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말라이트와 투표함 전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말라이트와 투표함 전략은 1981년 아일랜드 단식 투쟁 이후 신 페인 조직가 대니 모리슨에 의해 공식화된 전략으로, 투표와 무력 투쟁을 병행하여 아일랜드에서 권력을 획득하려는 목표를 가졌다. 이 전략은 북아일랜드에서 어느 정도 지지율을 확보했지만, 아일랜드 공화국에서는 미미한 성과를 보였으며, 북아일랜드 평화 프로세스에 영향을 미쳤다. 영국-아일랜드 협정 체결과 선거에서의 실패는 공화주의 운동의 초점을 무력 투쟁에서 선거 중심 전략으로 변화시켰다. 1994년에는 TUAS 문서 공개와 함께 전략이 종료되었으며, 얼스터 충성파의 정치 참여에도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 페인 - 오그라 신 페인
    오그라 신 페인은 신 페인의 청년 조직으로, 아일랜드 통일, 노동자 권리 옹호, 환경 보호를 주요 관심사로 삼으며 다양한 캠페인을 전개하고 전 세계의 친독립 및 사회주의 단체들과 연대한다.
  • 아일랜드 공화주의 - 북두칠성기
    북두칠성기는 녹색 바탕에 은색 별로 큰곰자리를 형상화한 깃발로, 아일랜드의 자유를 상징하며 부활절 봉기에 사용되었고, 아일랜드 노동 운동과 공화주의 단체에서 사용되었다.
  • 아일랜드 공화주의 - 1798년 아일랜드 반란
    1798년 아일랜드 반란은 영국 지배에 대한 불만으로 아일랜드 통합단원회를 중심으로 가톨릭 해방과 의회 개혁을 요구하며 일어났으나, 프랑스의 지원 실패와 영국군의 진압으로 실패하고 아일랜드는 영국에 편입되었으며, 이후 아일랜드 민족주의 운동에 영향을 미쳤다.
  • 아일랜드 공화국군 임시파 - 벨파스트 협정
    벨파스트 협정은 1998년 북아일랜드 분쟁 종식을 위해 영국, 아일랜드 정부와 북아일랜드 정당 간에 합의된 다자간 및 국제 합의로, 북아일랜드의 지위, 남북 관계, 영국-아일랜드 관계를 규정하고 자치 정부, 협력 기구 등을 설립하며 국민 투표를 통해 승인되었다.
  • 아일랜드 공화국군 임시파 - 브라이턴 호텔 폭탄 테러
    1984년 IRA가 마거릿 대처 수상을 암살하려 브라이턴의 그랜드 호텔에 폭탄을 설치하여 5명이 사망하고 31명이 부상당했으며, 이 사건은 북아일랜드 분쟁 격화와 대처 정부의 강경 대응, 앵글로-아일랜드 협정 체결의 계기가 되었다.
아말라이트와 투표함 전략
개요
전략 명칭아말라이트와 투표함 전략
원어 명칭Armalite and ballot box strategy
배경
관련 단체아일랜드 공화국군 임시파(PIRA)
관련 정당신페인당
목표정치적 영향력 확대와 무장 투쟁 병행
전략 내용
핵심 요소무장 투쟁과 정치 참여의 결합
전술군사적 활동
선거 참여
정치 협상
목표 달성 방법폭력을 통한 정부 압박
선거를 통한 지지 확보
정치적 해결책 모색
역사적 맥락
시작 시점1980년대 초
주요 사건아일랜드 단식투쟁
발전 과정무장 투쟁과 정치 참여 병행
북아일랜드 평화 과정 참여
정치적 주류 세력으로 성장
평가 및 영향
긍정적 평가평화 프로세스 진전 기여
아일랜드 민족주의 정치의 주류화
비판적 평가폭력 정당화 및 민주주의 원칙 훼손
논쟁점무장 투쟁의 정당성 여부 및 평화적 해결에 대한 기여도
참고 문헌
저자I. McAllister
논문 제목'The Armalite and the ballot box': Sinn Féin's electoral strategy in Northern Ireland
저널Electoral Studies
23
페이지123–142
연도2004
DOI10.1016/j.electstud.2003.10.002

2. 역사

아말라이트와 투표함 전략은 1981년 아일랜드 단식 투쟁 이후, 1981년 4월 퍼마나와 사우스 티론 보궐 선거에서 바비 샌즈의 당선과 같은 해 1981년 북아일랜드 지방 선거 및 아일랜드 공화국 다일 에런 선거에서 단식 투쟁 지지자들의 성공에 대한 대응으로 나타났다.

이 전략은 초기에는 엇갈린 성과를 보였다. 신 페인북아일랜드에서 9~13%의 지지율을 확보하여 국제적으로 어느 정도 인정을 받았지만, 아일랜드 공화국 내에서는 사회 민주 노동당(SDLP)에 밀려 큰 힘을 발휘하지 못했다. 1981년 단식 투쟁으로 인한 감정이 가라앉자 공화국에서의 신 페인 지지율은 미미하게 유지되었다.

장기적으로 이 전략은 북아일랜드 평화 프로세스의 출현에 기여했다.[5] 영국 정부와 아일랜드 공화국 정부가 영국-아일랜드 협정을 초안했을 때, 이는 신 페인의 많은 사람들에게 폭력 없이 정치적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1989년 선거에서 신 페인이 의석을 잃는 등 실패를 겪으면서, 공화주의 운동은 무장 투쟁보다는 선거 중심 전략으로 전환하게 되었다.

2. 1. 1981년 아일랜드 단식 투쟁

1981년 아일랜드 단식 투쟁은 임시 아일랜드 공화국군(IRA)과 아일랜드 민족해방군(INLA) 수감자들이 정치범 지위를 요구하며 벌인 시위였다. 이 투쟁은 1981년 4월 퍼마나와 사우스 티론 보궐 선거에서 단식 투쟁 주도자 바비 샌즈가 당선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샌즈의 당선은 무장 투쟁과 정치 참여를 병행하는 '아말라이트와 투표함 전략'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4]

같은 해 치러진 1981년 북아일랜드 지방 선거와 아일랜드 공화국 총선에서도 단식 투쟁 지지자들이 선전하면서 이 전략은 더욱 힘을 얻었다. 1981년 10월 31일, 신 페인 조직가 대니 모리슨은 당 연례 회의에서 이 전략을 공식화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2. 2. 대니 모리슨의 연설 (1981)

1981년 아일랜드 단식 투쟁 이후 1981년 4월 퍼마나와 사우스 티론 보궐 선거에서 바비 샌즈의 선거 성공과 같은 해 1981년 북아일랜드 지방 선거 및 아일랜드 공화국 다일 에런 선거에서 단식 투쟁 지지자들의 성공에 대한 대응으로, 아말라이트와 투표함 전략이 나타났다. 1981년 10월 31일, 신 페인 조직가 대니 모리슨은 당의 아르 페스(연례 회의)에서 이 전략을 처음으로 공식화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여기 있는 사람들 중 투표함으로 전쟁에서 이길 수 있다고 정말로 믿는 사람이 있습니까? 그러나 이 손에 투표 용지를 들고 다른 손에 아말라이트를 들고 아일랜드에서 권력을 잡는다면 여기에 이의를 제기할 사람이 있겠습니까?"[4]

2. 3. 전략의 전개와 엇갈린 성공

1981년 아일랜드 단식 투쟁 이후, 1981년 4월 퍼마나와 사우스 티론 보궐 선거에서 바비 샌즈가 당선되고, 같은 해 1981년 북아일랜드 지방 선거 및 아일랜드 공화국 다일 에런 선거에서 단식 투쟁 지지자들이 성공하면서 아말라이트와 투표함 전략이 등장했다. 1981년 10월 31일, 신 페인 조직가 대니 모리슨은 당의 아르 페스(연례 회의)에서 이 전략을 처음으로 공식화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 여기 있는 사람들 중 투표함으로 전쟁에서 이길 수 있다고 정말로 믿는 사람이 있습니까? 그러나 이 손에 투표 용지를 들고 다른 손에 아말라이트를 들고 아일랜드에서 권력을 잡는다면 여기에 이의를 제기할 사람이 있겠습니까?[4]

이 전략은 엇갈린 성과를 보였다. 신 페인은 북아일랜드에서 9~13%의 지지율을 확보하여 국제적으로 어느 정도 인정을 받았다. 그러나 아일랜드 공화국 내에서는 비폭력 사회 민주 노동당(SDLP)이 민족주의 정치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었고, 1981년 단식 투쟁으로 인한 감정이 가라앉자 신 페인의 지지율은 미미하게 유지되었다.

장기적으로 이 전략은 북아일랜드 평화 프로세스의 출현에 기여한 두 가지 중요한 정치적 결과를 낳았다.[5] 영국 정부와 아일랜드 공화국 정부가 영국-아일랜드 협정을 초안했을 때, 이는 신 페인의 많은 사람들에게 폭력 없이 정치적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1989년 당의 59개 의석 중 16석을 잃는 등 신 페인의 선거 실패는 공화주의 운동의 초점을 아말라이트에서 선거 중심 전략으로 옮기게 했다.

1994년 8월 12일, 최초의 IRA 휴전 불과 19일 전에 대니 모리슨은 "다른 시대에는 다른 전략이 필요하다"며 아말라이트와 투표함 접근 방식이 끝났음을 선언했다. 그 당시, IRA와 신 페인 내에서 "TUAS 문서"라고 불리는 기밀 문서가 공개되었다. TUAS(총 비무장 전략)는 주요 민족주의 세력(신 페인, SDLP 및 아일랜드 공화국) 간의 광범위한 아일랜드 민족주의적 합의를 달성하고, 강력한 국제적 지원(특히 미국 및 유럽 연합으로부터)을 받는 것을 목표로 했다.[6]

2. 4. TUAS 문서와 전략의 변화

1981년 아일랜드 단식 투쟁 이후인 1994년 8월 12일, 최초의 IRA 휴전 불과 19일 전에 대니 모리슨은 "다른 시대에는 다른 전략이 필요하다"며 아말라이트와 투표함 전략의 종료를 선언했다. 그 당시, IRA와 신 페인 내에서 "TUAS 문서"라고 불리는 기밀 문서가 공개되었다. TUAS(총 비무장 전략)는 신 페인, 사회 민주 노동당(SDLP), 아일랜드 공화국과 같은 주요 민족주의 세력 간의 광범위한 아일랜드 민족주의적 합의를 달성하고, 미국유럽 연합으로부터 강력한 국제적 지원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6]

3. 정치적 유산과 영향

아말라이트와 투표함 전략은 1981년 아일랜드 단식 투쟁 이후 신 페인이 무장 투쟁과 정치적 활동을 병행하면서 북아일랜드 정치 지형에 큰 영향을 미친 전략이다. 1981년 10월 31일, 신 페인 조직가 대니 모리슨은 당의 아르 페스(연례 회의)에서 "여기 있는 사람들 중 투표함으로 전쟁에서 이길 수 있다고 정말로 믿는 사람이 있습니까? 그러나 이 손에 투표 용지를 들고 다른 손에 아말라이트를 들고 아일랜드에서 권력을 잡는다면 여기에 이의를 제기할 사람이 있겠습니까?"[4]라며 이 전략을 공식화했다.

이 전략은 초기에는 엇갈린 성과를 보였다. 신 페인은 북아일랜드에서 9~13%의 지지율을 확보하며 국제적인 인지도를 얻었지만, 아일랜드 공화국에서의 지지율은 미미했다. 또한, 국내에서는 사회 민주 노동당(SDLP)이 민족주의 정치의 주도권을 쥐고 있었다.

그러나 1989년 신 페인이 선거에서 의석을 잃는 등 어려움을 겪으면서, 공화주의 운동은 점차 무장 투쟁보다는 선거 중심 전략에 집중했다. 1994년 8월 12일, 최초의 IRA 휴전 19일 전, 대니 모리슨은 "다른 시대에는 다른 전략이 필요하다"며 이 전략의 종료를 선언했다.[6] 당시 IRA와 신 페인 내부에서는 "TUAS 문서"라고 불리는 기밀 문서가 공개되었는데, 이는 신 페인, SDLP, 아일랜드 공화국 등 주요 민족주의 세력 간의 광범위한 합의를 통해 미국유럽 연합 등 국제 사회의 지지를 얻는 것을 목표로 했다.[6]

3. 1. 영국-아일랜드 협정

이 전략은 장기적으로 두 가지 중요한 정치적 결과를 낳았으며, 각각은 북아일랜드 평화 프로세스의 출현에 기여했다.[5] 영국 정부와 아일랜드 공화국 정부가 영국-아일랜드 협정을 초안했을 때, 이는 신 페인의 많은 사람들에게 폭력 없이 정치적 이익을 얻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설득했다.

3. 2. 얼스터 충성파의 정치 참여

아일랜드의 아말라이트와 투표함 전략은 존 맥마이클과 같은 얼스터 방위 연합(UDA)의 충성파 구성원들이 얼스터 충성 민주당(이후 얼스터 민주당(UDP))과 같은 수단을 통해 선거 정치에 진출하려는 동기를 부여한 것으로 인용되었다.[7][8] 그러나, 충성파 준군사 조직과 직접 연관된 정당들은 북아일랜드 선거에서 미미한 성공을 거두었으며, UDP와 진보 연합당(PUP)의 선거 지분 합계는 1996년 5월 북아일랜드 포럼 선거 이전에 1%를 넘지 못했다.[9]

4. 같이 보기


  • 1981년 아일랜드 단식 투쟁[4]
  • 대니 모리슨[4]
  • 신 페인[4]
  • 아일랜드 공화국군 임시파(IRA)
  • 북아일랜드 평화 프로세스[5]
  • 영국-아일랜드 협정[5]

참조

[1] 논문 'The Armalite and the ballot box': Sinn Féin's electoral strategy in Northern Ireland
[2] 웹사이트 Provisional IRA: War, ceasefire, endgame? http://news.bbc.co.u[...] BBC News 2014-03-13
[3] 서적 The IRA, 1968-2000: Analysis of a Secret Army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000
[4] 서적 Armed Struggle: The History of the IR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13-05-19
[5] 서적 A Secret History of the IRA Penguin Books 2002, 2007
[6] 서적 Revisionist Scholarship and Modern Irish Politic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6-04-08
[7] 서적 UDA: inside the heart of Loyalist terror https://books.google[...] Penguin Ireland 2013-05-19
[8] 서적 The Trigger Men: Assassins and Terror Bosses in the Ireland Conflict https://books.google[...] Mainstream Publishing 2011-10-14
[9] 서적 Framing Terrorism: The News Media,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5-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