa Campaign 1896
[7]
서적
Armies of the Adowa Campaign 1896
Bloomsbury USA
2011-09-20
[8]
간행물
Economic History of Ethiopia
Haile Selassie University
[9]
간행물
Encyclopedia
[10]
간행물
Encyclopaedia Aethiopica]]: A–C
Harrassowitz Verlag
[11]
문서
'"Between the Jaws of Hyenas": A Diplomatic History of Ethiopia (1876–1896)'
[12]
서적
The Battle of Adwa
Harvard University Press
[13]
서적
Menelik II
[14]
서적
Fashoda
[15]
서적
The Scramble for Africa
[16]
서적
The Campaign of Adowa and the rise of Menelik
Constable
[17]
서적
Le Guerre Coloniali Italiane 1885/1900
Editrice Militare Italiana
[18]
서적
Empress Taytu and Menilek II
[19]
서적
Adwa Victory Centenary Conference, 26 February – 2 March 1996
[20]
서적
Annuario militare del regno d'Italia: Anno 1896
https://books.google[...]
Giornale Militare
2022-09-21
[21]
문서
Italian national units, formed for service in the colonies with personnel drawn from the regular infantry regiments of the Army.
[22]
문서
Native feudal levy.
[23]
문서
Six light 75mm bronze rifled breach-loading mountain howitzers
[24]
문서
Italian national units, formed for service in the colonies with personnel drawn from the regular [[Bersaglieri]] regiments of the Army.
[25]
문서
Six light 75mm bronze rifled breach-loading mountain howitzers [[:it:7 BR Ret. Mont|Mod.75B]].
[26]
문서
Two light 75mm bronze rifled breach-loading mountain howitzers [[:it:7 BR Ret. Mont|Mod.75B]]
[27]
서적
Armies of the Adowa Campaign 1896
Bloomsbury USA
2011-09-20
[28]
간행물
Encyclopedia
[29]
웹사이트
'Sean McLachlan,page 15 "Armies of the Adowa Campaign 1896: The Italian Disaster in Ethiopia"'
https://www.sahistor[...]
2019-03-02
[30]
서적
Fashoda
[31]
서적
The Campaign of Adowa and the Rise of Menelik
[32]
서적
The Battle of Adwa: Reflections on Ethiopia's Historic Victory Against
https://books.google[...]
Algora
[33]
서적
Armies of the Adowa Campaign 1896
Bloomsbury USA
2011-09-20
[34]
서적
Armies of the Adowa Campaign 1896
Bloomsbury USA
2011-09-20
[35]
서적
The Battle of Adwa Reflections on Ethiopia's Historic Victory Against European Colonialism
Algora
2005
[36]
서적
Campaign of Adowa
1902
[37]
웹사이트
The Battle of Adwa: When Ethiopia crushed Italy!
https://newafricanma[...]
2014-05-02
[38]
서적
Armies of the Adowa Campaign 1896
Bloomsbury USA
2011-09-20
[39]
간행물
The Campaign of Adowa and the rise of Menelik
https://zenodo.org/r[...]
1903
[40]
서적
Armies of the Adowa Campaign 1896
Bloomsbury USA
2011-09-20
[41]
서적
"Between the Jaws of Hyenas": A Diplomatic History of Ethiopia (1876-1896)
[42]
문서
The Ethiopians
[43]
서적
Layers of Layers of Time: A History of Ethiopia
Palgrave, New York
2000
[44]
웹사이트
Photo of some of the Eritrean Ascari mutilated
https://journals.ope[...]
2019-03-03
[45]
서적
Armies of the Adowa Campaign 1896
Bloomsbury USA
2011-09-20
[46]
서적
Modern Abyssinia
Methuen, London
1901
[47]
서적
Modern Abyssinia
[48]
서적
Waugh in Abyssinia
Methuen
[49]
서적
Armies of the Adowa Campaign 1896
Bloomsbury USA
2011-09-20
[50]
서적
Empress Taytu and Menilek II
Ravens Educational & Development Services
[51]
간행물
Ethiopian records of the Menilek era: selected Amharic documents from the Nachlass of Alfred Ilg, 1884-1900
https://books.google[...]
Otto Harrassowitz Verlag
2000
[52]
서적
"Between the Jaws of Hyenas": A Diplomatic History of Ethiopia (1876–1896)
[53]
서적
Italian National Identity in the Scramble for Africa: Italy's African Wars in the Era of Nation-Building, 1870–1900
2010
[54]
서적
Empress Taytu
[55]
서적
Menelik II
[56]
서적
Empress T'aytu
[57]
서적
Fashoda
[58]
서적
The Cambridge History of Africa Vol 7
Cambridge University Press
[59]
서적
Layers of Layers of Time
[60]
서적
A History of Modern Ethiopia
James Currey, London
1991
[61]
문서
The Impact of the Adowa Victory on The Pan-African and Pan-Black Anti-Colonial Struggle
2006-02-08
[62]
문서
Pan-africanism in Barbados
New Academia Publishing
2005
[63]
웹사이트
The Battle of Adwa as a 'Historic' Event
http://www.ethiopian[...]
2009-03-03
[64]
웹사이트
Ethiopia Celebrates Victory of Adowa
http://aglobalworld.[...]
2019-03-03
[65]
웹사이트
Adwa victory 122 anniversary colorfully celebrated in Addis Ababa
https://borkena.com/[...]
2018-03-02
[66]
서적
Encyclopaedia Aethiopica: A-C
Harrassowitz Verlag, Wiesbaden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