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버지 할당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버지 할당제는 출산 후 아버지가 일정 기간 육아 휴직을 의무적으로 사용하도록 하는 제도로, 노르웨이에서 1993년 4주로 처음 도입되었다. 이후 기간이 확대와 축소를 반복했으며, 2018년에는 15주로 늘어났다. 이 제도는 양성평등을 목표로 아버지의 육아 참여를 장려하고, 여성의 경력 단절을 예방하며, 경제적 이점을 가져다준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만, 개인의 선택권을 침해하고, 아이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반대 의견도 존재한다. 노르웨이에서는 아버지 할당제를 둘러싸고 찬반 논쟁이 지속되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 결과와 전문가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웨덴의 정치 - 스웨덴 의회
    스웨덴 의회는 1435년 귀족 회의에서 시작되어 신분 대표제를 거쳐 현재 349석의 비례대표제 단원제로 운영되며, 법률 제정, 예산 심의, 정부 구성 및 견제 기능을 수행하는 스웨덴의 입법부이다.
  • 스웨덴의 정치 - 스웨덴의 복지
    스웨덴의 복지는 루터교회의 빈민 구호에서 시작되어 국가 빈민 구호 시스템을 거쳐 현대 사회 복지 시스템으로 전환되었으며, 보건복지부와 사회보험청이 사회 복지 및 보장 제도를 관리하고, 다양한 노동 시장 정책과 연금 제도를 통해 국민의 복지를 증진한다.
  • 노르웨이의 정치 - 노르웨이 의회
    노르웨이 의회는 1814년 구성되어 9세기 '팅'에 기원을 둔 단원제 입법부로서, 입법, 예산 심의, 행정부 감시 등의 기능을 수행하며 정당 명부 비례대표제에 따라 선출된 169명의 의원으로 구성된다.
  • 노르웨이의 정치 - 뉘고르스볼 내각
    뉘고르스볼 내각은 요한 니고르스볼이 국무총리를 역임하며 노르웨이 노동당을 주축으로 1935년부터 1945년까지 존속한 내각으로, 제2차 세계 대전 기간 동안 노르웨이의 전시 정부 역할을 수행했다.
  • 아이슬란드의 정치 - 아이슬란드의 정당
    아이슬란드의 정당은 아이슬란드의 정치 체제를 구성하며, 2024년 11월 기준 8개의 정당이 의회에 진출해 있고, 독립당, 진보당, 좌익녹색운동이 연립 정부를 구성한다.
  • 아이슬란드의 정치 - 알팅그
    알팅은 930년경 창설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의회로, 아이슬란드 자유국 시대에는 입법 및 사법 기능을 수행했으며, 역사적 변천을 거쳐 현재는 비례대표제로 선출된 63명의 의원으로 구성된 단원제 의회이다.
아버지 할당제
아버지 할당제
정의출산 휴가 기간 중 아버지에게 할당된 기간
목표양성 평등 증진 및 자녀 양육에 있어 부모의 동등한 역할 장려
적용 국가노르웨이
스웨덴
아이슬란드
대한민국
일본
독일
포르투갈
슬로베니아
리투아니아
특징아버지 할당제 기간은 양도 불가능
아버지의 출산 휴가 사용률 증가
아버지와 자녀 간의 유대감 강화
여성의 경력 개발 지원
노르웨이의 아버지 할당제 (Fedrekvote)
도입 시기1993년
초기 기간2주
현재 기간15주 (2018년)
효과아버지의 육아 참여 증가 및 양성 평등에 기여
스웨덴의 아버지의 달 (Pappamånader)
특징부모 보험 시스템 내에서 아버지에게 할당된 특정 기간
목표가정 내 성 역할의 균형 촉진
대한민국
아빠의 달육아휴직 급여의 일부를 지원하는 제도
목표남성의 육아 참여 장려
비판 및 논쟁
유연성 부족아버지 할당제가 가족의 필요에 대한 유연성이 부족하다는 비판 존재
특정 가족 상황에 대한 고려 필요

2. 역사

1974년 스웨덴을 시작으로 여러 나라에서 아버지 할당제가 도입되기 시작했다. 1978년 노르웨이는 양쪽 부모 모두에게 육아 휴직에 대한 동등한 권리를 법으로 보장했지만, 실제로는 어머니가 전체 육아 휴직을 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7] 1993년 노르웨이에서는 육아 휴직 급여가 확대되어 4주가 아버지에게 할당되었다.[8]

이후 노르웨이에서는 아버지 할당제가 여러 차례 변화를 겪었다.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인 (노르웨이의 아버지 할당제 변천사)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13년 보수당, 진보당, 자유당, 기독교민주당 간의 합의에 따라 아버지 할당제를 10주로 설정하고 휴직 전부 또는 일부를 이전할 수 있는 신뢰 기반 예외 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이는 보수당과 진보당이 완전한 폐지를 원한 후 기독교민주당의 타협안으로 제시된 것이었다. 2014년 7월 1일, 아버지 할당제가 공식적으로 14주에서 10주로 축소되었다.[12]

육아 휴직은 스웨덴아이슬란드의 패턴을 따라 세 부분으로 나뉘었다. 9주는 어머니에게, 14주는 아버지에게 할당되었으며, 나머지 주수는 부모가 자유롭게 공유할 수 있었다. 부모는 휴가를 26~36주까지 연장하여 혜택 기간 동안 80~100%의 급여를 받을 수 있었다. 어머니 또는 아버지가 휴직 부분을 사용하지 않기로 선택하면, 그 부분은 다른 사람에게 양도하거나 사용할 수 없었다.[11]

2. 1. 노르웨이의 아버지 할당제 변천사

연도내용비고
1993년아버지 할당제 4주 도입[7][8]그로 할렘 브룬트란 3기 정부 (노동당)
2005년아버지 할당제 4주에서 5주로 증가[9]셸 마그네 본데비크 2기 정부 (보수당 연립)
2006년아버지 할당제 5주에서 6주로 증가옌스 스톨텐베르그 2기 정부 (노동당 연립)
2009년아버지 할당제 6주에서 10주로 증가[10]옌스 스톨텐베르그 2기 정부
2011년아버지 할당제 10주에서 12주로 증가옌스 스톨텐베르그 2기 정부
2013년아버지 할당제 12주에서 14주로 증가[10][11]옌스 스톨텐베르그 2기 정부
2014년아버지 할당제 14주에서 10주로 감소[12]에르나 솔베르그 정부 (보수당 연립)
2018년아버지 할당제 10주에서 15주로 증가에르나 솔베르그 2기 정부


2. 2. 정치적 배경

1978년 노르웨이는 양쪽 부모 모두에게 육아 휴직에 대한 동등한 권리를 법으로 보장했지만, 실제로는 어머니가 주로 육아 휴직을 사용했다.[7] 1993년, 더 많은 아버지의 육아 참여를 장려하기 위해 아버지 할당제가 도입되었다.[8]

그로 할렘 브룬트란의 노동당 정부는 이 제도를 주도했으며, 보수당과 진보당은 반대했다.[9] 옌스 스톨텐베르그 정부는 아버지 할당제를 확대하려는 정책을 추진했지만, 보수당과 진보당의 반대에 직면했다.[10]

2013년, 보수당, 진보당, 자유당, 기독교민주당 간의 합의로 아버지 할당제가 10주로 설정되고, 예외 제도가 도입되었다.[12]

3. 논쟁

아버지 할당제는 노르웨이에서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킨 주제였다. 보수당과 진보당 등 주요 야당은 아버지 할당제를 완전히 폐지하고, 각 가정이 출산 휴가 분배를 자유롭게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13] 반면, 아버지 할당제는 부모의 양육 분담을 평등하게 하고, 아버지와 자녀 간의 관계를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3]

이 정책은 무급 노동의 가치를 높이고 가정 내 생산과 육아를 노동의 형태로 강조하며, 남녀 모두에게 공정한 경쟁의 장을 만들고자 하는 평등주의적 가치를 반영한다.[14] 그러나 일부 심리학자와 의학 연구자들은 이 할당제가 연구보다는 이념에 기반하며, 아이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경고한다.[15][16][17]

아프텐포스텐의 2010년 여론 조사에서는 노르웨이인 66%가 아버지 할당제 폐지를 원했지만,[18] 노르웨이 통계청 연구에서는 어린 자녀를 둔 부모 대다수가 긍정적이었다. 어머니의 5%, 아버지의 3%만이 반대했으며,[19] 아버지의 평균 출산 휴가 기간은 할당제 도입 후 꾸준히 증가했다.[20]

3. 1. 찬성 측 주장

아버지 할당제는 아버지와 어머니가 육아를 보다 평등하게 분담하고, 아버지와 자녀 간의 관계를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13] 이 제도는 무급 노동의 가치를 높이고 가정 내 생산과 육아를 노동의 한 형태로 강조하며, 남녀 모두에게 공정한 경쟁 환경을 조성하고자 하는 노르웨이 사회의 평등주의적 가치를 반영한다.[14]

아버지 할당제가 성 역할에 미치는 영향은 경제적 이점으로 이어진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노르웨이 고용 데이터를 보면,[21] 1980년대 20%였던 성인 남녀 간 노동력 비율 격차가 2018년에는 5%로 감소했다. 이는 노르웨이에서 남녀가 분업을 바라보는 시각이 변화했음을 보여주며, 성 다양성 증가와 자유로운 노동 선택으로 경제가 성장하는 효과를 낳는다. 스웨덴아이슬란드에서도 노동 시장의 성 평등이 유사하게 개선되었으며, 교육받은 여성 전문가의 고용률이 증가하고 아버지 할당제하에서 남성의 95%가 육아에 참여하고 있다.[22] 아이슬란드, 스웨덴, 노르웨이는 인구가 적어 경제 활성화와 인구 증가를 위해 출산율을 높이는 것을 오랫동안 추구해 왔으며, 연구에 따르면 아버지 할당제로 인해 스웨덴 가족이 평균 1~2명의 자녀를 두는 것과 달리 3명의 자녀를 가질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23]

3. 2. 반대 측 주장

보수당과 진보당 등 노르웨이 주요 야당은 개별 가족이 출산 휴가 기간을 어떻게 분배할지 스스로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며 아버지 할당제의 완전 폐지를 주장한다.[13]

일부 심리학자 및 의학 연구자들은 아버지 할당제가 연구보다는 이념에 기반하고 있으며, 아이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비판한다.[15][16][17]

노르웨이 최대 일간지 아프텐포스텐의 2010년 여론 조사에 따르면, 노르웨이인의 66%가 아버지 할당제 폐지를 원하고, 28%만이 지지했다(7%는 의견 없음).[18]

3. 3. 기타 논쟁점

보수당과 진보당 등 주요 야당은 아버지 할당제를 완전히 폐지하기를 원한다. 이들은 개별 가족이 출산 휴가 기간을 어떻게 분배할지 스스로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13]

아버지 할당제는 일부 심리학자 및 의학 연구자들로부터 비판받았는데, 이들은 할당제가 연구보다는 이념에 기반하고 있으며, 아이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한다.[15][16][17]

아프텐포스텐의 2010년 여론 조사에 따르면, 노르웨이인의 66%가 아버지 할당제를 폐지하길 원하고, 28%만이 이를 지지했다(7%는 의견 없음).[18] 하지만, 노르웨이 통계청의 연구에 따르면, 어린 자녀를 둔 부모들은 1993년 처음 도입되었을 때와 할당제가 4주에서 10주로 늘어난 2010년 모두 아버지 할당제에 대해 매우 긍정적이었다. 어머니의 5%와 아버지의 3%만이 아버지 할당제에 반대했다.[19] 아버지들이 사용하는 평균 출산 휴가 기간은 아버지 할당제와 함께 꾸준히 증가했으며, 2010년에는 평균 아버지가 지정된 할당 주보다 더 많은 휴가를 사용했다.[20]

아버지 할당제가 성 역할에 미치는 영향이 경제적 이점을 가져다준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으며, 노르웨이 고용 데이터를 기반으로[21] 1980년대에 20%였던 성인 남녀의 노동력 비율 격차가 2018년에는 5%로 감소했다. 스웨덴과 아이슬란드에서도 노동력의 성 평등이 유사하게 회복되었으며, 교육받은 여성 전문가의 고용률이 증가하고 아버지 할당제하에서 남성의 95%가 집에 머물고 있다.[22] 아이슬란드, 스웨덴, 노르웨이의 좁은 인구 피라미드를 고려할 때, 이들 국가는 오랫동안 경제를 활성화하고 인구를 늘리기 위해 출산율을 높이는 것을 모색해 왔으며, 연구에 따르면 아버지 할당제로 인해 스웨덴 가족이 평균 1~2명의 자녀를 두는 것과 달리 3명의 자녀를 가질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23]

4. 학술적 논쟁

아버지 할당제는 노르웨이에서 많은 논쟁을 불러일으킨 제도이다. 보수당과 진보당 등 주요 야당은 아버지 할당제 폐지를 주장하며, 각 가정이 출산 휴가 기간을 자유롭게 결정해야 한다고 본다.[13] 반면, 아버지 할당제는 어머니와 아버지 간의 양육 분담을 평등하게 하고, 아버지와 자녀 간의 관계를 변화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13] 또한 무급 노동의 가치를 인정하고 가정 생산과 육아를 노동의 형태로 강조한다.[14]

아프텐포스텐의 2010년 여론 조사에서는 노르웨이인의 66%가 아버지 할당제 폐지를 원했고, 28%만이 지지했다.[18] 그러나 노르웨이 통계청 연구에 따르면, 어린 자녀를 둔 부모들은 아버지 할당제에 대해 매우 긍정적이었다.[19] 아버지들이 사용하는 평균 출산 휴가 기간은 아버지 할당제와 함께 꾸준히 증가했으며, 2010년에는 평균적으로 아버지가 지정된 할당 주보다 더 많은 휴가를 사용했다.[20]

아버지 할당제가 성 역할에 미치는 영향은 경제적 이점을 가져다준다는 주장이 제기된다.[21] 노르웨이 고용 데이터를 보면 1980년대 20%였던 성인 남녀 노동력 비율 격차가 2018년에는 5%로 감소했다.[21] 스웨덴아이슬란드에서도 노동력의 성 평등이 유사하게 회복되었으며, 교육받은 여성 전문가의 고용률이 증가하고 아버지 할당제하에서 남성의 95%가 집에 머물고 있다.[22] 연구에 따르면 아버지 할당제로 인해 스웨덴 가족이 평균 1~2명의 자녀를 두는 것과 달리 3명의 자녀를 가질 가능성이 더 높아졌다.[23]

배우자의 육아를 돕는 아버지는 파트너의 가사 부담을 덜어주고, 여성이 유급 노동에 다시 참여할 수 있게 돕는다.[30] 아버지의 육아 휴가는 양쪽 부모 모두에게 충분한 휴식 시간을 제공한다. 연구에 따르면 휴가를 제공받은 새로운 아버지들은 육아 관련 책임에 참여할 가능성이 19% 더 높았다.[31] 아버지에게 육아 휴가를 보장하는 회사는 직원들의 성과와 웰빙에 긍정적인 영향을 얻었으며, 회사에 대한 재정적 영향은 거의 없었다.[32]

스톡홀름 대학교의 연구에 따르면 아버지 할당제는 이주민 인구를 위한 안전하고 건강한 가족 환경을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이는 스웨덴 및 노르웨이 원주민 시민과 이주 이웃 간의 건강 불평등을 감소시켰다.[35] 국립 경제 연구국은 2022년에 업데이트된 연구를 통해 아버지 할당제가 스웨덴 여성의 산모 건강 위기를 감소시키고 산모의 정신 건강 문제를 감소시키는 데 기여했음을 확인했다.[36]

4. 1. 전문가 의견

국립 오슬로 대학교 병원 수유 센터 책임자 안네 베루그는 모유 수유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전문가의 관점에서 볼 때, 어머니는 아기를 완전히 6개월 동안 모유 수유하고, 그 후 2개월 동안 점차 다른 음식을 소개하기 위해 출산 후 최소 8개월 동안 아이와 함께 집에 머물 수 있는 권리를 보장받아야 합니다."라고 말했다.[16]

국제적으로 유명한 노르웨이 산부인과 의사 그로 닐란데르는 아버지 할당제의 증가를 터무니없는 일이라고 비판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아버지 할당제에 대한 자기만족 속에서 현실은, 새로운 아버지가 출산 후 12주간의 휴가를 보장받는 반면, 어머니는 법에 따라 6주만 보장받는다는 것입니다. 도대체 어떻게 남자가 출산 후 주된 사람이 되었는가?"[16]

인간 생물학 및 인간 행동 생태학 연구자 테리에 봉가드는 "여성은 남성보다 자녀에 대해 더 걱정합니다. 우리는 그렇게 자연 선택되었습니다. 우리의 감정적 삶을 발전시키는 데 수십만 년이 걸렸습니다. 정치적 결정으로 이를 끌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라고 말하며, 아버지에게 휴가 기간을 주는 것이 아이들에게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17]

4. 2. 연구 결과

노르웨이 여성 권리 협회는 아버지 할당제와 성 평등 간의 관계를 뒷받침할 증거가 제한적이며, 관련 연구들이 서로 다른 결과를 제시한다고 주장한다.[24] 욘 H. 피바를 비롯한 여러 경제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아버지 할당제는 성 평등 증진에 기여하지 않았다. 이 연구는 아버지 할당제가 여성의 근로 시간을 줄이고, 동일 임금에 기여하지 않았으며, 가정 내 업무 분담에도 변화를 주지 않았다고 밝혔다.[25][26][27]

토릴 스카르(전 유니세프 회장)는 아버지 할당제를 50%로 늘리자는 제안을 여성과 아동에 대한 차별로 간주했으며,[28] 투리드 수잔 베르그-닐센(아동 심리학 교수)은 그러한 제안이 아동 발달 연구에 근거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29]

5. 한국의 현황과 과제

현재 한국 사회는 아버지의 육아 참여를 확대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적 과제를 안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Modern daddy: Norway's progressive policy on paternity leave http://www.ilo.org/w[...] Ilo.org 2011-06-22
[2] 뉴스 Norway's welfare model 'helps birth rate' http://news.bbc.co.u[...] BBC News 2011-06-22
[3] 뉴스 Norske fedre i særstilling i Europa http://www.aftenpost[...] Aftenposten 2012-10-29
[4] 웹사이트 Paternal quota https://www.nav.no/e[...] 2015-04-16
[5] 간행물 Fathers' rights to paid parental leave in the Nordic countries: consequences for the gendered division of leave 2011-05
[6] 웹사이트 Mer midler til familievernet og samlivstiltak http://www.regjering[...] Barne-, likestillings- og inkluderingsdepartementet 2013-11-08
[7] 웹사이트 8.1.1 Historisk utvikling i begrunnelser for permisjonsrettigheter: vern av kvinner i arbeidslivet, likestilling mellom kjønnene og omsorg for barn http://www.regjering[...] Regjeringen.no 1996-06-06
[8] 웹사이트 NOU 1995: 27 https://www.regjerin[...] 1995-11-11
[9] 웹사이트 http://www.regjering[...]
[10] 웹사이트 Regjeringen utvider pappapermen https://www.hegnar.n[...]
[11] 웹사이트 Politikk for likestilling http://www.regjering[...] Regjeringen.no 2012-09-28
[12] 웹사이트 Mer midler til familievernet og samlivstiltak http://www.regjering[...] Barne-, likestillings- og inkluderingsdepartementet 2013-11-08
[13] 웹사이트 Fedrekvoten som universalmiddel for likestilling http://forskning.no/[...] 2015-04-14
[14] 서적 The Politics of Parental Leave Policies The Policy Press
[15] 웹사이트 Valgfrihet for barnas skyld http://www.dagbladet[...] Dagbladet 2011-06-22
[16] 웹사이트 Vil gi mor åtte måneder etter fødsel http://www.dagsavise[...] Dagsavisen 2011-06-22
[17] 웹사이트 Kvinner er mer opptatt av barna sine enn menn, sier forsker http://www.aftenpost[...] Aftenposten 2011-06-22
[18] 웹사이트 To av tre spurte sier nei til pappakvote http://www.aftenpost[...] Aftenposten 2011-06-22
[19] 뉴스 Småbarnsforeldre sier ja til fedrekvote http://www.ssb.no/be[...] 2013-07-09
[20] 뉴스 Likere deling av foreldrepermisjonen http://www.ssb.no/be[...] 2013-07-09
[21] 웹사이트 "Norway's "Daddy Quota" Means 90 Percent of Fathers Take Parental Leave" https://www.newsecur[...] 2022-05-27
[22] 웹사이트 The definitive case for paternity leave https://qz.com/26684[...] 2014-09-24
[23] 간행물 Impact of a Reform Towards Shared Parental Leave on Continued Fertility in Norway and Sweden 2020-12-01
[24] 웹사이트 Fedrekvoten har dårlig dokumentert effekt på likestilling http://kvinnesak.no/[...] Norwegian Association for Women's Rights 2013-08-14
[25] 웹사이트 Fire uker pappaperm økte ikke mors arbeidsdeltakelse http://www.ssb.no/fo[...] Statistics Norway 2011-07-03
[26] 웹사이트 Jeg tror veien å gå er å utvide fedrekvoten ytterligere http://www.aftenpost[...] Aftenposten 2011-07-03
[27] 서적 Causal effects of paternity leave on children and parents http://www.ssb.no/cg[...] Statistics Norway
[28] 웹사이트 Likedeling av foreldrepermisjonen er diskriminering av mor og barn http://kvinnesak.no/[...] Norwegian Association for Women's Rights 2015-10-21
[29] 웹사이트 - Far må ta halve fødsels-permisjonen eller miste den https://www.tv2.no/a[...] 2018-01-16
[30] 웹사이트 DOL Policy Brief Paternity Leave https://www.dol.gov/[...] United States Department of Labor 2018-03-25
[31] 뉴스 The U.S. Is Sorely Behind When It Comes To This https://www.bustle.c[...] 2018-04-10
[32] 뉴스 How Everyone Benefits When New Fathers Take Paid Leave https://thinkprogres[...] 2018-03-28
[33] 웹사이트 The Importance of Paternity Leave https://www.care.com[...] 2014-06-23
[34] 간행물 Risk of Psychosis Among Refuge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https://doi.org/10.1[...] 2019-11-01
[35] 간행물 Psychiatric consequences of a father's leave policy by nativity: a quasi-experimental study in Sweden https://jech.bmj.com[...] 2022-04-01
[36] 논문 When Dad Can Stay Home: Fathers' Workplace Flexibility and Maternal Health http://www.nber.org/[...] 2019-05
[37] 웹인용 Modern daddy: Norway's progressive policy on paternity leave http://www.ilo.org/w[...] Ilo.org 2005-07-01
[38] 뉴스 Norway's welfare model 'helps birth rate' http://news.bbc.co.u[...] BBC News 2006-03-28
[39] 웹인용 Paternal quota https://www.nav.no/e[...] 2015-12-03
[40] 간행물 Fathers' rights to paid parental leave in the Nordic countries: consequences for the gendered division of leave 2011-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