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파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스파르는 5세기의 동로마 제국 장군이자 정치가로, 알란족과 고트족의 혼혈 출신이다. 그는 아리우스파 신앙 때문에 황제가 될 수 없었지만, 마르키아누스를 황제로 추대하고 레오 1세를 옹립하는 등 제국의 정치에 큰 영향력을 행사했다. 아스파르는 471년 레오 1세의 음모로 살해당했으며, 그의 죽음은 동로마 제국 내 게르만족의 영향력 감소를 가져왔다. 그는 또한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저수지를 건설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400년 출생 - 교황 레오 1세
레오 1세는 440년부터 461년까지 재위한 교황으로, 훈족과 반달족의 침공을 막고 칼케돈 공의회에서 교황의 권위를 확립하며 교황 무류성의 사례를 제시하여 로마의 수호자이자 교황 수위권을 강화한 인물이다. - 알란인 - 아드리아노폴리스 전투
아드리아노폴리스 전투는 378년 고트족과 동로마 황제 발렌스 간의 전투로, 로마군이 참패하고 발렌스 황제가 전사하면서 로마 제국의 군사적 권위가 실추되는 결과를 낳았다. - 알란인 - 사르마티아인
사르마티아인은 기원전 7~8세기 우랄산맥 남쪽에서 발생하여 흑해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4세기까지 세력을 유지했던 이란계 유목 민족이다.
아스파르 | |
---|---|
기본 정보 | |
본명 | 플라비우스 아르다부리우스 아스파르 |
로마자 표기 | Flavius Ardaburius Aspar |
출생 | 게르마니아 |
사망 | 471년, 콘스탄티노폴리스 |
직업 | 군인, 정치인 |
경력 | |
소속 | 동로마 제국 |
계급 | 마기스테르 밀리툼 (Magister militum) |
작위 | 파트리키 (Patricius) |
가족 관계 | |
아버지 | 아르다부리우스 |
아들 | 아르다부리우스 율리우스 파트리키우스 |
2. 생애
아스파르는 알란-고트 혼혈로, 아르다부리우스의 아들이었다.[6] 아스파르라는 이름은 이란어군에서 "기수(騎手)"를 의미하는 아베스타어: ''Aspari''에서 유래했다.[7][8][9]
아스파르는 세 명의 아들을 두었는데, 아르다부르, 율리우스 파트리키우스, 에르마나리크이다.[43] 아르다부르는 아버지 아스파르와 함께 471년 레오 1세가 일으킨 음모로 인해 사망했다.[1] 파트리키우스는 레오 1세의 딸 레온티아와 결혼할 예정이었으나, 아리우스파 신자라는 이유로 성직자와 백성의 반대에 부딪혀 도시 히포드롬에서 폭동이 일어나기도 했다.[10]
아스파르의 아내는 동고트족이었으며, 테오도리크 대왕은 그의 조카였다.[13] 또한, 테오도릭 스트라보의 누이와 결혼하여 에르마나리크를 낳았다.[12] 아스파르는 혼인을 통해 트리아리우스나 테오도릭 스트라보 등 고트족 장군들과 강하게 결속되어 있었고, 고트족은 아스파르에게 있어 권력의 강력한 후원자였다.[41]
2. 1. 초기 생애와 군사 활동
플라비우스 아르다부르 아스파르(라틴어: Flavius Ardabur Aspar, 400년경 - 471년)는 알란-고트 혼혈 출신으로, 동로마 제국의 테오도시우스 왕조를 섬긴 장군이자 정치가였다.[6] 아스파르라는 이름은 이란어군에서 "기수(騎手)"를 의미하는 아베스타어: ''Aspari''에서 유래했다.[7][8][9] 아스파르는 아르다부리우스의 아들이었다.[6]424년, 아스파르는 아버지의 서로마 제국 원정에 참여하여 찬탈자 요안네스를 제거하고 갈라 플라키디아와 발렌티니아누스 3세를 황제로 옹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19] 이 원정에서 아스파르는 기병대장, 아버지 아르다부리우스는 보병대장으로 참전하여 그해 7월 요안네스와 서로마 제국의 고관들을 살해했다. 곧 요안네스 측 장군 아에티우스가 원군을 이끌고 이탈리아로 왔지만, 아스파르는 그와 대치한 후 갈리아의 마기스터 밀리툼으로 임명하는 조건으로 화의를 맺었다.[19]
431년부터 434년까지 아스파르는 반달족의 침입으로부터 카르타고를 방어했다.[15] 434년, 아스파르는 집정관으로 임명되었다.[13] 441년 훈족이 일리리쿰을 약탈하자[17] 아스파르는 서로마 제국 방위에서 복귀했다.[17] 442년 초, 아스파르는 훈족의 왕 블레다와 아틸라와 협상하여 약탈을 이듬해인 443년까지 중단시켰다.[16][17]
아스파르는 아리우스파 신자였기 때문에 황제가 될 수는 없었다.[13] 대신 그는 자신의 부하 마르키아누스를 황제로 추대했고, 마르키아누스는 테오도시우스 2세의 누이 풀케리아와 결혼하여 황제가 되었다. 457년 마르키아누스가 사망하자, 아스파르는 상원으로부터 황제 자리를 제안받았지만 거절하고,[10] 자신의 군대 부대의 무명 트리부누스였던 레오 1세를 황제로 선택했다.[11]
470년, 아스파르는 이스아우리아 출신 장군 제논과의 권력 투쟁 과정에서 황제를 설득하여 자신의 둘째 아들 파트리키우스를 카이사르로 임명하고, 그의 딸 레온티아와 결혼시키려 했다. 그러나 콘스탄티노폴리스의 성직자와 백성들은 아리우스파 신자가 황제가 되는 것을 반대하여 폭동을 일으켰고, 아스파르와 레오 1세는 파트리키우스가 정교회로 개종한 후에야 레온티아와 결혼할 것이라고 약속해야 했다.
471년, 레오 1세와 이사우리아인들이 주도한 황실 음모로 아스파르와 그의 장남 아르다부르가 살해되었다.[1] 이 사건으로 동로마 제국에서 게르만족의 영향력은 막을 내리게 되었다.[1] 아스파르는 테오도릭 스트라보의 누이와 결혼하여 에르마나리크라는 아들을 두었으며,[12] 그의 아내는 오스트고트족으로 테오도리크 대왕은 그의 조카였다.[13] 이스탄불에는 그가 건설한 저수지가 남아 있다.
2. 2. 마르키아누스 시대
아스파르는 아리우스파 신앙 때문에 황제가 될 수 없었다. 대신 그는 자신의 부하 마르키아누스를 조력하여, 마르키아누스는 테오도시우스 2세의 누이 풀케리아와 결혼하여 황제가 되었다.[20] 450년 테오도시우스 2세가 사망한 후, 아스파르는 마르키아누스를 풀케리아와 결혼시키고 황제로 선포했다.[20] 그러나 마르키아누스는 서로마 황제 발렌티니아누스 3세와 상의 없이 황제로 선포되었기 때문에, 452년경까지 정식 황제로 인정받지 못했다.마르키아누스는 아스파르의 꼭두각시였으며, 즉위 후 처음 한 일도 아스파르의 아들 아르다부리우스를 오리엔스 도의 마기스터 밀리툼으로 임명하는 것이었다.[20] 아스파르는 457년 마르키아누스가 죽을 때까지 동로마 제국의 실질적인 공동 통치자로서 제국을 지배했다.
2. 3. 레오 1세 시대와 몰락
아스파르는 알란-고트 혼혈로, 이란어군에서 "기수(騎手)"를 의미하는 아베스타어: ''Aspari''에서 그의 이름이 유래했다.[6][7][8][9] 그는 424년 서로마의 찬탈자 요안네스를 물리치고 갈라 플라키디아와 발렌티니아누스 3세를 황제로 옹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으며, 반달족의 아프리카 침략 이후 게이세리크와 평화 조약을 체결하는 데 기여했다. 아스파르는 아프리카 원정 후 434년 집정관이 되었다.[13]457년 마르키아누스 황제가 사망하자, 콘스탄티노폴리스 원로원은 아스파르를 황제로 지명했으나, 아스파르는 이를 거절하고[21] 대신 자신의 부대 병사였던 레오 1세를 황제로 즉위시켰다.[21] 레오 1세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에게 즉위식을 받았는데,[22][23][24][18] 이는 아스파르가 레오 1세의 즉위를 신의 뜻으로 정당화하려는 의도였다.[24]
초기 레오 1세는 아스파르의 꼭두각시였지만,[27][29] 460년대부터 이사우리아인을 고용하여 친위대를 구성하고 아스파르의 영향력에서 벗어나려 했다.[28] 466년, 제논이 아스파르의 장남 아르다부르를 사산조와 내통했다는 혐의로 고발하자,[29] 레오 1세는 아르다부르를 해임했다.[29]
468년 레오 1세의 반달족 토벌 실패와 469년 제논의 위기로 아스파르의 명성이 회복되었다.[32][33] 레오 1세는 아스파르의 차남 율리우스 파트리키우스를 황태자로 임명하고, 딸 레온티아를 그와 결혼시키겠다고 선언했다.[32][34] 그러나 파트리키우스가 아리우스파 신자였기 때문에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폭동이 일어났고, 레오 1세는 파트리키우스의 칼케돈파 개종을 약속해야 했다.
471년, 아스파르와 아르다부르는 선동된 폭도들에 의해 성 에우페미아 교회로 몰리고 제논의 사람들에게 살해되었다.[33] 파트리키우스는 황태자에서 물러나고 레온티아와 이혼했다.[35] 아스파르가 살해되자 그의 친족 테오도리크 스트라보가 고트족을 이끌고 반란을 일으켰다.[35]
아스파르의 죽음은 테오도시우스 1세 시대부터 이어진 고트족에 의한 동로마 제국 지배의 끝의 시작이었으며, 이후 이사우리아족이 동로마 제국의 지배자가 되었다.[39]
2. 4. 가족 관계
아스파르는 알란-고트 혼혈로, 아르다부리우스의 아들이었다.[6] 아스파르라는 이름은 이란어군에서 "기수(騎手)"를 의미하는 아베스타어: ''Aspari''에서 유래했다.[7][8][9]아스파르는 세 명의 아들을 두었는데, 아르다부르, 율리우스 파트리키우스, 에르마나리크이다.[43] 아르다부르는 아버지 아스파르와 함께 471년 레오 1세가 일으킨 음모로 인해 사망했다.[1] 파트리키우스는 레오 1세의 딸 레온티아와 결혼할 예정이었으나, 아리우스파 신자라는 이유로 성직자와 백성의 반대에 부딪혀 도시 히포드롬에서 폭동이 일어나기도 했다.[10]
아스파르의 아내는 동고트족이었으며, 테오도리크 대왕은 그의 조카였다.[13] 또한, 테오도릭 스트라보의 누이와 결혼하여 에르마나리크를 낳았다.[12] 아스파르는 혼인을 통해 트리아리우스나 테오도릭 스트라보 등 고트족 장군들과 강하게 결속되어 있었고, 고트족은 아스파르에게 있어 권력의 강력한 후원자였다.[41]
3. 아스파르의 저수지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는 인구 증가로 인한 물 부족과 빈번한 도시 화재에 대비하여 여러 개의 저수지가 건설되었다.[44][45] 459년에 아스파르에 의해 건설된 노천 저수지는 "아스파르의 저수지"라고 불리며 현재까지 남아 있다.[44] "아스파르의 저수지"는 깊이 10미터, 한 변이 152미터인 정사각형으로, 콘스탄티노폴리스에 건설된 저수지 중에서도 특히 거대한 것이다.[45]
4. 평가
4. 1. 한국 정치에 주는 의의
참조
[1]
백과사전
Flavius Ardaburius Aspar
http://global.britan[...]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2-11-02
[2]
백과사전
Leo I (Roman emperor)
http://global.britan[...]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2-11-02
[3]
백과사전
Zeno (Eastern Roman emperor)
http://global.britan[...]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2-11-02
[4]
백과사전
Byzantine Empire (historical empire, Eurasia): Relations with the barbarians
http://global.britan[...]
Encyclopædia Britannica, Inc.
2012-11-02
[5]
문서
Williams, p. 45.
[6]
서적
The Roman Empire and Its Germanic Peopl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3-11-02
[7]
서적
An English-Avesta Dictionary
https://books.google[...]
Printed at the Fort Printing Press
1909
[8]
서적
A history of the Alans in the West; from their first appearance in the sources of classical antiquity through the early Middle Age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9]
간행물
The Origin of the Pre-Imperial Iranian Peoples
SOAS
2001-04-26
[10]
문서
The episode was told by Theodoric the Great at a synod held in Rome in 501; Aspar refused, cryptically stating, "I fear I would launch an imperial tradition", (Croke, p. 150).
[11]
문서
Croke, p. 150.
[12]
문서
Herwig Wolfram, p. 32.
[13]
문서
Bunson, 38.
[14]
문서
尚樹1999、p.120。
[15]
문서
尚樹1999、pp.103-104。
[16]
서적
フン族―謎の古代帝国の興亡史
法政大学出版局
[17]
서적
アッティラ大王とフン族 〈神の鞭〉と呼ばれた男
講談社
[18]
문서
オストロゴルスキー2001、p.84。
[19]
문서
尚樹1999、p.103。
[20]
문서
尚樹1999、p.121。
[21]
문서
パランク1976、p.128。
[22]
서적
西洋古典学事典
京都大学学術出版会
[23]
서적
로마제국 쇠망사
이와나미 서점
[24]
문서
尚樹1999、p.51。
[25]
문서
オストロゴルスキー2001、p.119
[26]
서적
クローヴィス
白水社
[27]
문서
パランク1976、pp.128-129。
[28]
문서
尚樹1999、pp.123-125。
[29]
문서
尚樹1999、p.123。
[30]
문서
尚樹1999、pp.123-124。
[31]
문서
尚樹1999、p.124。
[32]
문서
オストロゴルスキー2001、p.85。
[33]
문서
パランク1976、p.129。
[34]
문서
尚樹1999、pp.124-125。
[35]
문서
尚樹1999、p.125。
[36]
서적
尚樹1999
[37]
서적
尚樹1999
[38]
서적
尚樹1999
[39]
서적
オストロゴルスキー2001
[40]
서적
西欧中世史 [上] 継承と創造
ミネルヴァ書房
[41]
서적
東ゴート興亡史 東西ローマのはざまにて
白水社
[42]
서적
尚樹1999
[43]
서적
尚樹1999
[44]
서적
井上1998
[45]
서적
378年 失われた古代帝国の秩序
山川出版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