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르메니아의 국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메니아의 국가는 "메르 하이레니크"(우리 조국)이며, 미카엘 날반디안의 시 "이탈리아 소녀의 노래"를 바탕으로 작사되었다. 이 곡은 1918년부터 1920년까지 존재했던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의 국가로 채택되었으며, 소련 시대에는 금지되었다가 1991년 소련 붕괴 이후 다시 아르메니아의 국가로 지정되었다. 가사는 아르메니아의 독립과 자유를 향한 열망을 담고 있으며, 아르메니아의 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메니아의 노래 -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는 1944년부터 1991년까지 사용되었으며, 현재 아르메니아에서는 이 국가의 복원 시도가 있었다.
  • 아르메니아의 상징 - 낫과 망치
    낫과 망치는 농민과 노동자의 연대를 상징하는, 공산주의 국가의 주요 상징이며, 소련 국기 및 다양한 곳에 사용되었다.
  • 아르메니아의 상징 - 붉은 별
    붉은 별은 볼셰비키 혁명과 러시아 내전 이후 공산주의 운동의 상징으로 사용되어 소련 등 사회주의 국가의 국기에 등장했으며,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군사 상징이나 적군 병사의 모자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소련 해체 후 사용이 감소했으나 일부 국가에서 군사 휘장 등으로 사용되거나 사회주의와 무관하게 디자인 요소로도 활용된다.
  • 내림마장조 작품 - 1812년 서곡
    1812년 서곡은 차이콥스키가 나폴레옹의 러시아 침공 승리를 기념하여 작곡한 관현악 서곡으로, 러시아 민요와 프랑스 국가를 인용하고 종소리와 대포 소리를 사용하여 웅장한 스케일과 극적인 분위기를 자아내며,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논란이 되기도 했다.
  • 내림마장조 작품 - 교향곡 3번 (베토벤)
    베토벤 교향곡 3번 《영웅》은 1804년에 완성되었으며, 나폴레옹에게 헌정하려다 철회 후 로프코비츠 백작에게 헌정되었고, 1805년 초연 이후 고전주의를 넘어 낭만주의 시대를 연 혁신적인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영웅'이라는 부제는 이상적인 영웅을 상징한다.
아르메니아의 국가
기본 정보
악보
악보
제목Մեր Հայրենիք (메르 하이레니크)
로마자 표기Mer Hayreniq
영어 제목Our Fatherland (우리 조국)
국가아르메니아
작사
작사가미카엘 날반디안
작사 시기1861년
작곡
작곡가바르세그 카나치안
작곡 시기(정보 없음)
채택
채택 시기1918년
폐지 시기1922년
재채택 시기1991년
이전 국가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국가
음원 정보

2. 역사

"메르 하이레니크"(우리 조국)의 역사는 아르메니아 민족의 독립 투쟁과 그 궤를 같이 한다.

2. 1. 제정 및 초기 역사 (1918-1920)

"우리 조국"의 가사는 미카엘 날반디안이 1861년에 쓴 시 "이탈리아 소녀의 노래"(Իտալացի աղջկա երգը|이탈라치 아흐지카 예르게hy)에서 유래되었다.[1][2][3][4] 20세기 초,[1] 바르세그 카나찬이 곡을 붙였다.[3] 이후 가사와 곡 모두 1918년부터 1920년까지 잠시 존재했던 아르메니아 제1공화국의 국가로 채택되었다.[3][5]

2. 2. 소비에트 시대 (1920-1991)

1920년 11월, 아르메니아를 주권 국가로 국제적으로 인정한 세브르 조약이 서명된 지 불과 3개월 만에 붉은 군대가 아르메니아를 침공했다.[6] 1922년, 아르메니아는 아제르바이잔 및 조지아와 함께 자캅카스 사회주의 연방 소비에트 공화국(TSFSR)에 흡수되었고, 그해 말 TSFSR은 소련의 일부가 되었다.[7] 아르메니아 민족주의의 상징이었던 "메르 하이레니크"(우리 조국)는 볼셰비키 당국에 의해 금지되었다.[2][5] 그 대신, 1944년부터 아르메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국가가 사용되었다.[8][9] 이 때문에 "메르 하이레니크"는 이 시기 소련 통치에 대한 저항가로서 새로운 지위를 갖게 되었다.[5]

2. 3. 독립 이후 (1991-)

1991년 7월 1일 소련 붕괴 이후 "우리 조국"은 아르메니아 최고 소비에트에 의해 아르메니아의 국가로 다시 지정되었다.[3][10] 1918년 버전과 가사가 동일하지는 않으며, 몇몇 단어가 수정되었다.[1][11] 2006년과 2019년 아르메니아 의회에서 국가에 대한 논쟁이 제기되었는데, 새 정부는 새로운 가사와 함께 소련 시대 국가를 복원할 것을 요구했다.[13]

3. 가사

"메르 하이레니크"(아르메니아의 국가)는 아르메니아의 독립과 자유를 향한 열망, 조국을 위해 목숨을 바치는 숭고한 희생을 노래한다. 가사는 아르메니아의 "자유를 위해 죽는" 가치를 강조한다.[15] 그러나 죽음에 대한 언급 때문에 여러 평론가들은 이 국가가 지나치게 "나약하고" "우울하다"고 비판했다.[5][16] 국회의 일부 의원들은 독립 투쟁 시기에 쓰인 이 노래가 현재의 승리와 성공을 반영하지 못한다고 생각했지만, "우리의 조국"을 대체하려는 시도는 아르메니아 혁명 연맹(다쉬나크추티운)의 반대로 무산되었다.[5][16][19][20]

가사는 다음과 같으며, 후반부 두 줄은 두 번 반복한다.

원문로마자 표기국제 음성 기호


3. 1. 아르메니아어 가사

아르메니아 문자로마자 표기국제 음성 기호(IPA)



"우리 조국"의 가사는 미카엘 날반디안이 1861년에 쓴 시 "이탈리아 소녀의 노래"(Իտալացի աղջկա երգը|Italatsi aghjka yergėhy)에서 유래되었다.[1][2][3][4]

3. 2. 한국어 번역

아르메니아어 가사한국어 번역


4. 문화적 영향

"메르 하이레니크"는 아르메니아인들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상징하는 중요한 문화적 요소이다. 국가 제목은 아르메니아 출신으로 러시아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위한 텔레비전 채널의 이름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아르메니아 학교에서는 국가 상징 교육의 일환으로 가르치며, 학생들은 매일 국가를 부르도록 장려된다.[12]

일부에서는 국가 가사가 "자유를 위해 죽는" 가치를 강조하는 것에 대해 지나치게 "나약하고" "우울하다"는 비판적 시각도 존재한다.[5][16][15]

4. 1. 대중문화

국가 제목은 아르메니아 출신으로 러시아에 거주하는 사람들을 위한 텔레비전 채널의 이름으로 사용된다. 메르 하이레니크 TV는 노보시비르스크주시베리아 연방관구의 행정 중심지인 노보시비르스크시에 기반을 두고 있다.

4. 2. 교육

"메르 하이레니크"는 아르메니아 학교에서 국가 상징 교육의 일환으로 가르치며, 학생들은 매일 국가를 부르도록 장려된다.[12] 이는 시민 교육의 중요한 부분으로 여겨진다.[12]

4. 3. 비판적 시각

아르메니아의 국가 가사는 아르메니아가 "자유를 위해 죽는" 가치를 강조한다.[15] 그러나 죽음에 대한 언급 때문에 여러 평론가들은 이 국가가 지나치게 "나약하고" "우울하다"고 불만을 제기했다.[5][16] 특히, 국회의 일부 의원들은 독립을 위한 첫 번째 투쟁 시기에 쓰인 이 노래가 현재의 승리와 성공 시대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17] 그러나 "우리의 조국"을 대체하려는 어떠한 제안도 실현되지 못했는데, 그 이유는 연립 정부의 일원이었던 아르메니아 혁명 연맹이 국가를 변경하려는 시도, 특히 아르메니아 SSR 국가의 음악을 기반으로 한 노래로 대체하려는 제안에 대해 저항해 왔기 때문이다.[5][16][19][20]

참조

[1] 서적 Armenia in Pictures https://books.google[...] Twenty-First Century Books 2008-09-01
[2]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rmenia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0-05-13
[3] 뉴스 June 15 is the day of Armenian state symbols http://www.armradio.[...] Public Radio of Armenia 2016-06-15
[4] 서적 The Heritage of Armenian Literature: From the eighteenth century to modern times https://books.google[...]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5] 뉴스 CIS: Armenia Latest To Agonize Over Anthem http://www.rferl.org[...] Broadcasting Board of Governors 2006-08-24
[6] 백과사전 Armenia – History http://www.encyclope[...] Thomson Gale 2007
[7] 백과사전 Armenia – History https://global.brita[...] Encyclopedia Britannica, Inc. 2017-03-14
[8] 백과사전 Aram Khachaturian https://global.brita[...] Encyclopedia Britannica, Inc. 2000-12-14
[9] 뉴스 Aram Khachaturian http://www.bbc.co.uk[...] BBC
[10] 웹사이트 About Armenia – General Information http://www.gov.am/en[...]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Armenia 2017-04-28
[11] 웹사이트 Armenia https://www.cia.gov/[...] CIA 2017-01-12
[12] 학술지 International Influences on Post-Soviet Armenian Education
[13] 웹사이트 Armenia's new authorities debate changing national anthem https://eurasianet.o[...] 2019-02-05
[14] 문서 Marco Misciagna - Variations on Armenian National Anthem for viola solo https://www.youtube.[...] 2023-04-15
[15] 뉴스 Euro 2012 diary: Armenians' catchy anthem may raise roof http://www.independe[...] 2010-09-02
[16] 뉴스 National Symbols: Artists again raise questions over Armenian anthem, coat of arms https://www.armenian[...] 2015-03-04
[17] 웹사이트 National Assembly Debates the Draft on the National Anthem of the Republic of Armenia http://www.parliamen[...]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Armenia 2006-11-28
[18] 뉴스 Symbols of Debate: Initiative underway to restore historic Coat of Arms and anthem https://www.armenian[...] 2012-12-04
[19] 뉴스 Government Shelves Plans For New Armenian Anthem https://www.azatutyu[...] 2009-04-02
[20] 웹사이트 Armenia's new authorities debate changing national anthem https://eurasianet.o[...] 2021-12-05
[21] 문서 Հայաստանի Հանրապետության պետական խորհրդանիշերը https://www.mfa.am/h[...]
[22] 웹사이트 Խօսք Օրհներգի մասին. Զաւէն Խանճեան https://amaa.am/old/[...]
[23] 웹사이트 State symbols of the Republic of Armenia - Library - The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Armenia https://www.presiden[...] President of Armenia
[24] 웹사이트 ՀՀ պետական օրհներգը https://iravaban.net[...] 2013-05-24
[25] 웹사이트 Opinion: Our anthem is pitiable; we are always crying (video) https://a1plus.am/en[...]
[26] 웹사이트 Questing for the Origins of Mer Hayrenik https://mirrorspecta[...] 2019-02-14
[27] 문서 Kʻnar haykakan https://books.google[...] 1868
[28] 학술지 Institutions and identity politics in the Armenian diaspora: the cases of Russia and Lebanon
[29] 간행물 Mer Hairénik, cet inconnu Nouvelles d'Arménie Magazine
[30] 문서 Հայաստանի Հանրապետության պետական խորհրդանիշերը: https://www.mfa.am/h[...]
[31] 문서 ՀՀ պետական օրհներգը https://iravaban.net[...] 2013-05-24
[32] 문서 ÐРβè²ì²ðàôÂÚ²Ü ÆÜîºðܺî²ÚÆÜ ä²ÞîàÜ²Î²Ü ¾æ https://web.archive.[...] 2007-10-11
[33] 간행물 Mer Hairénik, cet inconnu Nouvelles d'Arménie Magazine
[34] 문서 ՀայաստանիՀանրապետության պետական խորհրդանիշերը https://www.mfa.am/h[...]
[35] 문서 Խօսք Օրհներգի մասին. Զաւէն Խանճեան https://amaa.am/old/[...]
[36] 웹사이트 https://iravaban.net[...]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