랜드샛 계획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랜드샛 계획은 지구의 자연 자원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개발된 원격 탐사 위성 프로그램으로, 1965년 미국 지질 조사소 소장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다. 1972년 랜드샛 1호를 시작으로 랜드샛 9호까지 다양한 위성을 발사하여 지구 관측 데이터를 제공해 왔으며, 현재 랜드샛 8호와 9호가 운용 중이다. 랜드샛 데이터는 농업, 지도 제작, 환경 감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특히 토지 피복 결정에 널리 사용된다. 2030년대 초 발사를 목표로 하는 랜드샛 넥스트를 통해 더욱 향상된 지구 관측 능력을 확보할 예정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지구 관측 위성 - TIMED
TIMED는 NASA의 솔라 테라설 프로그램 탐사선으로, 지구 대기의 중간권, 하부 열권, 전리층 영역을 연구하며, 에너지 전달과 변화가 지구물리학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다양한 과학 장비를 탑재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대중에게 무료로 제공한다. - 지구 관측 위성 - 아리랑 6호
아리랑 6호는 대한민국이 개발을 추진 중인 정지궤도 지구관측위성이며,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발사 일정이 무산되어 현재 유럽 우주국과 협력하여 발사를 추진하고 있다. - NASA의 계획 - EPOXI
EPOXI는 NASA의 확장 임무로, 딥 임팩트 탐사선을 활용하여 혜성 탐사(DIXI)와 외계 행성 관측(EPOCh)을 수행했으며, 2010년 하틀리 2 혜성 근접 비행을 통해 혜성 핵을 관측하고 외계 행성들의 분광학적 관측을 진행했다. - NASA의 계획 - 아폴로 계획
아폴로 계획은 미국의 유인 우주 탐사 계획으로, 1969년 아폴로 11호의 닐 암스트롱과 버즈 올드린이 인류 최초로 달에 착륙하는 데 성공하며 냉전 시대 미국 기술력의 상징이 되었다.
랜드샛 계획 | |
---|---|
랜드샛 프로그램 | |
![]() | |
![]() | |
개요 | |
유형 | 지구 관측 위성 프로그램 |
운영 주체 | 미국 항공 우주국(NASA) / 미국 지질조사국(USGS) |
국가 | 미국 |
시작 날짜 | 1972년 |
이전 이름 | 지구 자원 기술 위성(ERTS) |
웹사이트 | USGS 랜드샛 미션 |
목표 | |
목표 | 지구 표면의 이미지 획득 |
용도 | 토지 이용 및 자원 모니터링 기후 변화 연구 농업 모니터링 재해 관리 교육 및 연구 |
위성 정보 | |
위성 수 | 9기 (현재까지) |
궤도 | 태양 동기 궤도 |
고도 | 700km (430마일 ) 이상 |
센서 | 다중 분광 스캐너 (MSS) 주제 지도 작성기 (TM) 향상된 주제 지도 작성기 플러스 (ETM+) 운영 육지 이미저 (OLI) 열 적외선 센서 (TIRS) |
데이터 및 접근 | |
데이터 정책 | 공개적으로 사용 가능 |
데이터 접근 | 미국 지질조사국 (USGS) 지구 탐사자 (EarthExplorer)를 통해 접근 가능 |
데이터 포맷 | 다양한 포맷 (GeoTIFF, HDF 등) |
역사적 맥락 | |
배경 | 냉전 시대의 자원 경쟁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 증가 우주 기술 발전 |
초기 목표 | 지구 자원 평가 토지 이용 변화 모니터링 환경 관리 지원 |
파생 | |
파생 | 랜드샛 프로그램의 성공은 다른 국가들의 지구 관측 프로그램 개발을 촉진시켰다. |
2. 역사
1965년, 미국 지질 조사소 소장 윌리엄 페코라는 지구 자원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원격 탐사 위성 프로그램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1966년, 미국 내무부 장관 스튜어트 유달은 미국 내무부가 자체 지구 관측 위성 프로그램을 진행할 것이라고 발표하여 미국 항공 우주국(NASA)이 랜드샛 건설을 가속화하도록 유도했다.
1970년, NASA는 랜드샛 위성 건설 허가를 받았다. 1972년, 랜드샛 1호가 발사되어 우주에서 육지를 원격 탐사하는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1975년, 프로그램 이름이 랜드샛으로 변경되었다.
1979년, 지미 카터 대통령은 랜드샛 운영을 NASA에서 미국 해양대기청(NOAA)으로 이전하고, 민간 부문 운영으로의 전환을 권장했다. 1985년, 지구 관측 위성 회사(EOSAT)가 랜드샛 시스템 운영을 위해 NOAA와 10년 계약을 체결했다.
1989년부터 1991년까지 NOAA의 랜드샛 프로그램 자금 고갈 문제와 긴급 자금 지원이 반복되었다. 1992년, EOSAT는 랜드샛 데이터 처리를 중단했다. 1993년, 랜드샛 6호 발사 실패. 1994년, EOSAT에 의해 랜드샛 4호와 랜드샛 5호 데이터 처리가 재개되었다. 1999년, 랜드샛 7호가 발사되었다.
1992년, 랜드 원격 탐사 정책법 통과로 랜드샛 7호 조달이 승인되고, 랜드샛 데이터의 지속적인 제공이 가능해졌다. 2013년, 랜드샛 8호가 발사되었다. 2021년, 랜드샛 9호가 발사되었다. 2030년 말/2031년 초, 랜드샛 넥스트 발사 예정이다.
2. 1. 랜드샛 계획에 기여한 주요 인물
- 윌리엄 페코라: 1965년 당시 미국 지질 조사소 소장으로, 지구 자원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원격 탐사 위성 프로그램 아이디어를 최초로 제안했다.[1]
- 스튜어트 유달: 미국 내무부 장관으로, 1966년 미국 내무부가 자체 지구 관측 위성 프로그램을 진행할 것이라고 발표하여 NASA가 랜드샛 건설을 가속화하도록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했다.[1]
- 버지니아 노우드: 휴즈 항공사의 다중 분광 스캐너(MSS)를 설계했으며, 이 공로로 "랜드샛의 어머니"로 불린다.[1]
버지니아 노우드는 다중 분광 스캐너를 설계했습니다. - 발레리 토마스: NASA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에서 초기 랜드샛 이미지 처리 소프트웨어 시스템 개발을 관리했으며, 초기 랜드샛 이미지를 저장하는 데 사용된 컴퓨터 호환 테이프(CCT) 전문가였다.[1]
- 짐 아이언스(Jim Irons): NASA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의 랜드샛 8호 프로젝트 과학자이다.[1]
짐 아이언스와의 인터뷰 - 랜드샛 8호 프로젝트 과학자 - NASA 고다드 우주 비행 센터 - 짐 코닥: 최초의 MSS 구상을 그린 광학 기기 설계 기술자이다.[9]
- 댄 퀘일: 국가 우주 위원회의 수장으로, 1989년 랜드샛 프로그램의 긴급 자금 마련을 주도하여 데이터 보존과 프로그램 유지를 가능하게 했다.[1]
3. 랜드샛 위성
랜드샛 계획을 통해 발사된 랜드샛 위성은 지구 관측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왔다. 각 위성은 고유한 특징과 운용 기간을 가지며, 다양한 센서를 통해 지구 표면의 정보를 수집해왔다.
초기 랜드샛 위성들은 다중 분광 스캐너(MSS)를 탑재하여 지구 표면을 관측했다. 이후 랜드샛 4호와 5호는 주제도 매퍼(TM)를 통해 더 다양한 파장 대역의 정보를 수집했다. 랜드샛 7호는 향상된 주제도 매퍼 플러스(ETM+)를 탑재하여 15m 해상도의 흑백 영상을 제공하고, 방사 보정 기능을 향상시켰다.[14] 랜드샛 8호와 9호는 운용형 육상 영상장치(OLI)와 열 적외선 센서(TIRS)를 통해 더욱 정밀한 관측을 수행하고 있다.[16]
1965년, 미국 지질 조사소 소장이었던 윌리엄 페코라는 지구의 자원 탐사를 위한 위성 프로그램 아이디어를 제안했고, 이는 랜드샛 계획의 시작으로 이어졌다. 이 프로그램은 초기에는 지구 자원 기술 위성 프로그램으로 불렸으나, 1975년에 랜드샛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휴즈 항공사는 1969년에 다중 분광 스캐너(MSS)를 개발하기 시작했으며, 버지니아 T. 노우드는 이 센서 설계에 참여하여 "랜드샛의 어머니"로 불리게 되었다. 초기 랜드샛 이미지 처리 소프트웨어 시스템 개발은 발레리 토마스가 관리했으며, 그녀는 대규모 작물 재고 실험(LACIE) 프로젝트를 지원하여 원격 탐사를 통한 세계 작물 모니터링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1979년, 지미 카터 대통령은 랜드샛 운영을 미국 해양대기청(NOAA)으로 이전하고, 민간 부문 운영으로의 전환을 권고했다. 이에 따라 1985년 지구 관측 위성 회사(EOSAT)가 랜드샛 시스템 운영을 맡게 되었으나, 1989년 자금 문제로 운영이 중단될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그러나 댄 퀘일 부통령의 노력으로 긴급 자금이 마련되어 프로그램이 계속될 수 있었다.
1992년, 랜드 원격 탐사 정책법이 통과되면서 랜드샛 7호의 조달이 승인되고, 랜드샛 데이터의 지속적인 제공이 가능하게 되었다.
3. 1. 랜드샛 1호 ~ 9호
기기 | 사진 | 발사 | 종료 | 비고 |
---|---|---|---|---|
랜드샛 1호 | ![]() | 1972년 7월 23일 | 1978년 1월 6일 | 원래 이름은 지구 자원 기술 위성 1호였다. RCA에서 제작한 반사 빔 비디콘(RBV) 카메라와 휴즈 항공기 회사에서 제작한 다중 분광 스캐너(MSS)를 탑재했다. |
랜드샛 2호 | ![]() | 1975년 1월 22일 | 1982년 2월 25일 | 랜드샛 1호와 거의 동일하며, 반사 빔 비디콘(RBV)과 다중 분광 스캐너(MSS)를 탑재했다. |
랜드샛 3호 | ![]() | 1978년 3월 5일 | 1983년 3월 31일 | 랜드샛 1호 및 2호와 거의 동일하며, 반사 빔 비디콘(RBV)과 다중 분광 스캐너(MSS)를 탑재했다. MSS에는 수명이 짧은 열 밴드가 포함되었다. |
랜드샛 4호 | ![]() | 1982년 7월 16일 | 1993년 12월 14일 | 업데이트된 다중 분광 스캐너(MSS)와 주제도 매퍼를 탑재했다. |
랜드샛 5호 | 1984년 3월 1일 | 2013년 6월 5일 [12] | 랜드샛 4호와 거의 동일하며, 다중 분광 스캐너(MSS)와 주제도 매퍼를 탑재했다. 역사상 가장 긴 지구 관측 위성 임무를 수행했다. | |
랜드샛 6호 | ![]() | 1993년 10월 5일 | 1993년 10월 5일 | 궤도에 진입하지 못했다. 15m 해상도의 흑백 밴드를 추가한 향상된 주제도 매퍼를 탑재했다. |
랜드샛 7호 | ![]() | 1999년 4월 15일 | 2024년 1월 19일 | 2003년 5월부터 스캔 라인 보정기가 비활성화된 상태로 작동했다.[13] 향상된 주제도 매퍼 플러스(ETM+)는 15m 해상도의 흑백 밴드와 5% 절대 방사 보정 기능을 제공했다.[14] |
랜드샛 8호 | ![]() | 2013년 2월 11일 | 현재 운용 중 | 2013년 5월 30일까지 랜드샛 데이터 연속성 임무로 명명되었으며,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미국 지질조사국(USGS)으로 운영이 이관되었다.[15] 작업형 육상 이미저(OLI)와 열 적외선 센서(TIRS)를 탑재했다.[16] |
랜드샛 9호 | ![]() | 2021년 9월 27일 | 현재 운용 중 | 랜드샛 8호를 재건한 것이다.[17][18] |
;연대표
ImageSize = width:450 height:auto barincrement:21
PlotArea = left:70 bottom:30 top:10 right:10
TimeAxis = orientation:horizontal format:yyyy
Colors =
id:canvas value:gray(0.97)
id:grid1 value:gray(0.8)
id:grid2 value:gray(0.6)
BackgroundColors = canvas:canvas
DateFormat = mm/dd/yyyy
Period = from:01/01/1972 till:01/01/2025
AlignBars = justify
ScaleMajor = increment:2 start:1973 unit:year grid:grid1
ScaleMinor = increment:1 start:1974 unit:year
BarData =
bar:Landsat1 text:"랜드샛 1호"
bar:Landsat2 text:"랜드샛 2호"
bar:Landsat3 text:"랜드샛 3호"
bar:Landsat4 text:"랜드샛 4호"
bar:Landsat5 text:"랜드샛 5호"
bar:Landsat6 text:"랜드샛 6호"
bar:Landsat7 text:"랜드샛 7호"
bar:Landsat8 text:"랜드샛 8호"
bar:Landsat9 text:"랜드샛 9호"
PlotData =
align:left anchor:from fontsize:M width:13 shift:(4,-6) textcolor:black
bar:Landsat1 from:07/23/1972 till:01/06/1978 color:blue
bar:Landsat2 from:01/22/1975 till:02/25/1982 color:blue
bar:Landsat3 from:03/05/1978 till:03/31/1983 color:blue
bar:Landsat4 from:07/16/1982 till:12/14/1993 color:orange
bar:Landsat5 from:03/01/1984 till:06/05/2013 color:orange
bar:Landsat6 from:10/05/1993 till:10/05/1993 color:black
bar:Landsat7 from:04/15/1999 till:05/31/2003 color:red
bar:Landsat7 from:05/31/2003 till:01/19/2024 color:coral
bar:Landsat8 from:02/11/2013 till:end color:green
bar:Landsat9 from:09/27/2021 till:end color:green
3. 2. 센서 종류 및 특징
랜드샛 위성은 지구 관측을 위해 다양한 센서를 탑재해왔다. 이 센서들은 여러 파장 대역에서 지구 표면의 정보를 수집하여, 다양한 분야의 연구와 활용에 기여한다.초기 랜드샛 1호, 2호, 3호는 RCA에서 제작한 반사 빔 비디콘(RBV) 카메라와 휴즈 항공기 회사에서 제작한 다중 분광 스캐너(MSS)를 탑재했다. 이후 랜드샛 4호와 5호는 MSS와 함께 주제도 매퍼(TM)를 탑재하여 더 다양한 파장 대역의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랜드샛 6호는 향상된 주제도 매퍼(ETM)를 탑재할 예정이었으나 궤도 진입에 실패했다.
랜드샛 7호는 향상된 주제도 매퍼 플러스(ETM+)를 탑재하여 15m 해상도의 흑백 밴드를 추가하고, 5% 절대 방사 보정이 가능하게 되었다.[14] 랜드샛 8호와 9호는 운용형 육상 영상장치(OLI)와 열 적외선 센서(TIRS)를 탑재하여 더욱 정밀한 관측이 가능해졌다.[16]
랜드샛 영상은 전지구적 수준의 데이터를 제공하지만, 공간 해상도는 항공 영상에 비해 낮다. 그러나 다른 위성에 비해서는 비교적 높은 공간 해상도를 가지며, 재방문 빈도는 상대적으로 낮다.
3. 2. 1. 다중 분광 스캐너 (MSS)
랜드샛 계획의 첫 번째부터 다섯 번째 임무까지는 다중분광주사기(MSS)가 사용되었다. MSS는 움직이는 거울을 사용하여 지구 이미지를 네 개의 서로 다른 스펙트럼 밴드(녹색, 적색, 근적외선 2개)로 캡처하는 독특한 디자인을 가지고 있었다. 이를 통해 지구에서 반사되는 햇빛의 변화를 기록할 수 있었다. 특히, 랜드샛 3호의 MSS는 열 복사 감지 기능을 추가하여 더욱 발전했다.[21]MSS는 일관된 영상을 촬영했는데, 각 프레임은 지구 표면에서 약 83미터 길이와 68미터 폭의 면적을 나타냈다. 또한, 185km 너비에 걸쳐 연속적인 이미지 스윕을 보장하도록 설계되었다. 거울의 움직임을 정확하게 타이밍함으로써 연속적인 이미지가 겹치지 않도록 했다.[21]
3. 2. 2. 주제도 매퍼 (TM)
랜드샛 4호와 랜드샛 5호에 탑재된 센서로, 다중분광 주사 시스템(MSS, Multispectral Scanner System)보다 향상된 성능을 제공한다. 청색, 녹색, 적색, 근적외선, 단파 적외선 2개, 열의 7개 스펙트럼 밴드를 가지고 있다.[37]3. 2. 3. 향상된 주제도 매퍼 플러스 (ETM+)
랜드샛 7호에 탑재된 향상된 주제도 매퍼 플러스(ETM+)는 TM 센서의 개선된 버전이다. 8개의 스펙트럼 밴드를 가지고 있으며, TM과 동일한 밴드에 15m 해상도의 흑백(팬크로매틱) 밴드가 추가되었다. ETM+는 5%의 절대 방사 보정이 가능하다. 2003년 5월 31일, ETM+의 스캔 라인 보정기(SLC)에 기계적인 고장이 발생하여 데이터 일부에 결손이 발생하고 있다.[37]3. 2. 4. 작업형 육상 이미저 (OLI)
랜드샛 8호와 랜드샛 9호에는 작업형 육상 이미저(Operational Land Imager, OLI) 센서가 탑재되어 있다. 이 센서는 9개의 스펙트럼 밴드를 가지고 있다.밴드 번호 | 파장 대역 | 해상도 |
---|---|---|
1 | Ultra Blue영어 (해안 및 에어로졸 연구용) | 30m |
2 | 청색 | 30m |
3 | 녹색 | 30m |
4 | 적색 | 30m |
5 | 근적외선 (Near Infrared영어, NIR) | 30m |
6 | 단파 적외선 1 (Shortwave Infrared영어, SWIR 1) | 30m |
7 | 단파 적외선 2 (SWIR 2) | 30m |
8 | 팬크로매틱 (Panchromatic영어) | 15m |
9 | 권운 (Cirrus영어, 구름 탐지용) | 30m |
3. 2. 5. 열 적외선 센서 (TIRS)
랜드샛 8호와 랜드샛 9호에는 열 적외선 센서(TIRS)가 탑재되어 있다. 이 센서는 2개의 열 밴드(열 1, 열 2)를 통해 지표면 온도를 측정한다.3. 2. 6. 랜드샛 센서별 분광 해상도
랜드샛 1~5호는 다분광 주사기(MSS)를 탑재했다. 랜드샛 4, 5호는 MSS와 주제 매퍼(TM) 기기를 모두 탑재했다. 랜드샛 7호는 향상된 주제 매퍼 플러스(ETM+) 스캐너를 사용한다. 랜드샛 8호는 광학 밴드용 운용형 육상 영상장치(OLI)와 열 밴드용 열적외선 센서(TIRS)의 두 가지 기기를 사용한다. 랜드샛 기기의 밴드 지정, 밴드 통과 대역 및 픽셀 크기는 다음과 같다.[19]랜드샛 1–3 MSS | 랜드샛 4–5 MSS | 파장(마이크로미터) | 해상도(미터) |
---|---|---|---|
밴드 4 – 녹색 | 밴드 1 – 녹색 | 0.5 – 0.6 | 60* |
밴드 5 – 적색 | 밴드 2 – 적색 | 0.6 – 0.7 | 60* |
밴드 6 – 근적외선(NIR) | 밴드 3 – NIR | 0.7 – 0.8 | 60* |
밴드 7 – NIR | 밴드 4 – NIR | 0.8 – 1.1 | 60* |
- MSS 원본 픽셀 크기는 79 x 57미터였으며, 현재 생산 시스템은 데이터를 60미터로 리샘플링한다.
밴드 | 파장(마이크로미터) | 해상도(미터) |
---|---|---|
밴드 1 – 청색 | 0.45 – 0.52 | 30 |
밴드 2 – 녹색 | 0.52 – 0.60 | 30 |
밴드 3 – 적색 | 0.63 – 0.69 | 30 |
밴드 4 – NIR | 0.76 – 0.90 | 30 |
밴드 5 – 단파 적외선(SWIR) 1 | 1.55 – 1.75 | 30 |
밴드 6 – 열 | 10.40 – 12.50 | 120* (30) |
밴드 7 – SWIR 2 | 2.08 – 2.35 | 30 |
- TM 밴드 6은 120미터 해상도로 획득했지만, 제품은 30미터 픽셀로 리샘플링된다.
밴드 | 파장(마이크로미터) | 해상도(미터) |
---|---|---|
밴드 1 – 청색 | 0.45 – 0.52 | 30 |
밴드 2 – 녹색 | 0.52 – 0.60 | 30 |
밴드 3 – 적색 | 0.63 – 0.69 | 30 |
밴드 4 – NIR | 0.77 – 0.90 | 30 |
밴드 5 – SWIR 1 | 1.55 – 1.75 | 30 |
밴드 6 – 열 | 10.40 – 12.50 | 60* (30) |
밴드 7 – SWIR 2 | 2.09 – 2.35 | 30 |
밴드 8 – 팬크로매틱 | 0.52 – 0.90 | 15 |
- ETM+ 밴드 6은 60미터 해상도로 획득하지만, 제품은 30미터 픽셀로 리샘플링된다.

- TIRS 밴드는 100미터 해상도로 획득하지만, 제공되는 데이터 제품에서는 30미터로 리샘플링된다.
4. 랜드샛 데이터 활용
랜드샛 데이터는 과학자들이 종의 분포를 예측하고, 현장 연구에서 얻는 기존 데이터보다 더 넓은 범위에서 자연 발생적 변화와 인위적 변화를 감지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랜드샛 프로그램 위성이 사용하는 다양한 스펙트럼 밴드는 생태학에서 지정학적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응용 분야를 제공한다. 토지 피복 결정은 전 세계적으로 랜드샛 이미지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이다.[23]
랜드샛 이미지는 1972년부터 현재까지 단일 원격 감지 프로그램으로는 가장 긴 중단 없는 시계열을 제공한다.[24] 2021년 랜드샛 9의 성공적인 발사는 이 시계열이 계속 이어질 것임을 보여준다.[25]
4. 1. 주요 활용 분야
랜드샛 데이터는 생태학에서 지정학적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특히, 1972년부터 현재까지 이어지는 랜드샛 프로그램의 장기간 축적된 시계열 위성 이미지는 지구 표면의 변화를 관찰하고 분석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23][24] 2021년에는 랜드샛 9가 성공적으로 발사되어 이러한 시계열 데이터는 계속 이어질 것이다.[25]
2015년, 미국 국립 지리 공간 자문 위원회의 랜드샛 자문 그룹은 랜드샛 이미지의 주요 활용 분야 16개가 연방 및 주 정부, NGO, 민간 부문에 약 3.5억달러에서 4.36억달러의 절감 효과를 가져왔다고 보고했다. 이 추정치에는 다른 사용으로 인한 추가 절감액은 포함되지 않았다.[26] 랜드샛 이미지 사용의 상위 16개 범주와 사용자에게 연간 추정 절감액은 다음과 같다.[26]
랜드샛 이미지는 어업, 임업, 내륙 수역 감소, 화재 피해, 빙하 후퇴, 도시 개발, 새로운 종 발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23]
4. 2. 구체적인 활용 사례
랜드샛 이미지는 어업, 임업, 내륙 수역 감소, 화재 피해, 빙하 후퇴, 도시 개발 및 새로운 종 발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23] 구체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다.
- 어업: 1975년 랜드샛 멸치 및 실고등어 조사는 미시시피 해협 동부 지역과 루이지애나 연안 해역의 위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어장 확률을 평가했다. 해수 색상과 혼탁도를 분석하여 멸치 분포를 예측했으며, 이는 현장 측정 결과와 80% 이상 일치했다. 해수 색상은 엽록소, 혼탁도 등 어류 분포를 추론하는 데 사용되었다.[27]
- 임업: 모잠비크 맹그로브 숲의 토지 피복 지도를 생성하고, 맹그로브 피복과 지상부 생물량을 측정하는 데 랜드샛 영상이 활용되었다. 맹그로브 피복은 93%의 정확도로 2,909제곱킬로미터로 확인되었으며(이전 추정치보다 27% 낮음), 지질학적 환경이 위도보다 생물량 분포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27]
- 기후 변화: 아랄 해의 축소는 "지구상 최악의 환경 재앙 중 하나"로 묘사되며, 랜드샛 영상은 물 손실량과 해안선 변화를 정량화하는 데 사용되었다.[29] 1988년 옐로스톤 화재는 국립공원 역사상 최악의 화재로, 랜드샛 영상은 피해 면적(3,213제곱킬로미터, 공원의 36%)을 추정하고 화재 확산 원인을 파악하는 데 활용되었다.[29] 또한, 콜롬비아 빙하의 후퇴를 1986년부터 추적하여 기후 변화 연구에 기여했다.[32]
- 도시 개발: 랜드샛 영상은 도시 개발 과정을 보여주는 타임랩스 이미지 시퀀스를 제공하여 도시 성장 규모, 개발 유형, 사회적·정치적 변화를 연구하는 데 활용된다. 예를 들어, 베이징의 경우 1970년대 경제 개혁 이후 순환 도로 건설과 개발 속도 변화를 추적할 수 있었다.[32]
- 생태: 2005년, 보존 과학자 줄리안 베일리스는 랜드샛 영상을 통해 모잠비크의 보존림 가능 지역을 찾던 중, 세 종의 새로운 나비와 새로운 뱀 종을 발견했다. 이후 랜드샛 영상은 숲의 범위를 지도화하는 데 활용되었다.[33]
4. 3. 한국에서의 활용
랜드샛 데이터는 한국의 여러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특히, 단일 원격 감지 프로그램으로는 가장 긴 시계열을 제공하는 랜드샛 위성 이미지는 1972년부터 현재까지 축적된 데이터를 통해 한반도의 자연환경 및 인위적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분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24]랜드샛 위성 이미지는 다양한 스펙트럼 밴드를 활용하여 생태학적 연구에서부터 지정학적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23] 특히 토지 피복 변화 탐지는 랜드샛 이미지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활용되는 분야 중 하나이며, 한국에서도 다음과 같은 분야에 활용될 수 있다.[23]
활용 분야 | 설명 |
---|---|
농업 | 벼 재배 면적 변화, 작황 상태, 가뭄 피해 등을 파악하여 식량 안보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
산림 | 산림 면적 변화, 산림 훼손, 산불 피해 등을 탐지하고, 산림 자원 관리 및 보전 계획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도시 개발 | 도시 확장, 인구 밀도 변화, 토지 이용 변화 등을 분석하여 도시 계획 및 개발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
재해·재난 | 홍수, 가뭄, 산사태 등 자연재해 발생 지역 및 피해 규모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복구 및 예방 대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
환경 | 해안선 변화, 수질 오염, 녹조 발생 등을 모니터링하여 환경 변화를 감시하고, 환경 보호 정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다. |
군사·안보 | 군사 시설, 국경 지역 변화 등을 탐지하여 국가 안보 및 방위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다. 특히, 북한 지역의 변화를 관찰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
2021년 발사된 랜드샛 9는 랜드샛 데이터의 연속성을 보장하며, 앞으로도 한국의 다양한 분야에서 랜드샛 데이터의 활용 가치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25]
5. 랜드샛 넥스트 (Landsat Next)
랜드샛 넥스트는 2030년 말이나 2031년 초에 발사될 예정이며, 26개의 분광 밴드를 측정할 예정이다. 이는 랜드샛 8과 랜드샛 9가 각각 11개의 분광 밴드를 측정하는 것에 비해 크게 늘어난 수치이다.[36] 랜드샛 넥스트는 랜드샛 8, 9호보다 더 높은 공간 해상도와 분광 해상도를 제공하여 지구 관측 능력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참조
[1]
서적
The LANDSAT Tutorial Workbook: Basics of Satellite Remote Sensing
NASA
1982
[2]
웹사이트
The Landsat Program – Technical Details
http://landsat.gsfc.[...]
NASA
2010-05-01
[3]
뉴스
Landsat History
https://landsat.gsfc[...]
2021-07-05
[4]
간행물
Meet the Landsat pioneer who fought to revolutionize Earth observation
2021-09-10
[5]
웹사이트
NASA Landsat Science, A Face Behind Landsat Images: Meet Dr. Valerie L. Thomas
https://landsat.gsfc[...]
[6]
웹사이트
Presidential Directive 54
https://www.jimmycar[...]
Jimmy Carter Library
2017-04-18
[7]
웹사이트
Landsat: Overview and Issues for Congress
https://fas.org/sgp/[...]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17-04-18
[8]
서적
Space Economics
AIAA (American Institute of Aeronautics & Astronautics)
[9]
뉴스
The government, saying it ran out of money, pulled the plug on two environmental satellites
https://www.upi.com/[...]
2023-03-13
[10]
뉴스
Quayle backs satellite program
https://news.google.[...]
2010-05-19
[11]
뉴스
U.S. Halts Plan to Turn Off the Landsat Satellites
https://www.nytimes.[...]
2010-05-19
[12]
웹사이트
Historic Landsat 5 Mission Ends - Landsat Science
http://landsat.gsfc.[...]
2013-06-26
[13]
웹사이트
Landsat Science
http://landsat.gsfc.[...]
[14]
웹사이트
Landsat 7 - Landsat Science
https://landsat.gsfc[...]
2017-03-19
[15]
웹사이트
Landsat 8 Data Now Available!
http://landsat.usgs.[...]
USGS
2013-05-30
[16]
웹사이트
Landsat 8 - Landsat Science
https://landsat.gsfc[...]
NASA
2017-03-19
[17]
웹사이트
Virtual Briefing on Launch of NASA, USGS Landsat 9
https://www.nasa.gov[...]
NASA.gov
2021-09-27
[18]
웹사이트
Landsat 9
http://landsat.gsfc.[...]
NASA Landsat Science
2016-12-21
[19]
웹사이트
What are the band designations for the Landsat satellites? {{!}} Landsat Missions
https://landsat.usgs[...]
2019-01-29
[20]
간행물
The Spectral Response of the Landsat-8 Operational Land Imager
2014-10
[21]
웹사이트
The Multispectral Scanner
http://landsat.gsfc.[...]
NASA
[22]
웹사이트
Failure Of Landsat 6 Leaves Many Researchers In Limbo
http://www.the-scien[...]
The Scientist (magazine)
[23]
간행물
Landsat's Role in Ecological Applications of Remote Sensing
https://andrewsfores[...]
2004
[24]
간행물
A Systematic Review of Landsat Data for Change Detection Applications: 50 Years of Monitoring the Earth
MDPI AG
2021-07-22
[25]
웹사이트
Landsat 9 Reaches Orbit, Makes Ground Contact to Continue Legacy
https://www.usgs.gov[...]
2021-10-14
[26]
웹사이트
Landsat Seen as Stunning Return on Public Investment
https://www.usgs.gov[...]
2021-10-14
[27]
웹사이트
Finding Fish With Satellites
http://spo.nmfs.noaa[...]
NOAA
2017-03
[28]
간행물
Landscape-scale extent, height, biomass, and carbon estimation of Mozambique's mangrove forest with Landsat ETM+ and 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 elevation data
2017-03
[29]
잡지
Landsat's Most Historically Significant Images of Earth From Space
https://www.wired.co[...]
2017-03
[30]
간행물
Long-Term Post-Disturbance Forest Recovery in the Greater Yellowstone Ecosystem Analyzed Using Landsat Time Series Stack
MDPI AG
2016-10-29
[31]
웹사이트
EarthView–Fire and Rebirth: Landsat Tells Yellowstone's Story
https://www.usgs.gov[...]
2021-10-15
[32]
문서
Landslides - Investigation and Monitoring
IntechOpen
[33]
웹사이트
Landsat Imagery Leads to Discovery of New Species - Landsat Science
https://landsat.gsfc[...]
NASA
[34]
웹사이트
NASA, USGS Begin Work on Landsat 9
http://www.nasa.gov/[...]
2015-04-16
[35]
간행물
Current status of Landsat program, science, and applications
Elsevier BV
[36]
웹사이트
Landsat NeXt
https://landsat.gsfc[...]
NASA
2022-03-11
[37]
뉴스
Mission Accomplished for Landsat 5
http://www.usgs.gov/[...]
USGS
2013-06-22
[38]
뉴스
Landsat 5 Sets Guinness World Record For 'Longest Operating Earth Observation Satellite'
http://www.nasa.gov/[...]
NASA
2013-06-22
[39]
뉴스
USGS Issues Final Command to Landsat 5
http://www.spacenews[...]
SpaceNews.com
2013-06-22
[40]
저널
The LANDSAT Tutorial Workbook: Basics of Satellite Remote Sensing
NASA
[41]
간행물
랜드셋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