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멘 오하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멘 오하냔은 러시아 제국의 샤마키에서 태어나 배우, 무용가, 작가로 활동한 아르메니아인이다. 1905년 반 아르메니아인 박해를 겪고, 이란으로 건너가 이란 입헌 혁명에 참여하여 페르시아 국립 극장 설립에 기여했다. 동양 무용 기술을 연마한 후 유럽과 미국 등지에서 공연하며 명성을 얻었고, 1912년 파리에 정착하여 문학 활동을 시작했다. 1918년 자서전인 '샤마키의 무용수'를 출간했으며, 멕시코 외교관과 결혼 후 멕시코에 정착하여 댄스 학교를 설립하고 공산주의 활동을 했다. 1946년에는 소비에트 아르메니아에 관한 책을 출판하고, 말년까지 저술, 번역 활동을 이어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아르멘 오하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소피아 에마누옐리 피르부다갼 |
로마자 표기 | Sopia Emanuyeli Pirbudaghián |
출생일 | 1887년 |
출생지 | 러시아 제국 샤마흐 (현재의 아제르바이잔) |
사망일 | 1976년 |
사망지 | 멕시코 멕시코 시티 |
국적 | 아르메니아 |
직업 | 무용가, 배우, 작가, 번역가 |
배우자 | 하이크 테르-오하냔 |
2. 초기 생애 및 교육
아르멘 오하냔은 러시아 제국의 일부였던 샤마키(현재 아제르바이잔의 영토)에서 상류층 아르메니아인 가정에서 태어났다.[1] 1902년 샤마키 지진으로 가족은 바쿠로 이사했고, 오하냔은 그곳에서 러시아어 학교를 졸업했다. 1905년, 그녀는 반 아르메니아인 박해를 목격하고 아버지를 잃었다.[1] 이후 아르메니아계 이란인 의사와 결혼했으나 1년 만에 이혼했다. 1906년, 오하냔은 바쿠의 아르메니아 문화 연합 극단에서 배우로 활동하기 시작했고, 1908년에는 모스크바로 이주하여 조형 미술을 공부하며 말리 극장에서 춤을 선보였다.[1]
1909년, 오하냔은 트빌리시 오페라에서 아르멘 오하냔이라는 이름으로 첫 춤 공연을 한 후 이란으로 건너가 무용가이자 배우로 활동하며 이란 입헌 혁명에 참여했다. 그녀는 테헤란에 페르시아 국립 극장을 설립하는 데 기여했다.[1] 1910년 4월에는 이란 여성들이 처음으로 무대 공연과 영화를 볼 수 있도록 음악 및 문학 행사를 기획했고, 같은 해 5월에는 니콜라이 고골의 ''검찰관''을 페르시아어로 제작, 연출하며 주연을 맡았다.[1]
이란에서 동양 무용 기술을 연마한 오하냔은 이집트, 오스만 제국을 거쳐 1911년 런던에서 공연했다. 그녀는 이사도라 던컨의 "자유 댄스" 방식에 영향을 받아 아르메니아 음악과 이란 음악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춤을 창작했다.[1] "살로메", "아나히트 사원에서" 등 그녀의 공연은 유럽에서 큰 인기를 얻었으며, 런던, 파리, 브뤼셀, 밀라노 등 유럽 주요 도시와 미국, 멕시코에서 공연했다.[1] 그녀의 공연은 언론의 주목을 받았고, 모리스 마테를링크, 르네 길 등 유명 작가들의 찬사를 받았다.[1]
1912년 파리에 정착한 오하냔은 문학에도 관심을 가져 자서전과 시를 발표했다. 1918년 출간된 그녀의 첫 저서 ''샤마키의 무용수''는 아나톨 프랑스의 서문과 함께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1] 이후에도 회고록, 소설 등 다양한 작품을 발표했다.
오하냔은 에밀 베르나르, 모리스 바레스, 나탈리 바니 등과 연애를 했고,[2] 1922년 멕시코 외교관과 재혼하여 여러 나라에서 거주하다 1934년 멕시코에 정착했다. 1936년에는 멕시코 시티에 댄스 학교를 설립하고, 멕시코 공산당에서 활동하며 번역 및 저술 활동을 이어갔다.[1] 1946년에는 소비에트 아르메니아에 관한 책 ''행복한 아르메니아''를 출간했다.
2. 1. 출생 및 가족 배경
2. 2. 교육
2. 3. 개인적 비극
2. 4. 첫 번째 결혼
3. 초기 경력 (배우 및 무용가)
아르멘 오하냔은 러시아 제국의 일부였던 샤마키(현재 아제르바이잔의 도시)에서 상류층 아르메니아인 가정에서 태어났다.[1] 1902년 샤마키 지진으로 가족은 바쿠로 이사했고, 그곳에서 러시아어 학교를 다녔다.[1] 1905년 졸업 후, 반 아르메니아인 박해로 아버지 에마누엘이 사망했다.[1] 그녀는 아르메니아계 이란인 의사와 결혼했으나 1년 만에 이혼했다.[1] 1906년 바쿠의 아르메니아 문화 연합 극단에서 배우 생활을 시작했고, 1908년 모스크바로 이주하여 조형 미술을 공부하며 말리 극장에서 춤을 선보였다.[1]
1909년 트빌리시 오페라에서 아르멘 오하냔이라는 예명으로 처음 출연한 후, 이란으로 가서 이란 입헌 혁명의 마지막 시기에 무용가이자 배우로 활동했다.[1] 테헤란에 페르시아 국립 극장의 창립 멤버 중 한 명이었으며,[1] 1910년 4월에는 페르시아 여성 자선 협회와 협력하여 음악 및 문학 갈라 행사를 조직하여 이란 여성들이 처음으로 무대에서 공연하고 영화를 볼 수 있게 했다.[1] 1910년 5월, 니콜라이 고골의 ''검찰관''을 페르시아어로 제작 및 연출하고 주연을 맡았다.[1]
이란에서 동양 무용 기술을 연마한 후, 이집트와 오스만 제국을 순회하고 1911년 런던에서 공연했다.[1] 1920년대 후반까지 이국적인 춤 열풍 속에서 이사도라 던컨의 "자유 댄스" 방식을 사용하여 자신만의 안무를 만들었다.[1] "살로메", "아나히트 사원에서" 등 그녀의 춤들은 유럽 대중을 사로잡았고,[1] 런던, 파리, 브뤼셀, 밀라노, 소피아, 마드리드, 미국, 멕시코 등지에서 공연했다.[1] 그녀의 공연은 언론에 널리 보도되었고, 모리스 마테를링크, 르네 길, 클로드 아네 등 작가들의 호평을 받았다.[1]
1912년 파리에 정착한 후, 오하냔은 문학에도 발을 들여 ''샤마키의 무용수''(1918)를 출판했고, 아나톨 프랑스가 서문을 썼다.[1] 이 책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고, 이후에도 회고록과 소설을 출판했다.[1] 벨 에포크 황혼기에 화가 에밀 베르나르, 작가 모리스 바레스 등 다양한 사람들과 관계를 맺었다.[2] 1922년 멕시코 외교관과 결혼하여 여러 도시에서 살다가 1934년 멕시코에 정착했다.[1]
3. 1. 배우 활동
3. 2. 무용가로서의 시작
4. 이란에서의 활동 (1909-1911)
1909년 트빌리시 오페라에서 아르멘 오하냔이라는 예명으로 처음 무대에 오른 후, 이란으로 건너가 이란 입헌 혁명의 마지막 시기에 무용가이자 배우로 활동했다.[1] 테헤란에서 페르시아 국립 극장을 설립하는 데 참여했으며, 1910년 4월에는 페르시아 여성 자선 협회와 협력하여 음악 및 문학 갈라 행사를 개최했다. 이 행사를 통해 이란 여성들은 처음으로 무대 공연을 관람하고 영화를 볼 수 있게 되었다.[1] 1910년 5월에는 니콜라이 고골의 ''검찰관''을 페르시아어로 직접 연출하고 주연을 맡아 공연했다.[1]
4. 1. 무용 및 연기 활동
4. 2. 여성 인권 신장 기여
4. 3. 연출 및 주연
4. 4. 동양 무용 연구
5. 유럽 및 미국 활동 (1911-1920년대 후반)
아르멘 오하냔은 이란에서 동양 무용 기술을 연마한 후, 1911년 런던에서 공연하며 서구 문화계에 이름을 알렸다.[1] 이사도라 던컨의 "자유 댄스" 방식에 영향을 받아 자신만의 안무를 창작하여, "살로메", "아나히트 사원에서" 등 다양한 작품을 선보였다.[1] 런던 오페라 하우스를 비롯한 유럽 주요 도시와 미국, 멕시코 등지에서 공연하며 명성을 얻었으며, 공연은 언론과 작가들의 호평을 받았다.[1]
1912년 파리에 정착한 오하냔은 문학에도 관심을 가져, 1918년 아나톨 프랑스가 서문을 쓴 첫 저서 ''샤마키의 무용수''를 출간했다.[2] 이 책은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이후에도 회고록, 소설 등 다양한 작품을 발표했다. 벨 에포크 시대에 화가 에밀 베르나르, 작가 모리스 바레스 등과 교류했고, 1922년에는 멕시코 외교관 마케도니오 가르자와 재혼했다.[2]
5. 1. "이국적인 춤" 열풍
5. 2. "자유 댄스" 스타일
5. 3. 주요 공연
5. 4. 언론 및 작가들의 평가
6. 문학 활동 (1912년 이후)
1912년 파리에 정착한 오하냔은 문학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그녀의 시와 자서전적인 글들은 언론에 실렸다. 1918년에는 아나톨 프랑스가 서문을 쓴 첫 번째 책 ''샤마키의 무용수''가 프랑스어로 출판되었고, 이 책은 영어, 스페인어, 독일어, 스웨덴어, 핀란드어로 번역되었다.[1] 이후 ''문명의 발톱에서''(1921), ''뱀 마술사의 웃음''(1931) 등 프랑스어로 된 회고록을 출간했다.[1] 소련 체류에 대한 ''세계의 여섯 번째 부분: 러시아로의 여행''(1928)과 소설 ''폐하의 독주자''(1929)도 출간했다.[1]
멕시코 공산당의 활동적인 멤버였던 오하냔은 남편과 함께 많은 책을 러시아어에서 스페인어로 번역했다.[2] 러시아, 소련, 멕시코 문학에 대한 책을 저술하기도 했다. 1946년에는 소비에트 아르메니아에 관한 책 ''행복한 아르메니아''를 스페인어로 출판하여 아르메니아 조상에 대한 관심을 다시 드러냈다.[2] 1952년에는 파리의 한 잡지에 아르메니아어로 "망명자로서의 나의 꿈"이라는 시를 발표했다.[2] 1969년에는 스페인어로 된 마지막 회고록을 출간했다.[2]
6. 1. 파리 정착 및 문학 입문
6. 2. 주요 저서
7. 개인사
아르멘 오하냔은 러시아 제국의 일부였던 샤마키(현재 아제르바이잔에 위치)의 상류층 아르메니아인 가정에서 태어났다.[1] 1902년 샤마키 지진으로 가족은 바쿠로 이주했고, 오하냔은 러시아어 학교를 졸업했다. 1905년 반 아르메니아인 박해로 아버지 에마누엘이 사망했다.[1] 그녀는 아르메니아계 이란인 의사와 결혼했으나 1년 만에 이혼했다. 1906년 바쿠의 아르메니아 문화 연합 극단에서 배우로 활동했고, 1908년 모스크바 말리 극장에서 춤을 선보였다.[1]
1909년 트빌리시 오페라에서 아르멘 오하냔이라는 예명으로 데뷔 후, 이란으로 건너가 무용가이자 배우로 활동하며 테헤란에 페르시아 국립 극장을 설립했다.[1] 1910년 이란 여성들이 처음으로 무대 공연과 영화를 관람할 수 있도록 음악 및 문학 행사를 조직했고, 니콜라이 고골의 ''검찰관''을 페르시아어로 제작, 연출했다.[1] 이란에서 동양 무용 기술을 연마한 후, 이집트, 오스만 제국, 런던 등지에서 공연하며 '이국적인 춤' 열풍의 주역으로 명성을 얻었다.[1] 이사도라 던컨의 "자유 댄스" 방식에 영향을 받아 자신만의 안무를 창작했고, "살로메", "아나히트 사원에서" 등 다수의 작품을 발표했다.[1] 그녀의 공연은 유럽, 미국, 멕시코 등지에서 호평을 받았다.[1]
1912년 파리에 정착한 후 문학 활동을 시작, ''샤마키의 무용수''(1918)를 비롯한 여러 회고록과 소설을 프랑스어로 출판했다.[1][2]
벨 에포크 시기 화가 에밀 베르나르, 작가 모리스 바레스 등과 교류했다.[2]
1922년 멕시코 외교관 마케도니오 가르자와 결혼, 1934년 멕시코에 정착했다.[2]
1936년 멕시코 시티에 댄스 학교를 설립했고, 멕시코 공산당에서 활동하며 러시아어 서적을 스페인어로 번역했다.[1] 1946년 소비에트 아르메니아에 관한 책 ''행복한 아르메니아''를 출판했고, 1952년 아르메니아어로 시 "망명자로서의 나의 꿈"을 발표했다.[1] 1958년 남편과 예레반을 방문, 문학 예술 박물관에 자료를 기증했다.[1] 1969년까지 집필, 번역, 출판 활동을 이어갔다.[1]
7. 1. 사랑과 연애
7. 2. 두 번째 결혼
7. 3. 거주지
8. 멕시코에서의 활동 (1934년 이후)
아르멘 오하냔은 1922년 멕시코의 경제학자이자 외교관인 마케도니오 가르자와 결혼하여 1934년 멕시코에 정착했다.[2] 1922년부터 1923년까지의 짧은 멕시코 여행 동안 멕시코의 토착 춤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1936년에는 멕시코 시티에 댄스 학교를 설립했다. 1920년대 중반부터 공산주의에 헌신하여 멕시코 공산당의 활동적인 일원이었다. 오하냔은 남편과 함께 러시아어 서적을 스페인어로 번역하는 작업을 하였고, 러시아, 소련, 멕시코 문학에 대한 책을 저술했다. 1946년에는 소비에트 아르메니아에 관한 책인 ''행복한 아르메니아''를 스페인어로 출판하여 아르메니아 조상에 대한 관심을 다시 드러냈다.[1] 1952년에는 파리의 한 잡지에 아르메니아어로 "망명자로서의 나의 꿈"이라는 시를 발표했다.
오하냔은 1940-1941년과 1946년에 멕시코 댄스계에 복귀했고, 60대였던 1949년과 1953년에는 파리 무대에 출연했다. 1958년 남편과 함께 소련을 두 번째 방문하여 예레반에 잠시 들러 차렌츠 문학 예술 박물관에 개인 파일을 일부 기증했다. 멕시코로 돌아온 후, 1969년까지 계속해서 쓰고 번역하고 출판했다.
8. 1. 문화 및 정치 활동
8. 2. 번역 및 저술
8. 3. 댄스계 복귀
9. 소련 방문 및 말년
아르멘 오하냔은 1922년 두 번째 남편인 멕시코 경제학자이자 외교관인 마케도니오 가르자와 결혼하여 함부르크, 멕시코, 뉴욕, 파리, 모스크바, 런던, 마드리드 등지에서 살았다.[2] 1934년, 오하냔 부부는 멕시코에 정착했다.[1] 1920년대 중반부터 공산주의에 헌신하여 멕시코 공산당에서 활동했다. 남편과 함께 러시아 문학 작품을 스페인어로 번역했으며, 러시아, 소련, 멕시코 문학에 관한 책을 저술했다. 1946년에는 소비에트 아르메니아에 대한 ''행복한 아르메니아''를 스페인어로 출판하여 아르메니아 조상에 대한 관심을 다시 드러냈다.[1] 1952년에는 파리의 한 잡지에 아르메니아어로 시 "망명자로서의 나의 꿈"을 발표했다.
1958년, 오하냔은 남편과 함께 두 번째로 소련을 방문하여 예레반에 잠시 들러 차렌츠 문학 예술 박물관에 개인 파일을 일부 기증했다. 멕시코로 돌아온 후에도 1969년까지 저술, 번역, 출판 활동을 계속했다.
9. 1. 소련 방문 (1958년)
9. 2. 마지막 저술 활동
참조
[1]
뉴스
Lakme
Daily Telegraph, London
1915-06-03
[2]
서적
Wild Heart: A Life: Natalie Clifford Barney and the Decadence of Literary Paris
HarperColli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