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비스파 후쿠오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비스파 후쿠오카는 1982년 창단된 일본의 프로 축구 클럽으로, 1995년 J리그에 참가했다. 구단은 여러 차례 J1 리그와 J2 리그를 오갔으며, 2023년 J리그컵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2024년에는 하세베 시게토시 감독이 은퇴하고 김명휘가 감독으로 부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후쿠오카시의 스포츠 - 199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
1995년 하계 유니버시아드는 일본 후쿠오카에서 열린 대회로, 육상, 농구, 축구 등 다양한 종목이 펼쳐졌고, 유니콘을 모티브로 한 "카파푸"가 마스코트였으며, 올림픽과 유니버시아드 사상 최초로 실내 개회식이 개최되었다. - 후쿠오카시의 스포츠 - 2023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2023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는 월드 아쿠아틱스 주관으로 일본 후쿠오카에서 개최되어 6개 종목 75개 메달 경기가 펼쳐졌으며, 코로나19로 연기되었던 이 대회에서 대한민국은 동메달 1개를 획득했고 중화인민공화국이 종합 1위를 차지했으나, 우경화 논란 및 오염수 방류 문제 등 여러 논란이 있었다. - 1982년 설립된 축구단 - 마산 합성 FC
마산 합성 FC는 [설립 연도]에 창단된 대한민국의 축구 클럽이다. - 1982년 설립된 축구단 - 토난 마에바시
토난 마에바시는 1982년 창단된 일본의 축구 클럽으로, J리그 준가맹 클럽이었으나 J3 리그 라이선스 문제로 승격에 실패하고, 현재는 아마추어 클럽으로 지역 사회에 공헌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J1리그 구단 - 에히메 FC
에히메 FC는 1970년 창단된 일본의 축구 클럽으로, 2006년 J2리그에 승격하여 시코쿠 지방 최초의 J리그 클럽이 되었고, 2023년 J3리그 우승으로 J2리그에 복귀했으며, 오렌지색과 검은색을 상징색으로 사용한다. - J1리그 구단 -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는 1950년 미쓰비시 중공업이 창단한 일본 프로 축구 클럽으로, J리그 창설 멤버이며 J1리그, 천황배, 슈퍼컵 석권 및 AFC 챔피언스리그 3회 우승 등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으나, 인종차별 및 폭동 사건으로 클럽 이미지에 타격을 입기도 했다.
아비스파 후쿠오카 | |
---|---|
기본 정보 | |
![]() | |
정식 명칭 | 아비스파 후쿠오카 |
창단 | 1982년 (주오 보한 SC로 창단) |
회장 | 가와모리 다카시 |
감독 | 시게토시 하세베 |
애칭 | 아비, 하치 (말벌, 일본어), 메이슈 |
홈 경기장 | 베스트 덴키 스타디움, 하카타구, 후쿠오카 |
수용 인원 | 22,563명 |
리그 | J1리그 |
시즌 | 2024 |
지난 시즌 순위 | 7위 (2023년) |
웹사이트 | 아비스파 후쿠오카 공식 웹사이트 |
클럽 색상 | |
색상 | 네이비 블루 베일 댄스 실버 |
유니폼 | |
홈 유니폼 | 패턴 상의: _Avispa Fukuoka 2021 HOME FP 패턴 하의: _Avispa Fukuoka 2024 HOME FP 패턴 양말: _Avispa Fukuoka 2020 HOME FP 상의 색상: 00008C 하의 색상: 00008C 양말 색상: 00008C |
원정 유니폼 | 패턴 상의: _Avispa Fukuoka 2020 AWAY FP 패턴 하의: _Avispa Fukuoka 2024 AWAY FP 패턴 양말: _Avispa Fukuoka 2020 AWAY FP 상의 색상: 939393 하의 색상: 939393 양말 색상: 939393 |
기업 정보 | |
회사명 | 아비스파 후쿠오카 주식회사 |
영문 회사명 | Avispa Fukuoka Co., Ltd. |
설립일 | 1994년 9월 29일 |
업종 | 9050 |
사업 내용 | 축구 클럽 운영 |
대표이사 | 결성경조 |
자본금 | 3억 7155만 엔 |
매출액 | 19억 7900만 엔 (2018년 1월) |
영업이익 | 5200만 엔 (2018년 1월) |
경상이익 | 3400만 엔 (2018년 1월) |
순이익 | △1억 703만 2000엔 (2020년 1월) |
총 자산 | 6억 4994만 3000엔 (2020년 1월 31일 기준) |
결산기 | 1월 31일 |
주요 주주 | 시스템소프트 45.8% |
주요 임원 | 무라나카 유스케 (이사) 노미야마 아츠시 (전 사장) |
본사 주소 | 후쿠오카현후쿠오카시히가시구가시이하마후토 1-2-17, 후쿠오카 풋볼 센터 관리동 내 |
클럽 라이선스 | J1 |
2. 역사
1982년에 주오 방범(中央防犯, "중앙 방범") 축구단으로 창단했으며 1991년 일본 사커 리그(JSL) 1부 리그로 승격되었다. 1995년에 J리그 승격을 목표로 하던 중 J리그 팀 유치를 추진하던 후쿠오카시로 연고지를 옮겨 "후쿠오카 브룩스"로 팀명을 변경하고, 같은 해 JFL 우승으로 J1리그로 승격한다.
그러나 열악한 재정과 엷은 선수층으로 인해 1997년 이후 2년 연속 종합순위 꼴찌를 기록해 J1리그 참가결정전으로 몰리며 강등위기를 맞으나, 가와사키 프론탈레와 콘사도레 삿포로를 꺾으며 간신히 J1리그에 잔류하게 된다. 이 후 1999년에는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에 골득실 1점차로 앞서 종합순위 14위를 차지하는 등 하위권을 맴돌면서도 끈질기게 J1리그에 잔류하다가 2001년도에 종합순위 15위를 기록하면서 강등된다.
2005년 J2리그 준우승으로 5년 만에 J1리그로 복귀했지만, 이듬해 비셀 고베와의 J리그 승강결정전에서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패해 J2리그로 강등되었다. 2010년 2경기를 남겨두고 3위를 확정하여 6년 만에 J1리그로 승격하였다. 그러나 2011년 초반 리그 11연패를 포함한 13경기 연속 무승(7경기에서 무득점)에 빠지는 등 저조한 성적을 기록하며 4경기를 남겨두고 승격 1년 만에 다시 강등되었다.
2. 1. 창단 초기 (1982-1993)
1982년 시즈오카현 후지에다시에서 주오 방범(中央防犯) 축구단으로 창단했으며[7], 1991년 일본 사커 리그 2부 리그로 승격했다.[7] 1993년에는 재팬 풋볼 리그 1부로 승격했다.[7] 1994년 '''중앙방범 FC 후지에다 브룩스'''로 팀명을 변경하고 J리그 준회원이 되었으나,[7] 당시 후지에다시에는 J리그 기준을 충족하는 경기장이 없었다. 이에 J리그 클럽 유치를 추진하던 후쿠오카시의 요청을 받아들여 1995년 연고지를 후쿠오카시로 옮기고 팀명을 '''후쿠오카 브룩스'''로 변경했다.[7]2. 2. 후쿠오카 이전과 J리그 참가 (1994-2001)
1982년 주오 방범(中央防犯) 축구단으로 창단하여 1991년 일본 사커 리그(JSL) 1부 리그로 승격되었다.[7] 1995년 J리그 승격을 목표로 후쿠오카시로 연고지를 옮겨 "후쿠오카 브룩스"로 팀명을 변경하고, 같은 해 JFL에서 우승하며 J1리그로 승격했다.[7] 이 과정에서 호르헤 마리오 올긴 감독이 부임했고, 도스에서 우고 마라도나를 영입, 페드로 트로그리오 등을 기용하여 교토, 도스, 고베 등과 경쟁 끝에 JFL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브룩스"라는 명칭이 브룩스 브라더스사의 상표였기 때문에 "아비스파 후쿠오카"로 개칭했다.[7]1996년 요코하마 마리노스 전 감독인 시미즈 히데히코가 감독으로 취임했으나, 1996 시즌에는 15위, 1997년에는 17위, 1998년에는 18위로 2년 연속 최하위를 기록했다. 1998년에는 J1 승격 플레이오프에 참가하여 가와사키와 삿포로를 꺾고 J1 잔류를 확정지었다.
1999년 키쿠카와 요시오 감독 체제하에 히라츠카에서 코지마 노부유키, 가시마에서 미즈키 마사후미 등을 영입했지만, 최종 순위는 14위였다. 2000년에는 전년도 어시스턴트 코치였던 네스토르 오마르 피콜리가 감독에 취임하여, 2nd 스테이지에서 6위를 기록, 구단 역사상 최고 순위를 기록했다. 하지만, 피콜리 체제 2년 차인 2001년에는 연간 성적 15위로 J2리그로 강등되었다.[7]
2. 3. J2리그 강등과 승격 (2002-2015)
아비스파 후쿠오카는 1982년 주오 방범(中央防犯) 축구단으로 창단되어 1991년 일본 사커 리그(JSL) 1부 리그로 승격했다. 1995년 후쿠오카시로 연고지를 옮겨 "후쿠오카 브룩스"로 팀명을 변경하고 JFL 우승으로 J1리그로 승격했다. 그러나 열악한 재정과 선수층으로 인해 1997년 이후 2년 연속 최하위를 기록, J1리그 참가결정전에서 가와사키 프론탈레와 콘사도레 삿포로를 꺾고 잔류했다. 1999년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에 골득실 1점 차로 앞선 14위를 기록하는 등 하위권을 맴돌다 2001년 15위로 강등되었다.2002년, 나카바라이 다이스케와 야마시타 요시테루 등 젊은 선수들을 방출하고 경험 많은 선수들을 유지했지만, 10개 팀 중 8위에 그쳤다. 이마이 마사타카가 감독으로 취임하였지만, 후반기에는 겨우 3승에 그치며 8위에 머물렀다.
2003년, 마쓰다 히로시 감독 체제 하에 젊은 선수들을 육성하여 후반기 좋은 성적으로 4위를 차지했다.
2004년에는 3위를 차지하며 플레이오프에 진출했지만, 가시와 레이솔에게 패하며 승격하지 못했다.
2005년에는 2위를 차지하여 J1 리그로 자동 승격했다. 나카무라 호쿠토와 야나기라카 토모카즈는 2005 FIFA U-20 월드컵에 일본 대표로 출전했다.
2006년, 비셀 고베와의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원정 다득점 원칙에 따라 패해 J2리그로 강등되었다. 재정적 어려움을 겪게 되었고, 요미우리 신문에 따르면 2006년 5억 3,500만 엔의 대출을 받았다.
2007년, 피에르 리트바르스키 감독이 부임하여 마르코 루단, 조엘 그리피스, 우푹 탈라이 등 경험 많은 선수들을 영입했지만, 7위에 그쳤다.
2008년, 리트바르스키 감독 경질 후 시노다 요시유키 감독이 부임했지만, 8위에 머물렀다.
2009년, 시노다 감독 체제에서 11위를 기록했다.
2010년, 시노다 감독은 쇼난 벨마레에서 나카마치 고스케와 나가사토 겐키를 영입했다. 초반 부진을 딛고 3위를 확정, 6년 만에 J1리그로 승격했다.
2011년, 초반 11연패 등 부진한 성적으로 4경기를 남겨두고 승격 1년 만에 강등되었다.
2012년, 마에다 고지 감독 부임 후 "올 규슈" 전략을 내세웠지만, J2 최저 수준의 실점으로 18위라는 저조한 성적으로 시즌을 마쳤다.[32]
2013년, 마리얀 푸스니크 감독 부임으로 젊은 선수 육성에 힘썼고, 시즌 중반 부진 전까지 플레이오프 진출권을 놓고 경쟁했다. 운영 자금 확보 문제가 있었지만 14위를 기록, 푸스니크 감독은 계약을 연장했다.
2014년, 푸스니크 체제 2년 차에 16위를 기록하고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2015년, 이하라 마사미 감독이 부임하여 수비 재건에 성공, 3위를 기록하며 J1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V-파렌 나가사키와의 준결승에서 승리하고, 세레소 오사카와의 결승에서 비겨 5년 만에 J1 승격을 확정지었다.[35]
2. 4. 반복되는 승격과 강등 (2016-2020)
아비스파 후쿠오카는 1995년 J리그 승격을 목표로 후쿠오카시로 연고지를 옮기고 재팬 풋볼 리그(JFL)에서 우승하며 J1리그로 승격했다.[1] 그러나 열악한 재정과 선수층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고, 1997년부터 2년 연속 최하위를 기록하며 강등 위기에 놓였으나, 가와사키 프론탈레와 콘사도레 삿포로를 꺾고 J1리그에 잔류했다. 1999년에는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에 골득실 1점 차로 앞서며 14위를 기록하는 등 하위권을 맴돌았지만, 2001년 15위를 기록하며 결국 강등되었다.2005년 J2리그 준우승으로 5년 만에 J1리그로 복귀했지만, 이듬해 비셀 고베와의 승강 플레이오프에서 패하며 다시 강등되었다. 2010년 3위를 기록하며 6년 만에 J1리그로 승격했지만, 2011년 초반 11연패를 포함한 13경기 연속 무승(7경기 무득점) 등 부진한 성적으로 승격 1년 만에 다시 강등되었다.
이후 나가사토 겐키 등이 이적하고, 마쓰우라 타쿠야, 고바라 쇼고, 김민제, 와다 타쿠미, 나루오카 쇼, 시게마쓰 켄타로 등이 영입되었지만, 선수들 간의 부조화로 시즌 초반 13경기 동안 승점을 얻지 못했다. 시즌 중반 아사노 테쓰야 감독으로 교체된 후 몬테디오 야마가타 원정에서 6-0 대승을 거두기도 했으나, 결국 17위로 시즌을 마감하며 J2리그로 강등되었다. 이후 마에다 고지 감독이 부임했지만, 구단 역사상 최악의 시즌을 보내며 18위를 기록, 9승 68실점으로 부진했다.
2013년 이하라 마사미 감독 부임 후, 3위를 차지하여 승격 플레이오프에서 승리하며 J1리그로 승격했다. 2015년에는 나카무라 고스케, 사카이 노부후쿠 등이 복귀하고, 카메가와 료시, 다닐손 코르도바, 지토우 유키, 김현훈, 후루베 켄타, 타메다 다이키, 이범영 등이 합류했다. 개막 후 7경기 연속 무승(3무 4패)을 기록했고, 9라운드 FC 도쿄전에서 첫 승리를 거두었지만, 1st 스테이지에서 최하위를 기록했다. 여름 이적 시장에서 코마노 유이치, 미토 유다이를 영입했지만, 웰링턴 루이스 드 소자의 부상으로 8월부터 9월까지 5연패를 당했다. 결국 연간 순위 16위 이하가 확정되어 1년 만에 J2리그로 강등되었다. 이는 J리그 역사상 최다 타이 기록이며, J1 최하위로 J2 강등은 구단 최초였다. YBC 루반컵에서는 구단 역사상 처음으로 8강에 진출했지만, 천황배에서는 2라운드에서 야마구치에 승부차기 끝에 패배했다.
2017년 이하라 체제 3년 차에는 가네모리 켄지, 후루베 켄타, 미츠나가 유야, 이범영, 다무라 유, 스즈키 준 등이 이적하고, 마츠다 리키, 이와시타 케이스케, 스기야마 리키히로, 야마세 코우지 등이 합류했다. 개막전 패배 후 10위권을 유지하다가 12경기부터 4연승을 기록, 15경기 종료 시점에 1위에 올랐다. 22경기에서 쇼난 벨마레에게 1위를 내준 후 2위를 유지했지만, 28경기부터 6경기 무승으로 33경기에는 3위로 하락했다. 34경기부터 3연승으로 다시 2위로 올라섰지만, 39경기에서 4위로 떨어졌다. 최종 순위는 4위로, J1 승격 플레이오프 1차전에서 야마세 코우지의 골로 도쿄V를 1-0으로 꺾었지만,[37] 결승전에서 나고야 그램퍼스와 0-0 무승부를 기록하며 J1 승격에 실패했다.
2018년 이하라 체제 4년 차에는 사카타 다이스케가 은퇴하고, 카네다 아키시게, 토미야스 다케히로, 나카무라 호쿠토, 카메카와 료시 등이 이적했다. 시노하라 코지로, 와지키 나오키, 모리모토 타카유키, 투리우 데 메루 등이 합류했다. 개막 후 3경기 무패(2승 1무)였지만, 이후 3경기 무승(1무 2패)으로 11위까지 하락했다. 이후 8경기 무패(5승 3무)로 3위까지 올라섰지만, 최종 순위는 7위로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38] 홈에서는 6연승을 기록하며 J2 최고 승점 42점을 획득했지만, 원정에서는 승점 28점밖에 얻지 못했다.[39] 시즌 종료 후 이하라 감독이 사퇴했다.[40]
2019년 파비오 페키아 감독이 부임하고,[42] 카미야마 류이치, 츠츠미 슌스케, 야마세 코우지,[43] 코마노 유이치[44] 등이 계약 만료로 팀을 떠났다. 세란테스, 이시하라 히로노리, 키쿠치 나오야 등 10명이 새롭게 합류했다. 개막 후 4경기 무승으로 최하위로 추락했고, 5경기에서 첫 승리를 거두었지만, 6경기에 패하며 다시 최하위가 되었다. 14경기 종료 시점에 J3 강등권인 21위까지 떨어지는 등 부진했다. 16경기 종료 후 페키아 감독이 사퇴하고 쿠도 세이이치 코치가 감독으로 승격했지만, 최종 순위는 16위로 시즌을 마감했다.
2020년 하세가베 시게토시 감독이 부임하고,[46] 원두재, 마츠다 리키 등 12명이 팀을 떠났다. 무라카미 마사타케, 마에 히로유키, 후쿠마쓰 타카키 등 14명이 새롭게 합류했다. 개막전 기타큐슈와의 후쿠오카 더비에서 승리했지만, 코로나19 확산으로 리그가 중단되었다. 재개 후 3경기 무승으로 17위까지 하락했지만, 이후 3연승으로 8경기 종료 시점에 3위까지 올라섰다. 히로시마에서 마쓰모토 야스시가 합류하고, 9월에는 무패를 기록하며 23경기에서 3위로 도약했다.[50] 10월 4일, 후쿠오카 더비에서 승리하며 클럽 신기록인 9연승을 달성하고 2위로 올라섰다.[51] 야마가타에서 야마기시 유야를 영입하고, 27경기에서 12연승을 기록하며 1위에 올랐다. 30경기에서 16경기 만에 패하며 2위로 하락했지만, 41경기에서 승리하며 2위 이상을 확정, 5년 만에 J1 승격을 달성했다.[53] 최종 순위는 2위로, 총 득점은 리그 10위였지만, 실점은 29점으로 리그 최소 실점을 기록했다.
2. 5. J1리그 정착과 첫 우승 (2021-)
2020년 J2리그에서 2위를 차지한 아비스파 후쿠오카는 2016년 이후 처음으로 J1리그로 승격했다.[54] 2021년은 장기 체제 2년 차로, 세란테스 등이 계약 만료로 팀을 떠났지만, 미야 다이주, 시치 타카아키, 조르디 크룩스 등을 영입하며 전력을 보강했다. J1리그 개막 후 3경기 무승을 기록하다가 제4절 도쿠시마전에서 첫 승리를 거두었고, 이후 J1 클럽 신기록인 6연승을 달성하며 한때 5위까지 올랐다. 그러나 5월 26일 요코하마 FC전부터 8월 9일 히로시마전까지 2무 5패로 부진하며 순위가 11위까지 하락했다. 8월 15일 C오사카전에서 승리하며 다시 상승세를 탔고, 8월 25일 가와사키전에서는 크룩스의 골로 전년도 J1 챔피언에게 시즌 첫 패배를 안겼다.[54] 10월 16일 고베전에서는 패했지만, 다른 경기 결과를 통해 J1 잔류를 확정지으며, 2001년 J2 강등 이후 5년 주기로 반복되던 "J1 승격 후 다음 해 J2 강등"이라는 악순환을 끊었다. 최종전에서 FC도쿄와 비기며 클럽 역사상 최고 순위인 J1 연간 8위로 시즌을 마쳤다. 루반컵에서는 조별리그에서 탈락했고, 천황배에서는 3회전에서 도스에 패했다.2022년은 장기 체제 3년 차로, 마에지마 요타, 전년도 J2 득점왕 루키안 등을 영입했다. 견고한 수비를 바탕으로 리그 3위의 최소 실점(38실점)을 기록했지만, 득점력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J1 전 34경기 중 17경기가 무득점이었고, 총 득점은 29점에 불과했다. 9승 11무 14패(승점 38점)로 14위를 기록하며 2년 연속 J1 잔류에 성공했다. 천황배에서는 8강, 루반컵에서는 준결승에 진출하며 클럽 역사상 최고 성적을 기록했지만, 각각 J2 팀과 히로시마에 패했다.
2023년은 장기 체제 4년 차로, 루반컵 조별리그 D조에서 가시마, 니가타, 가시와를 꺾고 1위로 통과했다. 프라임 스테이지 8강에서 FC도쿄를 꺾고, 준결승에서 나고야를 합계 2-0으로 이기며 결승에 진출했다. 11월 4일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결승전에서 우라와를 2-1로 꺾고 클럽 역사상 첫 우승을 차지했다.[55] 천황배에서는 준결승에서 가와사키에 패했지만, 클럽 역사상 최고 성적인 4강에 진출했다. J1리그에서는 7위를 기록하며 종전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2024년은 장기 체제 5년 차로, J리그 가맹 이후 동일 감독이 4년 이상 지휘하는 것은 클럽 역사상 처음이다. 이와사키 유토, 마츠오카 다이키 등을 영입했고, 시즌 중 샤하브 자헤디가 합류했다. YBC 루반컵과 천황배에서는 모두 3회전에서 패했다. 2024년 10월 31일, 5년간 팀을 이끌었던 하세베 시게토시 감독의 은퇴가 발표되었다.[4]
3. 클럽 문화
3. 1. 홈구장
홈 구장은 후쿠오카시 하카타구의 히가시히라오 공원 내에 있는 히가시히라오 공원 하카타노모리 구기장(명명권 명칭: 베스트전기 스타디움)이다. 2008년 이후 리그 공식 경기는 모두 이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56] 2019년 럭비 월드컵 경기장 중 하나가 됨에 따라 개보수 공사를 하였고, 2017년 11월 26일 J1 승격 플레이오프 준결승전은 구마모토현 구마모토현민종합운동공원 육상경기장(명명권 명칭: 에가오 건강 스타디움)에서 개최했다.[56] 2019년 리그전에서는 히가시히라오 공원 하카타노모리 육상경기장을 홈 구장으로 병용했다.[57]훈련장은 후쿠오카시 동구(東区)의 후쿠오카시 가리노스 레크리에이션센터 구기장이다.
3. 2. 연습 구장
훈련장은 후쿠오카시 동구(東区)의 후쿠오카시 가리노스 레크리에이션센터 구기장(福岡市雁の巣レクリエーションセンター球技場)이다.
3. 3. 유니폼
아비스파 후쿠오카의 유니폼은 2004년부터 홈 유니폼은 네이비 블루, 원정 유니폼은 실버로 변경되었다.[58] 클럽 컬러는 2020년에 네이비(PANTONE 281C)로 변경되었다.[58]2015년에는 J리그 가입 20주년을 기념하여 흰색 바탕에 세로 줄무늬가 들어간 유니폼을 제작했다.[59][60] 2017년에는 "하치마쓰리 기념 유니폼"을 제작, 네이비와 옐로우의 보더 무늬를 사용했다.[61] 2018년 "하치마쓰리 기념 유니폼"은 진한 남색을 기반으로 전통의 줄무늬를 사용했다.[62] 2019년 "하치마쓰리 기념 유니폼"은 필드 플레이어용에는 네이비 블루, 골키퍼용에는 그린을 베이스 컬러로 채택했다.[66][67]
2020년에는 클럽 창설 25주년을 기념하여 블루 베일 댄스를, 골키퍼용에는 검정을 베이스 컬러로 한 유니폼을 제작했다.[68] 2021년에는 네이비와 블루 베일 댄스를 채택한 "스페셜 유니폼"을 제작했다.[69] 2022년 "스페셜 유니폼"은 진한 남색을 채택하고, 보라색도 채택했다.[70] 2023년 "스페셜 유니폼"은 2001년부터 2002년까지 사용된 유니폼을 오마주한 디자인·컬러를 채택했다.[71]
유니폼 스폰서는 다음과 같다.
표기 위치 | 스폰서 명 | 표기 | 표기 연도 | 비고 |
가슴 | 신일본제약(新日本製薬) | 신일본제약(新日本製薬) | 2021년 - | 2018년 - 2020년은 등 상부 |
---|---|---|---|---|
쇄골 | https://www.hakata-green.co.jp/ 하카타 그린 호텔(博多グリーンホテル) | GREEN HOTEL (일반) GREEN HOTEL (SP) | 2018년 - | 왼쪽에 표기 |
에이젝(エイジェック) | 에이젝(エイジェック) | 2023년 - | ||
등 상부 | DMM.com(DMM.com) | DMM TV(DMM TV) | 2021년 2023년 - | 2022년은 쇄골 오른쪽 2021년 - 2022년은 「DMM보험(DMMほけん)」 표기 |
등 하부 | 없음 | - | - | |
소매 | 후쿠야(ふくや) | 후쿠야(ふくや) | 2011년 7월 - 2021년 2023년 - | 2011년 7월 - 2012년은 「 후쿠야(ふくや)」 표기 |
바지 앞면 | 피에트로(ピエトロ) | 피에트로(ピエトロ) | 2020년 - | 2017년 - 2019년은 등 하부 |
바지 뒷면 | 없음 | - | - |
유니폼 제작사는 다음과 같다.
- 1995년: 아디다스
- 1996년: 리그전은 미즈노, 컵전은 아디다스
- 1997년 - 2010년: 미즈노
- 2011년 - 2014년: 스볼메
- 2015년 - 2017년: 아스레타
- 2018년 - 현재: 요넥스[72]
홈 유니폼 1st | ||||||||
어웨이 유니폼 2nd | ||||||||
기타 유니폼 | ||||||||
3. 4. 마스코트
아비와[7] 비비가[7] 있다. 비비는 2000년 2월 27일 「선수 격려의 모임」에서 처음 공개되었다.3. 5. 서포터 및 응원
4. 경영 문제
1999년 11월, 대한민국의 한양대학교 소속이었던 이관우(당시 대한민국 U-23 대표팀)의 영입을 발표했지만, K리그로부터 드래프트 규약 위반이라는 반발이 있어 입단 계약을 해지했다. 2000년 J리그컵 예선, 쇼난 벨마레전(4월 12일)에서 아비스파 후쿠오카는 주력 선수들을 아껴 쓰고, 젊은 선수와 중견 선수들을 중심으로 출전하여 "최강 멤버로 경기를 치러야 한다"는 리그 규정을 위반한 것이 아니냐는 문제가 제기되었지만, 경기는 승리로 끝났다.[73]
부산으로 연고지를 이전한 후, 1998년에 후쿠오카시(福岡市)가 4억 엔의 증자를 인수하고 최대 9억 엔의 융자를 지원했으며, 2006년에는 자본금 34억 엔의 99% 감자와[73] 대주주로부터의 추가 지원을 받는 등[73] 만성적인 적자 체질이 이어졌다. 기타큐슈 코카콜라 보틀링(北九州コカ・コーラボトリング)(이후 코카콜라 웨스트 재팬(コカ・コーラウエストジャパン) (CCWJ), 리코 산아이 그룹(リコー三愛グループ))은 2007년 시즌을 끝으로 유니폼 스폰서를 철회했다.[74]
2008년 6월, 파칭코 기계 제조업체인 다이토 기켄(大都技研)이 클럽에 자본 참가하고 유니폼 스폰서가 된다는 보도가 있었으나,[75] J리그 측이 난색을 표했고,[76] 같은 해 9월에 공식적으로 자본 참가가 발표되었다.[77] 하지만 유니폼 스폰서로서의 참가는 보류되었다.
2009년 시즌은 규슈 전력(九州電力)을 제외하고 유니폼 스폰서가 없는 비상사태 속에서 시즌이 시작되었다.[78] 2010년에는 덴츠(電通) 출신의 오츠카 유지(大塚唯史)가 사장에 취임하여 대형 스폰서 의존적인 기업 체질에서 벗어나기 위해 광고 스폰서 수를 약 90개사에서 약 150개사로 늘렸고,[73] 경영 문제에 개선의 움직임이 보이는 듯했다.
2013년, J리그 클럽 라이선스 제도에서 "개별 통지"가 붙은 J1 라이선스가 발급된[82] 직후, 니시니혼 신문(西日本新聞)(니시니혼 스포츠(西日本スポーツ))은 아비스파가 J리그 탈퇴 가능성도 있는 매우 어려운 경영 상태에 있다고 보도했다.[83] 11월 30일에는 일련의 경영 문제에 대한 책임을 지고 오츠카 유지가 대표이사를 사임했고,[88] 후임으로 전 가시마 앤틀러스(鹿島アントラーズ) 강화 담당 부장인 노미야마 아츠시(野見山篤)가 취임했으며, 노미야마를 지원하는 역할로 상근 이사에 시 문화진흥부 과장인 다루미 테츠(樽見哲)가 취임했다.[73]
2014년 2월 5일, 클럽 경영 강화를 위해 자문 위원회(경영 자문 위원회)를 설치했다.[89] 오가와 마사아키(大河正明) J리그 상무 이사는 "흑자화는 어떻게든 되지만, 부채 초과(해소)는 확신이 서지 않는다"고 지적했고,[90] 보고 시점에서 부채 초과였던 11개 클럽 중 9월 라이선스 심사까지 부채 초과를 해소할 전망이 서 있지 않은 클럽은 후쿠오카 뿐이었다.[91] 시스템 소프트(システムソフト)를 대상으로 약 1억 엔의 제3자 배정 증자를 실시하는 것을 9월 임시 주주총회에 상정하기로 결의했다.[92] 제3자 배정 증자는 9월 22일에 실시되어 시스템 소프트가 최대 주주가 되었고, 동사 사장인 요시오 하루키(吉尾春樹)와 시스템 소프트의 모회사인 아파만 숍 홀딩스(アパマンショップホールディングス) 상무 이사인 카와모리 케이지(川森敬史)가 새롭게 비상근 이사에 취임했다.[94] 카와모리는 2015년 3월 30일에 열린 주주총회 및 이사회에서 사장에 취임했다.[95]
사장에 취임한 카와모리 케이지는 경영 재건과 효율화를 위한 다양한 개혁을 실시했다. 그 결과, 스폰서 수가 186개사(2014년도)에서 1010개사(2015년도)로 약 5배 이상 증가했다. 관중 동원에 있어서도 2016년에는 2015년과 비교하여 관중 동원 수가 172% 증가했다.[96][97]
5. 사회 공헌 활동
6. 주요 선수
6. 1. 현재 선수
참고: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소속된 국가대표팀 국기를 표시합니다. 선수는 복수의 FIFA 비회원국 국적을 가지고 있을 수 있습니다.[5] 2024년 7월 24일 기준.[5]번호 | 포지션 | 이름 | 국적 |
---|---|---|---|
1 | GK | 나가이시 타쿠미 | 일본 |
2 | DF | 유자와 마사토 | 일본 |
3 | DF | 나라 타츠키 | 일본 |
4 | DF | 이노우에 세이야 | 일본 |
5 | DF | 미야 다이키 | 일본 |
6 | MF | 마에 히로유키 | 일본 |
7 | MF | 가나모리 다케시 | 일본 |
8 | MF | 콘노 카즈야 | 일본 |
9 | FW | 샤합 자헤디 | 이란 |
10 | FW | 조고 히사시 | 일본 |
13 | FW | 나심 벤 칼리파 | 스위스 |
16 | DF | 오다 이츠키 | 일본 |
17 | FW | 웰링턴 | 브라질 |
18 | FW | 이와사키 유토 | 일본 |
19 | DF | 카메카와 마사시 | 일본 |
25 | MF | 키타지마 유지 | 일본 |
27 | FW | 사토 료가 | 일본 |
28 | FW | 츠루노 레이주 | 일본 |
29 | DF | 마에지마 요타 | 일본 |
30 | MF | 시게미 마사토 | 일본 |
31 | GK | 무라카미 마사아키 | 일본 |
33 | DF | 더글라스 그롤리 | 브라질 |
35 | MF | 히라츠카 유토 | 일본 |
37 | DF | 타시로 마사야 | 일본 |
40 | DF | 이케다 주라토 | 일본 |
41 | GK | 사카타 다이키 | 일본 |
44 | DF | 모리야마 키미야 | 일본 |
47 | DF | 하시모토 유 | 일본 |
51 | GK | 스가누마 카즈아키 | 일본 |
88 | MF | 마츠오카 다이키 | 일본 |
6. 2. 과거 주요 선수
7. 감독
wikitable
감독 | 임기 |
---|---|
일리야 페트코비치/Ilija Petkovićhr | 1998년 ~ 1999년 |
나카무라 시게카즈 | 2002년 |
이마이 마사타카 | 2002년 |
피에르 리트바르스키/Pierre Littbarskide | 2006년 ~ 2008년 |
이케다 후토시 (대행) | 2012년 |
이하라 마사미 | 2015년 ~ 2018년 |
파비오 페키아/Fabio Pecchiait | 2018년 ~ 2019년 |
하세베 시게토시 | 2020년 ~ 2024년 |
김명휘/김명휘 (축구인)한국어 | 2024년 ~ |
7. 1. 역대 감독
감독 | 임기 |
---|---|
키쿠카와 요시오 | 1982년 1월 1일 ~ 1994년 12월 31일 |
호르헤 올귄/Jorge Olguínes | 1993년 7월 1일 ~ 1995년 12월 31일 |
시미즈 히데히코 | 1996년 2월 1일 ~ 1997년 1월 31일 |
카를로스 파차메/Carlos Pachamées | 1997년 1월 1일 ~ 1997년 12월 31일 |
모리 타카지 | 1998년 2월 1일 ~ 1999년 1월 31일 |
일리야 페트코비치 | 1998년 ~ 1999년 |
키쿠카와 요시오 | 1999년 1월 1일 ~ 1999년 12월 31일 |
네스토르 오마르 피콜리/Néstor Omar Piccolies | 2000년 1월 1일 ~ 2001년 12월 31일 |
이마이 마사타카 | 2002년 2월 1일 ~ 2002년 7월 28일 |
모치즈키 타쓰야 | 2002년 7월 29일 ~ 2002년 8월 14일 |
나카무라 시게카즈 | 2002년 8월 15일 ~ 2003년 1월 31일 |
마쓰다 히로시 | 2003년 2월 1일 ~ 2006년 5월 7일 |
가와카쓰 료이치 | 2006년 5월 8일 ~ 2007년 1월 31일 |
오키노 히토시 | 2006년 12월 11일 ~ 2007년 1월 31일 |
피에르 리트바르스키 | 2006년 ~ 2008년 / 2007년 2월 1일 ~ 2008년 7월 11일 |
시노다 요시유키 | 2008년 7월 15일 ~ 2011년 8월 3일 |
아사노 테쓰야 | 2011년 8월 3일 ~ 2011년 12월 31일 |
마에다 코우지 | 2012년 1월 1일 ~ 2012년 10월 28일 |
이케다 후토시 | 2012년 10월 29일 ~ 2013년 1월 31일 / 2012년 (대행) |
마리얀 푸슈니크 | 2013년 1월 1일 ~ 2014년 12월 31일 |
이하라 마사미 | 2015년 ~ 2018년 / 2015년 2월 1일 ~ 2019년 1월 31일 |
파비오 페키아 | 2018년 ~ 2019년 / 2019년 2월 1일 ~ 2019년 6월 3일 |
쿠도 키요카즈 | 2019년 6월 4일 ~ 2020년 1월 31일 |
하세베 시게토시 | 2020년 ~ 2024년 / 2020년 2월 1일 ~ 현재 |
김명휘 | 2024년 ~ |
8. 수상
wikitable
수상 내역 | 횟수 | 년도 |
---|---|---|
전일본 실업 축구 선수권 대회 (전일본 실업 축구 선수권 대회) | 2 | 1989, 1990 |
일본 축구 리그 (1992년-1998년)(3부 리그) 2부 리그 | 1 | 1992년 |
일본 축구 리그 (1992년-1998년)(2부 리그) | 1 | 1995년 |
J리그컵 (J리그컵) | 1 | 2023년 |
8. 1. 클럽
wikitable수상 내역 | 횟수 | 년도 |
---|---|---|
전일본 실업 축구 선수권 대회 (전일본 실업 축구 선수권 대회) | 2 | 1989, 1990 |
일본 축구 리그 (1992년-1998년)(3부 리그) 2부 리그 | 1 | 1992년 |
일본 축구 리그 (1992년-1998년)(2부 리그) | 1 | 1995년 |
J리그컵 (J리그컵) | 1 | 2023년 |
8. 2. 개인
2006년 나카무라 호쿠토(中村北斗)가 J1리그 우수 신인상을 수상했다. 월간 MVP는 2023년 9월 콘노 카즈야(紺野和也)가 수상했다. 2016년 6월 가나모리 켄지(金森健志), 2021년 4월 마에 히로유키(前寛之)가 월간 베스트 골을 수상했다. 월간 우수 감독상은 2023년 7월과 9월에 하세베 시게토시(長谷部茂利)가 수상했다.2014년 6월 가나모리 켄지(金森健志), 2015년 11월과 2017년 5월 웰링턴(ウェリントン・ルイス・デ・ソウザ), 2020년 9월 카미지마 타쿠미(上島拓巳), 2020년 12월 토오노 다이야(遠野大弥)가 J2리그 월간 MVP를 수상했다. 하세베 시게토시(長谷部茂利)는 2020년 9월 J2리그 월간 우수 감독상을 받았다.
2023년 마에 히로유키(前寛之)가 J리그컵 MVP를 수상했다.
1995년 재팬 풋볼 리그에서는 우메야마 오사무(梅山修), 이소다 유카즈(磯田由和), 나가이 아츠시(永井篤志), 페드로 트로그리오(ペドロ・トログリオ), 미야무라 마사시(宮村正志), 우고 마라도나(ウーゴ・マラドーナ)가 베스트 일레븐에 선정되었다. 나가이 아츠시(永井篤志)는 신인왕, 사노 토모아키(佐野友昭)는 베스트 GK상을 수상했다.
9. 국제 관계
- 신트트라위던[6]
- 포트 FC
10. 각주
참조
[1]
웹사이트
Avispa hires head coach Masami Ihara
http://www.avispa.co[...]
2015-12-19
[2]
웹사이트
Avispa Fukuoka reign supreme in J.League YBC Levain Cup triumph
https://www.jleague.[...]
J.League
2023-11-04
[3]
웹사이트
2023 J.League YBC Levain Cup Final - Avispa Fukuoka vs Urawa Red Diamonds
https://www.jleague.[...]
J.League
2023-11-04
[4]
웹사이트
J1福岡、長谷部茂利監督の今季退任発表 後任は未定
https://www.nikkei.c[...]
2024-10-31
[5]
웹사이트
トップチーム選手・スタッフプロフィール
https://www.avispa.c[...]
[6]
웹사이트
Affiliated Clubs
https://www.avispa.c[...]
[7]
웹사이트
アビスパ福岡
https://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8]
웹사이트
決算報告及び役員人事のお知らせ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9]
웹사이트
会社概要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10]
웹사이트
2017年度(平成29年度)Jクラブ個別情報開示資料
https://www.jleague.[...]
[11]
웹사이트
アビスパ福岡株式会社 第26期決算公告
https://catr.jp/comp[...]
官報決算データベース
[12]
웹사이트
沿革
https://www.systemso[...]
システムソフト
[13]
보도자료
宇美町および志免町との「フレンドリータウンに関する協定書」締結調印式についてのお知らせ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2017-04-24
[14]
보도자료
アビスパ福岡と「フレンドリータウンに関する協定書」を締結いたしました!
https://www.town.umi[...]
宇美町
2017-05-01
[15]
보도자료
『飯塚市との「フレンドリータウンに関する協定書」締結調印式についてのお知らせ』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2018-12-13
[16]
보도자료
アビスパ福岡と「フレンドリータウン協定」を締結しました
https://www.city.iiz[...]
飯塚市
2018-12-19
[17]
보도자료
10/19(土)アルビレックス新潟戦 粕屋町応援デー のお知らせ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2019-10-18
[18]
뉴스
J2福岡、ハーフタイムに粕屋町と調印 4試合ぶりに勝利
https://www.nishinip[...]
2019-10-19
[19]
보도자료
篠栗町との「フレンドリータウンに関する協定書」締結に伴う調印式についてのお知らせ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2019-10-31
[20]
보도자료
アビスパ福岡公式戦「篠栗町応援デー」開催!
https://www.town.sas[...]
篠栗町
2019-10-31
[21]
보도자료
須恵町・東峰村との「フレンドリータウンに関する協定書」締結にともなう合同調印式についてのお知らせ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2019-11-13
[22]
보도자료
新宮町との「フレンドリータウンに関する協定書」締結に伴う調印式についてのお知らせ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2019-11-19
[23]
보도자료
古賀市との「フレンドリータウンに関する協定書」締結に伴う調印式についてのお知らせ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2019-11-19
[24]
보도자료
朝倉市との「フレンドリータウンに関する協定書」 締結にともなう調印式について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2020-09-11
[25]
보도자료
那珂川市との「フレンドリータウンに関する協定書」締結にともなう調印式について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2021-03-05
[26]
보도자료
久山町との「フレンドリータウンに関する協定書」締結にともなう調印式について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2021-04-30
[27]
보도자료
アビスパ福岡株式会社 増資等についてのお知らせ
http://www.avispa.co[...]
アビスパ福岡
2008-09-25
[28]
보도자료
FCジロンダン・ド・ボルドー(フランス・リーグ1) 練習参加のお知らせ
http://www.avispa.co[...]
アビスパ福岡
2011-03-18
[29]
뉴스
DMMが福岡に経営参入! 村中COOが取締役就任「“ここから、世界へ”チャレンジしましょう」
https://web.gekisaka[...]
2014-11-30
[30]
웹사이트
2008Jリーグ ディビジョン2 第7節第1日
https://data.j-leagu[...]
J. League Data Site
[31]
보도자료
アビスパ福岡を応援してくださったすべての皆さまへ
http://www.avispa.co[...]
アビスパ福岡
2011-10-23
[32]
문서
横浜FCと福岡の順位
[33]
뉴스
福岡が3選手の契約満了を発表
https://web.gekisaka[...]
2014-11-30
[34]
웹사이트
“井原マジック”の真実。福岡J1昇格へ指揮官が施した一年間の取り組み
https://www.soccer-k[...]
Jリーグサッカーキング サッカーキング
2015-12-08
[35]
뉴스
井原福岡が4発8連勝も自動昇格に4得点届かず
https://www.nikkansp[...]
2015-11-24
[36]
뉴스
アビスパ「J1残留」正念場 守備に甘さ? ミスも多く
http://www.nishinipp[...]
2016-09-23
[37]
문서
リーグ4位の福岡にホーム開催権があったが、本来のホームスタジアムであるレベルファイブスタジアムが改修工事の為使用できなかった為、ロアッソ熊本のホームスタジアムであるえがお健康スタジアムで開催した。
[38]
뉴스
大宮が“窮地”からの逆転PO進出!!下位とドローの福岡は土壇場でPO圏外へ
https://web.gekisaka[...]
2018-11-17
[39]
웹사이트
史上稀に見る大混戦…今シーズンのJ2を5つのポイントで振り返る
https://www.soccer-k[...]
サッカーキング
2018-11-22
[40]
뉴스
福岡、井原正巳監督の退任を発表「一番長く指揮を執ったことは誇り」
https://www.soccer-k[...]
2018-11-19
[41]
보도자료
チームスタッフ 契約満了のお知らせ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2018-11-23
[42]
보도자료
ファビオ ペッキア氏 監督就任のお知らせ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2018-12-14
[43]
뉴스
J2福岡 神山、堤が退団 山瀬契約満了も発表
https://www.nishinip[...]
2018-11-23
[44]
뉴스
元日本代表DF駒野が福岡退団「まだサッカーしたい」
https://www.nikkansp[...]
2018-11-25
[45]
보도자료
枝村 匠馬 選手 期限付き移籍期間 満了のお知らせ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2018-12-11
[46]
보도자료
長谷部 茂利氏 監督就任のお知らせ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2019-11-26
[47]
보도자료
チームスタッフ 新型コロナウイルス感染症の陽性判定について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2020-07-27
[48]
뉴스
J2福岡、寝耳に水の陽性疑いで試合前ミーティングから選手隔離 福岡スポーツ界にコロナ禍
https://www.nishinip[...]
2020-08-03
[49]
보도자료
新型コロナウイルス感染症の陽性判定について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2020-08-03
[50]
뉴스
福岡がクラブ記録タイ破竹の8連勝!! 今季9度目“ウノゼロ”で3位に浮上
https://web.gekisaka[...]
2020-09-30
[51]
뉴스
福岡がクラブ新の9連勝!上位対決“福岡ダービー”制し順位交代、自動昇格圏2位浮上!!
https://web.gekisaka[...]
2020-10-04
[52]
보도자료
山岸 祐也 選手 モンテディオ山形より完全移籍加入のお知らせ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2020-10-06
[53]
뉴스
福岡のJ1昇格決定!! J参入から続く驚異の“5年周期”神話またも継続
https://web.gekisaka[...]
2020-12-16
[54]
뉴스
福岡「5年周期」断ち切りJ1残留決定「通過点」長谷部監督
https://www.nikkansp[...]
日刊スポーツ
2021-10-16
[55]
뉴스
福岡がルヴァンカップ初優勝!浦和を下し、クラブ史上初のタイトルを獲得
https://www.goal.com[...]
2023-11-04
[56]
보도자료
2017 J1昇格プレーオフ 出場決定 11/26(日) 準決勝 チケット販売について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2017-11-15
[57]
보도자료
2019明治安田生命J2リーグ 開幕カード決定!!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2019-01-11
[58]
보도자료
クラブのメインカラーについて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2019-12-23
[59]
웹사이트
アビスパ福岡が「20周年記念ユニフォーム」のアイデアを急募!
https://qoly.jp/2015[...]
Qoly
2015-05-16
[60]
웹사이트
アビスパ福岡、20周年記念ユニフォームは懐かしのデザイン
https://qoly.jp/2015[...]
Qoly
2015-06-24
[61]
보도자료
2017ハチ祭り記念ユニフォームの着用およびレプリカユニフォーム販売のお知らせ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2017-08-14
[62]
보도자료
2018ハチ祭り記念ユニフォームの着用およびレプリカユニフォーム販売のお知らせ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2018-07-11
[63]
보도자료
9/1(土)バトルオブ九州 大分戦 2018ハチ祭り記念ユニフォームの着用試合追加日程のお知らせ ハチユニ&スティックバルーンで応援しよう!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2017-08-17
[64]
보도자료
9月のホームゲームは「ハチユニ」で勝利をつかみ取ろう! 2018ハチ祭り記念ユニフォームの着用試合追加日程のお知らせ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2017-09-07
[65]
보도자료
9/16(日)アウェイ千葉戦 2018ハチ祭り記念ユニフォームの着用試合追加日程のお知らせ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2017-09-14
[66]
보도자료
2019ハチ祭り記念ユニフォームの着用 および記念ユニフォーム販売のお知らせ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2019-07-10
[67]
보도자료
11/24(日) 鹿児島ユナイテッドFC戦 グッズ販売のお知らせ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2019-11-22
[68]
보도자료
25周年記念ユニフォームの着用および記念ユニフォーム販売のお知らせ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2020-08-07
[69]
보도자료
ジンクスを打ち破れ!!【勝負の秋の陣】「2021スペシャルユニフォーム」着用試合および販売のお知らせ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2021-05-09
[70]
보도자료
2022スペシャルユニフォーム 試合着用および受注販売開始のお知らせ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2022-04-28
[71]
보도자료
2023スペシャルユニフォーム 試合着用および受注販売開始のお知らせ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2023-04-28
[72]
보도자료
『ヨネックス株式会社』様との オフィシャルユニフォームサプライヤー契約締結のお知らせ
https://www.avispa.c[...]
アビスパ福岡
2018-01-05
[73]
뉴스
再生なるか?アビスパ福岡 課題は脱・有力企業頼み…
http://sankei.jp.msn[...]
2013-12-28
[74]
뉴스
福岡胸スポンサー「GEORGIA」撤退
http://kyusyu.nikkan[...]
2007-11-22
[75]
뉴스
サッカー・J2福岡に遊技機メーカー「大都技研」が資本参加へ
http://kyushu.yomiur[...]
2008-06-05
[76]
뉴스
J2福岡への大都技研出資、自粛対象業種とリーグ難色
http://kyushu.yomiur[...]
2008-06-07
[77]
보도자료
Jリーグ アビスパ福岡への資本参加について
http://www.daitogike[...]
大都技研
2008-09-25
[78]
뉴스
J2アビスパ、ユニホーム広告なしの非常事態に
http://www.asahi.com[...]
2009-02-07
[79]
보도자료
ユニフォームスポンサー(左袖)契約締結のお知らせ
http://www.avispa.co[...]
アビスパ福岡
2009-03-06
[80]
뉴스
福岡の胸スポンサー決まる
https://web.gekisaka[...]
2009-03-28
[81]
보도자료
『株式会社 オデッセイ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様 ユニフォーム(背中)スポンサー決定のお知らせ
http://www.avispa.co[...]
アビスパ福岡
2009-04-10
[82]
보도자료
クラブライセンス交付第一審機関(FIB)による 2014シーズン Jリーグクラブライセンスの交付について
http://www.j-league.[...]
日本プロサッカーリーグ
2013-09-30
[83]
뉴스
アビスパ危機 経営難 資金5000万円不足 Jリーグ退会も
http://www.nishinipp[...]
2013-10-16
[84]
뉴스
アビスパ福岡へ追加支援、地元企業に慎重論広がる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3-10-30
[85]
뉴스
アビスパ支援「ノー」、福岡銀・西鉄トップ表明
http://kyushu.yomiur[...]
2013-10-29
[86]
뉴스
明太子がアビスパを救う?スポンサー「ふくや」が支援商品販売へ
https://www.sponichi[...]
2013-10-31
[87]
뉴스
アビスパ社長「年内の資金繰りにはメド」
https://www.nikkei.c[...]
日本経済新聞
2013-11-16
[88]
뉴스
サッカーJ2・アビスパ社長が辞任表明 資金難、責任を明確化
https://www.nikkei.c[...]
2013-11-25
[89]
보도자료
「アドバイザリーボード(経営諮問委員会)」設置のお知らせ
http://www.avispa.co[...]
アビスパ福岡
2014-02-05
[90]
뉴스
福岡の経営状況を注視=全51クラブの経営情報を開示-Jリーグ
http://www.jiji.com/[...]
2014-07-22
[91]
뉴스
Jリーグ、福岡の債務超過を問題視 9月にライセンス審査
https://www.nikkei.c[...]
2014-07-22
[92]
보도자료
アビスパ福岡株式会社 増資等に関するご報告
http://www.avispa.co[...]
アビスパ福岡
2014-08-28
[93]
보도자료
アビスパ福岡株式会社への資本参加のお知らせ
https://www.systemso[...]
システムソフト
2014-08-29
[94]
보도자료
クラブライセンス交付第一審機関(FIB)による2015シーズン Jリーグクラブライセンスの交付について
http://www.avispa.co[...]
アビスパ福岡
2014-09-29
[95]
보도자료
役員人事に関するお知らせ
http://www.avispa.co[...]
アビスパ福岡
2015-03-30
[96]
보도자료
【レポート】アビスパ福岡社長が語る、100億円クラブへの展望
https://www.soccer-k[...]
サッカーキング
2016-06-15
[97]
보도자료
【インタビュー】川森敬史さん|アビスパ福岡(株) 代表取締役 女性活躍が支えた、アビスパ福岡のJ1復帰
http://kyushu.ikubos[...]
九州イクボスドットコム
2016-08-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