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는 아시아 배구 연맹(AVC) 주관으로 열리는 국제 여자 배구 대회이다. 1975년 처음 개최되었으며, 역대 대회 결과, 주요 기록, 참가국 현황 등을 담고 있다. 중국이 13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국이며, 일본이 5회, 태국이 3회 우승을 차지했다. 대한민국은 7번 준우승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아시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 |
---|---|
대회 정보 | |
종목 | 배구 |
창립 | 1975년 |
첫 대회 | 1975년 |
참가 팀 수 | 16개 팀 |
대륙 | 아시아, 오세아니아 (AVC) |
최근 시즌 | 2023년 아시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
최다 우승 팀 | (13회 우승) |
웹사이트 | 아시아배구연맹 |
2. 역대 대회 결과
연도 | 개최지 | 결승 | 3위 결정전 | 참가팀 | ||||||
---|---|---|---|---|---|---|---|---|---|---|
우승 | 점수 | 준우승 | 3위 | 점수 | 4위 | |||||
1975 | 멜버른 | 풀 리그 | 풀 리그 | 5 | ||||||
1979 | 홍콩 | 풀 리그 | 풀 리그 | 7 | ||||||
1983 | 후쿠오카 | 풀 리그 | 풀 리그 | 9 | ||||||
1987 | 상하이 | 3–0 | 3–0 | 11 | ||||||
1989 | 홍콩 | 3–0 | 3–1 | 10 | ||||||
1991 | 방콕 | 3–0 | 3–0 | 14 | ||||||
1993 | 상하이 | 3–0 | 3–1 | 14 | ||||||
1995 | 치앙마이 | 풀 리그 | 풀 리그 | 9 | ||||||
1997 | 마닐라 | 풀 리그 | 풀 리그 | 9 | ||||||
1999 | 홍콩 | 풀 리그 | 풀 리그 | 9 | ||||||
2001 | 나콘랏차시마 | 3–0 | 3–2 | 9 | ||||||
2003 | 호치민 시 | 3–0 | 3–1 | 10 | ||||||
2005 | 타이창 | 3–0 | 3–0 | 12 | ||||||
2007 | 나콘랏차시마 | 풀 리그 | 풀 리그 | 13 | ||||||
2009 | 하노이 | 3–1 | 3–0 | 14 | ||||||
2011 | 타이베이 | 3–1 | 3–2 | 14 | ||||||
2013 | 나콘랏차시마 | 3–0 | 3–2 | 16 | ||||||
2015 | 톈진 | 3–0 | 3–0 | 14 | ||||||
2017 | 비냔 / 문틴루파 | 3–2 | 3–0 | 14 | ||||||
2019 | 서울 | 3–1 | 3–0 | 13 | ||||||
2021 | 산페르난도 / 앙헬레스 시 / 올롱가포 |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취소됨. | ||||||||
2023 | 나콘랏차시마 | 3–2 | 3–2 | 14 |
아시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의 역대 대회 결과를 정리하면 위 표와 같다. 연도별 개최지, 우승팀, 준우승팀, 3위팀, 4위팀, 그리고 참가팀 수를 확인할 수 있다. 1975년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에서 첫 대회가 열렸고, 가장 최근인 2023년 대회는 태국 나콘랏차시마에서 개최되었다. 2021년 대회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취소되었다.
2. 1. 대회 요약
연도 | 개최지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참가팀 |
---|---|---|---|---|---|---|
1975 | 멜버른 | 5 | ||||
1979 | 홍콩 | 7 | ||||
1983 | 후쿠오카 | 9 | ||||
1987 | 상하이 | 11 | ||||
1989 | 홍콩 | 10 | ||||
1991 | 방콕 | 14 | ||||
1993 | 상하이 | 14 | ||||
1995 | 치앙마이 | 9 | ||||
1997 | 마닐라 | 9 | ||||
1999 | 홍콩 | 9 | ||||
2001 | 나콘랏차시마 | 9 | ||||
2003 | 호치민 시 | 10 | ||||
2005 | 타이창 | 12 | ||||
2007 | 나콘랏차시마 | 13 | ||||
2009 | 하노이 | 14 | ||||
2011 | 타이베이 | 14 | ||||
2013 | 나콘랏차시마 | 16 | ||||
2015 | 톈진 | 14 | ||||
2017 | 비냔 / 문틴루파 | 14 | ||||
2019 | 서울 | 13 | ||||
2021 | 산페르난도 / 앙헬레스 시 / 올롱가포 |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취소됨. | ||||
2023 | 나콘랏차시마 | 14 |
2. 2. 역대 대회
연도 | 개최지 | 우승 | 준우승 | 3위 |
---|---|---|---|---|
1975 | 멜버른 | |||
1979 | 홍콩 | |||
1983 | 후쿠오카 | |||
1987 | 상하이 | |||
1989 | 홍콩 | |||
1991 | 방콕 | |||
1993 | 상하이 | |||
1995 | 치앙마이 | |||
1997 | 마닐라 | |||
1999 | 홍콩 | |||
2001 | 나콘랏차시마 | |||
2003 | 호치민 시 | |||
2005 | 타이창 | |||
2007 | 나콘랏차시마 | |||
2009 | 하노이 | |||
2011 | 타이베이 | |||
2013 | 나콘랏차시마 | |||
2015 | 톈진 | |||
2017 | 비냔 / 문틴루파 | |||
2019 | 서울 | |||
2021 | 산페르난도 / 앙헬레스 시 / 올롱가포 |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취소됨. | ||
2023 | 나콘랏차시마 |
2. 3. 국가별 메달 순위
대한민국은 아시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 7개, 동메달 10개를 획득하여 총 17개의 메달을 기록했다.
2. 4. 역대 개최국
개최 횟수 | 국가 | 연도 |
---|---|---|
6 | 태국 | 1991, 1995, 2001, 2007, 2013, 2023 |
4 | 중국 | 1987, 1993, 2005, 2015 |
3 | 홍콩 | 1979, 1989, 1999 |
2 | 필리핀 | 1997, 2017 |
베트남 | 2003, 2009 | |
1 | 호주 | 1975 |
일본 | 1983 | |
대한민국 | 2019 | |
대만 | 2011 |
아시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의 주요 기록은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은 2019년 서울에서 대회를 개최하였다.
3. 주요 기록
3. 1. 최다 우승국
국가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
중국 | 13회 (1979,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11, 2015) | 4회 (1983, 2007, 2009, 2023) | 1회 (1975) | 3회 (2013, 2017, 2019) |
일본 | 5회 (1975, 1983, 2007, 2017, 2019) | 7회 (1979, 1987, 1991, 1993, 2003, 2011, 2013) | 7회 (1989, 1995, 1997, 1999, 2005, 2009, 2023) | 1회 (2001) |
태국 | 3회 (2009, 2013, 2023) | 2회 (2017, 2019) | 3회 (2001, 2007, 2015) | 3회 (1999, 2003, 2011) |
대한민국 | 7회 (1975, 1989, 1995, 1997, 1999, 2001, 2015) | 10회 (1979, 1983, 1987, 1991, 1993, 2003, 2011, 2013, 2017, 2019) | 3회 (2005, 2007, 2009) | |
카자흐스탄 | 1회 (2005) | |||
중화 타이베이 | 6회 (1983, 1989, 1993, 1995, 1997, 2015) | |||
오스트레일리아 | 2회 (1975, 1979) | |||
뉴질랜드 | 1회 (1987) |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1회 (1991) | |||
베트남 | 1회 (2023) | |||
3. 2. 개인상 수상
아시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대회가 끝난 후 대회에서 활약한 선수들에게 개인상을 수여한다. 개인상에는 최우수선수(MVP)와 각 포지션별 베스트 선수, 그리고 기타 개인상(폐지된 상 포함)이 있다.3. 2. 1. 최우수선수 (MVP)
연도 | 최우수선수 |
---|---|
2001 | 冯坤|펑쿤중국어 (중국) |
2003 | 赵蕊蕊|자오루이루이중국어 (중국) |
2005 | 楚金玲|추진링중국어 (중국) |
2007 | 다카하시 미유키 (일본) |
2009 | 오누마 싯티락 (태국) |
2011 | 왕이메이 (중국) |
2013 | 윌라완 아핀야퐁 (태국) |
2015 | 주팅 (중국) |
2017 | 신나베 리사 (일본) |
2019 | 이시카와 마유 (일본)[1] |
2023 | 차추온 목스리 (태국) |
3. 2. 2. 포지션별 베스트 선수
연도 | 아웃사이드 스파이커 | 아포짓 스파이커 | 미들 블로커 | 세터 | 리베로 |
---|---|---|---|---|---|
2003 | 타케시타 요시에(일본) | ||||
2005 | 펑쿤(중국) | ||||
2007 | 눗사라 톰콤(태국) | ||||
2009 | 눗사라 톰콤(태국) | 완나 부아캐우(태국) | |||
2011 | 타케시타 요시에(일본) | 남지연(대한민국) | |||
2013 | 눗사라 톰콤(태국) | 김해란(대한민국) | |||
2015 | 주팅(중국) | ||||
2017 | 김연경(대한민국) |
3. 2. 3. 기타 개인상 (폐지된 상 포함)
연도 | 득점상 | 서브상 | 리시브상 | 스파이크상 | 블로킹상 | 디그상 |
---|---|---|---|---|---|---|
2003 | 최광희 | 양하오 | 장나 | 타카하시 미유키 | 자오루이루이 | 판신원 |
2005 | 옐레나 파블로바 | 암폰 야파 | 저우쑤훙 | 추진링 | 린춘이 | 천자치 |
2007 | 옐레나 파블로바 | 기무라 사오리 | 사노 유코 | 쉐밍 | 플룸짓 틴카오우 | 완나 부아캐우 |
2009 | 김연경 | 기무라 사오리 | 쉐밍 | 쉐밍 | ||
2011 | 김연경 | 웨이추웨 | 김연경 | 양쥔징 | ||
2013 | 김연경 | 김연경 | 주팅 | 쉬윈리 |
3. 3. 대한민국 대표팀 관련 기록
대한민국 여자 배구 대표팀은 아시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은 없지만, 준우승 7회, 3위 10회를 기록하며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1975년 첫 대회부터 2019년 대회까지 10회 연속 3위 이상의 성적을 기록하며 아시아 여자 배구의 강호임을 입증했다.연도 | 개최지 | 최종 순위 | 경기 결과 |
---|---|---|---|
1975 | 멜버른 | 준우승 | 풀 리그 |
1979 | 홍콩 | 3위 | 풀 리그 |
1983 | 후쿠오카 | 3위 | 풀 리그 |
1987 | 상하이 | 3위 | 3-0 |
1989 | 홍콩 | 준우승 | 0-3 |
1991 | 방콕 | 3위 | 3-0 |
1993 | 상하이 | 3위 | 3-1 |
1995 | 치앙마이 | 준우승 | 풀 리그 |
1997 | 마닐라 | 준우승 | 풀 리그 |
1999 | 홍콩 | 준우승 | 풀 리그 |
2001 | 나콘랏차시마 | 준우승 | 0-3 |
2003 | 호치민 시 | 3위 | 3-1 |
2005 | 타이창 | 4위 | 0-3 |
2007 | 나콘랏차시마 | 4위 | 풀 리그 |
2009 | 하노이 | 4위 | 0-3 |
2011 | 타이베이 | 3위 | 3-2 |
2013 | 나콘랏차시마 | 3위 | 3-2 |
2015 | 톈진 | 준우승 | 0-3 |
2017 | 비냔 / 문틴루파 | 3위 | 3-0 |
2019 | 서울 | 3위 | 3-0 |
2021 | 산페르난도 / 앙헬레스 시 / 올롱가포 |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취소됨. | |
2023 | 나콘랏차시마 | 참가하지 않음 | |
우승 | 준우승 | 3위 | 4위 |
---|---|---|---|
0회 | 7회 (1975, 1989, 1995, 1997, 1999, 2001, 2015) | 10회 (1979, 1983, 1987, 1991, 1993, 2003, 2011, 2013, 2017, 2019) | 3회 (2005, 2007, 2009) |
4. 참가국
세부 정보
세부 정보
세부 정보
세부 정보
세부 정보
세부 정보
세부 정보
세부 정보
세부 정보
세부 정보
세부 정보
세부 정보
세부 정보
세부 정보
세부 정보
세부 정보
세부 정보
세부 정보
세부 정보
세부 정보
세부 정보
세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