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발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발론은 프랑스 부르고뉴 지방에 위치한 도시로, 켈트어에서 유래된 지명을 가지고 있다. 로마 시대에는 군사적 요충지였으며, 중세 시대에는 부르고뉴 공국의 일부로 여러 차례의 역사적 변화를 겪었다. 아서 왕 전설에 등장하는 아발론 섬과 연관되어 논의되기도 한다. 현재는 생 라자르 성당, 시계탑 등 다양한 볼거리가 있으며, 주변 지역과의 교류를 통해 경제적, 문화적 발전을 이루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욘주의 코뮌 - 오세르
프랑스 중부 욘 강변에 위치한 오세르는 갈로-로마 시대부터 존재한 도시로, 중세 오세르 백작령의 중심지였으며 고딕 양식의 대성당, 오래된 벽화가 있는 수도원 등의 역사적 건축물과 부르고뉴 와인 생산지로 알려져 있다. - 욘주의 코뮌 - 상스
상스는 프랑스 부르고뉴-프랑슈-콩테 지역의 도시이며, 고대 로마 시대에는 아게딘쿰으로 불렸고, 생테티엔 대성당은 프랑스 초기 고딕 건축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 프랑스의 준주도 - 오툉
오툉은 기원전 1세기 아우구스투스 황제에 의해 건설된 프랑스의 역사적인 도시이며, 로마 시대 유적, 로마네스크 양식의 생 라자르 대성당, 롤랭 박물관을 포함하고 스테버니지 등 여러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 프랑스의 준주도 - 뮐루즈
뮐루즈는 프랑스 알자스 지역의 역사적인 산업 도시로, 한때 "프랑스의 맨체스터"라 불리며 번영했고, 현재는 다양한 산업과 문화유산을 가진 도시로 푸조 자동차 공장, 박물관, 발달된 교통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 프랑스의 도시 - 몽펠리에
몽펠리에는 프랑스 에로주에 위치한 중세 시대에 성립된 도시로,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순례길의 숙박 도시로 번영했으며, 1220년 설립된 의학부가 몽펠리에 대학교의 기원이 되었고, 아라곤 왕국과 프랑스 합병, 격변기를 거쳐 현재는 프랑스에서 큰 도시 중 하나이며 대학 문화와 관광 명소를 지닌 도시이다. - 프랑스의 도시 - 스트라스부르
스트라스부르는 프랑스 동부 알자스 지방의 일 강과 라인 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한 도시로, 로마 요새에서 시작하여 프랑스와 독일 영토를 오가며 상업 및 종교 개혁의 중심지로 발전, 현재는 유럽 기관들이 위치한 국제 도시이자 유럽 통합의 상징이다.
아발롱 | |
---|---|
개요 | |
![]() | |
지리적 위치 | 프랑스 부르고뉴-프랑슈-콩테 욘 |
현황 | 준현 및 코뮌 |
면적 | 26.75 제곱킬로미터 |
고도 | 254 m |
최소 고도 | 163 m |
최대 고도 | 369 m |
행정 | |
국가 | 프랑스 |
레지옹 | 부르고뉴-프랑슈-콩테 |
데파르트망 | 욘 |
아롱디스망 | 아발롱 군 |
캉통 | 아발롱 |
코뮌 간 연합 | 아발롱 - 베즐레 - 모르방 코뮌 공동체 |
INSEE 코드 | 89025 |
우편 번호 | 89200 |
시장 | 자밀라 합사우이 |
임기 | 2021년 – 2026년 |
인구 | |
2006년 | 7,483명 |
인구 밀도 | 280명/제곱킬로미터 |
추가 정보 | |
젱틸레 | 아발로네즈, 아발로네 |
공식 웹사이트 | 아발롱 공식 웹사이트 |
2. 명칭
아발론(Avallon)은 골어 '*Aballū*'에서 파생되었으며, "사과나무(장소)" 또는 "(사과나무 여신의) 장소"를 의미한다.[2][3][4] 이는 원시 켈트어 '*abalnā*'에서 유래되었으며, 고대 아일랜드어 'aball', 웨일스어 'afall', 고대 브르타뉴어 'aball(en)' "사과나무"와 유사하다.[2][3][4]
아발롱은 파리–리옹 철도의 지선과 A6 고속도로 22번 출구가 지나며, 오세르에서 남남동쪽으로 50km 떨어져 있다. 전통적인 석조 및 목조 건물로 둘러싸인 구시가지는 구불구불한 자갈길이 많으며, 남쪽으로는 쿠쟁 강, 동쪽과 서쪽으로는 작은 시내가 흐르는 평평한 곶에 위치해 있다.
3. 지리
4. 역사
갈리아계 에두이족(fr)의 오피둠이 있었던 이 도시는 오텡 주에 속해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안토니누스 피우스는 그 여정에서 아발로네(Aballone)에 대해 언급했는데, 이는 로마 시대 지도인 타불라 페우틴게리아나(fr)에서는 아발로(Aballo, 켈트어로 사과)라고 표기되어 있었다. 모르반 산지에 있는 아발론은 오텡에 살고 있는 부유한 갈로-로마인 가족들을 매료시켰고, 그들은 이 지역에 신전, 법원, 극장을 지었다.
이 지역은 오랫동안 군사적 요충지였다. 5세기 후 침공 시대에는 아발로넴 카스트룸(Avallonem Castrum)이라 불렸고, 성은 오래된 도시 위에 세워졌다. 신전은 성모 마리아에게 바치는 예배당이 되었으며, 로마 군인이 살았던 프라이토리움(en)은 사법의 장소로 남았다. 1765년에 발견된 극장 유적에서는 오래된 좌석, 6개의 메달, 묘소, 무기, 암포라 파편이 출토되었다.
7세기에는 수도사 조나스가 카발로넴 카스트룸(Cabalonem Castrum)에 대해 언급했다. 이 도시의 운명은 부르고뉴의 운명과 연결되어, 때로는 독립 왕국, 때로는 아우스트라시아에 병합되었다(9세기까지). 카롤루스 대제는 806년 법령에서 아바용과 오소와를 경건왕 루이에게 넘겨주었고, 817년에는 아키텐 왕 피핀 1세의 것이 되었다.
17세기는 장식의 시대였다. 1713년에는 병원이 재건되었고, 1770년에는 시청이 건설되었으며, 1791년에는 생 쥘리앙 교회가 폐지되었다.[2] 최근에는 JTBC 내 친구의 집은 어디인가 프랑스 편에 출연한 로빈 데이아나의 고향이기도 하다.
4. 1. 고대
우연히 발견된 동전과 도자기 조각, 미네르바의 훌륭한 두상은 켈트족의 이름인 '''아발로'''[5]를 가진 로마 정착지의 흔적을 보여준다. 이곳은 신선한 말을 구할 수 있는 ''무타티오'' 또는 역참이었다.[6] 생 마르탱 뒤 부르(St-Martin du Bourg) 교회의 두 개의 분홍색 대리석 기둥은 알려지지 않은 신전에서 재사용된 것이다. 쿠쟁 계곡이 내려다보이는 바위 절벽에 위치한 로마 요새는 "순교자의 산"이라는 뜻의 ''몽마르트''로 기독교화되었다.
4. 2. 중세
부르고뉴 공국의 자작령이었던 아발롱(Aballo)은 1477년 용담공 샤를이 사망하자 왕의 권한으로 넘어갔다. 7세기 초부터 언급된 성은 완전히 사라졌다.[5] 931년, 부르고뉴 공작 지즐베르트는 의형제 라울과 싸워 아발론을 획득하고 오세르 백작령에 병합했다. 1002년, 로베르 왕은 오통-기욤으로부터 부르고뉴 공작령을 되찾기 위해 아바용을 3개월 동안 포위했고, 기아 상태에 몰린 아바용은 항복했다. 도시는 황폐화되었고 주민들은 학살되었다. 아바용 주민과 농노는 부르고뉴 공작, 생 마르탱 수도원장, 생 라자르 교회법의 세 명의 주인을 섬겼다. 제4차 십자군에 참여할 때, 부르고뉴 공작은 아발론 주민을 해방하고 코뮌 헌장을 수여했다. 1110년에는 수도원장이 부르고뉴 공작을 따라 했다. 한편, 교회법은 적용이 포기되었을 뿐, 그늘에서는 강제되었다. 주민들은 '통치하기 위한 4명의 참사관(fr)을 임명할 권리를 가지며, 왕의 선택에 종속되어 민중 대장을 방어를 위해 제공했고, 14세기경에 제3신분이 부르고뉴 의회에서 열리면 대표를 2명 파견했다.'
15세기 초, 탑과 성벽이 폐허가 되었다. 포르 데피스라는 집단의 수장이 1433년에 8개월 동안 아발론을 점유하는 동안 이 폭거를 저질렀다. 시련에서 회복하는 데 20년이 걸렸다. 주민들은 코뮌의 중심에 감시용 사각형 시계탑을 세웠다. 도로는 포장되었다. 1543년, 인구가 이전의 거의 3배가 되었다. 그러나 위그노 전쟁이 코뮌의 좋은 상태를 유지시키지 못했다. 1590년, 가톨릭 동맹군은 코뮌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다. 1589년과 1595년에는 각각 벼락이 생 라자르 시계탑과 작은 시계탑에 피해를 입혔다. 음울한 시대를 반영하듯, 1531년과 1587년에는 흑사병이 유행했다.
4. 3. 아서 왕 전설과의 연관성
제프리 애쉬는 1985년 저서 《아서 왕의 발견》에서 프랑스의 아발론이 아서 왕 전설에 나오는 아발론 섬의 실제 모델이라는 이론을 제시했다.[7] 그는 "아서 왕"이 454~470년 사이에 통치한 역사적인 로마-브리튼의 최고 왕 리오타무스를 기반으로 한다고 주장했다. 애쉬에 따르면, 서기 470년에 리오타무스는 데올 전투에서 서고트 왕국의 왕 에우리크에게 패한 후 아발론 인근에서 사라졌는데(그리고 죽은 것으로 추정), 이러한 점과 그의 통치의 다른 측면들을 근거로 그를 역사적 아서 왕의 후보로 제시했고, 아발론은 아서 왕 전설의 아발론이 되었다고 주장했다.[7]
그러나 리오타무스를 언급하는 어떤 고대 자료도 그를 아발론 근처에 위치시키지 않으며, 제프리 오브 몬머스는 "아발론 섬"(라틴어 ''insula Auallonis'')을 처음 언급하고 그 섬에 대한 묘사를 고전 문학의 행복의 섬에 대한 묘사에 기반을 두고 서쪽 바다에 있는 섬이라고 명확히 밝혔다. 제프리의 시대(그리고 실제로 고대 지리학자들의 시대부터) 행복의 섬은 카나리아 제도로 확인되었다.
4. 4. 근세 및 현대
15세기 초, 탑과 성벽이 폐허가 되었다. 포르 데피스라는 집단의 수장이 1433년에 8개월 동안 아발론을 점유하면서 이러한 일이 벌어졌다. 이 시련에서 회복하는 데 20년이 걸렸다. 주민들은 코뮌의 중심에 감시용 사각형 시계탑을 세웠고, 도로는 포장되었다. 1543년, 인구는 이전의 거의 3배가 되었다. 그러나 위그노 전쟁으로 코뮌은 큰 피해를 입었다. 1590년, 가톨릭 동맹군은 코뮌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고, 1589년과 1595년에는 벼락이 생 라자르 시계탑과 작은 시계탑에 각각 피해를 입혔다. 1531년과 1587년에는 흑사병이 유행했다.[2]
17세기는 장식의 시대였다. 1713년에는 병원이 재건되었고, 1770년에는 시청이 건설되었으며, 1791년에는 생 쥘리앙 교회가 폐지되었다.[2]
5. 인구
연도 | 인구 | ±% |
---|---|---|
1968 | 6,846 | — |
1975 | 8,814 | +28.7% |
1982 | 8,904 | +1.0% |
1990 | 8,617 | -3.2% |
1999 | 8,217 | -4.6% |
2007 | 7,366 | -10.4% |
2012 | 7,210 | -2.1% |
2017 | 6,572 | -8.8% |
6. 볼거리
아발론에는 옛 대학 교회인 생 라자르 성당, 그랑 뤼를 통과하는 통로가 있는 시계탑(Tour de l'Horloge), 측면 탑 7개를 포함한 고대 요새 유적, 보방 동상 등이 있다. 시계탑은 11세기에 지어졌으며 2층에는 박물관이 있다.[1]
6. 1. 생 라자르 성당
생 라자르 성당은 12세기에 지어진 건물로, 노트르담에게 헌정된 이전 건물 터에 세워졌다. 1861년 발굴을 통해 이전 교회의 흔적이 고제단 아래에서 발견되었다. 생 라자르의 유물을 획득하면서 재헌당이 이루어졌고, 14세기에는 "생 라드르"로 기록되었다. 이곳은 오텡 주교에 속하는 부제관의 소재지였다. 서쪽의 두 정문은 로마네스크 조각 양식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정면 왼쪽의 탑은 17세기에 재건되었다.6. 2. 시계탑
그랑 뤼를 통과하는 통로가 있는 시계탑(Tour de l'Horloge)은 11세기에 지어졌으며, 2층에는 박물관이 있다.[1]
6. 3. 기타 유적
생 라자르 성당은 12세기 건물로, 노트르담에게 헌정된 이전 건물 터에 세워졌다. 1861년 발굴을 통해 이전 교회의 흔적이 고제단 아래에서 발견되었다. 생 라자르의 유물을 획득하면서 재헌당이 이루어졌고, 14세기에는 "생 라드르"로 기록되었다. 이곳은 오텡 주교에 속하는 부제관의 소재지였다. 서쪽의 두 정문은 로마네스크 조각 양식으로 장식되어 있으며, 정면 왼쪽의 탑은 17세기에 재건되었다. 그랑 뤼를 통과하는 통로가 있는 시계탑(Tour de l'Horloge)은 11세기 건물로, 2층에는 박물관이 있다. 측면 탑 7개를 포함한 고대 요새의 유적이 아직 남아 있다. 아발론에는 루이 14세의 군사 기술자인 보방의 동상이 있다.7. 경제
20세기 초, 비스킷과 진저브레드 제조, 가죽 및 농기구 산업이 아발롱의 경제를 지탱했으며, 주변 지역의 목재, 포도주, 가축 및 농산물 거래가 활발했다.[1] 시비에르 그룹(fr)의 본부가 아발롱에 있다.
8. 자매 도시
아발롱은 다음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일본 나가노현에 위치한 사쿠와 자매결연을 맺고 있으며, 이는 대한민국과 일본 간의 문화 교류에도 기여하고 있다.
9. 기후
참조
[1]
웹사이트
Répertoire national des élus: les maires
https://www.data.gou[...]
2021-08-09
[2]
서적
Celtic Culture
ABC-CLIO
2006
[3]
서적
Etymological Dictionary of Proto-Celtic
Brill
2009
[4]
서적
Dictionnaire de la langue gauloise. Une approche linguistique du vieux-celtique continental
éditions Errance
2003
[5]
웹사이트
FalileyevMap.pdf
https://web.archive.[...]
Cadair the Aberystwyth University online research repository
2011-11-12
[6]
웹사이트
Avallo = Aballo:aval0072
http://www.sc.edu/lt[...]
Society for Late Antiquity,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2011-11-12
[7]
문서
The Origin and Deeds of the Goths
[8]
웹사이트
Population en historique depuis 1968
https://www.insee.fr[...]
INSEE
[9]
웹사이트
Normales et records pour Avallon (89)
https://www.meteocie[...]
Meteociel
2024-1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