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랍 공화국 연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랍 공화국 연방은 1971년 이집트, 리비아, 시리아가 범아랍주의를 목표로 결성한 연방이다. 1969년 리비아에서 쿠데타로 무아마르 카다피가 정권을 잡고, 이집트의 가말 압델 나세르 대통령의 나세르주의와 범아랍주의에 영향을 받아 아랍 통일 국가 건설을 주장하면서 연방 수립이 추진되었다. 1971년 국민투표를 통해 연방이 수립되었으나, 1973년 욤 키푸르 전쟁 이후 이집트의 이스라엘과의 평화 협상 추진에 리비아가 반발하면서 회원국 간 갈등이 심화되어 추가적인 통합 논의는 중단되었다. 이후 여러 차례의 연방 내 통합 시도가 있었으나 모두 실패하였고, 각 회원국은 연방 수립 이후에도 자국의 국기와 국장을 유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단의 아랍 민족주의 - 잔자위드
    잔자위드는 수단 다르푸르 지역의 아랍계 민병대 조직으로, 다르푸르 분쟁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며 학살, 강간, 강제이주 등의 잔혹 행위로 국제사회의 규탄을 받았고, 수단 정부의 방조 아래 다르푸르 반군 진압에 활용되다 2013년 신속대응군(RSF)으로 재편되어 2023년 수단 내전의 주요 당사자가 되었다.
  • 리비아의 아랍 민족주의 - 아랍 이슬람 공화국
    아랍 이슬람 공화국은 1974년 튀니지와 리비아가 통합 국가를 수립하려 했으나, 내부 반발과 합병 방식 이견으로 인해 무산된 범아랍주의적 시도였다.
  • 리비아의 아랍 민족주의 - 제3국제이론
    제3국제이론은 무아마르 카다피가 제시한 정치 철학으로, 유럽식 민주주의와 마르크스-레닌주의를 비판하며 인민 권력, 사회주의, 이론의 공공적 측면을 핵심으로 한다.
  • 아프리카의 옛 공화국 - 로디지아
    로디지아는 1965년 백인 소수 정권이 일방적 독립 선언 후 1979년까지 사용한 남부 로디지아의 공식 명칭이었으나, 랭커스터 하우스 협정으로 종식되고 1980년 짐바브웨 공화국으로 독립하였다.
  • 아프리카의 옛 공화국 - 잔지바르 인민공화국
    잔지바르 인민공화국은 1964년 잔지바르 혁명 이후 아프리카 시라스당에 의해 수립되었으나, 아베이드 카루메 대통령의 사회주의 정책 추진과 아랍인 박해, 탕가니카와의 합병으로 탄자니아 연합 공화국이 되면서 소멸되었다.
아랍 공화국 연방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1972년 아랍 공화국 연방의 위치
1972년 아랍 공화국 연방의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아랍 공화국 연방 (إتحاد الجمهوريات العربية, Ittiḥād al-Jumhūrīyāt al-'Arabīyah)
통용 명칭아랍 공화국 연방
존속 기간1972년 1월 1일 ~ 1977년 11월 19일
시대아랍 냉전
정치 체제공화국, 연합
수도카이로 (이집트)
트리폴리 (리비아)
다마스쿠스 (시리아)
공용어아랍어
화폐이집트 파운드
리비아 디나르
시리아 파운드
국가
국가 (이집트, 리비아)Walla Zaman Ya Selahy (오, 영원하라! 나의 무기여!)
국가 (시리아)Humat ad-Diyar (조국의 수호자)
역사
주요 사건국민투표 (1971년 9월 1일)
연방 설립 (1972년 1월 1일)
면적 및 인구
면적2,895,128 km²
인구52,703,600명 (1977년)
현재 국가

2. 역사적 배경

1969년, 아랍 민족주의 성향의 군 장교들이 리비아에서 쿠데타를 일으켜 정권을 잡았다. 이들은 이집트 대통령 가말 압델 나세르나세르주의에 영향을 받아 범아랍주의를 옹호하며 북아프리카중동 전역에 걸쳐 하나의 아랍 국가를 건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집트는 리비아의 경험 부족 정부를 돕기 위해 전문가를 파견하기도 했다.

1970년 9월 나세르 대통령이 사망한 후, 그의 후계자인 안와르 사다트 대통령은 통일 국가보다는 이집트, 리비아, 시리아 간의 정치 연방을 제안했다.[2]

2. 1. 아랍 혁명 전선

1969년 12월, 리비아는 이집트 및 수단과 함께 정치적 통일을 향한 한 단계로 아랍 혁명 전선을 창설했으며, 1970년에는 시리아가 참여 의사를 밝혔다.

2. 2. 연방 수립과 갈등

1971년 4월, 이집트, 시리아, 수단리비아의 석유 자금 지원을 받는 조건으로 연방에 합의했다.[2] 1972년 2월, 카다피와 사다트는 비공식적인 합병 헌장에 서명했지만, 이후 관계가 악화되면서 실행되지 않았다.[3] 사다트는 리비아의 급진적인 방향에 대해 점점 더 경계했고, 1973년 9월 연방 실행 기한이 아무런 조치 없이 지나갔다.[3]

1973년 10월, 이집트와 시리아는 리비아와 협의 없이 이스라엘을 공격하여 욤 키푸르 전쟁을 일으켰다.[4] 사다트 대통령은 이스라엘과 평화 협상을 추진했고, 카다피는 이에 강력히 반발하며 사다트를 비겁하다고 비난했다. 이로 인해 회원국 간 갈등이 심화되었고, 추가적인 통합 논의는 중단되었다.

2. 3. 국민투표

1971년 9월 1일, 이집트, 리비아, 시리아에서 아랍 공화국 연방 수립에 대한 국민투표가 동시에 실시되었다.[1] 이집트 국민투표에서는 투표자의 99.96%가, 리비아 국민투표에서는 98.6%가, 시리아 국민투표에서는 96.4%가 찬성표를 던졌다.[1]

3. 회원국

아랍 공화국 연방은 이집트, 리비아, 시리아로 구성되었다.

3. 1. 회원국 상징

각 회원국은 연방 수립 이후에도 자국의 국기와 국장을 유지했다.

4. 추가적인 아랍 공화국 연방 시도


  • 이집트, 리비아, 수단 연방 (1969/70–1971)
  • 이집트, 리비아, 시리아 연방 (1971/72–1974/77)
  • 연방 내 이집트와 리비아 간의 통합 (1972–1973/74)
  • 연방 내 이집트와 시리아 간의 통합 (1976–1977)
  • 이집트, 수단, 시리아 연방 (1977)


5. 영토 변천

6.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Syria, September 1, 1971 : Formation of the Federation of Arab Republics https://www.sudd.ch/[...] 2018-10-08
[2] 뉴스 Sudan Expetected to Join Egypt, Syria in Command https://news.google.[...] The Times 1977-02-25
[3] 뉴스 Red Sea Pact https://news.google.[...] The Bryan Times 1977-03-22
[4] 간행물 Sudan 42/84, Zeitgeschichte Munzinger-Archiv /IH-Zeitarchi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