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르카디아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카디아 현은 펠로폰네소스 반도 중앙에서 동부에 걸쳐 위치하며, 펠로폰네소스 반도에서 가장 큰 현이다. 동쪽으로는 에게해에 면해 있으며, 북동쪽으로는 코린티아 현과 아르골리다 현, 남쪽으로는 라코니아 현, 남서쪽으로는 메시니아 현, 서쪽으로는 일리야 현, 북서쪽으로는 아하이아 현과 접한다. 메날로 산의 스키 리조트, 파르노나스 산 등 산과 지열 발전소, 석탄 광산, 감자, 올리브 농장, 목장이 있으며, 기후는 지역에 따라 다르다. 펠로폰네소스 반도에서 가장 긴 강인 알페이오스 강이 아르카디아 현에서 발원한다. 아르카디아는 산악 지형으로,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아르카디아-키프로스 방언이 사용되었고, 펠로폰네소스 동맹에도 참여했다. 현재는 5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나뉘어 행정 구역이 구성되어 있으며, 농업, 광업, 전력 생산, 관광업이 경제의 중심을 이룬다. 축구와 농구가 인기 있는 스포츠이며, 아스테라스 트리폴리스 FC, 아르카디코스 B.C. 등의 스포츠 클럽이 있다. 아르카디아는 그리스 신화에서 제우스, 헤르메스, 판 등의 신화 속 인물과 관련이 있으며, 이상향을 의미하는 단어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카디아현 - 만티네이아
    만티네이아는 고대 그리스의 도시로, 민주정을 채택하고 스파르타와 대립하며 두 차례의 전투가 벌어졌으며, 헬레니즘 시대와 로마 시대를 거쳐 현재는 트리폴리 주변 지역을 가리킨다.
  • 아르카디아현 - 테게아
    테게아는 고대 아르카디아의 도시로, 아르카디아 동남부에 위치하여 키누리아, 아르고스, 라코니아 등과 경계를 이루었으며, 아테나 알레아 신전을 중심으로 종교적 중심지 역할을 하고 스파르타와의 투쟁, 펠로폰네소스 동맹 활동 등 역사적 사건의 중심에 있었다.
  • 펠로폰네소스주의 현 - 코린티아현
    코린티아현은 펠로폰네소스 반도 북동부에 위치하며 코린토스만과 사로니코스만에 접하고, 코린토스 운하를 통해 이오니아 해와 에게 해를 연결하며, 현청 소재지는 코린토스인, 고대 코린토스의 중심지이자 현대에는 아테네 위성 도시로서 경제, 산업, 교통의 요충지이다.
  • 펠로폰네소스주의 현 - 라코니아현
    라코니아현은 그리스 펠로폰네소스반도 남부에 위치하며 스파르타가 있던 지역에서 유래, 비옥한 계곡과 산악 지형, 반도를 포함하고 스파르티를 현도로 역사 유적지와 관광 명소가 있는 현이다.
아르카디아현 - [지명]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이름아르카디아
현지 이름Περιφερειακή ενότητα Αρκαδίας
유형지역 단위
위치그리스 내 아르카디아
주변 지역펠로폰네소스 주
소재지트리폴리
면적4419
인구77592
인구 조사 년도2021
인구 밀도23 (2005년 기준)
별칭아르카디아인
우편 번호22x xx
지역 번호2710, 275x0, 279x0
자동차 번호판ΤΡ
웹사이트https://web.archive.org/web/20070901000000*/http://www.arcadia.gr/%7C공식 웹사이트 (보관됨)
아르카디아 위치
아르카디아 위치
아르카디아 자치체
아르카디아 자치체

2. 지리

아르카디아현은 펠로폰네소스반도에서 가장 큰 현으로, 반도 면적의 20~25%를 차지한다. 현 소재지는 트리폴리이다.

트리폴리 북서쪽 20km 지점에는 메날로 산 스키 리조트가 있다. 이외에도 파르노나스 산, 아르테미시오 산, 사이타 산, 스키아티오 산, 리케아 산, 치베루 산 등 여러 산이 있다.

그리스 7번 국도(E65)가 현의 북서쪽에서 남동쪽 축으로 지나가며, 남서쪽에서 끝난다. 메갈로폴리 남쪽에는 그리스 남부 대부분의 전력을 생산하는 지열 발전소와 석탄 광산이 있다. 아르카디아에는 아르테미시오 터널과 메갈로폴리 동쪽 터널, 두 곳의 터널이 있으며 메시니아와 아테네를 연결한다.

농업 측면에서, 아르카디아 평원에는 감자, 올리브 농장, 목장 등이 있으며, 특히 메갈로폴리 주변과 트리폴리, 레비디 사이 지역에 많다.

아르카디아 지방

2. 1. 위치 및 범위

펠로폰네소스반도 중부에서 동부에 걸쳐 위치하며, 현 동남부 키누리아 지방에서는 에게해(미르토 해, 아르골리다 만)에 면해 있다. 펠로폰네소스 반도에서 가장 큰 현으로, 반도 면적의 약 18%를 차지한다.

북동쪽으로는 코린티아현아르골리다현, 남쪽으로는 라코니아현, 남서쪽으로는 메시니아현, 서쪽으로는 일리야현, 북서쪽으로는 아하이아현과 접해 있다.

2. 2. 지형

아르카디아현의 주요부는 펠로폰네소스반도 중앙의 고원 지대에 위치하며, 산으로 둘러싸인 지형이다.

현의 북쪽, 아하이아현·코린티아현과의 경계에는 에리만토스산맥과 킬리니산의 산맥이 뻗어 있다. 알로아니아산의 대부분은 아르카디아현 쪽에 속한다. 현도인 트리폴리에서 약 29km 북서쪽에 위치한 메날로산은 스키장으로 유명하다. 현 북동부의 코린티아현에서 아르골리스현에 걸친 경계에는 올리기르토스산과 파르테니온산과 같은 산들이 늘어서 있다. 현의 남부, 라코니아현 및 메세니아현과의 경계에는 파르논산맥과 타이게토스산맥에 속하는 산들이 연이어 있다.[1]

펠로폰네소스반도에서 가장 긴 강인 알페이오스강은 아르카디아현의 메갈로폴리 부근에서 발원하여 서쪽의 일리아현으로 흘러 들어가 피르고스 부근에서 이오니아해로 흘러든다.[1]

아르카디아의 트리폴리 지역을 중심으로 한 중앙부에는 여러 평원과 "산간 분지", "폐쇄 분지"가 발달했다. 30km 길이의 "트리폴리-고원", "아르곤 페디온", 레비디 분지, 블라체르나 아르카디아/호투사/칸딜라 분지가 그것이다.[2] 이러한 분지들은 집중적인 카르스트화의 결과로, 물이 지하로 스며들어 배수된다. 모든 배수는 포노르 (그리스어: καταβόθρες) 및 지하 수로를 통과한다.[3][4]

폐쇄 분지 블라체르나/호투사/칸딜라


임시 호수 아르곤 페디온, 2019년 3월


메갈로폴리 근교

2. 3. 기후

아르카디아현의 기후는 동부, 남부, 해발 1000m 미만의 중앙 지역에서 덥고 습한 여름과 온화한 겨울을 특징으로 한다. 가을과 겨울은 주로 비가 많이 오지만, 서부와 북부의 산, 타이게토스산과 마이나로산은 겨울에 눈이 많이 내린다.

3. 지질 및 수문 지질

아르카디아는 거의 전적으로 산악 지형이며 펠로폰네소스반도의 "탄산염 플랫폼"(석회질 또는 석회암 퇴적층)의 일부이다. 반도 전체는 격렬한 구조 운동(단층, 충상 단층 및 지역 변성 작용)에 의해 형성되었다.[1] 아르카디아의 트리폴리 지역을 중심으로 한 중앙부에는 지질학적으로 매혹적인 현상인 특별한 형태의 지형이 발달했다. 여러 평원과 "산간 분지", 심지어 "폐쇄 분지"가 있는데, 30km 길이의 "트리폴리-고원", "아르곤 페디온", 레비디 분지, 블라체르나 아르카디아/호투사/칸딜라 분지가 그것이다.[2]

평원과 분지의 특이성은 집중적인 카르스트화의 결과이다. 물은 지표면 수로를 통해 지형을 침식하고 배수하는 대신 지하로 스며든다. 모든 배수는 포노르(그리스어: καταβόθρες) 및 지하 수로를 통과한다.[3][4] 분지에서 농촌 활동에 추가적인 문제는 겨울철 강우량이 많을 때 토지가 침수되거나 임시 호수가 생기기도 한다는 것이다. 오늘날에도 카타보트레를 통한 배수가 종종 너무 느려서 적시에 경작을 시작하기 어렵다.

4. 역사



아르카디아는 주변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예로부터 고향을 떠난 민족의 피난처였다. 고대 그리스 암흑 시대(기원전 1200년~기원전 700년경)에 도리아인이 펠로폰네소스 반도에 침입했을 때, 연안부에서는 미케네 방언 대신 Doric Greek|도리아 방언영어이 사용되었지만, 아르카디아 지방에서는 미케네 방언이 살아남아 Arcadocypriot Greek|아르카도=키프로스 방언영어으로 발전했다. 헤로도토스는 아르카디아 주민을 Pelasgians|펠라스고이인영어(그리스인이 그리스에 들어오기 전 선주민)이라고 기록했다.

스파르타는 아르카디아의 여러 나라를 포함한 인근 도시 국가를 펠로폰네소스 동맹에 가입시켜 전쟁에 동원했다. 기원전 371년, 레우크트라 전투에서 스파르타가 테베에게 패배하자, 아르카디아는 Arcadian League|아르카디아 동맹영어을 결성했다. 그러나 테베의 동맹국으로 남을지를 두고 분열되어, 만티네이아 전투(기원전 362년)에서는 양측으로 나뉘어 싸웠다.[3] 만티네이아 전투 이후 아르카디아 동맹의 영향력은 감소했지만, 기원전 3세기에는 존속했다. 기원전 230년대에 아르카디아 도시들이 아카이아 동맹에 가입하기 전 소멸한 것으로 추정된다.[3] 이후 아르카디아는 로마 제국에 통치되었다.[3]

로마 제국 붕괴 후, 아르카디아는 비잔틴 제국의 일부가 되었다. 제4차 십자군 이후 아카이아 공국에 속했다가, 1260년대부터 모레아 전제공국의 비잔틴 그리스인에게 점차 회복되어, 성 게오르기우스 전투에서 1320년에 완료되었다. 1460년 전제공국과 함께 오스만 제국에 넘어갔으며, 1687~1715년 베네치아 공화국 통치 시기를 제외하고 1821년까지 터키 지배를 받았다.

트리폴리 공방전에서 승리한 후 마니오트 깃발을 게양하는 판지오티스 케팔라스 사령관


오스만 제국의 360년 지배 후, 아르카디아현은 그리스 독립 전쟁의 주요 무대 중 하나였다. 1821년 Siege of Tripolitsa|트리폴리 공방전영어이 유명하다. 1830년 아르카디아를 포함한 펠로폰네소스 지방은 그리스 왕국 영토가 되었다.[3]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아메리카 대륙으로 이민이 잇따라 아르카디아현 인구는 거의 반으로 줄었다.[3] 제2차 세계 대전그리스 내전으로 많은 마을과 도시가 피해를 입었지만, 전후 재건되었다.[3] 1965년 규모 5.9의 지진으로 메갈로폴리와 주변 가옥이 붕괴되어 많은 사람이 집을 잃었지만, 내진 건축으로 복구되었다.[3] 2007년에는 대규모 산불이 발생했다.[3]

4. 1. 고대

주변이 산으로 둘러싸인 아르카디아는 예로부터 고향을 떠난 민족의 피난처였다. 고대 그리스의 "암흑 시대"(기원전 1200년부터 기원전 700년경), 도리아인이 펠로폰네소스 반도에 침입하여 연안부에서는 미케네 방언을 대신하여 Doric Greek|도리아 방언영어이 사용되었지만, 아르카디아 지방에서는 미케네 방언이 살아남아, Arcadocypriot Greek|아르카도=키프로스 방언영어으로 발전했다. 아르카도=키프로스 방언은 문학에 사용되지는 않았지만, 비문에 새겨졌다. 산(San, Ϻel)의 변종인 찬(Tsan)이라는 그리스 문자는 아르카디아에서만 볼 수 있다.[3]

헤로도토스는 아르카디아의 주민이 Pelasgians|펠라스고이인영어("그리스인"이 그리스에 들어가기 전에 살았던 선주민)이라고 기록했다. 아르카디아의 이름은 『일리아스』에도 등장한다.[3]

펠로폰네소스 반도를 지배한 스파르타는 아르카디아 여러 나라를 포함한 인근 도시 국가를 펠로폰네소스 동맹에 가입시켜 그 전쟁에 동원했다. 기원전 371년, 레우크트라 전투에서 스파르타가 테베에게 패배하자, 아르카디아는 스파르타의 간섭을 배제하고 Arcadian League|아르카디아 동맹영어을 결성했다. 아르카디아 동맹은 펠로폰네소스의 정치에서 활발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테베의 동맹국으로 남아야 할지를 두고 아르카디아 동맹은 분열의 위기에 빠져, 만티네이아 전투(기원전 362년)에서는 쌍방으로 나뉘어 싸우게 되었다.[3]

만티네이아 전투 이후, 아르카디아 동맹의 영향력은 감소했지만, 기원전 3세기에는 적어도 존속했다. 동맹 해체 시기는 불분명하지만, 기원전 230년대에 아르카디아의 도시가 아카이아 동맹에 가입하기 전에는 소멸한 것으로 추정된다.[3]

이후, 아르카디아 지방은 로마 제국의 통치하에 들어갔다.[3]

4. 2. 중세 및 오스만 제국 시대

서방 로마 제국의 붕괴 이후 아르카디아는 그리스어를 사용하는 비잔틴 제국의 일부로 남았다. 아르카디아는 아름답고 한적한 지역으로 남아 있었으며, 그곳의 주민들은 단순한 목가적인 삶을 사는 목동으로 비유되어 행복하게 살았으며, 이는 아르카디아가 베르길리우스목가에서 불멸의 존재가 되었다. 나중에는 야코포 산나차로의 목가적인 걸작인 《아르카디아》(1504)에서 영감을 받아, 어떤 상상의 낙원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아르카디아 (유토피아)도 참조하라.

제4차 십자군 이후 이 지역은 아카이아 공국의 일부가 되었지만, 1260년대부터 모레아 전제공국의 비잔틴 그리스인에 의해 점차 회복되었으며, 이는 성 게오르기우스 전투에서 1320년에 완료되었다. 이 지역은 1460년 전제공국 전체와 함께 오스만 제국의 손에 넘어갔다. 1687~1715년의 베네치아 공화국 통치 시기를 제외하고, 이 지역은 1821년까지 터키의 지배를 받았다.

로마 제국의 동서 분열 이후에는 동로마 제국 영토가 되었다. 그러나 제4차 십자군(1202년 - 1204년)의 결과 아카이아 공국의 일부가 되었으며, 15세기 중반 팔레올로고스 왕조가 탈환할 때까지 그 지배하에 있었다.

아르카디아 지방은 한적하고 아름다운 전원 풍경을 유지했다. 베르길리우스의 전원시나 Jacopo Sannazaro|야코포 산나차로영어의 회화 『아르카디아』(1504년)는 이상향으로서의 아르카디아의 인상을 결정짓게 되었다.

16세기, 아르카디아는 오스만 제국의 지배하에 들어가 많은 집락이 건설되었다.

4. 3. 근현대



오스만 제국의 360년간의 지배 이후, 아르카디아현은 그리스 독립 전쟁의 주요 무대 중 하나였다. 1821년의 Siege of Tripolitsa|트리폴리 공방전영어은 유명하다. 아르카디아를 포함한 펠로폰네소스 지방은 1830년에 건국된 그리스 왕국의 영토가 되었다.[3] 이후 아르카디아의 경제는 향상되었다.[3]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아메리카 대륙으로의 이민이 잇따르면서 아르카디아 현의 인구는 거의 반으로 줄었다.[3] 제2차 세계 대전그리스 내전으로 인해 많은 마을과 도시가 피해를 입었지만, 전후 재건되었다.[3]

1965년에는 규모 5.9의 지진이 발생하여 메갈로폴리와 그 주변에서 많은 가옥이 붕괴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집을 잃었지만, 내진 건축으로 복구가 이루어졌다.[3]

2007년에는 대규모 산불이 발생했다.[3]

2008년, 고전학자 크리스토스 메르구피스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미라 유해(실제 무덤이 아님)가 사실 그리스 펠로폰네소스의 고르티니아-아르카디아에 위치해 있을 수 있다는 이론을 제안했다.[2] 2008년부터 이 연구는 현재 그리스에서 진행 중이다.[2] 이 연구는 2008년 5월 CNN 인터내셔널에서 처음 언급되었다.[2]

5. 언어

그리스 암흑기(기원전 1200년 ~ 기원전 800년) 동안 도리아 방언이 펠로폰네소스에 도입되었을 때, 더 오래된 아르카디아-키프로스 방언은 아르카디아에서 살아남은 것으로 보인다. 아르카디아-키프로스 방언은 문학 방언이 되지는 못했지만, 비문을 통해 알려져 있다. 은 아르카디아에서만 나타나는 그리스 문자로, 키릴 문자 И와 같은 모양을 하고 있으며, 다른 방언에서 't'가 된 상황에서 구개수음화 자음에서 파생된 파찰음을 나타낸다.[1]

오늘날 아르카디아 해안에서 여전히 사용되는 차코니아 방언은 도리아 방언의 후손으로, 고대 그리스 방언이 살아남은 특별한 사례이다. 차코니아의 주요 도시들은 아르카디아 해안 도시인 레오니디오와 티로스이다.[2]

레오니디오와 티로스를 중심으로 한 아르카디아현 동남부의 연안 지역(남 키누리아, 또는 Tsakonia|차코니아 지방영어)에서는 그리스어의 변종인 차코니아어가 사용되고 있다. 이 지역의 언어는 도리아 방언의 후예로, 고대 그리스어의 방언이 현재까지 살아남아 있는 보기 드문 사례이다.[3]

6. 행정 구역

아르카디아 현은 2011년 칼리크라티스 개혁 이전에는 4개의 주(그리스어: επαρχία, 에파르히아)로 나뉘어 있었다.[7] 각 주는 다음과 같다.

주 이름중심지
고르티니아 주 (Γορτυνία|고르티니아el)디미차나
키누리아 (Κυνουρία|키누리아el)레오니디오
만티네이아 주 (Μαντινεία|만티네이아el)트리폴리
메갈로폴리 주 (Μεγαλόπολη|메갈로폴리el)메갈로폴리스



이 주들은 2006년 이후 그리스에서 법적인 지위를 갖지 않는다.

6. 1. 현(Περιφερειακή ενότητα)

2011년 칼리크라티스 정부 개혁에 따라, 이전의 아르카디아 현(Νομός Αρκαδίαςel)에서 아르카디아 현이 생성되었다.[7] 이 현은 현재의 지방 자치 단체와 동일한 영토를 가지고 있다.

메갈로폴리


레오니디오


카리타이나


디미차나


개혁과 동시에, 다음과 같이 자치 단체가 재편성되었다.[7]

새로운 자치 단체이전 자치 단체중심지
고르티니아디미차나디미차나
비티나
이라이아
클레이토르
콘토바제이나
랑가디아
트리콜로노이
트로파이아
메갈로폴리메갈로폴리메갈로폴리
고르티나
팔라이시아
노티아 키누리아
(보레아 키누리아)
노티아 키누리아아스트로스
노티아 키누리아
(노티아 키누리아)
레오니디오레오니디오
코스마스
티로스
트리폴리트리폴리트리폴리
발체치
코리시오
레비디
만티네이아
스키리티다
테게아
팔란토스


6. 2. 시(Δήμος)

아르카디아 현은 5개의 자치 단체(디모스)로 구성된다.[7]

|자치 단체명철자정청 소재지면적 Km²인구
1트리폴리Τρίπολη|트리폴리el트리폴리1,48148,730
2노티아 키누리아Βόρεια Κυνουρία|보레이아 키누리아el아스트로스577.012,825
3고르티니아Γορτυνία|고르티니아el디미차나1,054.318,327
4노티아 키누리아Νότια Κυνουρία|노티아 키누리아el레오니디오586.39,001
5메갈로폴리Μεγαλόπολη|메갈로폴리el메갈로폴리727.313,152



2011년 칼리크라티스 정부 개혁 이전, 아르카디아 현은 22개의 디모스, 1개의 키노티타(총 23개 기초 자치체)로 구성되었다. 개혁 이후 옛 자치체는 새 자치체(디모스)를 구성하는 행정구(디모티키 에노티타)가 되었다.

|옛 자치체철자정청 소재지신 자치체
1트리폴리Τρίπολη|트리폴리el트리폴리트리폴리
2티로스Τυρός|티로스el티로스노티아 키누리아
3발테치Βαλτέτσι|발테치el아세아트리폴리
4노티아 키누리아Βόρεια Κυνουρία|보레이아 키누리아el아스트로스노티아 키누리아
5비티나Βυτίνα|비티나el비티나고르티니아
6고르티나Γορτυνα|고르티나el카리테나메갈로폴리
7디미차나Δημητσάνας|디미차나스el디미차나고르티니아
8이라이아Ηραία|이라이아el팔룸바고르티니아
9클레이토르Κλείτωρ|클레이토르el미그달리아고르티니아
10콘토바제이나Κοντοβάζαινα|콘토바제나el콘토바제나고르티니아
11코리시오Κορύθιο|코리티오el스테노트리폴리
12랑가디아Λαγκαδία|랑가디아el라가디아고르티니아
13레비디Λεβίδι|레비디el레비디트리폴리
14레오니디오Λεωνίδιο|레오니디오el레오니디오노티아 키누리아
15만티네이아Μαντίνεια|만티네이아el네스타니트리폴리
16메갈로폴리Μεγαλόπολη|메갈로폴리el메갈로폴리메갈로폴리
17스키리티다Σκυρίτιδα|스키리티다el브라호케라시아트리폴리
18테게아Τεγέα|테게아el스타디오트리폴리
19트리콜로노이Τρικόλωνοι|트리콜로노이el스템니차고르티니아
20트로파이아Τρόπαια|트로파이아el트로페아고르티니아
21팔라이시아Φαλαισία|팔라이시아el레온다리메갈로폴리
22팔란토스Φάλανθος|팔란토스el다비아트리폴리
23코스마스Κοσμάς|코스마스el코스마스노티아 키누리아



6. 3. 구 자치체(Δημοτική ενότητα)

2011년 칼리크라티스 개혁 이전 아르카디아 현은 22개의 디모스(Δήμος, δήμοι / 자치체)와 1개의 키노티타(Κοινότητα, κοινότητες / 공동체)인 코스마스로 구성되어 있었다. 칼리크라티스 개혁 이후, 구 자치체는 신 자치체를 구성하는 행정구(Δημοτική ενότητα / 디모티키 에노티타)가 되었다.[7]

아래 표는 칼리크라티스 개혁(2010년) 이전의 아르카디아 현의 기초 자치체(22개 디모스, 1개 키노티타) 목록이다. 개혁 이후, 이들은 신 자치체(디모스)를 구성하는 행정구(디모티키 에노티타)가 되었다.

|옛 자치체철자정청 소재지신 자치체
1트리폴리Τρίποληel트리폴리트리폴리
2티로스Τυρόςel티로스 Τυρός|티로스el노티아 키누리아
3발테치Βαλτέτσιel아세아 Ασέα Αρκαδίας|아세아 아르카디아스el트리폴리
4북 키누리아Βόρεια Κυνουρίαel아스트로스노티아 키누리아
5비티나Βυτίναel비티나 Βυτίνα|비티나el고르티니아
6고르티나Γορτυναel카리테나 Καρύταινα|카리테나el메갈로폴리
7디미차나Δημητσάναel디미차나고르티니아
8이라이아Ηραίαel팔룸바고르티니아
9클레이토르Κλείτωρel미그달리아고르티니아
10콘토바제이나Κοντοβάζαιναel콘토바제나고르티니아
11코리티오Κορύθιοel스테노트리폴리
12랑가디아Λαγκαδίαel라가디아 Λαγκαδία Αρκαδίας|랑가디아 아르카디아스el고르티니아
13레비디Λεβίδιel레비디 Λεβίδι Αρκαδίας|레비디 아르카디아스el트리폴리
14레오니디오Λεωνίδιοel레오니디오노티아 키누리아
15만티네이아Μαντίνειαel네스타니 Νεστάνη Αρκαδίας|네스타니 아르카디아스el트리폴리
16메갈로폴리Μεγαλόποληel메갈로폴리메갈로폴리
17스키리티다Σκυρίτιδαel브라호케라시아트리폴리
18테게아Τεγέαel스타디오트리폴리
19트리콜로노이Τρικόλωνοιel스템니차 Στεμνίτσα Αρκαδίας|스템니차 아르카디아스el고르티니아
20트로파이아Τρόπαιαel트로페아 Τρόπαια Αρκαδίας|트로페아 아르카디아스el고르티니아
21팔라이시아Φαλαισίαel레온다리메갈로폴리
22팔란토스Φάλανθοςel다비아트리폴리
23코스마스 ※Κοσμάςel코스마스노티아 키누리아


  • 표의 번호는 오른쪽 그림과 대응한다. "옛 자치체" 열에서 ※ 표시가 있는 것은 키노티타, 그 외는 디모스이다. "정청 소재지" 열에서 굵게 표시된 것은 신 자치체의 정청 소재지가 된 것이다.*


6. 4. 주(Επαρχία)

2006년 이전 아르카디아 현은 4개의 주(그리스어: επαρχία, 에파르히아)로 나뉘어 있었다.[7]

주 이름중심지
고르티니아 주 (Γορτυνία|고르티니아el)디미차나
키누리아 (Κυνουρία|키누리아el)레오니디오
만티네이아 주 (Μαντινεία|만티네이아el)트리폴리
메갈로폴리 주 (Μεγαλόπολη|메갈로폴리el)메갈로폴리스



이 주들은 2006년 이후 그리스에서 법적인 지위를 갖지 않는다.

7. 경제

아르카디아현의 경제는 농업, 광업, 전력 생산, 관광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농업 부문에서는 감자 농장(아르카디아 중부와 북중부에 많음), 혼합 농장, 올리브 농장, 목장이 주를 이루며, 특히 메갈로폴리 주변 지역과 트리폴리와 레비디 사이 지역에 많다.

광업 부문에서는 메갈로폴리 남쪽에 펠로폰네소스반도 최대 규모의 광산 지역이 있으며, 갈탄을 채굴한다.

전력 생산 부문에서는 메갈로폴리 남쪽에 위치한 Megalopoli Power Plant|메갈로폴리 발전소영어그리스 남부 대부분 지역에 전력을 공급한다. 이 화력 발전소는 1967년에 건설을 시작하여 1970년에 가동을 시작했으며, 발전소 남쪽에는 펠로폰네소스 반도에서 가장 큰 광산이 있다.

관광업 부문에서는 트리폴리에서 북서쪽으로 20km 떨어진 곳에 메날로 산 스키 리조트가 있다.

8. 교통

A7 고속도로 (E65)는 트리폴리코린토스, 아테네를 연결하며, 메갈로폴리와 칼라마타까지 이어진다. 펠로폰네소스 반도의 기부에 위치한 코린토스와 반도 남서부의 칼라마타 방면을 잇는 간선 도로가 트리폴리를 통과한다.[1]

아르카디아에는 아르테미시오 터널과 메갈로폴리 동쪽 터널, 두 개의 터널이 있다. 이 터널들은 메세니아와 아테네 사이의 교통 흐름에 기여한다.[1]

19세기부터 20세기에 걸쳐, 피레우스-파트라-펠로폰네소스 철도 회사(후에 국유화되어 그리스 국철의 일부가 됨)가 펠로폰네소스 반도에 협궤 (궤간 1,000mm의 '미터 게이지') 노선을 부설했다.[1]

8. 1. 도로

구분내용
주요 도로
보조 도로
터널
자동차 도로
유럽 고속도로


8. 2. 철도

트리폴리역


19세기부터 20세기에 걸쳐, 피레우스-파트라-펠로폰네소스 철도 회사(후에 국유화되어 그리스 국철의 일부가 됨)가 펠로폰네소스 반도에 협궤 (궤간 1,000mm의 '미터 게이지') 노선을 부설했다.

8. 3. 공항

아르카디아현에는 공항이 없다. 군용으로 사용되는 트리폴리 비행장이 있다.

9. 문화 및 관광


9. 1. 신화 속 아르카디아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아르카디아라는 명칭은 아르카스에서 유래한다.

제우스의 탄생지로 여겨지는 리케온 산은 현재의 아르카디아 현에 있다. 잔혹했던 왕 뤼카온은 이곳에서 제우스에 의해 늑대인간으로 변했다. 뛰어난 여성 사냥꾼 아탈란테는 아르카디아 왕 이아소스의 딸이라고 전해진다. 또한, 헤르메스는 제우스의 아들이며 그의 탄생지라고도 한다.

9. 2. 이상향으로서의 아르카디아

아르카디아는 시골의 격리된 지역으로, 주민들이 원시적인 목축을 영위했던 곳이다. 이곳은 소박하지만 행복한 생활을 그린 전원시를 낳았고, "아르카디아"라는 명칭은 상상의 소박한 낙원을 가리키는 단어가 되었다. 베르길리우스의 전원시나 야코포 산나차로의 그림은 이러한 이상향으로서의 아르카디아의 인상을 더욱 확고하게 만들었다.[12]

10. 스포츠

아르카디아현에는 다음과 같은 스포츠 팀이 있다.

종목팀명연고지
축구아스테라스 트리폴리스 FC트리폴리
축구레오니디오 FC레오니디오
농구아르카디코스 B.C.트리폴리[11]


11. 주요 인물

아르카디아현은 신화, 고대, 근현대에 걸쳐 다양한 주요 인물들을 배출했다. 신화 속 인물로는 리카온, 헤르메스, 판, 아탈란테가 있다. 고대에는 헬레니즘 시대의 그리스 역사가 폴리비오스와 그리스의 장군이자 정치가인 필로포이멘이 있었다.

근현대에는 그리스 독립 전쟁의 야전 사령관 Θεόδωρος Κολοκοτρώνης와 그의 조카 니키타스 스타마텔로풀로스, 그리스 총리를 지낸 알렉산드로스 파파나스타시우, 시인 Κώστας Καρυωτάκης, 정치인 그리고리스 람브라키스, 영화 감독 코스타 가브라스, 울트라마라톤 선수 Yiannis Kouros 등이 아르카디아현 출신이다.

11. 1. 신화 속 인물


  • 리카온: 아르카디아의 신화적인 왕으로, 제우스에 의해 늑대인간으로 변했다.[1]
  • 헤르메스: 체육관, 웅변, 도둑질, 전령, 여행의 신이다.[1]
  • 판: 야생, 양치기, 가축, 산의 야생, 사냥, 시골 음악의 신이자 님프의 동반자이다.[1]
  • 아탈란테: 아르카디아 왕의 딸이라고 전해지는 그리스 신화 속 여성이다.[1]

11. 2. 고대 인물

11. 3. 근현대 인물


  • Θεόδωρος Κολοκοτρώνης|테오도로스 콜로코트로니스el (1770–1843): 그리스 독립 전쟁 (1821–1832)의 야전 사령관. 리보비시에서 성장하고 살았다.
  • 니키타스 스타마텔로풀로스 (1784–1849): "투르크를 먹는 니키타라스"라는 별명을 가진 그리스 혁명가. 테오도로스 콜로코트로니스의 조카. 투르코레카 출신.
  • 알렉산드로스 파파나스타시우 (1876–1936): 그리스 총리 (1924년 3월 – 1924년 7월, 1932년 5월 – 1932년 6월)이자 사회학자. 레비디 출신.
  • Κώστας Καρυωτάκης|코스타스 카리오타키스el (1896–1928): 시인. 트리폴리 출생.
  • 그리고리스 람브라키스 (1912–1963): 정치인. 케라시차 출생.
  • 코스타 가브라스 (1933–): 영화 감독. 루트라 이라이아스 출생.
  • Yiannis Kouros|야니스 쿠로스영어 (1956–): 울트라마라톤 선수. 트리폴리 출생.

12. 대중문화 속 아르카디아


  • 필립 시드니 경은 누이 메리 시드니를 위해 목가적 로맨스와 시를 결합한 소설 펨브로크 백작 부인의 아르카디아를 썼다. 이 작품은 1세기 넘게 큰 인기를 누렸다.[12]
  • 톰 스토파드의 연극 ''아르카디아''(1993)는 상을 받았다.[12]
  • SF 드라마 닥터 후에서 아르카디아는 닥터의 고향 행성인 갈리프레이의 두 번째 도시이다.[12]
  • 마리아나스 트렌치의 노래 "Acadia"(2009–2010)는 아르카디아를 "훼손되지 않은 조화로운 황야"로 묘사했다.[12]
  • 영화 ''레지던트 이블 4 - 애프터라이프'' 후반부의 구조선 이름은 "아르카디아"이다.[12]
  • TV 시리즈 ''리서렉션''(2014)은 미주리주 아르카디아에서 진행되며, 라틴어 구절 ''Et in Arcadia ego''를 언급한 것으로 보인다.[12]
  • 그리스 음악가 데미스 루소스는 1978년에 "아르카디아의 사랑스러운 여인"이라는 노래를 발표했다.[12]
  • 비디오 게임 ''바이오쇼크''에는 아르카디아라는 레벨과 설정이 등장한다.[12]
  • 비디오 게임 ''라이프 이즈 스트레인지''는 오리건주 허구의 도시 아르카디아 베이에서 진행된다.[12]
  • BBC 4는 템스 강의 약 19.31km 구간을 다룬 텔레비전 다큐멘터리 ''아르카디아를 찾아서''(2017년 8월 9일)를 방송했다.[12]
  • 아르카디아의 이야기는 기예르모 델 토로가 제작한 애니메이션 3부작 시리즈이다.[13]
  • 아르카디아는 비디오 게임 ''어쌔신 크리드 오디세이''(2018)에서 고대 아테네 또는 고대 스파르타에 의해 정복/방어될 수 있는 그리스 지역 중 하나이며, 펠로폰네소스 전쟁 동안 주요 그리스 곡창 지대로 여겨진다.[12]
  • ''아르카디아''는 하록 선장의 우주 전함의 이름이다.[12]

참조

[1] 간행물 Geologie von Griechenland… See Literature
[2] 간행물 I. Mariolakos (Greek geologist) describes these special geological phenomena of Arcadia and relates them to local ancient myths. See "Literature" and "External Links"
[3] 간행물 Ford/Williams, Karst Hydrogeology…See Literature
[4] 문서 There are 45 kathavothres (! Morfis, Plate 9, 4.6.2, p. 186) in the above mentioned basins (some are inactive now)
[5] 웹사이트 Alexander the Great New Research: Are His Mummified Remains In Gortynia-Arkadia, Greece? http://ireport.cnn.c[...] Ireport CNN 2008-05-20
[6] 웹사이트 Alexander the Great Discovery-New Important Research Conducted in Greece http://ireport.cnn.c[...] Ireport CNN 2008-02-22
[7] 웹사이트 ΦΕΚ A 87/2010, Kallikratis reform law text http://www.et.gr/ido[...] Government Gazette
[8] 웹사이트 Arcadia Portal | Η Ηλεκτρονική Πύλη της Αρκαδίας http://www.arcadiapo[...] 2024-05-28
[9] 웹사이트 Τυρός Αρκαδίας https://web.archive.[...] 2016-01-23
[10] 웹사이트 Leonidion.gr https://www.leonidio[...] 2024-05-28
[11] 웹사이트 ΙΣΤΟΡΙΑ http://www.arcadikos[...] 2023-03-15
[12] 웹사이트 In search of Arcadia https://www.bbc.co.u[...] 2017-08-10
[13] 웹사이트 DreamWorks Tales of Arcadia Trilogy Planned for Netflix with Trollhunters Spin-off Series http://collider.com/[...] 2017-11-0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