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리랑 6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리랑 6호는 대한민국이 개발을 추진 중인 정지궤도 지구관측위성이다. 2016년 8월 9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러시아의 국제발사체서비스와 앙가라 1.2 로켓을 이용하여 2022년 러시아 플레세츠크 우주기지에서 발사하는 계약을 체결했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발사 일정이 무산되었다. 현재 유럽 우주국(ESA)과 협력하여 발사를 추진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아리랑 3A호
아리랑 3A호는 대한민국에서 개발하여 2015년에 발사된 지구 관측 위성으로, 고해상도 카메라와 적외선 센서를 통해 주야간으로 지구를 정밀하게 관측하며 기후 변화 분석과 재해 감시에 활용되고, 쎄트렉아이 자회사를 통해 위성 영상이 상용 판매된다.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아리랑 3호
아리랑 3호는 한국항공우주산업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국제협력을 통해 개발한 70cm급 고해상도 광학장비 탑재 지구관측위성으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쎄트렉아이 자회사를 통해 상용화되었으며 2012년 일본에서 발사되었다. - 지구 관측 위성 - 랜드샛 계획
랜드샛 계획은 미국에서 주도하는 장기적인 위성 프로그램으로 지구 관측을 통해 자원 관리, 기후 변화 연구, 재해 모니터링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 데이터를 수집하며, USGS와 NASA의 협력으로 수행되고 있다. - 지구 관측 위성 - TIMED
TIMED는 NASA의 솔라 테라설 프로그램 탐사선으로, 지구 대기의 중간권, 하부 열권, 전리층 영역을 연구하며, 에너지 전달과 변화가 지구물리학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다양한 과학 장비를 탑재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대중에게 무료로 제공한다. - 정찰위성 - 아리랑 3A호
아리랑 3A호는 대한민국에서 개발하여 2015년에 발사된 지구 관측 위성으로, 고해상도 카메라와 적외선 센서를 통해 주야간으로 지구를 정밀하게 관측하며 기후 변화 분석과 재해 감시에 활용되고, 쎄트렉아이 자회사를 통해 위성 영상이 상용 판매된다. - 정찰위성 - 아리랑 5호
아리랑 5호는 대한민국 최초의 SAR 관측 위성으로, 2013년 러시아에서 발사되어 야간 및 악천후에도 영상 획득이 가능하며 재난 감시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아리랑 6호 | |
---|---|
아리랑 6호 (KOMPSAT-6) | |
관리 기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
임무 유형 | 지구관측위성, 정찰위성 |
인공위성 | 미정 |
궤도 진입일 | 미정 |
발사일 | 미정 |
발사체 | 미정 |
발사장소 | 미정 |
임무 기간 | 미정 |
무게 | 미정 |
폭 | 미정 |
크기 | 미정 |
길이 | 미정 |
전력 | 미정 |
궤도 요소 | |
반장축 | 미정 |
궤도 이심률 | 미정 |
궤도 경사 | 미정 |
궤도 주기 | 미정 |
원지점 고도 | 미정 |
근지점 고도 | 미정 |
궤도 | 미정 |
탑재체 | |
탑재체 종류 | SAR |
해상도 | 0.5m |
기타 정보 | |
웹사이트 | 미정 |
NSSDC ID | 미정 |
우주 개발 중장기 계획 | |
계획 발표 | 2013년 11월 |
계획 내용 | http://www.msip.go.kr/www/brd/m_158/view.do?seq=433 |
관련 뉴스 | |
뉴스 제목 | 한국, 우크라이나 정세로 위성 발사 계획에 차질 |
언론사 | 중앙일보 일본어판 |
기사 날짜 | 2022년 4월 12일 |
원본 기사 링크 | https://web.archive.org/web/20220412030342/https://japanese.joins.com/JArticle/289855 |
2. 역사
2016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러시아의 국제발사체서비스(ILS)와 앙가라 1.2를 이용해 아리랑 6호를 발사하기로 계약했지만,[4]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무산되고 유럽의 ESA와 협력하여 발사할 예정이다.[5]
2. 1. 발사 계약 및 무산
2016년 8월 9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러시아의 로켓 업체인 국제발사체서비스(ILS)와 앙가라 1.2를 이용해 한국의 아리랑 6호를 2022년 러시아 플레세츠크 우주기지에서 발사하기로 계약했다.[4]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발사 일정이 무산되었으며, 유럽의 ESA와 협력해서 발사될 예정이다.[5]
참조
[1]
뉴스
韓経:韓国多目的実用衛星アリラン6号打ち上げ、また延期
http://japanese.join[...]
中央日報
2018-03-20
[2]
뉴스
韓国、ウクライナ情勢で衛星打ち上げ計画に支障
https://web.archive.[...]
中央日報日本語版
2022-04-12
[3]
간행물
우주개발 중장기 계획
http://www.msip.go.k[...]
2013-11
[4]
뉴스
아리랑6호, 러시아 상업 발사체 앙가라 통해 발사
세계일보
2016-08-09
[5]
뉴스
한국위성 러시아 발사 사실상 무산…정부, 대체발사 881억 추산
연합뉴스
2022-09-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