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제3국제이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3국제이론은 무아마르 카다피가 제시한 정치, 경제, 사회에 대한 이론으로, 1960~70년대 아랍-무슬림 국가에서 유행한 '이슬람 사회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이 이론은 1976년부터 1979년까지 출판된 '녹색 서'에 요약되어 있으며, 대의 민주주의, 자본주의, 사회주의를 비판하고 인민 권력, 사회주의 경제, 이슬람 가치를 강조한다. 카다피는 '녹색 서'를 통해 직접 민주주의, 노동자 중심의 경제 체제, 공동체의 중요성을 설파했으며, 리비아에서 자마히리야라는 정치 체제를 실험했다. 자마히리야는 인민 회의와 위원회를 기반으로 한 직접 민주주의를 표방했지만, 실제 운영 과정에서는 여러 문제점에 직면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슬람교 사회주의 - 이슬람 사회주의
    이슬람 사회주의는 사회주의적 가치와 이슬람 가르침을 결합하려는 이념으로, 자카트, 복지 국가, 사회 정의 등을 포함하며 좌파와 우파로 나뉜다.
  • 아랍 사회주의 - 국민해방전선 (알제리)
    국민해방전선(FLN)은 알제리 민족주의, 아랍 민족주의, 사회주의, 이슬람주의를 이념으로 프랑스 식민 지배에 저항하며 알제리 독립을 이끌었고, 독립 이후 알제리 정치를 지배해 온 주요 정당이다.
  • 아랍 사회주의 - 나세르주의
    나세르주의는 아랍 민족주의와 사회주의를 결합한 아랍 사회주의 이념으로, 반제국주의와 개발도상국 연대를 추구하며 아랍 세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현재는 쇠퇴하였다.
  • 리비아의 아랍 민족주의 - 아랍 공화국 연방
    아랍 공화국 연방은 범아랍주의 이념하에 이집트, 리비아, 시리아가 결성한 국가 연합이었으나, 정치적 입장 차이와 지도자 간 갈등으로 실질적인 통합 없이 해체되었으며, 짧은 존속 기간 동안 아랍 민족주의의 단면을 보여주었다.
  • 리비아의 아랍 민족주의 - 아랍 이슬람 공화국
    아랍 이슬람 공화국은 1974년 튀니지와 리비아가 통합 국가를 수립하려 했으나, 내부 반발과 합병 방식 이견으로 인해 무산된 범아랍주의적 시도였다.
제3국제이론 - [정당]에 관한 문서
개요
리비아의 국기 (1977-2011)
리비아의 국기 (1977-2011)
유형정치 이론
지지 성향좌익
사상적 기반
주요 이념아랍 민족주의
나세르주의
반제국주의
이슬람주의
범아랍주의 (1990년대까지)
범아프리카주의 (1990년대 이후)
이슬람 사회주의
아프리카 민족주의
좌익 포퓰리즘
직접 민주주의
비동맹 운동
반시오니즘
정치적 입장
스펙트럼좌익 정치
관련 인물
주창자무아마르 카다피
관련 문서
주요 저서녹색서

2. 역사적 배경

제3국제이론은 1960년대와 1970년대 아랍-무슬림 국가들에서 유행했던 "이슬람 사회주의"의 영향을 받아 탄생했다. 이슬람 사회주의는 민족주의, 종교, 평등의 원칙에 기초했으며, 아랍 세계에서 여러 혁명, 민중 봉기, 쿠데타에 영감을 주었다.

1973년 무아마르 카다피는 아랍 사회주의 연합을 조직했는데, 이는 리비아에서 유일한 합법적인 정치 조직이었다. 1977년에는 리비아 인민 일반 회의가 사바 선언을 채택하여 리비아에 "인민 권력 체제" (직접 민주주의)를 수립했다. 나라는 사회주의 인민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로 개명되었고, 혁명 사령부는 의회의 일반 사무국으로 전환되었다. 아랍 사회주의 연합은 인민 일반 회의의 기구와 합병되었다. 인민 일반 회의의 일반 사무국으로 무아마르 카다피(사무총장)와 그의 최측근 4명이 선출되었다.

2년 후, 5명의 지도자는 공직에서 사임하고 전문 경영인으로 교체되었다. 이후 카다피는 리비아 혁명의 지도자라는 직함을 유지했으며, 5명의 지도자 그룹은 "혁명 지도부"로 명명되었다. 또한 인민 회의 시스템 내에서 혁명 지도부의 정책을 실행하기 위해 혁명 위원회 조직이 수립되었다.

2. 1. 등장 배경

1969년 9월 1일, 무아마르 카다피가 이끄는 '자유 장교단, 연합주의자, 사회주의자 운동' 소속 리비아 군 장교 그룹이 쿠데타를 일으켜 왕정을 무너뜨리고 리비아 아랍 공화국을 수립했다.[20] 카다피 대령(당시 27세)이 이끄는 혁명 사령부(RCC)가 임시로 최고 권력을 이양받았다.[20]

리비아 혁명의 반제국주의적 방향은 초기부터 분명하게 나타났다. 1969년 10월 7일, 유엔 총회 제24차 회의에서 리비아 상임 대표는 리비아 영토 내의 모든 외국 기지를 철수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1969년 12월 11일 임시 헌법에서 이슬람이 국교로 선포되었고, "종교, 도덕, 애국심"에 기반한 사회주의 건설이 혁명의 주요 목표 중 하나로 선언되었다.[1] 카다피와 그의 동료들은 "사회 정의, 높은 생산 수준, 모든 형태의 착취 제거, 국부의 공정한 분배"를 통해 이를 달성하고자 했다.[1]

2. 2. 녹색서 (The Green Book)

무아마르 카다피가 1976년부터 1979년까지 출판한 ''녹색 서''에는 제3국제이론의 주요 내용이 담겨있다.[21] 이 책은 유럽식 민주주의와 소련식 마르크스주의를 비판하며, 리비아의 새로운 정치, 경제, 사회 체제의 이론적 기반을 제시했다.

"녹색 서"는 리비아 지도자 카다피의 발췌문 모음집으로, 다음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1. 민주주의 문제 해결 (인민 권력)

2. 경제 문제 해결 (사회주의)

3. "제3국제이론"의 공공적 측면

혁명 이전, 리비아 서점에서는 여러 언어로 번역된 "녹색 서"를 항상 판매했다.[21]

3. 주요 내용

제3국제이론은 정치, 경제, 사회 세 가지 주요 측면으로 구성된다.
정치적인 측면에서 카다피는 서구식 대의 민주주의를 비판하며, 인민 회의와 인민 위원회를 통한 직접 민주주의를 주장했다. 그는 정당, 의회, 국민투표가 소수 엘리트에 의한 권력 독점을 초래한다고 보았다.[22]
경제적인 측면에서 카다피는 임금 노동을 노예제와 비슷하다고 비판하며, 노동자가 생산 수단을 공동 소유하는 사회주의적 경제 체제를 주장했다.[24] 그는 "고용인이 아닌 파트너"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기업의 노동자 자주 관리를 추진했으며, 주거용 임대 주택을 금지하고 세입자가 주택 소유자가 되도록 했다.
사회적인 측면에서 카다피는 가족, 부족, 국가로 이어지는 공동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26] 여성에 대해서는 남성과 동등한 인간이지만, 생물학적 차이에 따라 다른 역할을 갖는다고 주장했다. 그는 여성의 월경과 임신, 그리고 어머니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카다피는 이슬람의 가치를 옹호하면서도, 무슬림만을 지원하는 것은 편협함과 이기심이라고 비판했다.

3. 1. 정치: 인민 권력 (직접 민주주의)

카다피는 서구식 대의 민주주의를 비판하며, 인민 회의와 인민 위원회를 통한 직접 민주주의를 주장한다. 그는 정당, 의회, 국민투표가 소수 엘리트에 의한 권력 독점을 초래한다고 비판한다.[22]

카다피에 따르면, 의원내각제는 민주주의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다. 의회는 인민을 대신해 말할 수 없으며, 의원 선출 방식은 대중과 국회의원을 단절시킨다. 국회의원은 대중의 권력과 결정 권한을 독점하며, 사실상 인민이 아닌 선거에서 승리한 정당을 대표한다. 이러한 의회 제도는 표를 매수하고 조작할 수 있는 선동적인 시스템이며, 의회 대표는 사기에 불과하다.[22]

정당은 현대 독재 통치의 도구이며, 특정 집단의 이익을 위해 행동하거나 대중에게 자신들의 견해를 강요한다. 정당 간의 권력 투쟁은 사회 전체의 이익을 위한 프로그램을 훼손하며, 정당은 부패하여 외부로부터 매수될 수 있다. '야당'은 집권당을 견제하는 것이 아니라 권력을 차지할 기회를 기다릴 뿐이다.[22]

국민투표는 투표자가 "예" 또는 "아니오"로만 의사 표현을 제한하기 때문에 민주주의를 왜곡한다. 카다피는 모든 사람이 자신의 욕구와 찬반 이유를 밝힐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22]

카다피는 인민 의회 및 위원회의 계층 구조를 제안하며, 이를 통해 "관리가 대중적이 되고, 통제가 대중적이 되며, '정부에 대한 인민의 통제'라는 낡은 정의는 '인민의 자기 통제'라는 새로운 정의로 대체"되는 시스템을 만들고자 했다. 그는 "인민 민주주의의 유일한 수단은 인민 의회"라고 주장한다.[22]

제안된 자마히리야에서는 전체 인구가 인민 의회를 구성하고, 인민 의회는 인민 위원회를 선출하며, 인민 위원회는 다시 국가 위원회를 선출하여 국가 행정 기능을 수행한다. 총인민의회는 인민 의회, 인민 위원회, 노동 조합 및 전문 협회를 통합하여 주요 공공 문제를 논의하고 최종 입법 결정을 내린다.[22]

카다피는 언론의 자유에 대해 개인과 법인이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할 권리를 보장해야 하지만, 언론 매체의 사적 소유는 제한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는 개인이 소유한 신문은 소유자의 견해만을 표현하며, 여론을 대표한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다고 말한다.[23]

3. 2. 경제: 사회주의

카다피는 임금 노동을 노예제와 비슷하다고 비판하며, 노동자가 생산 수단을 공동 소유하는 사회주의적 경제 체제를 주장했다.[24] 그는 "고용인이 아닌 파트너"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기업의 노동자 자주 관리를 추진했다.[24] 또한, 주거용 임대 주택을 금지하고 세입자가 주택의 소유자가 되도록 했다.

3. 3. 사회: 이슬람의 가치

카다피는 가족, 부족, 국가로 이어지는 공동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러한 공동체가 개인에게 자연스러운 사회적 보호와 사회적 요구를 보장한다고 보았다.[26] 리비아에서 부족은 구성원을 집단적으로 구제하고, 몸값 지불, 벌금 납부, 복수, 방어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여성에 대해서는 남성과 동등한 인간이지만, 생물학적 차이에 따라 다른 역할을 갖는다고 주장한다. 여성은 월경과 임신을 겪으며, 어머니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여성의 자연스러운 역할을 부인하고 유치원으로 대체하려는 시도는 인간 사회를 부정하는 것이라 비판했다. 카다피는 "인권은 모든 사람, 즉 남성과 여성에게 있지만, 책임은 평등하지 않다"고 결론지었다.

언어 문제에 대해서는 공통 언어가 필요하지만, 여러 세대에 걸쳐 점진적으로 통합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스포츠는 개인적인 활동이어야 하며, 대중 스포츠는 다른 사람에게 맡길 수 없는 인간의 사회적 요구라고 보았다. 경기장은 대중이 스포츠 시설을 사용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존재한다고 비판하며, 권투레슬링은 야만주의의 잔재라고 주장했다.[1]

카다피는 무슬림만을 지원하는 것은 편협함과 이기심의 예라고 비판하며, 진정한 이슬람은 무슬림이 아니더라도 약자를 옹호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4. 리비아에서의 실행 (자마히리야)

1977년, 무아마르 알 카다피는 "사브하 선언"을 통해 리비아를 자마히리야(대중 국가)로 선포하고, 제3국제이론을 현실 정치에 적용했다. "자마히리야"(جماهيرية|jamāhīriyyahar)는 "대중"을 의미하는 "자마히르"에서 파생된 아랍어 신조어로, "공화국"을 뜻하는 "줌후리야"와 유사하다. 카다피는 자신의 정부 형태가 군주제나 공화국과 다른 "제3"의 길이라고 보았다. 이 과정에서 착취적인 사적 소유는 폐지되었지만, 서비스 부문의 사적 가족 사업은 유지되었다.

4. 1. 정치 체제

카다피는 인민 회의와 인민 위원회를 기반으로 하는 직접 민주주의 체제인 '자마히리야'를 구축했다.جماهيرية|jamāhīriyyah|대략 "대중의 [국가]")ar 이는 아랍어 신조어로, "공화국"을 뜻하는 아랍어 "줌후리야"와 유사하게 "자마히르"(대중)라는 단어에서 파생되었다.

전국인민회의(GPC)는 입법 기능을 수행하는 최고 권력 기관이었다. GPC는 지역 및 지방 수준에서 선출된 인민 위원회 대표들로 구성되었지만, 일부는 카다피가 직접 임명했다. 카다피는 GPC 구성원 중에서 장관을 임명하기도 했다.

그러나 실질적인 권력은 카다피와 그의 최측근들에게 집중되었다. 카다피는 공식 직함을 가지지 않았지만, '리비아 혁명의 지도자'로서 리비아의 핵심적인 정치적 인물로 남아있었다.

1992년 11월 18일 시르테에서 열린 최고인민회의에서는 1차 인민 회의 대신 1,500개의 자치 코뮌을 만드는 새로운 정치 구조를 수립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각 지역 내에서 예산 배분을 포함한 완전한 권한을 가진 일종의 미니 국가였다. 카다피는 이러한 변화가 "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해 진정한 민주주의를 보장하는 데 실패"하고 "대중과 지도부 사이에 간극"을 만들었던 이전 정치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4. 2. 경제 개혁

اشتراكية|ar 원칙에 따른 경제 개혁은 카다피가 제시한 제3국제이론의 핵심 요소 중 하나였다. 1978년에 출판된 "녹색 서적"의 두 번째 부분은 이 이론의 경제적 측면을 상세히 설명했다.[24]

카다피는 임금 노동을 노예제와 유사하다고 비판하며, 노동자가 자신이 생산한 모든 제품에 대한 권리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각 개인이 자신의 능력에 따라 일하고, 필요를 충족할 수 있어야 하며, 남는 생산물은 사회 전체의 부를 위해 사용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한 사람이 잉여 생산물을 축적하는 것은 다른 사람의 필요를 침해하는 행위로 간주되었다.[24]

1977년, 카다피는 "경제에서의 자치" 원칙을 제시하며, 기업이 그곳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집단 관리에 의해 운영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고용인이 아닌 파트너"라는 슬로건은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했으며, 같은 해 11월부터 일부 산업 기업에서 실제로 적용되기 시작했다.

1978년 5월, 카다피는 "부동산—거주자의 재산"이라는 슬로건을 제시하며 주거용 임대 주택을 금지하고, 세입자가 임대 아파트와 주택의 소유자가 될 수 있도록 하는 법을 통과시켰다.

"고용인이 아닌 파트너" 슬로건에 따라, 노동자와 직원들은 인민 위원회의 지도 아래 생산, 무역,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의 사업체와 기관을 인수했다. 이전 소유자들은 보상을 받았고, "생산자와의 동등한 파트너십"으로 기업 관리에 참여할 기회를 얻었다. 이러한 움직임은 "인민 점령"으로 불렸으며, 상류층과 중산층의 사업 사유 재산을 없애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러나 이러한 경제 개혁은 여러 문제에 직면했다. 현장, 특히 생산 현장에서 상류층의 반발, 개혁에 대한 준비 부족, 새로운 관리 인력의 경제 관리 능력 부족 등이 자마히리야 정치 시스템의 기능을 방해했다. 이는 리비아 지도부의 정치적, 경제적 혁신에 대한 대중의 불만과 불안으로 이어졌고, 일부 이슬람 성직자들은 카다피를 "꾸란에서 벗어남"이라고 비난하기도 했다.[25]

카다피는 성직자의 영향력 제한을 위해 노력했고, 코란을 주제로 반대파 성직자들을 대상으로 텔레비전 공개 시험을 실시했다. 그는 자신의 질문에 답하지 못하는 성직자들에게 종교 행사 수행 권리를 박탈하기도 했다.[25]

자마히리야 경제 개혁의 궁극적인 목표는 "새로운 사회주의 사회"를 달성하는 것이었다. 이 단계에서 이윤과 돈은 사회에서 사라지고, 사회는 완전히 생산적이 되며, 생산은 사회 구성원 모두의 물질적 필요를 완전히 충족하게 된다고 보았다.

1961년부터 시작된 석유 탐사 성공으로 리비아는 아프리카에서 1인당 소득이 가장 높은 국가 중 하나가 되었다. 1970년, 세계 시장의 유가가 상승하면서 리비아는 석유 수출을 통해 막대한 수입을 얻었다. 이 수입은 도시 개발과 현대적인 사회 복지 시스템 구축에 사용되었다.

4. 3. 사회 변화

카다피는 이슬람 가치를 강조했지만, 성직자의 사회적 영향력은 제한하려 했다. 그는 자신의 "제3국제이론"에 더 부합하는 방식으로 사회를 만들고자 했다.[26]

여성의 교육 기회는 확대했지만, 여전히 가사 노동과 육아를 전담하는 전통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는 여성의 권리 신장과 성 평등을 추구하는 현대 진보적 관점과는 거리가 있다.[1]

카다피는 여성이 남성과 "평등"하지만 "책임"은 다르다고 주장하며, 월경과 임신 때문에 남성과 다른 역할을 해야 한다고 보았다. 또한, 육아는 여성의 자연스러운 역할이므로 유치원에 보내는 것은 잘못된 것이라 생각했다. 이는 여성의 권리를 제한하고, 남녀 평등에 반하는 주장이라는 비판을 받을 수 있다.

스포츠에 대해서도 독특한 관점을 보였다. 스포츠는 개인적 활동이어야 하며, 프로 스포츠처럼 다른 사람에게 위임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여겼다. 권투레슬링 같은 격투기는 야만적이라 비판했다.

5. 평가와 비판

الجماهيرية‎ar는 이상적인 사회 모델을 제시했지만, 실제로는 카다피의 권위주의적 통치를 정당화하는 데 이용되었다는 비판을 받는다. 직접 민주주의를 표방했지만, 실제로는 권력 집중과 인권 침해가 발생했다. 경제 개혁은 초기에는 성과를 거두었지만, 장기적으로는 비효율성과 부패 문제를 야기했다.[29] 카다피가 만든 체제는 리비아 국민의 정치적 참여를 불러일으켰을지 모르지만, 카다피도 인정했듯이 "정부에 대한 대중의 참여는 완벽하지 않았다".[30]

1992년 11월 18일 시르테 마을에서 열린 최고인민회의에서는 "모델 자마히리야"로의 전환을 시작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1차 대중 회의 대신 1500개의 코뮌을 만들어 각 지역에 예산 배분을 포함한 완전한 권한을 부여하는 것이었다.[31] 카다피는 이전 정치 시스템을 재조직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 "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해 진정한 민주주의를 보장하는 데 실패했으며, 이는 대중과 지도부 사이에 간극을 만들었고 과도한 중앙 집권화의 특징을 보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참조

[1] 서적 NATO's Failure in Libya: Lessons for Africa https://books.google[...] African Books Collective 2013-08-15
[2] 간행물 The Middle East in Revolt - TIME https://content.time[...] 2011-02-22
[3] 서적 Libya, a Country Study https://books.google[...] Department of Defense], Department of the Army 1979
[4] 간행물 The Middle East in Revolt - TIME https://content.time[...] 2011-02-22
[5] 웹사이트 African intellectuals remember late Muammar Gaddafi as pan-African https://www.aa.com.t[...]
[6] 웹사이트 Libijska džamahirija između prošlosti i sadašnjosti – 1. Dio http://www.h-alter.o[...] 2020-10-14
[7] 웹사이트 Gaddafi: From Popular Hero to Isolated Dictator https://therealnews.[...] 2011-03-17
[8] 논문 Mu'ammar Gaddafi: A Populist Approach https://digitalcommo[...] 2023-04-12
[9] 웹사이트 Libijska džamahirija između prošlosti i sadašnjosti – 1. Dio http://www.h-alter.o[...] 2020-10-14
[10] 서적 NATO's Failure in Libya: Lessons for Africa https://books.google[...] African Books Collective 2013-08-15
[11] 논문 Qadhafi's "Perestroika": Economic and Political Liberalization in Libya https://www.jstor.or[...] 1991
[12] 서적 NATO's Failure in Libya: Lessons for Africa https://books.google[...] African Books Collective 2013-08-15
[13] 웹사이트 Gaddafi: From Popular Hero to Isolated Dictator https://therealnews.[...] 2011-03-17
[14] 논문 Mu'ammar Gaddafi: A Populist Approach https://digitalcommo[...] 2023-04-12
[15] 서적 Libya, a Country Study https://books.google[...] Department of Defense], Department of the Army 1979
[16]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Libya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2023-03-15
[17] 웹사이트 Human rights worse after Gaddafi - Libya | ReliefWeb https://reliefweb.in[...] 2012-07-14
[18] 문서 Harris 1986, p. 58.
[19] 논문 Religion and ideology: Mu'ammar al-Kadhdhafi, Islam and the "Third International Theory" https://journal.fi/s[...] 2021-12-25
[20] 뉴스 Muammar Gaddafi on the road to socialism 2002-03-27
[21] 논문 The situation in Libya 2007
[22] 서적 The Green Book: Translated from Arabic Infra 2003
[23] 서적 The Green Book: Translated from Arabic Infra 2003
[24] 서적 The Green Book: Translated from Arabic Infra 2003
[25] 문서 Strokan SN Libya defends its principles / / Kommersant. - 2005. - № 243 / P (№ 3327), pp. 17
[26] 서적 The Green Book: Translated from Arabic Infra 2003
[27] 논문 The situation in Libya 2007
[28] 문서 Kiselev SA Muammar Gaddafi – the theorist of the Third International Theory / / Vedomosti. l2003. № 10. with. 13
[29] 문서 Strokan S.N. Libya defends its principles / / Kommersant. 2005. № 243 / P (№ 3327), pp. 16
[30] 문서 Vladimir Bogdanov. Scandal at the top: Muammar Gaddafi has caused the League of Arab States to break apart / / ''Rossiyskaya Gazeta''. 24 May 2004. (Central edition) N3483, with. 12
[31] 문서 Efremov VS. The sensational offer of the Libyan leader /Newspaper " St. Petersburg Gazette. 7 April 2001. № 63 (2453), pp. 25
[32]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rcmlibya.[...] 2021-09-20
[33] 웹인용 Libijska džamahirija između prošlosti i sadašnjosti - 1. Dio http://www.h-alter.o[...] 2021-09-20
[34]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www.rcmlibya.[...] 2021-09-20
[35] 웹인용 Libijska džamahirija između prošlosti i sadašnjosti - 1. Dio http://www.h-alter.o[...] 2021-09-20
[36] 서적 Harris 1986, p. 5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