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무르강의 물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무르강의 물결은 1909년 막스 큐스가 작곡한 왈츠곡이다. 이 곡은 작곡가가 사랑했던 사회 운동가에게 헌정되었으며, 처음에는 '아무르만(灣)의 물결'로 불렸다. 극동 지역을 넘어 러시아 중부까지 인기를 얻었으며, 20세기 중반에는 가사가 붙여져 합창곡으로 편곡되면서 동시베리아와 극동의 음악적 상징으로 여겨졌다. 현재까지도 극동 지역의 라디오 방송국과 텔레비전 채널의 호출 신호로 사용되고 있으며, 하바롭스크에서 블라디보스토크로 가는 열차의 출발 시 연주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9년 노래 - 조비네차
    조비네차는 토리노 대학교 졸업 노래에서 시작하여 제1차 세계 대전 중 애국적인 노래로, 가브리엘레 다눈치오의 피우메 점령 시기 대중화, 1920년대 파시스트 찬가로 변모, 살바토레 고타의 파시즘적 색채 강화,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시기 가사 변경을 거쳐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금지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는 군사독재 시절 향수를 자극하는 노래로 인식된다.
  • 왈츠곡 - 메피스토 왈츠
    프란츠 리스트가 니콜라우스 레나우의 파우스트 시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한 메피스토 왈츠는 총 4개의 왈츠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형태로 연주된다.
  • 왈츠곡 - 라 발스
    모리스 라벨이 작곡한 라 발스는 요한 슈트라우스 2세 헌정으로 시작된 관현악곡으로, 왈츠 형식을 차용하여 화려함과 종말론적 분위기를 동시에 담아낸 교향시이며, 발레 뤼스의 의뢰를 받아 작곡되었으나 발레 음악으로는 거절당한 후 콘서트 작품으로 인기를 얻고 다양한 발레 작품으로 재탄생되었다.
  • 소련의 노래 - 카튜샤 (노래)
    1938년 발표된 러시아의 대표적인 노래 카튜샤는 강둑에서 사랑하는 사람을 그리는 여인의 마음과 조국을 지키는 군인과 여인의 사랑을 표현하며 널리 사랑받아, 여러 국가에서 번안되고 붉은 군대의 로켓포 애칭으로도 사용되었다.
  • 소련의 노래 - 항공행진곡
    항공행진곡은 러시아어로 작사되어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1990년대 한국 노동 운동, 2002년 한일 월드컵 응원가 등 다양한 형태로 불렸으나 스탈린 시대와의 연관성 및 군국주의 미화 논란을 겪기도 했다.
아무르강의 물결
지도
기본 정보
곡명아무르강의 물결
원어Амурские волны (Amurskiye Volny)
장르왈츠
작곡가막스 아벨리예비치 큐스
작사 정보
작사가K. 바실리예프
S. 포포프
추가 정보
참고이 문서는 막스 큐스의 왈츠에 대한 것입니다.

2. 역사

'''아무르강의 물결'''은 1909년, 1906년부터 블라디보스토크에 주둔한 제11 동시베리아 연대[1] 지휘자였던 막스 큐스에 의해 작곡되었다.[2] 이 왈츠는 일부 자료에 따르면 작곡가가 사랑했던 극동의 사회 운동가 베라 야코블레브나 키릴렌코에게 헌정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일부 보도에 따르면, 당시 베라 야코블레브나는 전쟁 고통을 겪는 이들과 그 가족을 위한 보편적인 지원 협회 블라디보스토크 지부의 이사였으며, 자선 기부의 일환으로 이 왈츠를 그들에게 선물했다.

처음에는 이 왈츠가 ''아무르만(灣)의 물결''이라고 불렸다.[2] 블라디보스토크는 아무르만 해안에 위치해 있다. 이후 만(灣)이라는 단어가 이름에서 사라지고 왈츠는 아무르강과 연관되게 되었다.

짧은 시간 안에 이 왈츠는 극동 지역뿐만 아니라 러시아 중부에서도 인기를 얻게 되었다. 왈츠는 어디에서나 연주되었고, 악보가 여러 번 재인쇄되어 활발하게 판매되었다. 음악 앨범의 표지에는 키릴렌코의 초상화가 실렸다.[3]

1920~1930년대에는 이 왈츠가 작곡가의 이름 없이 연주되기 시작했고, 때로는 민속 음악으로 발표되기도 했다.[3]

왈츠의 두 번째 인기는 20세기 중반에 절정에 달했는데, 가사가 붙여져 합창단과 함께 연주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이 왈츠를 합창단용으로 편곡한 사람은 극동 군관구 노래와 춤 앙상블의 책임자 루먄체프였다. 가사는 배우 세라핌 포포프가 썼다.[4] 동시에 왈츠 음악 작곡가의 이름이 다시 알려졌다. 이후 발트 함대 앙상블의 솔리스트 콘스탄틴 바실리에프가 가사를 약간 수정했다.[3]

이후 몇 년 동안 왈츠는 매우 인기를 얻어, 어느 정도 동시베리아극동의 음악적 상징으로 여겨질 자격을 얻게 되었다. 소련에서의 연주는 시베리아와 극동을 위한 음악 프로그램을 열었다.[3]

이 전통은 보존되어 왈츠 멜로디는 극동 및 동시베리아의 일부 라디오 방송국과 텔레비전 채널의 호출 신호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하바롭스크에서 블라디보스토크로 가는 극동 특급 오션은 이 음악에 맞춰 출발한다. 일반적으로 오션은 작별의 슬라브족에게 보내진다.

보컬과 기악 왈츠 편곡이 있다.

해외, 주로 중국일본에서 연주된다.[3][5]

2. 1. 작곡 배경 (1909년)

'''아무르강의 물결'''은 1909년, 1906년부터 블라디보스토크에 주둔한 제11 동시베리아 연대[1] 지휘자였던 막스 큐스에 의해 작곡되었다.[2] 이 왈츠는 작곡가가 사랑했던 극동의 사회 운동가 베라 야코블레브나 키릴렌코에게 헌정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당시 베라 야코블레브나는 전쟁 고통을 겪는 이들과 그 가족을 위한 보편적인 지원 협회 블라디보스토크 지부의 이사였으며, 자선 기부의 일환으로 이 왈츠를 그들에게 선물했다고 전해진다.

처음에는 이 왈츠가 ''아무르만(灣)의 물결''이라고 불렸다.[2] 블라디보스토크는 아무르만 해안에 위치해 있으나, 이후 만(灣)이라는 단어가 이름에서 사라지고 왈츠는 아무르강과 연관되게 되었다.

짧은 시간 안에 이 왈츠는 극동 지역뿐만 아니라 러시아 중부에서도 인기를 얻게 되었다. 왈츠는 어디에서나 연주되었고, 악보가 여러 번 재인쇄되어 활발하게 판매되었다. 음악 앨범의 표지에는 키릴렌코의 초상화가 실렸다.[3]

2. 2. 초기의 인기 (1910년대)

'''아무르강의 물결'''은 1909년, 1906년부터 블라디보스토크에 주둔한 제11 동시베리아 연대[1] 지휘자였던 막스 큐스에 의해 작곡되었다.[2] 이 왈츠는 작곡가가 사랑했던 극동의 사회 운동가 베라 야코블레브나 키릴렌코에게 헌정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2] 베라 야코블레브나는 전쟁 고통을 겪는 이들과 그 가족을 위한 보편적인 지원 협회 블라디보스토크 지부의 이사였으며, 자선 기부의 일환으로 이 왈츠를 그들에게 선물했다고 알려졌다.

처음에는 이 왈츠가 ''아무르만(灣)의 물결''이라고 불렸다.[2] 블라디보스토크는 아무르만 해안에 위치해 있다. 이후 만(灣)이라는 단어가 이름에서 사라지고 왈츠는 아무르강과 연관되게 되었다.

짧은 시간 안에 이 왈츠는 극동 지역뿐만 아니라 러시아 중부에서도 인기를 얻게 되었다. 왈츠는 어디에서나 연주되었고, 악보가 여러 번 재인쇄되어 활발하게 판매되었다. 음악 앨범의 표지에는 키릴렌코의 초상화가 실렸다.[3]

2. 3. 잊혀진 작곡가와 민요화 (1920~1930년대)

아무르스키예 볼니/«Амурские волны»ru 왈츠는 1920~1930년대에 작곡가의 이름 없이 연주되기 시작했고, 때로는 민속 음악으로 발표되기도 했다.[3] 왈츠는 처음에 ''아무르만의 물결''이라고 불렸으나,[2] 블라디보스토크가 아무르만 해안에 위치해 있었기 때문이다. 이후 '만(灣)'이라는 단어가 이름에서 사라지고 왈츠는 아무르강과 연관되게 되었다. 짧은 시간 안에 이 왈츠는 극동 지역뿐만 아니라 러시아 중부에서도 인기를 얻었다. 왈츠는 어디에서나 연주되었고, 악보가 여러 번 재인쇄되어 활발하게 판매되었다. 음악 앨범의 표지에는 키릴렌코의 초상화가 실렸다.[3]

2. 4. 제2의 전성기 (20세기 중반)

20세기 중반, 아무르강의 물결은 가사가 붙여지고 합창곡으로 편곡되면서 다시 한번 큰 인기를 얻게 되었다.[3][4] 극동 군관구 노래와 춤 앙상블의 책임자 루먄체프가 합창단용으로 편곡했고, 가사는 배우 세라핌 포포프가 썼다.[4] 이후 발트 함대 앙상블의 솔리스트 콘스탄틴 바실리에프가 가사를 약간 수정했다.[3]

이 왈츠는 동시베리아극동의 음악적 상징으로 여겨질 만큼 큰 인기를 얻었으며,[3] 소련에서 시베리아와 극동을 위한 음악 프로그램의 시작을 알리는 곡으로 사용되었다. 이러한 전통은 현재까지 이어져 극동 및 동시베리아 일부 라디오 방송국과 텔레비전 채널의 호출 신호로 사용되고 있으며, 하바롭스크에서 블라디보스토크로 가는 극동 특급 오션은 이 음악에 맞춰 출발한다. 보컬과 기악 왈츠 편곡이 있으며, 해외, 주로 중국일본에서 연주된다.[3][5]

2. 5. 소련 시대의 위상

소련 시절, '아무르강의 물결'은 동시베리아극동의 음악적 상징으로 여겨질 정도로 큰 인기를 얻었다.[3] 1920~1930년대에는 작곡가의 이름 없이 연주되거나 민속 음악으로 발표되기도 했지만,[3] 20세기 중반 가사가 붙여지고 합창단과 함께 연주되면서 두 번째 전성기를 맞았다.[4] 극동 군관구 노래와 춤 앙상블의 책임자 루먄체프가 합창단용으로 편곡했으며, 가사는 배우 세라핌 포포프가 썼다.[4] 이후 발트 함대 앙상블의 솔리스트 콘스탄틴 바실리에프가 가사를 약간 수정했다.[3]

이후 '아무르강의 물결'은 소련에서 시베리아와 극동을 위한 음악 프로그램의 시작을 알리는 곡으로 사용되었다.[3] 이러한 전통은 현재까지 이어져 극동 및 동시베리아 일부 라디오 방송국과 텔레비전 채널의 호출 신호로 사용되며, 하바롭스크에서 블라디보스토크로 가는 극동 특급 오션은 이 음악에 맞춰 출발한다.[3] 보컬과 기악 왈츠 편곡이 모두 존재하며, 해외, 주로 중국일본에서도 연주된다.[3][5]

2. 6. 현대의 연주

'아무르강의 물결'은 소련 시절부터 동시베리아극동의 음악적 상징으로 여겨질 만큼 큰 인기를 얻었으며, 이러한 전통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3] 극동 및 동시베리아 일부 라디오 방송국과 텔레비전 채널의 호출 신호로 사용되고 있으며, 하바롭스크에서 블라디보스토크로 가는 특급열차 '오케안'호는 이 음악에 맞춰 출발한다.[3]

보컬과 기악 왈츠 편곡이 모두 존재하며, 해외에서는 주로 중국일본에서 연주된다.[3][5]

3. 가사

:플라브노 아무르는 자신의 물결을 나르네

:시베리아 바람은 그들에게 노래를 불러주네

:아무르강 너머의 타이가는 조용히 속삭이네

:거품이 일고 파도가 치네

:위엄 있고 자유롭네

:검붉은 태양이 떠오르는 곳

:선원은 아무르강에 대한 노래를 부르네

:노래는 넓은 강 위로 날아가네

:노래는 넓게 울려 퍼지네

:그리고 멀리 퍼져나가네

:아름다움과 힘이 가득하네

:아무르강의 물결은 아름답네

:은빛 물결은 은빛 물결은

:조국의 영광에 자랑스러워하네

:물결은 힘차게 찰싹거리고

:바다로 향하네

:은빛 물결은 은빛 물결은

:러시아의 영광에 자랑스러워하네

:아무르강의 물결은 아름답고 자유롭게 숨 쉬네

:물결은 자신의 평화를 지키는 것을 알고 있네

:강가의 평화로운 곳에는 황금빛 타이가가 속삭이네

:물결은 경이로운 아름다움으로 숨 쉬네

:위대한 백발의 아무르강, 우리는 그 평화를 지키네

:배들은 앞으로 나아가고 파도는 흐르고 흐르네

:소리쳐라, 고향 아무르강, 백발의 파도로 소리쳐라

:무시무시한 질주 속에서 우리의 자유로운 소비에트 땅을 찬양하라

:플라브노 아무르는 자신의 물결을 나르네

:시베리아 바람은 그들에게 노래를 불러주네

:아무르강 너머의 타이가는 조용히 속삭이네

:거품이 일고 파도가 치네

:위엄 있고 자유롭네

:검붉은 태양이 떠오르는 곳

:선원은 아무르강에 대한 노래를 부르네

:노래는 넓은 강 위로 날아가네

:노래는 넓게 울려 퍼지네

:그리고 멀리 퍼져나가네

:아름다움과 힘이 가득하네

:아무르강의 물결은 아름답네

:은빛 물결은 은빛 물결은

:조국의 영광에 자랑스러워하네

:물결은 힘차게 찰싹거리고

:바다로 향하네

:은빛 물결은 은빛 물결은

:러시아의 영광에 자랑스러워하네

:아무르강의 물결은 아름답고 자유롭게 숨 쉬네

:물결은 자신의 평화를 지키는 것을 알고 있네

:강가의 평화로운 곳에는 황금빛 타이가가 속삭이네

:물결은 경이로운 아름다움으로 숨 쉬네

:위대한 백발의 아무르강, 우리는 그 평화를 지키네

:배들은 앞으로 나아가고 파도는 흐르고 흐르네

:소리쳐라, 고향 아무르강, 백발의 파도로 소리쳐라

:무시무시한 질주 속에서 우리의 자유로운 소비에트 땅을 찬양하라

4. 한국에서의 수용과 의미

참조

[1] 웹사이트 Макс Кюсс. Вальс «Амурские волны» http://amnesia.pavel[...]
[2] 웹사이트 Откуда скользят «Амурские волны» https://web.archive.[...]
[3] 웹사이트 Нестареющий вальс Макса Кюсса https://web.archive.[...] Igor Chopp
[4] 웹사이트 Серафим Александрович Попов. Хабаровский краевой музыкальный театр http://muzteatr27.ru[...]
[5] Youtube Amur Waves. Chinese version https://www.youtub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