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아나톨리아 단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아나톨리아 단층은 튀르키예 북부를 가로지르는 활성 단층으로, 지리적 특징에 따라 서부, 중부, 동부로 구분된다. 이 단층은 유라시아판, 아나톨리아판, 아라비아판이 만나는 경계에 위치하여 지진 활동이 활발하며, 1999년 이즈미트 지진과 같은 대규모 지진이 발생했다. 지진학자들은 지진의 이동 패턴을 연구하여 향후 지진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튀르키예의 단층 - 동아나톨리아 단층
동아나톨리아 단층은 아나톨리아판과 아라비아판의 경계를 이루는 길이 약 580km의 주향 이동 단층으로, 활발한 지진 활동을 보이며 2023년 튀르키예-시리아 지진과 같은 막대한 피해를 야기하는 등 지진 위험성이 높은 지역이다. - 주향이동단층 - 동래 단층
동래 단층은 부산광역시와 양산시 일대에 위치하며 신생대 고제3기에 활동했고, 북북동 방향으로 연장되며, 도시 개발과 지형에 영향을 미치는 활성단층 여부가 연구 과제로 남아있다. - 주향이동단층 - 양산 단층
양산 단층은 한반도 동남부 경상 분지를 가로지르는 북북동-남남서 방향의 주향 이동 단층으로, 여러 단층들의 집합체인 양산 단층대에 속하며, 과거 활동 이력과 최근 지진 발생으로 활성단층으로 주목받고 있다. - 지질학에 관한 - 석탄
석탄은 식물이 지하에서 석탄화 과정을 거쳐 생성된 고체 연료로, 산업 혁명 이후 중요한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었으며, 탄소 함량에 따라 등급이 나뉘고 화력 발전, 제철 등에 사용되지만, 연소 과정에서 환경 문제를 야기한다. - 지질학에 관한 -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
인도-오스트레일리아판은 곤드와나 대륙 분열로 형성되어 인도판과 오스트레일리아판으로 나뉘며, 인도판이 유라시아판과 충돌하여 히말라야 산맥과 티베트 고원을 형성했고, 주변 판들과 복잡한 경계를 이루어 지진과 쓰나미가 자주 발생한다.
북아나톨리아 단층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이름 | 북아나톨리아 단층 |
국가 | 터키 |
지역 | 마르마라 지역, 흑해 지역, 동아나톨리아 지역 |
도시 | 이스탄불, 부르사, 볼루, 토카트, 에르진잔, 에르주룸 |
좌표 | 41°00′N 35°00′E |
해발고도 | 3,937 m |
최상부 깊이 | 1,370 m |
산맥 | 폰틱 산맥, 쾨로을루 산맥 |
길이 | 1,500 km |
주향 | 동-서 |
판 | 아나톨리아 섭판, 유라시아 판 |
상태 | 활동적 |
지진 | 터키의 지진 목록 |
유형 | 주향 이동 단층 |
로마자 표기 | Kuzey Anadolu Fay Hattı |
설명 | |
설명 | 북아나톨리아 단층은 터키의 대부분을 가로지르는 1,500km 길이의 동서 방향 단층이다. |
지질학적 특징 | |
특징 | 북아나톨리아 단층대 아래의 암석권 맨틀에서 나타나는 횡압력 변형 |
최대 지진 규모 | 북아나톨리아 단층대의 각 부분에서 발생하는 최대 지진 규모 |
2. 지리적 특징
북아나톨리아 단층(황색 선)]]
판구조론 이론과 GPS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관측에 따르면, 북아나톨리아 단층은 유럽에서 동아시아까지 이르는 거대한 유라시아판과 아나톨리아 반도(소아시아)를 덮는 작은 아나톨리아판의 경계에 존재하는 변환단층이다.[7] 두 판의 이동을 반영하여, 단층의 북쪽은 동쪽으로, 남쪽은 서쪽으로 계속 이동하고 있다.
북아나톨리아 단층은 이스탄불 남쪽으로 약 20km 지점에 위치하여 이스탄불에 가장 가까운 단층이다. 이즈미트와 에르주룸에서는 도시 바로 아래에 이 단층이 지나가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어, 재해 예방상 중요한 단층이다. 과거에 많은 대지진이 발생했지만, 총 연장이 약 1000km에 달하는 매우 긴 북아나톨리아 단층 전체가 동시에 움직인 지진은 알려져 있지 않다. 기본적으로 수 년에 한 번 정도의 빈도로, 진원지가 이 단층을 따라 조금씩 이동하면서 대지진을 발생시켜 왔다.
북아나톨리아 단층은 튀르키예 중부 촐룸 주 부근에서는 Alaca 단층과 만나고, 북서부 사카리아 주 부근에서는 Geyve 단층과 만난다.
2. 1. 서부
동경 26도에서 32도에 이르는 북아나톨리아 단층의 서부 지역은 마르마라해를 지나고 있어, 이곳에서 지진이 발생한다면 인근의 이스탄불에 큰 피해가 있을 것이다. 마르마라해 서쪽에 있는 '''가노스 단층'''(Ganos Fault)은 북아나톨리아 단층의 지류(branch) 중 하나로, 북부 에게해에서 테키르다 부근을 지나 마르마라해까지 이어지는 연장 45km의 육상 단층이다. 가노스 단층은 1년에 약 20mm씩 이동하며 북아나톨리아 단층의 서쪽 끝부분을 구성한다. 신생대 마이오세 이후 이 지역에 누적된 우수향 변위량은 총 70km로 보고되었다. 이 지역에서 발생한 주요 지진으로는 1912년 마르마라해 서부에서 발생한 규모 7.4의 가노스 지진(:en:1912 Mürefte earthquake)과 이스탄불 동남동쪽 70km 지점의 이즈미트에서 발생한 1999년 이즈미트 지진 등이 있다.[8] 서부 마르마라 지역에서는 지난 41세기 동안 300회의 파괴적인 지진이 발생했으며, 그중 규모 7.4 내외의 가장 강력했던 지진 8개는 150~420년 주기로 발생하였다.[8]2. 2. 중부
볼루에서 동경 37도에 이르는 단층의 중부는 튀르키예의 수도 앙카라에서 북북서로 100km 떨어진 지역을 통과한다. 주요 지진으로는 1668년 에르진칸에서 볼루까지에 이르는 구간을 파쇄시킨 북아나톨리아 지진, 1943년 규모 7.5의 토샤-라디크 지진(:en:1943 Tosya–Ladik earthquake), 4천여 명의 사망자를 낸 1944년 규모 7.5의 볼루-게레데 지진(:en:1944 Bolu–Gerede earthquake) 등이 발생했다.[8]
2. 3. 동부
북아나톨리아 단층은 에르진잔을 지나 빙괼 주 북동부의 소읍 칼리오바(Kaliova) 지하에 있는 칼리오바 삼중합점―유라시아판, 아나톨리아판, 아라비아판이 만난다―에서 동아나톨리아 단층 그리고 비틀리스-자그로스 봉합대(Bitlis–Zagros Suture Zone)와 만난다. 주요 지진으로는 3만 2천명 이상의 사망자를 낸 1939년 규모 7.8의 에르진잔 지진 등이 있다.[8]1939년 에르진잔 대지진 이후로 규모 7.0 이상의 지진이 7번 발생했으며,[3] 각 지진은 점차 서쪽으로 이동하며 발생했다.[4] 이러한 패턴을 연구하는 지진학자들은 각 지진이 다음 지진을 유발할 수 있다고 믿고 있다.[5]
북아나톨리아 단층은 에르주룸 부근에서 북서아나톨리아 단층과 만나고, 아르메니아와 터키 국경 부근에서는 동아나톨리아 단층과 만난다.
3. 지진 활동
북아나톨리아 단층은 지진 활동이 활발한 지역으로, 역사적으로 많은 지진이 발생했다.
동경 26도에서 32도에 이르는 북아나톨리아 단층 서부 지역은 마르마라해를 지나 이스탄불에 인접해 있어, 이 지역에서 지진이 발생하면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 마르마라해 서쪽에 있는 '''가노스 단층'''은 북아나톨리아 단층의 일부로, 북부 에게해에서 테키르다 부근을 지나 마르마라해까지 이어지는 약 45km 길이의 육상 단층이다. 1년에 약 20mm씩 이동하며, 신생대 마이오세 이후 누적된 우수향 변위량은 총 70km에 달한다. 이 지역에서는 1912년 규모 7.4의 가노스 지진(:en:1912 Mürefte earthquake)과 1999년 이즈미트 지진 등이 발생했다. 서부 마르마라 지역에서는 지난 41세기 동안 300회의 파괴적인 지진이 발생했으며, 규모 7.4 내외의 가장 강력했던 8개의 지진은 150~420년 주기로 발생했다.[8]
동경 32도의 볼루에서 동경 37도에 이르는 단층 중부는 튀르키예의 수도 앙카라에서 북북서로 100km 떨어진 지역을 통과한다. 이 지역에서는 1668년 북아나톨리아 지진, 1943년 규모 7.5의 토샤-라디크 지진(:en:1943 Tosya–Ladik earthquake), 1944년 규모 7.5의 볼루-게레데 지진(:en:1944 Bolu–Gerede earthquake) 등이 발생하여 많은 사상자를 냈다.[8]
북아나톨리아 단층은 에르진잔을 지나 빙괼 주 북동부 칼리오바 지하의 칼리오바 삼중합점에서 동아나톨리아 단층, 비틀리스-자그로스 봉합대와 만난다. 이 지역에서는 1939년 규모 7.8의 에르진잔 지진(:en:1939 Erzincan earthquake)이 발생해 3만 2천 명 이상이 사망했다.[8]
3. 1. 지진 발생 메커니즘
북아나톨리아 단층대는 판의 경계에 위치해 있어 지진학적으로 활발하며 파괴적인 지진들을 발생시켰다. 규모 7.4의 1999년 이즈미트 지진은 북아나톨리아 단층의 서쪽에서 100~150 km의 단층을 파쇄시키며 발생했다. 이 단층을 따라 발생하는 주요한 대형 지진은 1939년부터 1999년까지 동에서 서쪽으로 이동하는 특징을 보인다.[8][10]판구조론 이론과 GPS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관측에 따르면, 북아나톨리아 단층은 유럽에서 동아시아까지 이르는 거대한 유라시아판과 아나톨리아 반도(소아시아)를 덮는 작은 아나톨리아판의 경계에 존재하는 변환단층이다.[7] 두 판의 이동을 반영하여, 단층의 북쪽은 동쪽으로, 남쪽은 서쪽으로 계속 이동하고 있다.
북아나톨리아 단층은 이스탄불에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하며, 남쪽으로 약 20km 밖에 떨어져 있지 않다. 또한 이즈미트와 에르주룸에서는 도시 바로 아래에 이 단층이 지나가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어, 재해 예방상 중요한 단층이다. 이 단층에서는 과거에 많은 대지진이 발생했지만, 총 연장이 약 1000km에 달하는 매우 긴 북아나톨리아 단층 전체가 동시에 움직인 지진은 알려져 있지 않다. 기본적으로 수 년에 한 번 정도의 빈도로, 진원지가 이 단층을 따라 조금씩 이동하면서 대지진을 발생시켜 왔다.
3. 2. 지진 이동 패턴
북아나톨리아 단층대는 판의 경계에 위치하여 지진이 활발하게 발생하며, 이로 인해 파괴적인 지진들이 발생했다. 1999년 이즈미트 지진은 규모 7.4로, 북아나톨리아 단층의 서쪽에서 100~150 km의 단층을 파쇄시키며 발생했다. 이 단층을 따라 발생하는 주요 대형 지진은 1939년부터 1999년까지 동쪽에서 서쪽으로 이동하는 특징을 보인다.[8][10]1939년 에르진잔 지진 이후 규모 7.0 이상의 지진이 7번 발생했으며,[3] 각 지진은 점차 서쪽으로 이동하며 발생했다.[4] 이러한 패턴을 연구하는 지진학자들은 각 지진이 다음 지진을 유발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5] 각 대규모 지진으로 인해 단층에 가해지는 응력을 분석함으로써, 1999년 8월 이즈미트 마을을 강타한 파괴적인 지진을 예측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쇄 작용은 아직 끝나지 않았으며, 단층을 따라 더 서쪽(아마도 이스탄불과 같은 인구 밀집 도시 근처)에서 곧 지진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다음은 1929년 이후 북아나톨리아 단층에서 발생한 주요 지진 목록이다.
사건 | 모멘트 규모 | 사상자 |
---|---|---|
1929년 수셰히르 | 6.3 | 사망 64명[6] |
1939년 에르진잔 | 7.8 | 사망 32,700명 이상, 부상 100,000명 이상 |
1942년 닉사르-에르바아 | 7.0 | 사망 ~3,000명 |
1943년 토스야-라딕 | 7.2 | 사망 2,824명 |
1944년 볼루-게레데 | 7.2 | 사망 3,959명 |
1949년 카를리오바 | 6.7 | 사망 320명 |
1951년 쿠르순루 | 6.9 | 사망 50명, 부상 3,354명 |
1957년 아반트 | 7.1 | 사망 52명 |
1966년 바르토 | 6.9 | 사망 2,394명, 부상 1,489명 |
1967년 무두르누 계곡 | 7.1 | 사망 86명, 부상 332명 |
1992년 에르진잔 | 6.7 | 사망 498명 이상, 부상 2,000명 이상 |
1999년 이즈미트 | 7.6 | 사망 18,373명, 부상 43,953명 이상 |
1999년 듀즈제 | 7.2 | 사망 845명 이상, 부상 4,948명 |
2022년 듀즈제 | 6.1 | 사망 2명, 부상 93명 |
3. 3. 주요 지진 목록
사건 | 규모 | 사상자 | 비고 |
---|---|---|---|
기원전 282년, 리시마키아 부근 | 6.7 | ||
121년, 이스미트(니코메디아)·니카이아 부근 | 7.4 | ||
170년, Kyzikos 부근 | 7.0 | ||
358년 8월 24일, 니코메디아 부근 | 7.8 | ||
362년 12월 2일, 니코메디아·니카이아 부근 | 6.8 | ||
368년 10월 11일, Persis·니카이아 부근 | 6.8 | ||
437년 9월 25일, 이스탄불 부근 | 6.8 | ||
447년 11월 6일~8일, 이스탄불·니코메디아 부근 | 7.2~7.3 | ||
460년, Cyzicus 부근 | 6.9 | ||
478년 9월 25일, Helenopolis·이스탄불 부근 | 7.3 | ||
480년 9월 25일, 갈리폴리(게리볼) 부근 | 6.8 | ||
484년, Callopolis 부근 | 7.2 | ||
541년 8월 16일, 이스탄불 부근 | 6.6 | ||
543년 9월 6일, Cycicus 부근 | 6.8 | ||
554년 8월 16일, 이스탄불·니코메디아 부근 | 6.8~7.6 | ||
557년 12월 24일, 이스탄불 부근 | 7.2 | ||
740년 10월 26일, 이스탄불·이스미트 부근 | 7.1 | ||
802년, 에르주룸 부근 | 6.5 | ||
860년 5월 23일, 마르마라 해 부근 | 6.8 | ||
865년 5월 16일, 이스탄불 부근 | 6.7 | ||
869년 1월 9일, 마르마라 해 부근 | 7.0 | ||
967년 6월 2일, 볼(튀르키예) 부근 | 7.2 | ||
989년 10월 25일, 마르마라 해 부근 | 7.2 | ||
995년 12월, 툰젤리 부근 | 7.0 | ||
1010년 1월 8일, Callipoli 부근 | 7.4 | ||
1011년, 에르주룸 부근 | 6.5 | ||
1046년 7월 8일, 에르주룸 부근 | 7.3 | ||
1063년 9월 23일, Panio 부근 | 7.4 | ||
1087년 12월 6일, 이스탄불 부근 | 6.5 | ||
1168년, 에르주룸 부근 | 6.0 | ||
1254년, 에르주룸 서쪽 | 7.2? | ||
1296년 6월 1일, 비티니아 부근 | 7.0 | ||
1343년 10월 18일, Ganos·Heraclea(Marmara Ereğli) 부근 | 6.9~7.0 | ||
1354년 3월 1일, Hexamili 부근 | 7.4 | ||
1419년 3월 15일, 부르사 부근 | 7.2 | ||
1458년, 에르주룸·에르주룸 부근 | 7.6 | ||
1481년~1482년, 에르주룸·에르주룸 부근 | 7.5~7.7 | ||
1509년 9월 10일, 마르마라 해·이스탄불 부근 | 7.2~7.4 | ||
1556년 4월 10일~5월 10일, 마르마라 해 연안 | 7.1 | ||
1584년 6월 17일, 에르주룸 부근 | 6.6 | ||
1668년 8월 17일, 볼~에르주룸 부근 | 8.0 | 1668년 북아나톨리아 대지진 | |
1685년 11월 22일, Gonek 부근 | 6.7 | ||
1705년 1월 27일, 비트리스 부근 | 6.7 | ||
1719년 5월 25일, 이스탄불·이스미트 부근 | 7.4 | 1719년 이스미트 지진 | |
1766년 5월 22일, 마르마라 해·이스탄불 부근 | 7.1 | ||
1766년 8월 5일, 갈리폴리(게리볼)·에디르네 부근 | 7.6 | ||
1784년 7월 18일, 에르주룸·에르주룸 부근 | 7.6 | ||
1789년 5월 29일, Palu 부근 | 7.0 | ||
1855년 2월 28일·4월 11일, 부르사 부근 | 7.1 | ||
1859년 8월 21일, 사로스 부근 | 6.8 | ||
1863년 11월 6일, Umurbey 부근 | 6.7 | ||
1866년 5월 12일, Gonek 부근 | 7.2 | ||
1866년 6월 20일, Kulp 부근 | 6.8 | ||
1875년 10월, Canakkale 부근 | 6.7 | ||
1877년 10월 13일~11월 1일, 마르마라 제도 부근 | 6.1 | 군발지진 | |
1878년 4월 19일, 마르마라 해 동부·이스미트 부근 | 6.7 | ||
1881년 9월 28일, 차낙칼레 부근 | 6.1 | ||
1890년 5월 20일, Kayi·Refahie 부근 | 7.3 | ||
1893년 2월 9일, 사로스 부근 | 6.9 | ||
1894년 7월 10일, 이스탄불·이스미트 부근 | 6.7~7.3 | ||
1905년 4월 15일, 부르사 부근 | 6.5 | ||
1909년 2월 9일, Enderes 부근 | 6.3 | ||
1912년 8월 9일, 사로스·마르마라 해 서부 부근 | 7.4 | 같은 해 9월 13일 M6.8의 여진 발생 | |
1916년 1월 24일, 삼순·토카트 부근 | 7.1 | ||
1929년 수셰히르 | 6.3 | 사망 64명[6] | |
1935년 1월 4일, 마르마라 제도 부근 | 6.4 | ||
1939년 에르진잔 | 7.8 | 사망 32,700명 이상, 부상 100,000명 이상 | |
1942년 닉사르-에르바아 | 7.0 | 사망 ~3,000명 | |
1943년 토스야-라딕 | 7.2 | 사망 2,824명 | |
1944년 볼루-게레데 | 7.2 | 사망 3,959명 | |
1949년 카를리오바 | 6.7 | 사망 320명 | |
1951년 쿠르순루 | 6.9 | 사망 50명, 부상 3,354명 | |
1957년 아반트 | 7.1 | 사망 52명 | |
1966년 바르토 | 6.9 | 사망 2,394명, 부상 1,489명 | |
1967년 무두르누 계곡 | 7.1 | 사망 86명, 부상 332명 | |
1992년 에르진잔 | 6.7 | 사망 498명 이상, 부상 2,000명 이상 | |
1999년 이즈미트 | 7.6 | 사망 18,373명, 부상 43,953명 이상 | |
1999년 듀즈제 | 7.2 | 사망 845명 이상, 부상 4,948명 | |
2022년 듀즈제 | 6.1 | 사망 2명, 부상 93명 |
참조
[1]
논문
The North Anatolian Fault: A new look
[2]
웹사이트
Closing Istanbul's seismic gap
https://web.archive.[...]
2020-08-08
[3]
웹사이트
USGS Worldwide Earthquake List
https://earthquake.u[...]
[4]
논문
Progressive failure on the North Anatolian fault since 1939 by earthquake stress triggering
[5]
웹사이트
Earthquake Storms
http://www.bbc.co.uk[...]
2007-05-02
[6]
보고서
Kuzey Anadolu Fay Sistemi Diri Fayları ve Deprem Etkinlikleri Paleosismolojik Çalışmalar ve Gelecek Deprem Potansiyelleri
https://www.research[...]
2019
[7]
서적
活断層地震はどこまで予測できるか
講談社
[8]
웹인용
Transpressional deformation in the lithospheric mantle beneath the North Anatolian Fault Zone
https://www.scienced[...]
2021-09
[9]
웹인용
Maximum earthquake magnitudes along different sections of the North Anatolian fault zone
https://reader.elsev[...]
2016
[10]
웹인용
Repeating earthquakes and interplate coupling along the western part of the North Anatolian Fault
https://www.scienced[...]
2019-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