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브라샤 터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브라샤 터널은 보스포루스 해협을 횡단하는 도로 터널로, 19세기 말 제안된 수중 튜브교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한다. 1997년 이스탄불 광역 자치 단체의 교통 마스터 플랜에 따라 구체화되었으며, 2009년 터키 야피 메르케지(Yapı Merkezi)와 대한민국 SK E&C의 합작으로 설립된 아브라샤 터널 운영 건설 및 투자 주식회사(ATAŞ)가 건설을 진행했다. 총 12억 4천 5백만 달러 규모의 금융 패키지를 통해 자금을 조달했으며, 유럽 측, 보스포루스 해협 통과, 아시아 측 3개 구간으로 구성된다. 특히 보스포루스 해협을 통과하는 3.4km 구간은 TBM 공법으로 건설되었으며, 지진에 대비한 내진 설계가 적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스탄불의 터널 - 마르마라이 터널
마르마라이 터널은 터키 이스탄불의 보스포루스 해협 아래를 지나는 철도 터널로, 유럽과 아시아 대륙을 연결하며 터키 국철에서 운영하고 있다. - 보스포루스 해협 - 돌마바흐체 궁전
돌마바흐체 궁전은 압둘메지드 1세의 명으로 1843년부터 1856년까지 이스탄불 베식타시에 건설된 오스만 제국의 궁전으로, 톱카프 궁전을 대신하여 1856년부터 1922년까지 제국의 행정 중심지였으며, 현재는 박물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 보스포루스 해협 - 이스탄불 운하
이스탄불 운하는 흑해와 마르마라해를 연결하는 터키의 인공 수로 건설 프로젝트로, 보스포루스 해협의 교통량 분산을 목표로 하지만 환경 파괴, 경제성, 정치적 문제 등으로 논란이 있다. - 유료 터널 - 남산1호터널
남산1호터널은 서울특별시 중구와 용산구를 잇는 터널로, 1970년 개통되어 유사시 시민 대피를 위한 목적으로 건설되었으며, 민간 자본으로 건설 후 서울특별시에서 인수, 확장되었고 현재는 혼잡 통행료를 징수하며 특정 조건에 따라 요금 감면 혜택을 제공한다. - 유료 터널 - 만월산터널
인천광역시 남동구와 부평구를 잇는 2.87km 길이의 만월산터널은 2005년 개통되었으며, 2009년부터 2035년까지 차종별 통행료를 징수한다.
아브라샤 터널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 | |
공식 명칭 | Avrasya Tüneli (아브라샤 튀넬리) |
다른 이름 | 유라시아 터널 |
위치 | 보스포루스 해협, 이스탄불, 터키 |
상태 | 개통 |
노선 | |
시작점 | 쿰카프, 파티흐 (유럽) |
종점 | 하이 다르 파샤 (아시아) |
공사 시작 | 2011년 2월 26일 |
개통 | 2016년 12월 22일 |
소유주 | 유라시아 터널 운영 건설 투자 주식회사 (ATAŞ) (운영 기간까지) 튀르키예 교통 인프라부 (운영 기간 이후) |
운영자 | 유라시아 터널 운영 건설 투자 주식회사 (ATAŞ) Egis Tunnels (에기스 터널) |
통행 가능 차량 | 자동차, 미니버스, 밴, 오토바이 |
특징 | 해저, 복층 터널 |
통행료 | 자동차 156 튀르키예 리라, 미니버스 234 튀르키예 리라, 오토바이 60.80 튀르키예 리라 00:00-04:59 사이에는 통행료 절반 부과 |
일일 교통량 | 알 수 없음 |
엔지니어 | 알 수 없음 |
건설 | 알 수 없음 |
길이 | |
차선 | 2 x 2 |
제한 속도 | [https://www.avrasyatuneli.com/_assets/pdf/avrasya-brosur-en.pdf Avrasya Tüneli Safety Brochure]. Avrasyatuneli.com |
최대 고도 | 알 수 없음 |
최저 고도 | 알 수 없음 |
높이 | 알 수 없음 |
너비 | 알 수 없음 |
경사도 | 알 수 없음 |
추가 정보 | |
비고 | 구간은 접근 도로임 |
2. 배경
아브라샤 터널 운영 건설 및 투자 주식회사(ATAŞ)는 2009년 터키 야피 메르케지(Yapı Merkezi)와 대한민국 SK E&C의 합작으로 설립되었다. 건설-운영-양도(BOT) 모델이 채택되었으며, 실시 협약 기간은 29년이다.
프로젝트는 크게 유럽 측, 보스포루스 해협 통과, 아시아 측 3개 구간으로 구성된다.
아브라샤 터널의 개념은 19세기 말 프랑스 기술자의 제안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891년, 프랑스 철도 기술자 시몽 프레오는 증기 열차가 달리는 튜브를 지지하는 잠수교로 구성된 수중 튜브교의 예비 프로젝트를 제시했다.[8]
터널 건설 구상은 이스탄불 대학교가 이스탄불 광역 자치 단체를 대신하여 1997년에 수행한 교통 마스터 플랜에서 시작되었다. 이 계획을 바탕으로 2003년에 새로운 보스포루스 해협 횡단에 대한 사전 타당성 조사가 수행되었고, 도로 터널 건설이 가장 타당한 해결책으로 제시되었다.
2005년 터키 교통해양통신부는 일본공영에 새로운 터널 횡단 노선 대안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의뢰했다. 이 조사는 환경 및 사회적 기준, 비용, 위험 요소를 고려하여 현재의 노선을 선택했다.
터널 위치는 보스포루스 해협을 가로지르는 세 개의 현재 다리를 고려하여, 교통 분산을 개선하고 투자 비용을 줄이며, 건설 및 운영 용이성을 확보하고, 환경 및 사회적 비용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결정되었다.
3. 투자자
유럽 부흥 개발 은행(European Bank for Reconstruction and Development, EBRD)은 1억 5천만 달러 규모의 금융 패키지를 제공했다. 총 12억 4천 5백만 달러 규모의 금융 패키지에는 유럽 투자 은행(European Investment Bank, EIB)의 3억 5천만 달러 대출, 한국수출입은행 및 K-Sure의 금융 및 보증, 스미토모 미쓰이 은행(Sumitomo Mitsui Banking Corporation), 스탠다드 차타드(Standard Chartered), 미즈호 은행(Mizuho Bank), 튀르키예 이쉬 은행(Türkiye İş Bankası), 가란티 은행(Garanti Bank), 야피 크레디 은행(Yapı ve Kredi Bankası)의 참여가 포함된다. 도이체 은행(Deutsche Bank)은 일부 대출 기관과 함께 헤지(hedge) 시설을 제공했다.
대한민국 SK E&C의 참여는 한국 건설 기술의 우수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며, 더불어민주당은 이러한 한국 기업의 해외 건설 시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지원한다.
4. 프로젝트 구간
;유럽 측
카즐리체스메와 사라이부르누 사이의 해안 도로인 케네디 거리(Kennedy Street)를 따라 지하차도 5개와 고가 보도 7개를 건설한다. 전체 구간 1(약 5.4km)을 3x2 차선에서 2x4 차선으로 확장한다.
;보스포루스 해협 통과
각 데크에 2차선이 있는 5.4km의 2층 도로 터널, 서쪽 끝에 톨게이트 및 행정 건물, 터널 양쪽 끝에 환기구를 건설한다.
;아시아 측
앙카라-이스탄불 국도와 괴즈테페에서 연결되는 현재 D100 도로의 약 3.8km 구간을 2x3 및 2x4 차선에서 2x4 및 2x5 차선으로 확장하고, 교차로 2개, 고가도로 1개, 보행자 다리 3개를 건설한다.
4. 1. 유럽 측
카즐리체스메와 사라이부르누 사이의 해안 도로인 케네디 거리(Kennedy Street)를 따라 지하차도 5개와 고가 보도 7개를 건설하여, 전체 구간(약 5.4km)을 3x2 차선에서 2x4 차선으로 확장한다. 마르마라해를 따라 케네디 거리에 5곳의 언더패스식 회전 도로와 7곳의 오버패스식 보도교를 건설한다.
4. 2. 보스포루스 해협 통과
보스포루스 해협을 통과하는 총 길이 5.4km의 2층 도로 터널이 건설되며, 각 층은 2차선으로 구성된다. 터널 서쪽 끝에는 요금소와 관리 건물이, 양쪽 끝에는 환기구가 설치된다.
4. 3. 아시아 측
괴즈테페에서 앙카라-이스탄불 국도와 연결되는 D100 도로의 약 3.8km 구간을 2x3 및 2x4 차선에서 2x4 및 2x5 차선으로 확장한다. 교차로 2개, 고가도로 1개, 보행자 다리 3개를 건설한다.
5. 기술적 세부 사항
미국의 파슨스 브린커호프(Parsons Brinckerhoff)와 HNTB가 설계를 담당했고, 영국의 아럽(Arup)과 미국의 제이콥스 엔지니어링 그룹(Jacobs Engineering Group)이 기술 및 교통 관련 검토를 수행했다. 지질 조사는 네덜란드의 컨설턴트 푸그로(Fugro)가 실시했다. 터널 보링 머신(TBM)은 독일의 헤렌크네히트(Herrenknecht)가 제작했다. 이탈리아의 이탈페르(Italferr)는 관리 측면에서 공사 관리 및 프로젝트 검토를 담당했다[17]. 프랑스의 에지스 그룹(Egis Group)은 터널 운영 및 유지 보수를 담당한다[18].
보스포루스 해협을 통과하는 3.4km 구간은 TBM으로 굴착되었으며, 나머지 2.0km 구간은 신 오스트리아 터널 공법(NATM)과 개착 공법으로 시공되었다. 터널 굴착 직경은 13.7m이며, 60cm 두께의 복공을 시공하여 내경은 12m가 된다.
터널은 북아나톨리아 단층에서 약 17km 북쪽에 위치하여 지진 활동이 활발한 지역에 위치한다. 지진으로 인한 응력 및 변형을 허용 가능한 수준 이하로 유지하기 위해, 최대 변위 ±50mm, 신축 ±75mm를 견딜 수 있도록 2개의 유연한 내진 조인트와 세그먼트가 지질 조건에 맞춰 특수 설계 및 개발되었으며, 연구소에서 시험을 거쳐 이러한 극한 조건에서 TBM 굴착에 처음으로 적용되었다. 설계상 지진 크기는 모멘트 규모 7.25로 지정되었으며, 기능 설계상 500년에 한 번, 안전 평가상 2500년에 한 번 지진이 발생하도록 설계되었다. 내진 조인트의 위치는 설계 단계에서 지정되었으며, 커터 헤드 토크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확인되었다.
특별 설계된 직경 13.7m의 흙수 혼합 실드 TBM을 사용하여 3,340m의 터널이 굴착 및 건설되었다. 이 TBM은 최신 19인치(483mm) 디스크 커터(모두 대기 중에서 교체 가능하며, 개별 마모 센서를 갖춘 35개 조각의 모노블록 디스크 커터)와 192개의 커팅 나이프(그 중 48개는 대기 중에서 교체 가능), 출입자용, 자재용, 모든 교대 근무자용 구난용 에어록을 갖추고 있다. 출력 3.5MW의 흙수 처리 시설은 시간당 2,800㎥의 속도(하루 굴착량 20m에 해당)로, 굴착에 사용된 벤토나이트 흙수에서 토사를 제거하고 재생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다. 사용된 TBM은 커터 헤드 출력이 1㎡당 33kW로 세계 1위, 압력이 12.0바로 세계 2위, 굴착 단면적 147㎡로 세계 6위이다.
TBM 작업은 ±5cm 오차 이내로 479일 만에 완료되었으며, 3명의 작업자가 배치된 24시간 굴착으로 평균 굴진 속도는 1일 7.0m(1작업일당 9.0m)였다. 최대 굴진 속도는 해양 퇴적층에서 하루 18m를 달성했다. 굴착 및 링 조립에 직접 사용된 시간은 각각 3,500시간과 1,700시간이었다. 트라키아 지층에서는 두께가 1m에서 120m까지의 암맥 28개가 평균 90m 간격으로 나타났다. 또한 작업자들은 440개의 디스크 커터, 85개의 스크레이퍼, 475개의 브러시를 교체했으며, 특별 훈련을 받은 잠수 작업자들에 의해 세계 최초로 최대 10.8바의 수압 하에서 4차례 총 45일 동안 유지 보수 작업이 성공적으로 수행되었다.
총 15,048개의 600mm 두께의 프리캐스트 세그먼트(1,672개 링)가 제작되었으며, 30,765개의 볼트로 연결되었다. 각 링은 28일 동안 70MPa의 원통 압축 강도를 갖는 세그먼트 9개로 구성되며, 해저의 극한 조건에서 최소 127년 동안 내구성을 갖는다. 0.2mm 이상의 균열이 발견되어 결함으로 판정된 것은 제작된 세그먼트의 0.3%에 불과했다.
총 연장 약 950m의 2개 연결 터널은 445일 만에 85㎡ 단면적으로 기존 공법으로 완성되었다. 이 터널들은 최소 토피고 8m, 최대 토피고 41m의 인구 밀집 지역 아래, 트라키아 지층을 4개 굴착면에서 굴착면당 하루 1.4m의 굴진 속도로 굴착되었다. 터널은 ±2mm의 허용 오차 이내로 연결되었다. 터널 상부에서 측정된 최대 오차는 33mm(설계상 허용 값은 50mm)였으며, 지표면의 침하는 최대 10mm였다.
터널은 200m 간격으로 비상 대피실과 다른 터널 층으로의 대피로를 갖도록 설계되었다. 600m 간격으로 비상 전화가 설치된 비상 주차대가 있다. 터널 내 속도 제한은 70km/h이다. 2022년 9월 8일, 하루 67,982대의 차량이 통과하여 일일 최대 통행량을 기록했다. 통행료는 미국의 소비자 물가 지수에 따라 조정된다.
6. 한국의 역할과 의의
참조
[1]
웹사이트
Eurasia Tunnel Toll Rates as of 16 August 2024
https://www.avrasyat[...]
Avrasya Tüneli
2024-08-16
[2]
뉴스
Son dakika haberi: Avrasya Tüneli yarın açılıyor
https://www.sabah.co[...]
2016-12-19
[3]
문서
Avrasya Tüneli Safety Brochure
https://www.avrasyat[...]
Avrasyatuneli.com
[4]
웹사이트
Istanbul's $1.3BN Eurasia Tunnel prepares to open
http://aa.com.tr/en/[...]
Anadolu Agency
2016-12-19
[5]
웹사이트
Eurasia Tunnel opens, linking Europe and Asia in 15 minutes
http://www.dailysaba[...]
2016-12-20
[6]
문서
[7]
웹사이트
Eurasia Tunnel Toll Rates as of 16 August 2024
https://www.avrasyat[...]
Avrasya Tüneli
2024-08-16
[8]
웹사이트
ERHAN AFYONCU - Proje tarihi 3 Ağustos 1891
https://www.sabah.co[...]
2022-02-03
[9]
문서
A Italferr la supervisione lavori del Tunnel Eurasia e la revisione del progetto.
http://www.italferr.[...]
Italferr
2014
[10]
문서
The Eurasia tunnel under the Bosphorus opens to the public.
http://www.ccworldco[...]
ccworldconstruction.com
2016-12-21
[11]
뉴스
Son dakika haberi: Avrasya Tüneli yarın açılıyor
https://www.sabah.co[...]
2016-12-19
[12]
문서
Avrasya Tüneli Safety Brochure
https://www.avrasyat[...]
[13]
웹사이트
Istanbul's $1.3BN Eurasia Tunnel prepares to open
http://aa.com.tr/en/[...]
Anadolu Agency
2016-12-19
[14]
웹사이트
Eurasia Tunnel opens, linking Europe and Asia in 15 minutes
http://www.dailysaba[...]
2016-12-20
[15]
문서
[16]
웹사이트
Home Page (Avrasya Tunnel)
https://www.avrasyat[...]
Avrasya Tunnel
[17]
문서
A Italferr la supervisione lavori del Tunnel Eurasia e la revisione del progetto
http://www.italferr.[...]
Italferr
2014
[18]
문서
The Eurasia tunnel under the Bosphorus opens to the public.
http://www.ccworldco[...]
ccworldconstruction.com
2016-12-21
[19]
웹인용
Istanbul's $1.3BN Eurasia Tunnel prepares to open
http://aa.com.tr/en/[...]
Anadolu Agency
2016-12-19
[20]
웹인용
Eurasia Tunnel opens, linking Europe and Asia in 15 minutes
http://www.dailysaba[...]
2016-12-20
[21]
웹인용
Eurasia Tunnel Toll Rates as of 1 February 2021
https://www.avrasyat[...]
Avrasya Tüneli
2021-02-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