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차흐 공화국의 대통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차흐 공화국의 대통령은 아르차흐 공화국의 국가 원수이다. 1992년 독립 당시에는 최고회의 의장이 국가 원수 역할을 수행했으며, 1994년 신헌법 시행에 따라 대통령직이 신설되었다. 대통령은 5년 임기로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한 번 연임할 수 있다. 2017년 헌법 개정으로 대통령 중심제로 전환되었으며, 대통령은 행정부를 통제하고, 대외적으로 국가를 대표하며, 군 통수권자로서의 권한을 행사한다. 2023년 선거에서는 삼벨 샤흐라마냔이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차흐 공화국의 대통령 - 아라이크 하루튜냔
아라이크 하루튜냔은 아르차흐 공화국의 정치인으로, 제1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참전, 자유 조국당 공동 창당, 총리 및 국무장관을 거쳐 제4대 대통령을 역임했으나 2023년 사임 후 아제르바이잔 당국에 체포되었다. - 아제르바이잔의 정치인 - 일함 알리예프
일함 알리예프는 헤이다르 알리예프의 아들로, 1999년 신아제르바이잔당 부당수를 거쳐 2003년 아제르바이잔 대통령에 취임하여 2024년 5선에 성공했으며, 유럽 연합, 러시아 등과 외교 협력하는 한편 권위주의 통치, 인권 탄압 등의 비판을 받는다. - 아제르바이잔의 정치인 - 아브두라흐만 파탈리베일리
아브두라흐만 파탈리베일리는 아제르바이잔 출신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에 협력하여 SS 요원으로 활동하고, 종전 후에는 미국 전략사무국에서 일하다가 뮌헨에서 의문의 죽음을 맞이한 인물이다.
아르차흐 공화국의 대통령 | |
---|---|
일반 정보 | |
원어 명칭 | 아르메니아어: 러시아어: Президент Нагорно-Карабахской Республики |
직책 | 국가 원수, 정부 수반 |
위치 | 법률상: 스테파나케르트 사실상: 예레반 |
현직 | |
현직 대통령 | 삼벨 샤흐라마냔 |
취임일 | 2023년 9월 10일 |
관저 | 법률상: 대통령궁 사실상: 주 아르메니아 아르차흐 공화국 상주 대표 사무소 |
임기 | 5년 (1회 연임 가능) |
역사 | |
최초 취임 | 최고회의 의장: 아르투르 므크르찬 대통령: 로베르트 코차 랸 |
형성 | 최고회의 의장: 1991년 9월 2일 대통령: 1994년 12월 29일 |
이전 직책 | 최고회의 의장 |
임명 | |
임명 방식 | 직접 선거 |
기타 | |
웹사이트 | www.president.nkr.am/ |
2. 역사
wikitext
1992년 독립 당시에는 최고회의 의장이 국가 원수로서의 기능을 수행했다. 1994년 신헌법 시행에 따라 새롭게 대통령직이 설치되었고, 헌법 제87조에서 국가 원수로 규정되었다.[12]
사진 | 이름 | 재임 기간 | 정당 | ||||||
---|---|---|---|---|---|---|---|---|---|
취임 | 퇴임 | 재임 기간 | |||||||
order2 = 1 | image = Artur Mkrtchyan (cropped).jpg | officeholder = 아르투르 므크르치얀 | born_year = 1959 | died_year = 1992 | died = y | term_start = 1992년 1월 7일 | term_end = 1992년 4월 14일 | timeinoffice = 98일 | alt_party = 아르메니아 혁명 연맹 |
order2 = – | image = Georgi Petrosyan.JPG | officeholder = 게오르기 페트로시안 | born_year = 1952 | died_year = | term_start = 1992년 4월 15일 | term_end = 1993년 6월 14일 | timeinoffice = 1년 60일 | acting = y | alt_party = 아르메니아 혁명 연맹 |
order2 = – | image = | officeholder = 카렌 바부리안/Կարեն Բաբուրյանhy | born_year = 1954 | died_year = 2011 | term_start = 1993년 6월 14일 | term_end = 1994년 12월 29일 | timeinoffice = 1년 198일 | acting = y | alt_party = 무소속 |
아르차흐 공화국은 1994년 신헌법 시행에 따라 대통령직이 신설되었고, 헌법 제87조에서 국가 원수로 규정되었다.
번호 | 초상 | 이름 (출생–사망) | 재임 기간 | 정당 | 선출 | ||
---|---|---|---|---|---|---|---|
취임 | 퇴임 | 재임 기간 | |||||
1 | 로베르트 코차랸 (1954년생) | 1994년 12월 29일 | 1997년 3월 20일 | 2년 82일 | 무소속 | 1996 | |
– | ![]() | 레오니드 페트로시안 (1952–1999)레오나르드 페트로샨/Լեոնարդ Պետրոսյանhy | 1997년 3월 20일 | 1997년 9월 8일 | 172일 | 무소속 | – |
2 | 아르카디 구카시안 (1957년생) | 1997년 9월 8일 | 2007년 9월 7일 | 10년 | 무소속 | 1997, 2002 | |
3 | 바코 사하키안 (1960년생) | 2007년 9월 7일 | 2020년 5월 21일 | 12년 257일 | 무소속 | 2007, 2012, 2017 | |
4 | 아라익 하루튜냔 (1973년생) | 2020년 5월 21일 | 2023년 9월 1일 | 3년 103일 | 자유 조국 | 2020 | |
– | 다비트 이슈카냔 (1968년생) | 2023년 9월 1일 | 2023년 9월 10일 | 9일 | 아르메니아 혁명 연맹 | – | |
5 | 삼벨 샤흐라마냔 (1978년생) | 2023년 9월 10일 | 2024년 1월 1일 | 113일 | 무소속 | 2023 |
오랫동안 이원집정부제를 채택했으나, 2017년 2월 헌법 개정으로 대통령제로 이행함에 따라 총리직은 폐지되었고, 대통령 선거는 의회 총선거와 동시에 치러지게 되었다. 제3대 대통령 바코 사하키안의 2기 임기 만료는 2017년 7월 19일이었지만, 새 헌법에 따라 대통령 선거는 총선거가 있는 2020년까지 치러지지 않게 되었기 때문에, 7월 19일에는 의회에서 향후 3년간의 과도기 대통령이 선출되었고, 사하키안이 재선되었다.[12]
2023년 대통령 선거는 국제적으로 위반이라고 비난받았지만, 삼벨 샤흐라마냔이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