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사르마티아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르마티아인은 기원전 7~8세기 우랄산맥 남쪽과 돈강 동부 초원 지대에서 발생한 이란계 유목 민족이다. 그리스 로마 민속지학자들은 이들을 사르마티아인으로 지칭했으며, 스트라본은 야지게스, 록솔라니, 알란인, 시라케스 등을 주요 부족으로 꼽았다. 사르마티아인은 스키타이인과 유사한 외모를 가졌으며, 흑해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4세기까지 세력을 유지했다. 고고학적으로는 사우로마티아 문화, 초기, 중기, 후기 사르마티아 문화로 구분되며, 헝가리, 우크라이나, 러시아 등지에서 다양한 유물이 발견되었다. 사르마티아인들은 사르마티아어를 사용했으며, 훈족의 침입과 고트족의 팽창으로 세력이 약화되어 멸망했다. 사르마티즘은 폴란드 귀족들이 자신들의 기원을 사르마티아인에서 찾았던 문화적, 이념적 개념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르마티아인 - 타나이스
    타나이스는 아조프해 북동쪽에 위치한 고대 도시로, 밀레토스 출신 상인들이 건설한 엠포리움으로서 초원, 흑해, 북방 무역의 중심지였으나 고트족에 의해 파괴 후 재건되었고 여러 차례 정복당하는 부침을 겪었으며 현재는 고고학적 발굴이 진행 중이다.
  • 사르마티아인 - 이아지게스족
    이아지게스족은 사르마티아계 부족으로, 아조프해 북쪽에서 판노니아 분지로 이주하여 다뉴브강과 티서강 사이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했으며 로마와 충돌하거나 동맹을 맺기도 했고, 유목민적 기원과 정착 생활이 혼합된 문화를 가졌으며 기병 중심의 강력한 군사력을 보유했다.
사르마티아인
개요
이름사르마티아인
다른 이름사우로마타이 (Sauromatæ), 사르마타이 (Sarmatae)
시대철기 시대
존속 기간기원전 3세기 – 서기 4세기
지역남부 우랄산맥, 북부 캅카스, 흑해
주요 유적지해당 없음
이전사우로마티아인
이후훈족 제국
민족 정보
언어사르마티아어
민족 계통이란족
관련 민족스키타이인, 사카
후예알란족, 오세트인
역사적 맥락
문화적 특징그리스 문명에 동화되어 새롭고 찬란한 종합을 이룩한 이란계 사르마티아인
흡수 및 동화흑해 연안에서 알란족은 시라키족과 아오르시족, 두 사르마티아 민족을 흡수했다.
고트족은 스텝 지역을 2세기 동안 통치하면서 사르마티아족과 슬라브족을 흡수했다.
슬라브족은 이러한 제국의 붕괴에서 살아남았고, 점차 아바르족, 사르마티아족 등의 잔재를 슬라브 문화에 흡수했다.
고대 스키타이인, 사르마티아인 등은 역사 속에서 원시 슬라브족에 동화되었다.
기원오세트인은 자신들을 이리스티(Iristi), 그들의 고향을 이리스톤(Iryston)이라고 부르며, 이란 민족의 최북단에 위치한다. 그들은 4세기 훈족의 침략으로 테레크 강 저지대에서 캅카스 산기슭으로 밀려난 사르마티아인의 한 분파인 알란족의 후손이다.

2. 명칭

사르마타이(Sarmatae)는 사르마티아 일부 부족의 명칭에서 유래했을 것이지만, 그리스 로마 민속지학자들은 이 타칭 지명을 부족 전체에게 사용했다. 스트라본은 사르마티아의 주요 부족들로 야지게스, 록솔라니, 알라니, 시라케스들을 꼽았다.[100]

그리스어 명칭인 사르마타이(Sarmatai)는 때때로 "사우로마타이"(Sauromatai)로도 나타냈으며, 이 외에는 같은 이름의 더 이상의 변형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사가들은 이들을 두 개의 다른 종족으로 분리하는 반면에 고고학자들은 초기 사르마티아 문화를 구분하기 위해 관습적으로 '사우로마티아'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100] 사르마티아인들이 사용하는 파충류의 피부 모양의 미늘 갑옷과 용 깃발과 연관되어, 그리스어로 도마뱀(sauros)이라는 단어에서 유래했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지만, 확실하지는 못하다. 대 플리니우스와 요르다네스는 사르(Sar)와 사우로(Sauro)가 같은 민족을 나타내는 변형 어구임을 인식하였다.

4세기의 그리스 저자들(크니도스의 에우독소스, 프세우도스킬락스)은 *시르마타이*(*Syrmatae*)를 돈강 일대에 거주하는 민족들로서 언급했으며, 아마도 여기에 사르마티아 문화의 최종 단계의 발음이 민족이름에 반영되었을 것이다. 아베스타에서는 '"서쪽" 지역을 *사이리마*(*Sairima*)라고 언급했다. 피르다우시의 《샤나메》에서는 유럽인들의 조상으로 나오는 살름으로 등장한다.

그리스어 이름 사르마타이/Sarmataigrc (Σαρματαιgrc)는 고대 이란어 사르마티아인의 고유어 사르마타/*Sarmataxsc 또는 사루마타/*Sarumataxsc에서 유래되었으며, 이의 또 다른 변형인 사우루마타/*Saᵘrumataxsc는 고대 그리스어 이름 사우로마타이/Sauromataigrc (Σαυροματαιgrc)를 낳았다. *사르마타* 또는 *사루마타* 형태가 이 이름의 주요 형태였으며, 기원전 4세기 말에서 3세기 초까지 *사우루마타* 형태와 공존하다가, *사르마타*/*사루마타*가 유일한 변형으로 사용되었다.

이 이름은 "던지는 투창과 화살로 무장한"을 의미하며, 인도 아리아어 산스크리트어 용어 샤루만트/śárumantsa와 동족어이며, 이는 의미론적으로 "궁수"를 의미하는 스키타이인의 고유어 스쿠다타/*Skuδatāxsc와 유사하다.


  • 사우루마타*의 후기 중기 이란어 형태는 소르마타/*Sōrmataxsc 또는 소루마타/*Sōrumataxsc였으며, 이의 후기 형태인 수르마타/*Sūrmataxsc 또는 수루마타/*Sūrumataxsc는 고대 그리스어로 시르마타이/Syrmataigrc (Συρματαιgrc; )로 기록되었다.


3. 기원

사르마티아인들은 기원전 7~8세기에 우랄산맥 남쪽과 돈강 동부의 초원 지대에서 생겨났다.[101] 초기에는 서쪽의 스키타이인들과 평화롭게 공존했으나, 기원전 3세기에 흑해 북부 지역을 두고 스키타이인들과 폰투스-카스피 스텝 지역에서 격돌하여 이 지역을 5세기 동안 지배하였다.[101] 대 플리니우스는 사르마티아인의 영역이 폴란드비스와강부터 도나우강까지라고 기록했다.[101]





기원전 4세기에서 3세기에 걸쳐 중앙아시아 유목민들이 남부 우랄 산맥의 사우로마티아 문화 지역으로 이주하면서 사르마티아인의 민족 기원이 시작되었다.[15][16] 이들은 사우로마티아인을 정복하여 초기 사르마티아인에게서 사카족과 유사한 동아시아적 특징이 증가했다.[17] "사르마티아인"이라는 이름은 이 이주를 통해 형성된 새로운 민족 전체에 적용되었으며, 아오르시, 록솔라니, 알란, 야지게스 등의 부족으로 구성되었다. 사르마티아 문화는 사우로마티아 문화에서 직접 발전한 것이 아니라, 새로 이주해 온 이주민들이 핵심을 이루었기 때문에 현대 작가들은 이 둘을 구분한다.[18] 기원전 5-4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는 후기 사우로마티아인 - 초기 사르마티아인 시대의 필리포프카 쿠르간에서 두 시대 사이의 전형적인 과도기 유적이 발견된다.[18]

사르마티아인은 스키타이인, 사카족과 함께 이란계 스텝 민족의 일부였으며, 이들은 "동부 이란인"으로 묶인다.[39] 고고학은 '이란어를 사용하는 스키타이인, 사르마티아인, 사카족과 그 이전의 목재 무덤 문화 및 안드로노보 문화 사이의 연결'을 확립했다.[39] 이 세 민족은 이전의 고고학적 문화의 후손일 가능성이 높으며,[39] 사르마티아인과 사카족은 이전의 안드로노보 문화와 동일한 석조 건축 방식을 사용했다.[39] 목재 무덤(스루브나야 문화)과 안드로노보 가옥 건축 전통은 이 세 민족에 의해 더욱 발전되었다.[39] 안드로노보 도자기는 사카족과 사르마티아인에 의해 계승되었다.[39]

초기 사르마티아인은 주로 기원전 4~3세기에 남부 우랄 산맥에서 볼가강 하류를 거쳐 북부 흑해 스텝으로 이동한 프로호로브카 문화와 동일시된다. 이주하는 동안 사르마티아인의 인구는 증가하여 알란족, 아오르시족, 록솔라니족, 야지게스족과 같은 여러 집단으로 나뉘었다. 기원전 200년경에 사르마티아인은 스텝의 지배 민족으로서 스키타이인을 대체했으며,[40] 흑해 북쪽의 폰토스 스텝에서 스키타이인과 싸웠다.[41]

4. 고고학

1947년 소비에트의 고고학자 보리스 그라코프는 기원전 6세기부터 서기 4세기까지 번성했던 문화의 예인 후기 쿠르간 무덤으로 보이는 것을 정의했고, 가끔식은 더 오래된 쿠르간의 일부에서도 사용하고 있다.[29][30] 그것은 흑해에서 볼가강 사이까지의 스텝 유목민 문화이며, 특히 트랜스우랄(trans-Uralic) 스텝지대에 카르다이에로바(Kardaielova)와 초르나야의 주요 지역 두 곳이 뚜렷하다. 그라코프는 4 시기로 정의를 했고, 그 정의는 다음과 같다:[31][32]

# 사우로마티아 문화, 기원전 6세기-5세기

# 초기 사르마티아 문화, 기원전 4세기-2세기

# 중기 사르마티아 문화, 기원전 2세기 후반-서기 2세기 후반

# 후기 사르마티아 문화: 서기 2세기 후반- 4세기

사르마티아와 사우로마티아가 인종명을 뜻하는 동의어임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고고학 전문용어로서 관습적으로 완전하게 다른 의미로 사용했다.



사르마티아-파르티아 금 목걸이와 부적, 서기 2세기 - 타모이킨 미술 재단.


전해진 바에 의하면, 헝가리에서 큰 규모의 후기 사르마티아 도자기 중심지가 2001년과 2006년 사이에 부다페스트 인근 윌뢰5 유적지에서 발굴되었다. 회색으로 착색된 오돌토돌한 윌뢰5 도기는 활발한 무역 활동이 있었음이 나타난 헝가리 대평원의 북부중앙 지역 모든곳에서 출토된 사르마티아 도자기의 뚜렷한 그룹을 형성하였다. 1998년에 유리 구술의 연구에 관한 문서가 사르마티아 무덤에서 발견되면서, 광범위한 문화와 무역 관계들이 있었음이 시사되었다.[102]

고고학적 증거들은 스카티아-사르마티아 문화들이 아마 아마조네스 신화를 일으켰을 것이라고 제시한다. 무장을 한 여성의 무덤들이 우크라이나 남부와 러시아에서 발견되고 있다. 미국의 고고학 교수 데이비드 앤소니(David Anthony)는 "돈강 하류 지역과 볼가 지대에 있는 스키타이-사르마티아의 "전사들의 무덤"의 20%는 마치 남자들처럼 여성용 전투 복장을 포함하고 있어서, 이러한 현상들은 아마도 아마조네스에 관한 그리스 신화에 영감을 주었을 것이다."라고 언급였다.[103]

4. 1. 사우로마티아 문화 (기원전 6세기-5세기)

보리스 그라코프는 1947년 소비에트의 고고학자로, 기원전 6세기부터 서기 4세기까지 번성했던 문화의 예인 후기 쿠르간 무덤으로 보이는 것을 정의했고, 가끔식은 더 오래된 쿠르간의 일부에서도 사용하고 있다. 그것은 흑해에서 볼가강 사이까지의 스텝 유목민 문화이며, 특히 트랜스우랄(trans-Uralic) 스텝지대에 카르다이에로바(Kardaielova)와 초르나야의 주요 지역 두 곳이 뚜렷하다. 그라코프는 4 시기로 정의를 했는데, 그중 첫번째 시기는 사우로마티아(Sauromatian) 시기로, 기원전 6세기-5세기에 해당한다.[102] 사르마티아와 사우로마티아가 인종명을 뜻하는 동의어임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고고학 전문용어로서 관습적으로 완전하게 다른 의미로 사용했다.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사우로마타이는 우랄 강에서 볼가 강 유역의 초원 지대에서 유목을 영위했지만, 히포크라테스가 기록한 것처럼 기원전 5세기 말에는 마이오티스 호(아조프 해) 주변으로 이주했다.[74] 기원전 4세기 중엽이 되자, 크니도스의 에우독소스는 타나이스 강(돈 강)에 사는 슐마타이(syrmatai)라는 사우로마타이 계 부족을 기록했고, 카류안다의 스킬라크스도 타나이스 강(돈 강)에 슐마타이의 존재를 기록하여 사우로마타이의 한 집단으로 여겼다. 그러나, 필리포프카 고분의 발굴 조사에 따르면, 기원전 5세기 말까지 우랄 강 중류역에서 사르마타이의 세력이 증대하고 있었음이 밝혀졌다.[75]

고고학적 증거들은 스키타이-사르마티아 문화들이 아마 아마조네스 신화를 일으켰을 것이라고 제시한다. 무장을 한 여성의 무덤들이 우크라이나 남부와 러시아에서 발견되고 있다. 미국의 고고학 교수 데이비드 앤소니(David Anthony)는 "돈강 하류 지역과 볼가 지대에 있는 스키타이-사르마티아의 "전사들의 무덤"의 20%는 마치 남자들처럼 여성용 전투 복장을 포함하고 있어서, 이러한 현상들은 아마도 아마조네스에 관한 그리스 신화에 영감을 주었을 것이다."라고 언급였다.[103]

4. 2. 초기 사르마티아 문화 (기원전 4세기-2세기)

보리스 그라코프는 기원전 6세기부터 서기 4세기까지 번성했던 문화를 정의하면서, 후기 쿠르간 무덤을 그 예로 들었다. 이 문화는 흑해에서 볼가강 사이의 스텝 유목민 문화이며, 트랜스우랄 스텝지대의 카르다이에로바와 초르나야 두 곳이 주요 지역이다. 그라코프는 이 문화를 4 시기로 구분했는데, 그중 초기 사르마티아 시기는 기원전 4세기에서 2세기에 해당한다.[102] 사르마티아와 사우로마티아는 인종명을 뜻하는 동의어지만, 고고학에서는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헝가리 윌뢰5 유적지에서는 후기 사르마티아 도자기 중심지가 발굴되었는데,[102] 이는 헝가리 대평원 북부 중앙 지역에서 발견되는 사르마티아 도자기 그룹을 형성하며 활발한 무역 활동을 보여준다. 사르마티아 무덤에서 발견된 유리 구슬 연구는 광범위한 문화 및 무역 관계를 시사한다.[102]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스키타이-사르마티아 문화는 아마조네스 신화를 일으켰을 가능성이 있다. 돈강 하류와 볼가 지대의 스키타이-사르마티아 "전사 무덤" 중 20%는 여성이 남성과 같은 전투 복장을 하고 있었는데, 이는 아마조네스 신화에 영감을 주었을 것으로 추정된다.[103]

봄초에 카자흐스탄의 유라시아 스텝


트라야누스 원주에 새겨진 다키아 전쟁 시기 사르마티아 캐터프랙트.


1697년에 그려진 스키타이의 지도.


서기 2세기 후반 로마 부조에 있는 사르마티아인들


"''Sarmatia Europæa''" separated from "''Sarmatia Asiatica''" by the Tanais (the River Don), based on Greek literary sources, in a map printed in London, ''ca'' 1770.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통치 시기인 서기 177년 로마 동전 뒷면에 새겨진 사르마티아인 포로.


기원전 4세기 말, 사르마티아 부족들은 사우로마타이를 대신하여 돈강에 접근했고, 시라케스족은 보스포루스 왕국의 권력 투쟁에 관여하며 쿠반 강 유역을 지배했다. 기원전 339년 아테아스 왕 사후 약화된 스키타이는 기원전 3세기에 돈강을 넘어온 사르마티아인에게 정복당했다. 이 지역은 스키타이의 스키티아에서 사르마티아인의 사르마티아로 불리게 되었다. 사르마티아인은 흑해 북안을 정복하고 그리스 식민 도시를 침략하여 자유민을 포로로 팔았다. 스키타이는 크림반도로 밀려나 제3 스키타이 국가(소(小) 스키티아)를 형성했다.

전기 사르마티아 문화는 오렌부르크주 프로호로프카 마을 고분군 발굴로 밝혀져 '''프로호로프카 문화'''라고 불린다. 기원전 4세기에는 남부 우랄 지방에 분포 중심이 있었지만, 같은 세기 말 볼가강-돈강 유역으로 확대되었고, 기원전 3세기에는 드네프르강 유역에 도달했다.

  • 노비 쿠마크 마을 고분군: 프로호로프카 문화 초기 매장지인 오르스크 인근 노비 쿠마크 마을 고분군에서는 사우로마티아와 사르마티아의 혼합된 문화 양상이 보인다. 12호분에서는 포드보이 무덤이 만들어졌지만, 부장품은 사우로마티아와 동일했다. 그러나 프로호로프카 문화 특징인 둥근 바닥 항아리형 마연 토기, 목이 높고 동부가 서양 배 모양으로 부풀어 오른 물병형 토기가 발견되었다. 이 무덤은 기원전 400년경으로 추정된다. 메체트-사이 8호분 5호묘는 지하식 횡혈묘의 예로, 신분이 높은 두 여성 무녀가 풍부한 부장품과 함께 매장되었다. 오른쪽 여성은 금은 제품과 화살통을, 왼쪽 여성은 은제 장식품과 청동제 자루 거울을 착용했다. 거울은 중앙아시아에서 볼가강 유역에 걸쳐 널리 분포한 전기 사르마티아 시대 특징적인 형식이다. 무덤은 기원전 4세기로 추정된다.

  • 카리노프카 마을 고분군: 볼고그라드 북쪽 35km 지점 카리노프카 마을 고분군은 프로호로프카 문화 고분의 예이다. 전기 사르마티아 시대 무덤은 63기로, 수혈묘, 포드보이묘, 지하식 횡혈묘 3가지 형식이다. 포드보이묘에서는 가족 합장묘가 보였다. 12호분 28호묘에서는 동서 양쪽에 묘실이 만들어져 여러 명이 매장되었다. 부장품으로는 청동제 반지, 유리제 비즈, 항아리형 토기, 청동제 거울 파편, 철제 칼, 철제 촉 등이 발견되었다.

  • 크바시노 매장지: 아조프해 북안 크바시노 역 매장지에서는 철제 창, 철제 재갈, 재갈 고리가 출토되었다. 창은 쿠반강 유역 마이오타이 형식과 유사하며, 재갈은 비틀림 문양이 있고 양 끝이 둥글게 말려 고리가 된다. 재갈 고리는 2공식 만곡 형태로, 기원전 3세기까지로 추정된다. 드네프르강 하류 유역에서는 기원전 4~3세기로 추정되는 사르마티아 무덤이 최소 5기 알려져 있다.

4. 3. 중기 사르마티아 문화 (기원전 2세기 후반-서기 2세기 후반)

사르마티아 문화는 중기 사르마티아 시대(기원전 2세기 후반~서기 2세기 후반)에 최성기를 맞이했다.[89] 이 시기의 문화는 사라토프 북쪽 볼가강 좌안에 위치한 수슬리 마을 고분군에서 유래하여 '''수슬리 문화'''라고 불린다.[89] 사르마티아 무덤은 볼가강 하류에서 북 캅카스, 흑해 북안, 도나우강 유역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분포한다.[89] 이 시대의 특징은 터키석, 석류석, 연마물 등을 동물의 체구에 상감한 다색 장식의 동물 양식을 가진 금제 무기, 마구, 디아뎀, 용기 등이 이탈리아 및 로마 변방 제국에서 수입된 은제 용기 등과 함께 발견된다는 것이다.[89]

돈강 하류 우안의 호프라치 고분과 사도비 고분에서 이러한 자료가 출토되었다.[89] 특히 사도비 고분 출토의 다색 동물 양식의 금제 마구 장식은 표트르 대제의 시베리아 컬렉션 중에서도 유사한 사례가 알려져 있다.[89] 청동제 복(釜)도 다수 발견되었는데, 동체가 난형이고, 반원형 손잡이에 돌기가 3개 있으며, 수직으로 세워진 손잡이의 뿌리에서 입술 모양의 작은 돌대가 연속적으로 붙어 있고, 동체의 가장 넓은 부분에 밧줄 무늬를 본뜬 돌대가 둘러져 있으며, 원추대형의 권대가 있거나 없는 것, 손잡이가 동물 형상인 것 등 다양한 형태가 나타난다.[89] 이러한 특징적인 자료는 특히 돈강 유역을 중심으로 분포하여 당시 사르마티아 문화의 중심이 이 지역에 있었음을 시사한다.[89] 반면, 전기 사르마티아 시대의 중심지였던 남 우랄 지방에서는 이 시대에 사르마티아의 매장지가 감소하여 사르마티아가 전체적으로 서쪽으로 이동했음을 나타낸다.[89]

중기 매장의 대부분은 선행 시대의 고분을 이용한 재이용 묘이지만, 일부는 낮고 비교적 소규모의 고분을 축조한 것도 있다.[89] 매장 의례는 전대와 거의 동일하며, 분구에서는 숯이나 재의 층과 말이나 수양의 뼈가 검출되고, 때때로 청동제 복이 발견되어 매장 후 묘상에서 불을 지피고 가축을 희생하여 추도 연회가 거행되었음을 보여준다.[89]

부그강 하류 우안 코발료프카 교외의 소콜로바 모기라, 돈강 하류 아조프 교외의 다치 1호분, 부그강 중류의 포로기 마을 2호분 1호 묘, 돈강 하류 로스토프나도누 교외의 코비야코보 10호분 등에서 중기 사르마티아 시대의 유물이 발견되었다.

4. 4. 후기 사르마티아 문화 (서기 2세기 후반-4세기)

후기 사르마티아 문화는 서기 2세기 후반에서 4세기까지 존속했으며, 1947년 소비에트 고고학자 보리스 그라코프에 의해 정의되었다.[102] 그라코프는 이 문화를 4시기로 구분했는데, 그중 마지막 시기가 후기 사르마티아 시기이다. 이 시기는 알란(알라노이)의 민족명에서 유래한 알란 문화기로도 불린다.[94]

1세기에 아오르시(아오르소이)의 이름이 문헌에서 사라지고, 알란이라는 유목민이 강대해진다.[85] 이는 한문 사료에도 기록되어 있는데, "엄채국, 아란으로 개명하다"라고 적혀 있다. 여기서 엄채는 아오르시, 아란은 알란으로 비정된다.[85] 고고학적으로 2세기부터 4세기까지 흑해 북안의 문화를 후기 사르마티아 문화라고 부르며, 이 문화의 담당자는 알란으로 여겨진다.[85] 4세기 후반 로마 군인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는 알란에 대해 "그들은 집을 가지지 않고, 괭이를 사용하려 하지 않으며, 고기와 풍부한 젖을 상식으로 한다"고 기록했다.[85]

후기 사르마티아 시대의 매장 특징은 볼가-돈 지방에서는 소규모 둔덕을 쌓는 원형 분구이지만, 우랄강 유역에서는 동서로 긴 분구가 새롭게 축조되었다.[94] 분구 아래에는 소규모 포드보이 묘(podboi 墓)나 폭이 좁은 방형 묘광이 만들어졌고, 포드보이에서는 입구 갱 서벽에 묘실이 뚫렸다.[94] 북캅카스에서는 지하식 횡혈묘가 분포하고, 드네스트르-도나우 양 하천 사이에서는 분구를 쌓지 않는 토광묘가 보인다.[94] 매장은 단독장이 대부분이며, 앙와신전장으로 북쪽 또는 남쪽을 베개로 했다.[94] 이 시대의 최대 특징은 남우랄 지방, 볼가강 하류역, 볼가-돈 양 하천 사이에서 보이는 피장자의 두개 변형이다.[94]

묘에서는 백악 덩어리가 발견되었지만, 유황 덩어리나 부싯돌을 깎은 흔적도 종종 검출되었다.[94] 부장품으로는 무기, 도구, 장식품, 화장 도구, 향로, 부적 등이 있으며, 무기로는 환두검과 단검, 족이 보인다.[94] 마구는 통상 피장자의 발밑에 놓였다.[94] 장식품으로는 띠 장식판, 피블라, 목걸이의 일부로 발견되는 소형 자루 거울 또는 수식 등이 있다.[94] 토기는 손으로 빚은 물레 성형이 있으며, 동물형 손잡이가 달린 물레 성형 물병형 토기는 이 시대의 특징적인 자료이다.[94] 볼가강 좌안에서는 호라즘제의 화장토를 바른 적색 토기가 등장하고 있다.[94]

후기 사르마티아 시대의 주목되는 유적 예로는 우랄강 좌안 유역에 있는 레베데프카 마을 고분군이 있다.[95] 레베데프카 고분군에서는 사우로마타이에서 사르마티아의 매장이 101기 발굴되었으며, 그중 50기가 후기 사르마티아 시대에 해당한다.[95] 매장 형태는 포드보이 묘, 수혈묘, 묘광이 넓은 묘 등 다양하다.[95] 제5묘군 23호분 주체부는 묘광이 넓고 부장품이 풍부했는데, 내행화문경, 청동제 피블라, 금제 아플리케, 중앙아시아 기원의 물레 성형 적색 한손 항아리형 토기 등이 부장되었다.[95] 제6묘군 1호분은 동서로 나란히 있는 2개의 분구를 토루가 연결한 형태였으며, 부장품으로는 철제 장검, 철제 재갈, 보스포루스제 유리 용기 조각, 청동제 피블라 등이 있었다.[95] 특히 장검은 "금속제 자루머리가 없는 검"으로 분류되는 형식으로, 옥구검은 사르마티아에서 유례가 적다고 한다.[95]

헝가리에서 큰 규모의 후기 사르마티아 도자기 중심지가 부다페스트 인근 윌뢰5 유적지에서 발굴되었다.[102] 윌뢰5 도기는 헝가리 대평원 북부중앙 지역 모든 곳에서 출토되어 활발한 무역 활동을 보여준다.[102] 1998년에 유리 구술 연구에 관한 문서가 사르마티아 무덤에서 발견되면서, 광범위한 문화와 무역 관계들이 있었음이 시사되었다.[102]

고고학적 증거들은 스키타이-사르마티아 문화들이 아마조네스 신화를 일으켰을 것이라고 제시한다.[103] 무장한 여성의 무덤들이 우크라이나 남부와 러시아에서 발견되고 있다.[103] 미국의 고고학 교수 데이비드 앤소니는 돈강 하류 지역과 볼가 지대에 있는 스키타이-사르마티아의 "전사들의 무덤"의 20%는 여성용 전투 복장을 포함하고 있어서, 이러한 현상들이 아마도 아마조네스에 관한 그리스 신화에 영감을 주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103]

알란은 북캅카스에서 흑해 북안 지방을 지배하고, 일부는 판노니아를 거쳐 도나우강 유역에서 북이탈리아로 침입했으며, 일부는 갈리아에 정착했다.[86] 또한, 그 일부는 바르바로이를 통치하기 위해 로마인에 의해 브리튼 섬으로 파견되었다.[86] 이아주게스족도 브리튼 섬에 사르마티아 문화의 흔적을 남겼다.[86]

5. 언어

사르마티아인들은 사르마티아어로 소통했다. 흑해 연안의 그리스 시대 글귀에 있는 많은 이란계 민족 이름은 사르마티아인들이 동부 이란어군의 방언을 썼음을 나타낸다.[104] 이 방언은 알라니-오세트어의 조상격 언어인 것으로 보인다.[104]

중앙아시아의 철기 시대 이란계 민족, 사르마티아 포함


사르마티아 전사(재구성)


사르마티아인들은 고대 이란어에서 파생된 다양한 이란어를 사용했다. 서기 1세기 무렵, 현재 러시아 남부에 거주하던 이란계 부족들은 뚜렷하게 구별되는 다양한 언어나 방언을 사용했다. 1968년에 글을 쓴 이란학자 그룹에 따르면, 흑해 연안의 그리스 비문에 나타난 수많은 이란어 개인 이름들은 사르마티아인들이 북동 이란어 방언을 사용했음을 시사한다.[42] 그러나 하르마타(1970)는 "사르마티아인 또는 알란인의 언어를 통틀어 단순히 고대 오세트어라고 볼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6. 외모

스키타이인들처럼, 사르마티아인들은 코카서스 인종의 모습을 하였다. 사르마티아 귀족들은 유골을 통해 측정한 결과 일반적으로 1.70–1.80 m에 달하였고, 그들은 단단한 뼈와 긴 머리카락, 수염을 지녔다.[101]

필리포프카 쿠르간(기원전 4세기)에서 발견된 초기 사르마티아인들은 서부(팀버 무덤과 안드로노보 문화)와 동부의 특징을 결합했다. 고전적인 사우로마티아인과 비교했을 때, 필리포프카와 같은 초기 사르마티아인들은 일반적으로 동아시아적 특징의 발생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63] 그들은 특히 알타이 지역(파지리크 문화)의 사카인과 가장 유사했으며, 서부 스키타이인이나 볼가강 지역의 사르마티아인들과는 매우 달랐다.[63]

로마의 역사가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에 따르면, 알라니족은 "거의 대부분은 큰 키와 아름다움을 지닌 사람들이고, 그들의 머리카락은 약간 노란색을 띄었으며, 그들의 눈은 깜짝 놀랄 정도로 매섭다."라고 하였다.[101] 로마 작가 오비디우스는 사르마티아 부족 중 하나인 코랄리가 금발을 가지고 있었다고 기록했는데, 이는 아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가 알란족에게도 부여한 특징이다.[101]

현대 역사가들은 알란족이 키가 크고 금발이라는 묘사에 대해 상반된 의견을 제시했다. 로저 배티는 "아마도 알란족 중 일부만 금발이었을 것이다"라고 가정했다.[64] 버나드 바크라크 역시 알란족이 너무 많은 외국인을 동화했기 때문에, 그들 중 대다수가 금발이었을 것 같지는 않으며, 알란족의 뚜렷한 신체적 특징은 없었다고 시사했다.[65] 그러나 존 데이는 바크라크의 분석이 아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의 원문을 잘못 번역했기 때문에 결함이 있으며, 알란족의 대다수가 실제로 금발이었다고 주장했다.[66] 이베르 노이만은 알란족을 금발로 묘사하는 것은 그들의 인도이란인 조상이 훈족보다 더 많았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고 시사했다.[67] 찰스 프레비테-오턴은 알란족은 부분적으로 이란계 유산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들의 조상의 다른 부분은 포로 여성과 노예에서 왔다고 썼다.[68]

7. 그리스, 로마의 민족지

헤로도토스기원전 5세기타나이스의 동쪽에서 북쪽으로 15일 거리에 부디니족의 땅에 인접한 사르마티아인들의 땅이 있다고 하였다.[105] 로마인들의 묘사에 따르면, 사르마티아인들은 코카서스 인종이다.[105]

헤로도토스는 스키타이 남자들과 아마조네스들의 결합으로 사르마티아인들이 기원했다는 이야기를 전한다.[106] 이 이야기에 따르면, 아마조네스들은 폰토스에서 그리스인들에게 붙잡혔으나 바다에서 그들을 제압하고 마에오티안호(아조프해) 북쪽으로 흘러갔다. 스키타이인들과 만난 후, 아마조네스들은 그들의 언어를 배우고 결혼했으나, 스키타이 여성의 관습을 따르지 않았다.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이들의 후손들은 돈강 너머 북동쪽에 정착하여 사우로마티아인이 되었다. 헤로도토스는 스키타이어 형태의 "뒤섞인" 사르마티아어의 기원과 전쟁에도 참여하는 사우로마티아인 여성들의 자유로움을 설명했다.[106] 후대 작가들은 "여성들이 사르마타에족을 지배한다."라고 언급했다.[106] 그러나, 헤로도토스의 믿음은 사르마티아 문화의 특이점을 설명하기 위해 고안된 가공의 이야기에 가깝다.

히포크라테스[107]는 사르마티아인들을 스키타이인으로 분류하고, 그들의 호전적인 여성들과 관습을 묘사했다. 사르마티아 여성들은 말을 타고 활을 쏘며, 적 세 명을 죽이기 전까지 처녀성을 유지하고 전통 제식을 하기 전에는 결혼하지 않았다. 또한, 오른쪽 가슴을 지져 성장을 억제하고, 오른쪽 팔과 어깨를 강화했다.

스트라본[108]은 사르마티아인들을 여러 장소에 언급했지만, 자세한 내용은 언급하지 않았다. 그는 사르마타이와 사우로마타이를 사용했지만, 함께 쓰거나 다르다고 시사하지 않았다.[109] 스트라본은 사르마티아인들이 드네프르강 북쪽에서 캅카스에서 다뉴브강 상류, 볼가강 동쪽까지 퍼져있다고 했다. 이는 알라니족들이 이미 그곳에 거주했음을 나타낸다.

스트라본은 바스테르나에 지역의 켈트 혼합물을 언급하며, 켈트 보이족, 스코르디스키족, 타우리스키족들이 섞여 트라키아인이 되었다고 한다. 또한, 북쪽으로 향한 이들은 "켈트계 스키타이인"을 의미하는 켈토스키타이(Keltoskythai)라고 한다고 한다. 스트라보는 유목민들을 "마차 거주자"라는 뜻의 하마크소이코이(Hamaksoikoi)와 "짐승의 젖을 먹는 자"라는 뜻의 갈락토파고이(Galaktophagoi)라고 불렀으며, 이는 쿠미스를 먹었음을 시사한다.

대 플리니우스는 다뉴브강 하구에서부터 모든 종족들이 스키타이인들이며, 여러 부족들이 강 근처에 살고 있다고 했다. 그는 비스툴라강까지 사르마티아 사막의 방향으로 이 지역 전체를 묘사했고, 스키타이인들의 이름이 사르마티아인들과 게르만족들까지 퍼져있었다고 했다. 플리니우스에 따르면, 스키타이인들은 한때 독일까지 확장했었다.

조르다네스는 프톨레마이오스의 《지리학》에 익숙하여, 사르마티아에 발트-슬라브 지역 전체가 포함되어 있다고 했다. 그는 이 지역이 스키타이의 영역이며, "사르마티아"는 아리아인의 영역을 의미한다고 했다. 따라서, 사르마티아인들은 스키타이인들의 넓은 하위 집단이라는 것이다.

타키투스는 게르마니아에서 게르만인들과 사르마티아인들 사이의 "무언의 두려움"을 언급한다.[110] 그는 사르마티아인들이 페르시아인들처럼 길게 늘어뜨린 로브를 입었다고 했다. 또한, 사르마티아인들은 코티니와 오시에게서 공물과 철을 받았다고 했다.

기원전 3세기부터, 사르마티아인들의 이름은 오늘날의 우크라이나 남부 평원의 스키타이인들을 대체하였다. 프톨레마이오스는 유럽과 중앙 아시아 지역이 서로 접해 있는 곳에 최대로 퍼져 있을 것으로 보고하였다.

8. 쇠퇴

고트족들의 북해 지역 확장은 사르마티아인들의 세력 강세를 약화시켰다. 고트족은 오늘날 루마니아 지역인 다키아의 다뉴브강 북쪽 지역에 위치한 사르마티아 부족들을 공격했다. 이에 로마 제국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는 아들 콘스탄티누스 2세를 다뉴브 북쪽 작전을 위해 갈리아에서 불러들였다. 몹시 추운 겨울, 로마인들은 고트족 10만 명을 죽이고 고트족 왕의 아들 아리아리쿠스(Ariaricus)를 생포하여 승리했다.[111][112][113]

고트족의 확장을 저지하기 위해 다뉴브강 하류 북부(오늘날의 루마니아)를 근거지로 삼은 사르마티아인들은 노예들을 무장시켰다. 그러나 로마인들의 승리 이후, 지역 주민들은 사르마티아 주인들에게 반란을 일으켜 그들을 로마 국경 밖으로 몰아냈다. 콘스탄티누스는 사르마티아인들의 도움 요청을 받고 반란군의 수장인 리미간테스를 격퇴하고 사르마티아 포로들을 돌려보냈다. 로마 속주의 사르마티아 부대원들은 로마군에 입대했고, 나머지는 트라키아, 마케도니아, 이탈리아 등지에 널리 퍼져 살았다. 익명의 발레시아누스는 이 사태로 30만 명의 난민이 발생했다고 언급했다.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이후 ''사르마티쿠스 막시무스''라는 칭호를 얻었다.[112][114][115][116][117]

1세기경, 문헌에서 아오르시(아오르소이)의 이름은 사라지고, 알란이라는 유목민이 강대해졌다. 이는 한문 사료에도 기록되어 "엄채국, 아란으로 개명하다"라고 전해지며, 엄채는 아오르시, 아란은 알란에 비정된다. 고고학적으로 2세기부터 4세기까지 흑해 북안의 문화는 후기 사르마티아 문화로 불리며, 이 문화의 담당자는 알란으로 여겨진다.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는 알란에 대해 "그들은 집을 가지지 않고, 괭이를 사용하려 하지 않으며, 고기와 풍부한 젖을 상식으로 한다"고 기록했다.[85]

4세기5세기훈족의 확장은 북해와 로마 제국 국경 사이에 거주하던 사르마티아인들과 게르만 부족들을 정복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오늘날 헝가리를 거점으로 한 훈족은 과거 사르마티아인들의 영토 전역을 지배했다. 다양한 구성의 주민들은 훈족의 지배 아래 번성했고, 로마와 게르만의 연합 전선에 대항한 훈족을 위해 싸웠지만, 카탈라우눔 전투 이후 아틸라가 사망하고 오늘날 러시아 지역인 볼가강 서부 지역을 지배하는 추바시인들이 출현하면서 각자의 길을 걷게 되었다.

서기 375년, 훈족은 돈강 동쪽에 살던 알란족 대부분을 정복하고 학살하여 그들의 부족 정치체에 흡수시켰다. 돈강 서쪽에 있던 알란족은 훈족의 지배를 벗어났다. 훈족 국가의 일원으로서 알란족은 폰토스 스텝에서 동고트 왕국의 멸망과 정복에 참여했다. 일부 자유 알란족은 코카서스 산맥으로 도망쳐 오세트인과 카바르딘인을 포함한 민족 발생에 참여했으며, 다른 알란 집단은 크림 반도에서 살아남았다. 또 다른 알란족은 중앙 유럽과 서유럽으로 이주했으며, 그중 일부는 브리타니아와 히스파니아로 이동했고, 일부는 게르만족 반달족에 합류하여 지브롤터 해협을 건너 북아프리카에 반달 왕국을 건설했다.

알란은 북캅카스에서 흑해 북안 지방을 지배했으며, 일부는 판노니아를 거쳐 훈족에 의한 민족 이동기에 도나우강 유역에서 북이탈리아로 침입했고, 일부는 갈리아에 정착했다. 또한, 일부는 바르바로이를 통치하기 위해 로마인에 의해 브리튼 섬으로 파견되었다. 그 외의 일부는 이베리아 반도를 통과하여 북아프리카에 도달했다. 알란보다 먼저 판노니아로 진출하여 로마인에 의해 브리튼 섬 방위에 파견된 이아주게스족도 브리튼 섬에 사르마티아 문화의 흔적을 남겼다.[86]

보스포루스 왕국의 사르마티아인은 그리스 문명에 동화되었다. 다른 이들은 원시 체르케스인 메오트족과 동화되었으며, 체르케스어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일부 사르마티아인은 알란족과 고트족에게 흡수되었다. 중세 초기에 동유럽의 원시 슬라브 인구는 그 시대의 정치적 격변 동안 사르마티아인을 동화하고 흡수했다. 그러나 알란족으로 알려진 사르마티아인과 관련된 민족은 북 코카서스에서 중세 초기에 생존하여 결국 현대 오세트 민족 집단을 낳았다.

9. 사르마티아의 부족들

사르마티아인은 여러 부족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스트라본(기원전 65년 - 25년)에 따르면, 이아지게스(이아주게스, 야지게스)는 도나우강과 드네프르강 사이, 록소라니(록소라노이)는 드네프르강과 돈강 사이, 아오르시(아오르소이)와 시라키(시라케스)는 돈강 동쪽에 거주했다.[118]

후대에 알라니족이 사르마티아 부족에 포함되었다.[118] 알라니족은 오세트인, 야스족과 관련이 있다. 그 외에도 아오르시족, 바실레안족, 자유 사르마티아인, 야지게스족, 록솔라니족, 사이족,[118] 사우로마타이, 시라케스족, 라사마테족, 아르카라간테스, 하마소비, 리미간테스, 세르보이, 스팔리, 타이팔족, 투르카이 등의 부족들이 있었다.

10. 사르마티즘

사르마티즘(또는 사르마티아주의)은 폴란드-리투아니아 연방 내에서 폴란드의 기원을 사르마티아인에서 찾는다는 아이디어를 형성하는, 정치적 색채를 띤 민족 문화적 개념이다.[69] 르네상스 시대부터 18세기까지 존재했던 귀족(''슐라흐타'')의 지배적인 바르크 문화이자 이데올로기였다.[69] "황금 자유"라는 또 다른 개념과 함께, 연방의 문화와 사회의 핵심적인 측면을 형성했다. 그 핵심에는 폴란드 연방의 사람들이 고대 이란계 사르마티아인, 즉 고대 슬라브 지역을 침략한 전설적인 민족의 후손이라는 통일된 믿음이 있었다.[70][71]

참조

[1] 서적 The History of Warfare: The Ultimate Visual Guide to the History of Warfare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American Civil War https://books.google[...] Book Sales 2016-09-15
[2] 간행물 ALANS https://referencewor[...] Brill 2023-11-16
[3] 문서 Unterländer et al. 2017
[4] 백과사전 Sarmatian | people https://www.britanni[...] 2023-07-25
[5] 서적 Europe: A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6] 서적 The Northwest Caucasus: Past, Present, Fu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8-06-11
[7] 서적 Croatia: Land, People, Culture Volume I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64-12-15
[8] 서적 The Mainstream of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Harcourt Brace Jovanovich 1989
[9] 서적 Slovene Studies Society for Slovene Studies 1987
[10] 서적 One Europe, Many Nations: A Historical Dictionary of European National Group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20-03-27
[11] 웹사이트 Large variation génétique sur la steppe pontique-caspienne http://fr.scienceaq.[...] 2023-09-01
[12] 논문 Находки мечей и кинжалов скифо-сарматского времени из юго-западных предгорий Южного Урала (к вопросу об освоении территории и особенностях расселения кочевников) 2018
[13] 논문 Archeologists Discover Golden Artifacts in Abai Region's Bozai Burial Ground https://astanatimes.[...] 2023-04-22
[14] 논문 THE "GOLDEN PEOPLE" OF KAZAKHSTAN https://cyberleninka[...] 2016
[15] 논문 New Excavations of the Early Nomadic Burial Ground at Filippovka (Southern Ural Region, Russia) https://www.jstor.or[...] 2010
[16] 문서
[17] 서적 The Golden Deer of Eurasia: Scythian and Sarmatian Treasures from the Russian Steppes : the State Hermitage, Saint Petersburg, and the Archaeological Museum, Ufa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0
[18] 논문 New Excavations of the Early Nomadic Burial Ground at Filippovka (Southern Ural Region, Russia) https://www.jstor.or[...] 2010
[19] 논문 Sarmatian Goddess with Two Horses 2022
[20] 웹사이트 Moscow State Historical Museum https://www.myvirtua[...]
[21] 서적 The History of Warfare: The Ultimate Visual Guide to the History of Warfare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American Civil War https://books.google[...] Book Sales 2016-09-15
[22] 서적 Europe: A History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23] 서적 The Northwest Caucasus: Past, Present, Fu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8-06-11
[24] 서적 Croatia: Land, People, Culture Volume I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Toronto Press 1964-12-15
[25] 서적 The Mainstream of Civilization https://books.google[...] Harcourt Brace Jovanovich 1989
[26] 서적 Slovene Studies Society for Slovene Studies 1987
[27] 서적 One Europe, Many Nations: A Historical Dictionary of European National Groups https://books.google[...] Greenwood Publishing Group 2020-03-27
[28] 논문 ARCHAEOLOGICAL SITES OF THE LOWER VOLGA REGION OF THE 2nd—1st CENTURIES BC AND SOME ETHNIC ISSUES OF THE SARMATIANS 2020-05-17
[29] 서적 Amazonen zwischen Griechen und Skythen: Gegenbilder in Mythos und Geschichte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2013-03-22
[30] 웹사이트 ГYNAIKOKPATOYMENOI (Пережитки матриархата у сарматов) http://liberea.gerod[...] 1947
[31] 서적 The Elusive Frontiers of the Eurasian Steppes https://books.google[...] All’Insegna del Giglio 2002-11-01
[32] 논문 Жазба Және Археологиялық Деректер Негізінде Савромат-Сармат Тайпаларының Шығу Тегі 2023-02-28
[33] 논문 A Silver Bowl from the New Excavations of the Early Sarmatian Burial-Ground Near the Village of Prokhorovka https://www.academia[...] 2009-01-01
[34] 웹사이트 "Chemical Analyses of Sarmatian Glass Beads from Pokrovka, Russia" http://www.nbz.or.jp[...]
[35] 논문 An individual with Sarmatian-related ancestry in Roman Britain 2023-12-19
[36] 뉴스 DNA sleuths solve mystery of the 2,000-year old corpse https://www.bbc.com/[...] 2023-12-19
[37] 서적 The Horse, the Wheel, and Language: How Bronze-Age Riders from the Eurasian Steppes Shaped the Modern World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38] 서적 The Golden Deer of Eurasia: Scythian and Sarmatian Treasures from the Russian Steppes : the State Hermitage, Saint Petersburg, and the Archaeological Museum, Ufa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0
[39] 논문 Ancient DNA provides new insights into the history of south Siberian Kurgan people 2009-05-16
[40] 서적 The Oxford Illustrated History of Prehistoric Europ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41] 서적 The Empire of the Steppes https://archive.org/[...] Rutgers University Press
[42] 간행물 Handbuch der Orientalistik, Iranistik E.J. Brill 1968
[43] 논문 The technique of gold inlaid decoration in the 5th-4th centuries BC: silver and iron finds from the early Sarmatian barrows of Filippovka, Southern Urals https://journals.ope[...] 2009-12-31
[44] 논문 Sarmatian Gold Collected by Peter the Great: - VII; The Demidov Gift and Conclusions https://www.jstor.or[...] 1959
[45] 웹사이트 Realms Of Gold The Novel: Treasures of the Sarmatians: Diadem http://realmsofgoldt[...] 2023-09-01
[46] 웹사이트 Hermitage Gold Room - uVisitRussia https://www.uvisitru[...] 2023-09-01
[47] 웹사이트 State Hermitage Museum: East/Central Europe (including early nomads) https://depts.washin[...] 2023-09-01
[48] 논문 РАННЕСАРМАТСКИЙ РЫЦАРЬ (Sarmatian warrior) http://archtat.ru/co[...] 2013
[49] 논문 Chinese mirrors from the burials of the nomads of Eastern Europe of the second half of the 1st millennium BC-first centuries AD: Typology, chronology, distribution and technology of manufacture 2021-06
[50] 논문 Ancestry and demography and descendants of Iron Age nomads of the Eurasian Steppe 2017-03-03
[51] 논문 Ancient genomic time transect from the Central Asian Steppe unravels the history of the Scythians 2021-03-26
[52] 논문 Shifts in the Genetic Landscape of the Western Eurasian Steppe Associated with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Scythian Dominance 2019-07-11
[53] 논문 The genetic origin of Huns, Avars, and conquering Hungarians 2022-05-25
[54] 논문 A Dynamic 6,000-Year Genetic History of Eurasia's Eastern Steppe 2020-11-05
[55] 서적 https://www.academia[...] Institute of Archaeology, Russian Academy of Sciences
[56] 서적 https://www.academia[...] Языки славянской культуры [Languages of Slavic Culture] for Institute of Archaeology, Russian Academy of Sciences
[57] 문서 2017
[58] 문서 2017
[59] 논문 Ancient Population of the Lower Volga Region According to Craniology and Anthropological Facial Sculptural Reconstruction from a Skull https://www.research[...] 2022-12
[60] 논문 Archeologists Discover Golden Artifacts in Abai Region's Bozai Burial Ground https://astanatimes.[...] 2023-04-22
[61] 논문 The "Golden People" of Kazakhstan https://cyberleninka[...] 2016
[62] 문서 Ufa Ethnology museum
[63] 서적 The Golden Deer of Eurasia: Scythian and Sarmatian Treasures from the Russian Steppes : the State Hermitage, Saint Petersburg, and the Archaeological Museum, Ufa https://books.google[...] Metropolitan Museum of Art 2000
[64] 문서 2007
[65] 서적 A history of the Alans in the West : from their first appearance in the sources of classical antiquity through the early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73
[66] 서적 Indo-European origins : the anthropological evidence https://books.google[...] Institute for the Study of Man 2001
[67] 서적 The Steppe Tradition in International Relations: Russians, Turks and European State Building 4000 BC–2017 AD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8-07-19
[68] 서적 Cambridge Medieval History, Shorter: Volume 1, The Later Roman Empire to the Twelfth Centur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5-07-24
[69] 웹사이트 Sarmatism Ukrainian https://web.archive.[...] Ukrainian History
[70] 문서 The Sarmatians Praeger Publishers 1970
[71] 서적 The Early Slavs Cornell University
[72] 서적 中央ユーラシアを知る事典
[73] 서적 護・岡田編 1990
[74] 서적 護・岡田編 1990
[75] 서적 雪嶋 2008
[76] 서적 雪嶋 2008
[77] 서적 飯尾 1994
[78] 서적 タキトゥス年代記
[79] 서적 タキトゥス
[80] 서적 タキトゥス
[81] 서적 タキトゥス
[82] 서적 タキトゥス
[83] 서적 タキトゥス
[84] 서적 タキトゥス
[85] 서적 護・岡田編 1990
[86] 서적 雪嶋 2008
[87] 서적 藤川,1999
[88] 서적 藤川,1999
[89] 서적 藤川,1999
[90] 서적 藤川,1999
[91] 서적 藤川,1999
[92] 서적 藤川,1999
[93] 서적 藤川,1999
[94] 서적 藤川,1999
[95] 서적 藤川,1999
[96] 간행물 Scythians Routledge/UNESCO
[97] 웹사이트 Sarmatian http://www.britannic[...] 2007-05-20
[98] 문서 아폴로니우스
[99] 서적 One Europe, Many Nations Greenwood Publishing Group
[100] 서적 The Sarmatians 600 BC-AD 450 (Men-At-Arms'' nr. 373) Osprey Publishing
[101]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4-09-19
[102] 웹사이트 Chemical Analyses of Sarmatian Glass Beads from Pokrovka, Russia http://www.nbz.or.jp[...]
[103] 서적 The Horse, the Wheel, and Language: How Bronze-Age Riders from the Eurasian Steppes Shaped the Modern World http://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04] 서적 Handbuch der Orientalistik, Iranistik E.J. Brill
[105] 웹인용 보관된 사본 https://web.archive.[...] 2010-09-06
[106] 서적 Periplus of Pseudo-Scylax http://books.google.[...]
[107] 서적 De Aere
[108] 서적 스트라본의 지리학
[109] 논문 Studies in the History and Language of the Sarmatians http://www.kroraina.[...] 1970
[110] 문서
[111] 기타 Origo Constantini
[112] 서적 Vita Constantini
[113] 서적 Constantine and the Christian Empire
[114] 기타 Origo Constantini
[115] 서적 Victories of Constantine
[116] 서적 Constantine the Great
[117] 서적 Constantine and the Christian Empire
[118] 웹인용 Nomads of the Steepes http://my.raex.com/~[...] Regnal Chronologies 2014-04-2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