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람 다마스쿠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람-다마스쿠스는 고대 시리아에 존재했던 아람 왕국으로, 성경 기록에 따르면 기원전 10세기 이스라엘 연합 왕국과 전투를 벌였다. 기원전 9세기에는 하사엘이 아시리아와 대립하고 이스라엘을 정복했으며, 기원전 8세기에는 르신이 아시리아의 조공국이 되었다. 르신은 유다 왕 아하스를 공격하기 위해 이스라엘과 동맹을 맺었으나, 아시리아의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에 의해 다마스쿠스가 점령당하고 멸망했다. 아람-다마스쿠스는 이스라엘 및 유다 왕국과의 관계, 아시리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역사가 전개되었으며, 역대 왕으로는 르손, 헤시온, 벤 하닷 1세, 벤 하닷 2세, 하자엘, 벤 하닷 3세, 르신 등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레포의 역사 - 1138년 알레포 지진
1138년 알레포 지진은 사해 단층 시스템의 지각 활동으로 발생하여 알레포를 포함한 주변 지역에 막대한 피해와 인명 피해, 사회적 혼란을 일으킨 강력한 지진이다. - 알레포의 역사 - 알레포 성채
알레포 성채는 시리아 알레포에 위치한 요새로, 기원전 3천년기부터 여러 문명을 거쳐 고대 신전, 헬레니즘 시대 아크로폴리스, 아이유브 왕조의 요새로 사용되었으나 내전으로 손상되었음에도 알레포의 역사와 문화를 상징한다. - 시리아의 고대사 - 히타이트
히타이트는 기원전 2000년경 소아시아에서 번성한 고대 국가 및 문명으로, 아나톨리아 고원을 중심으로 강력한 왕국을 건설하고 하투사스를 수도로 삼았으며, 고왕국, 중왕국, 신왕국 시대로 나뉘어 설형 문자와 히타이트어를 사용하며 고대 오리엔트 세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시리아의 고대사 - 나바테아 왕국
나바테아 왕국은 기원전 4세기부터 서기 106년까지 존재했던 아랍 왕국으로, 대상 무역으로 번영하고 페트라를 수도로 실크로드의 요충지 역할을 했으며, 뛰어난 관개 기술과 건축 기술을 보유했으나 로마에 병합되었다. - 이스라엘의 고대사 - 원시 가나안 문자
원시 가나안 문자는 이집트 상형 문자에서 유래된 초기 알파벳 문자 체계로, 페니키아 문자와 원시 히브리 문자의 조상이며, 다수의 자음 문자로 구성되어 후대 여러 문자 체계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이스라엘의 고대사 - 사마리아교
사마리아교는 그리심산을 하나님의 성소로 여기며, 야훼를 유일신으로 숭배하고 모세의 토라를 유일한 성경으로 인정하며 유대교와 분리된 역사를 가진 종교이다.
아람 다마스쿠스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아람-다마스쿠스 왕국 |
일반 명칭 | 아람-다마스쿠스 |
현지 명칭 | ܐܪܡ-ܕܪܡܣܘܩ (시리아어) |
수도 | 다마스쿠스 |
종교 | 고대 셈족 종교 |
데모님 | 아람인 |
공용어 | 고대 아람어 |
![]() | |
역사 | |
건국 시기 | 기원전 12세기경 |
멸망 시기 | 기원전 732년 |
멸망 원인 | 아시리아 정복 |
이전 국가 | 아람 국가 |
이후 국가 | 신아시리아 제국 |
정치 | |
정치 체제 | 군주제 |
직책 | 왕 |
초대 국왕 | 벤-하다드 1세 (기원전 885년–기원전 865년) |
2대 국왕 | 벤-하다드 2세 (기원전 865년–기원전 842년) |
3대 국왕 | 하사엘 (기원전 842년–기원전 796년) |
4대 국왕 | 벤-하다드 3세 (기원전 796년–기원전 792년) |
마지막 국왕 | 레진 (기원전 754년–기원전 732년) |
현재 국가 | |
현재 국가 | 시리아 요르단 이스라엘 레바논 |
2. 역사
아람 다마스쿠스의 역사는 주로 타나크에 기록되어 있으며, 이스라엘 및 유다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서술된다. 기원전 10세기경 다윗 왕의 이스라엘 연합 왕국과 아람인 사이에 남부 시리아에서 전투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2]
기원전 9세기, 하사엘은 아시리아와 전쟁을 벌였고, 운키 등 북부 시리아 국가들에 영향력을 행사했으며, 이스라엘을 정복하기도 했다.[3][4] 아람 다마스쿠스는 남서쪽으로는 골란 고원 대부분과 갈릴리 호수까지 영토를 확장했다.[5]
기원전 8세기, 르신 왕은 아시리아 왕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에게 조공을 바치는 속국이었다.[6] 기원전 732년경, 르신은 이스라엘 왕 페카와 동맹을 맺고 유다 왕 아하스를 공격했다. 아하스는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유다 왕국이 조공을 바치자 아시리아 왕은 다마스쿠스를 공격하여 아람을 병합했다.[6][7] 아람 다마스쿠스 왕국의 백성들은 강제로 이주당했고, 르신 왕은 처형되었다.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는 자신의 비문에 이러한 사실을 기록으로 남겼다.[8]
2. 1. 초기 역사
타나크는 아람-다마스쿠스의 역사에 대한 기록을 제공하며, 주로 이스라엘과 유다와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기원전 10세기에 다윗 치하의 이스라엘 연합 왕국과 아람인 사이에 남부 시리아에서 벌어진 전투에 대한 성경적 기록이 있다.[2]기원전 9세기에 하사엘은 아시리아와 싸웠으며, 운키의 북부 시리아 국가에 어느 정도 영향력을 행사했고, 이스라엘을 정복했다.[3][4]
아람-다마스쿠스는 남서쪽으로 골란 대부분과 갈릴리 호수까지 이르렀다.[5]
기원전 8세기에 르신은 아시리아 왕인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의 조공국이었다.[6] 유다 왕인 아하스를 공격하기 위해 이스라엘 왕인 페카와 동맹을 맺었다. 아하스는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유다가 조공을 바친 후 아시리아 왕이 도움을 제공했다.[7] 그 후,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는 다마스쿠스를 공격하여 아람을 병합했다.[6] 왕국의 인구는 강제 이주되었고 르신은 처형되었다.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는 자신의 비문에 이 행위를 기록했다.[8]
2. 2. 발전과 쇠퇴
타나크는 아람-다마스쿠스의 역사에 대한 기록을 제공하며, 주로 이스라엘과 유다와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기원전 10세기에 다윗 치하의 이스라엘 연합 왕국과 아람인 사이에 남부 시리아에서 벌어진 전투에 대한 성경적 기록이 있다.[2]기원전 9세기에 하사엘은 아시리아와 싸웠으며, 운키의 북부 시리아 국가에 어느 정도 영향력을 행사했고, 이스라엘을 정복했다.[3][4] 아람-다마스쿠스는 남서쪽으로 골란 대부분과 갈릴리 호수까지 이르렀다.[5]
기원전 8세기에 르신은 아시리아 왕인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의 조공국이었다.[6] 르신은 유다 왕인 아하스를 공격하기 위해 이스라엘 왕인 페카와 동맹을 맺었다. 아하스는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유다가 조공을 바친 후 아시리아 왕이 도움을 제공했다.[7] 그 후,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는 다마스쿠스를 공격하여 아람을 병합했다.[6] 왕국의 인구는 강제 이주되었고 르신은 처형되었다.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는 자신의 비문에 이 행위를 기록했다.[8]
3. 역대 왕
4. 아람-다마스쿠스와 주변국과의 관계
아람-다마스쿠스는 주변 국가들과 복잡한 관계를 맺었다. 특히 이스라엘 및 유다 왕국과 갈등이 잦았고, 아시리아의 영향력 아래에 있기도 했다.
4. 1. 이스라엘, 유다 왕국과의 관계
타나크는 아람-다마스쿠스의 역사에 대한 기록을 제공하며, 주로 이스라엘과 유다와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기원전 10세기에 다윗 치하의 이스라엘 연합 왕국과 아람인 사이에 남부 시리아에서 벌어진 전투에 대한 성경적 기록이 있다.[2]기원전 9세기에 하사엘은 아시리아와 싸웠으며, 운키의 북부 시리아 국가에 어느 정도 영향력을 행사했고, 이스라엘을 정복했다.[3][4] 아람-다마스쿠스는 남서쪽으로 골란 대부분과 갈릴리 호수까지 이르렀다.[5]
기원전 8세기에 르신은 아시리아 왕인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의 조공국이었다.[6] 유다 왕인 아하스를 공격하기 위해 이스라엘 왕인 페카와 동맹을 맺었다. 아하스는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유다가 조공을 바친 후 아시리아 왕이 도움을 제공했다.[7] 그 후,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는 다마스쿠스를 공격하여 아람을 병합했다.[6] 왕국의 인구는 강제 이주되었고 르신은 처형되었다.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는 자신의 비문에 이 행위를 기록했다.[8]
4. 2. 아시리아와의 관계
타나크는 아람-다마스쿠스의 역사에 대한 기록을 제공하며, 주로 이스라엘과 유다와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기원전 10세기에 다윗 치하의 이스라엘 연합 왕국과 아람인 사이에 남부 시리아에서 벌어진 전투에 대한 성경적 기록이 있다.[2]기원전 9세기에 하사엘은 아시리아와 싸웠으며, 운키의 북부 시리아 국가에 어느 정도 영향력을 행사했고, 이스라엘을 정복했다.[3][4]
기원전 8세기에 르신은 아시리아 왕인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의 조공국이었다. 기원전 732년 무렵, 그는 유다 왕인 아하스를 공격하기 위해 이스라엘 왕인 페카와 동맹을 맺었다. 아하스는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에게 도움을 요청했고, 유다가 조공을 바친 후 아시리아 왕이 도움을 제공했다.[7] 그 후,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는 다마스쿠스를 공격하여 아람을 병합했다.[6] 왕국의 인구는 강제 이주되었고 르신은 처형되었다. 티글라트-필레세르 3세는 자신의 비문에 이 행위를 기록했다.[8]
참조
[1]
서적
Eerdmans Dictionary of the Bible
Wm. B. Eerdmans Publishing Co.
2000
[2]
서적
Bible
Holman
[3]
서적
Ancient Near Eastern Texts Relating to the Old Testament
Princeton University Press
[4]
서적
Bible
Holman
[5]
서적
Near Eastern Archaeology: A Reader
https://books.google[...]
Eisenbrauns
[6]
서적
Ancient Israel: What Do We Know and How Do We Know It?
T&T Clark
[7]
서적
Bible
Holman
[8]
서적
Ancient Near Eastern Texts Relating to the Old Testament
Princeton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