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시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는 아시아 배구 연맹(AVC) 주관으로 열리는 국제 여자 배구 대회이다. 1975년 처음 개최되었으며, 역대 대회 결과, 주요 기록, 참가국 현황 등을 담고 있다. 중국이 13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국이며, 일본이 5회, 태국이 3회 우승을 차지했다. 대한민국은 7번 준우승을 기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아시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대회 정보
종목배구
창립1975년
첫 대회1975년
참가 팀 수16개 팀
대륙아시아, 오세아니아 (AVC)
최근 시즌2023년 아시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최다 우승 팀(13회 우승)
웹사이트아시아배구연맹

2. 역대 대회 결과

연도개최지결승3위 결정전참가팀
우승점수준우승3위점수4위
1975 멜버른풀 리그풀 리그5
1979 홍콩풀 리그풀 리그7
1983 후쿠오카풀 리그풀 리그9
1987 상하이3–03–011
1989 홍콩3–03–110
1991 방콕3–03–014
1993 상하이3–03–114
1995 치앙마이풀 리그풀 리그9
1997 마닐라풀 리그풀 리그9
1999 홍콩풀 리그풀 리그9
2001 나콘랏차시마3–03–29
2003 호치민 시3–03–110
2005 타이창3–03–012
2007 나콘랏차시마풀 리그풀 리그13
2009 하노이3–13–014
2011 타이베이3–13–214
2013 나콘랏차시마3–03–216
2015 톈진3–03–014
2017 비냔 / 문틴루파3–23–014
2019 서울3–13–013
2021 산페르난도 / 앙헬레스 시 / 올롱가포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취소됨.
2023 나콘랏차시마3–23–214



아시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의 역대 대회 결과를 정리하면 위 표와 같다. 연도별 개최지, 우승팀, 준우승팀, 3위팀, 4위팀, 그리고 참가팀 수를 확인할 수 있다. 1975년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에서 첫 대회가 열렸고, 가장 최근인 2023년 대회는 태국 나콘랏차시마에서 개최되었다. 2021년 대회는 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취소되었다.

2. 1. 대회 요약

연도개최지우승준우승3위4위참가팀
1975 멜버른5
1979 홍콩7
1983 후쿠오카9
1987 상하이11
1989 홍콩10
1991 방콕14
1993 상하이14
1995 치앙마이9
1997 마닐라9
1999 홍콩9
2001 나콘랏차시마9
2003 호치민 시10
2005 타이창12
2007 나콘랏차시마13
2009 하노이14
2011 타이베이14
2013 나콘랏차시마16
2015 톈진14
2017 비냔 / 문틴루파14
2019 서울13
2021 산페르난도 / 앙헬레스 시 / 올롱가포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취소됨.
2023 나콘랏차시마14


2. 2. 역대 대회

연도개최지우승준우승3위
1975 멜버른
1979 홍콩
1983 후쿠오카
1987 상하이
1989 홍콩
1991 방콕
1993 상하이
1995 치앙마이
1997 마닐라
1999 홍콩
2001 나콘랏차시마
2003 호치민 시
2005 타이창
2007 나콘랏차시마
2009 하노이
2011 타이베이
2013 나콘랏차시마
2015 톈진
2017 비냔 / 문틴루파
2019 서울
2021 산페르난도 / 앙헬레스 시 / 올롱가포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취소됨.
2023 나콘랏차시마


2. 3. 국가별 메달 순위

순위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중국133117
2일본57618
3태국2237
4대한민국071017
5카자흐스탄0101
합계20202060



대한민국은 아시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 7개, 동메달 10개를 획득하여 총 17개의 메달을 기록했다.

2. 4. 역대 개최국

개최 횟수국가연도
6 태국1991, 1995, 2001, 2007, 2013, 2023
4 중국1987, 1993, 2005, 2015
3 홍콩1979, 1989, 1999
2 필리핀1997, 2017
베트남2003, 2009
1 호주1975
일본1983
대한민국2019
대만2011



대한민국2019년 서울에서 대회를 개최하였다.

3. 주요 기록

아시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의 주요 기록은 다음과 같다.


  • 최다 우승국: 중국 (13회), 일본 (5회), 태국 (3회)
  • '''대한민국''' : 우승 기록은 없으나, 준우승 7회, 3위 10회로 꾸준히 좋은 성적을 기록. 특히 1975년 첫 대회부터 2019년 대회까지 10회 연속 3위 이상을 기록하며 아시아 여자 배구 강호임을 입증.
  • 개인상: 대회 최우수선수(MVP), 각 포지션별 베스트 선수, 기타 개인상(폐지된 상 포함)이 수여됨.

3. 1. 최다 우승국

국가우승준우승3위4위
중국13회 (1979,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11, 2015)4회 (1983, 2007, 2009, 2023)1회 (1975)3회 (2013, 2017, 2019)
일본5회 (1975, 1983, 2007, 2017, 2019)7회 (1979, 1987, 1991, 1993, 2003, 2011, 2013)7회 (1989, 1995, 1997, 1999, 2005, 2009, 2023)1회 (2001)
태국3회 (2009, 2013, 2023)2회 (2017, 2019)3회 (2001, 2007, 2015)3회 (1999, 2003, 2011)
대한민국7회 (1975, 1989, 1995, 1997, 1999, 2001, 2015)10회 (1979, 1983, 1987, 1991, 1993, 2003, 2011, 2013, 2017, 2019)3회 (2005, 2007, 2009)
카자흐스탄1회 (2005)
중화 타이베이6회 (1983, 1989, 1993, 1995, 1997, 2015)
오스트레일리아2회 (1975, 1979)
뉴질랜드1회 (1987)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회 (1991)
베트남1회 (2023)



연맹 (지역)우승 팀횟수
EAZVA (동아시아)중국 (13), 일본 (5)18회
SEAZVA (동남아시아)태국 (3)3회


3. 2. 개인상 수상

아시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대회가 끝난 후 대회에서 활약한 선수들에게 개인상을 수여한다. 개인상에는 최우수선수(MVP)와 각 포지션별 베스트 선수, 그리고 기타 개인상(폐지된 상 포함)이 있다.

3. 2. 1. 최우수선수 (MVP)

연도최우수선수
2001冯坤|펑쿤중국어 (중국)
2003赵蕊蕊|자오루이루이중국어 (중국)
2005楚金玲|추진링중국어 (중국)
2007다카하시 미유키 (일본)
2009오누마 싯티락 (태국)
2011왕이메이 (중국)
2013윌라완 아핀야퐁 (태국)
2015주팅 (중국)
2017신나베 리사 (일본)
2019이시카와 마유 (일본)[1]
2023차추온 목스리 (태국)


3. 2. 2. 포지션별 베스트 선수

연도아웃사이드 스파이커아포짓 스파이커미들 블로커세터리베로
2003타케시타 요시에(일본)
2005펑쿤(중국)
2007눗사라 톰콤(태국)
2009눗사라 톰콤(태국)완나 부아캐우(태국)
2011타케시타 요시에(일본)남지연(대한민국)
2013눗사라 톰콤(태국)김해란(대한민국)
2015주팅(중국)
2017김연경(대한민국)


3. 2. 3. 기타 개인상 (폐지된 상 포함)

기타 개인상 (폐지된 상 포함)
연도득점상서브상리시브상스파이크상블로킹상디그상
2003최광희양하오장나타카하시 미유키자오루이루이판신원
2005옐레나 파블로바암폰 야파저우쑤훙추진링린춘이천자치
2007옐레나 파블로바기무라 사오리사노 유코쉐밍플룸짓 틴카오우완나 부아캐우
2009김연경기무라 사오리쉐밍쉐밍
2011김연경웨이추웨김연경양쥔징
2013김연경김연경주팅쉬윈리


3. 3. 대한민국 대표팀 관련 기록

대한민국 여자 배구 대표팀은 아시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은 없지만, 준우승 7회, 3위 10회를 기록하며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특히 1975년 첫 대회부터 2019년 대회까지 10회 연속 3위 이상의 성적을 기록하며 아시아 여자 배구의 강호임을 입증했다.

연도개최지최종 순위경기 결과
1975 멜버른준우승풀 리그
1979 홍콩3위풀 리그
1983 후쿠오카3위풀 리그
1987 상하이3위3-0
1989 홍콩준우승0-3
1991 방콕3위3-0
1993 상하이3위3-1
1995 치앙마이준우승풀 리그
1997 마닐라준우승풀 리그
1999 홍콩준우승풀 리그
2001 나콘랏차시마준우승0-3
2003 호치민 시3위3-1
2005 타이창4위0-3
2007 나콘랏차시마4위풀 리그
2009 하노이4위0-3
2011 타이베이3위3-2
2013 나콘랏차시마3위3-2
2015 톈진준우승0-3
2017 비냔 / 문틴루파3위3-0
2019 서울3위3-0
2021 산페르난도 / 앙헬레스 시 / 올롱가포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취소됨.
2023 나콘랏차시마참가하지 않음



우승준우승3위4위
0회7회 (1975, 1989, 1995, 1997, 1999, 2001, 2015)10회 (1979, 1983, 1987, 1991, 1993, 2003, 2011, 2013, 2017, 2019)3회 (2005, 2007, 2009)


4. 참가국

세부 정보 멜버른일본풀 리그대한민국중국풀 리그오스트레일리아51979
세부 정보 홍콩중국풀 리그일본대한민국풀 리그오스트레일리아71983
세부 정보 후쿠오카일본풀 리그중국대한민국풀 리그중화 타이베이91987
세부 정보 상하이중국3–0일본대한민국3–0뉴질랜드111989
세부 정보 홍콩중국3–0대한민국일본3–1중화 타이베이101991
세부 정보 방콕중국3–0일본대한민국3–0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41993
세부 정보 상하이중국3–0일본대한민국3–1중화 타이베이141995
세부 정보 치앙마이중국풀 리그대한민국일본풀 리그중화 타이베이91997
세부 정보 마닐라중국풀 리그대한민국일본풀 리그중화 타이베이91999
세부 정보 홍콩중국풀 리그대한민국일본풀 리그태국92001
세부 정보 나콘랏차시마중국3–0대한민국태국3–2일본92003
세부 정보 호치민 시중국3–0일본대한민국3–1태국102005
세부 정보 타이창중국3–0카자흐스탄일본3–0대한민국122007
세부 정보 나콘랏차시마일본풀 리그중국태국풀 리그대한민국132009
세부 정보 하노이태국3–1중국일본3–0대한민국142011
세부 정보 타이베이중국3–1일본대한민국3–2태국142013
세부 정보 나콘랏차시마태국3–0일본대한민국3–2중국162015
세부 정보 톈진중국3–0대한민국태국3–0중화 타이베이142017
세부 정보 비냔 / 문틴루파일본3–2태국대한민국3–0중국142019
세부 정보 서울일본3–1태국대한민국3–0중국132021
세부 정보 산페르난도 / 앙헬레스 시 / 올롱가포코로나19 범유행으로 인해 취소됨.2023
세부 정보 나콘랏차시마태국3–2중국일본3–2베트남14



국가별 우승, 준우승, 3위, 4위 횟수는 다음과 같다.

국가우승준우승3위4위
중국13회 (1979, 1987, 1989, 1991, 1993, 1995, 1997, 1999, 2001, 2003, 2005, 2011, 2015)4회 (1983, 2007, 2009, 2023)1회 (1975)3회 (2013, 2017, 2019)
일본5회 (1975, 1983, 2007, 2017, 2019)7회 (1979, 1987, 1991, 1993, 2003, 2011, 2013)7회 (1989, 1995, 1997, 1999, 2005, 2009, 2023)1회 (2001)
태국3회 (2009, 2013, 2023)2회 (2017, 2019)3회 (2001, 2007, 2015)3회 (1999, 2003, 2011)
대한민국7회 (1975, 1989, 1995, 1997, 1999, 2001, 2015)10회 (1979, 1983, 1987, 1991, 1993, 2003, 2011, 2013, 2017, 2019)4회 (2005, 2007, 2009)
카자흐스탄1회 (2005)
중화 타이베이6회 (1983, 1989, 1993, 1995, 1997, 2015)
오스트레일리아2회 (1975, 1979)
뉴질랜드1회 (1987)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회 (1991)
베트남1회 (2023)



대회는 1975년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에서 처음 개최되었으며, 일본이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중국이 13회 우승으로 최다 우승국이 되었고, 일본이 5회, 태국이 3회 우승했다. 대한민국은 준우승 7회, 3위 10회를 기록했다.

4. 1. 참가국 목록

아시아 여자 배구 선수권 대회 참가국 목록
국가1975
(5)
1979
(7)
1983
(9)
1987
(11)
1989
(10)
1991
(14)
1993
(14)
1995
(9)
1997
(9)
1999
(9)
2001
(9)
2003
(10)
2005
(12)
2007
(13)
2009
(14)
2011
(14)
2013
(16)
2015
(14)
2017
(14)
2019
(13)
2023
(14)
총합
오스트레일리아4위4위7위7위7위6위10위6위7위6위6위9위10위8위9위10위9위9위10위9위8위21
중국3위1위2위1위1위1위1위1위1위1위1위1위2위2위1위4위1위4위4위2위21
중화 타이베이4위4위5위4위4위4위5위5위5위5위6위6위5위7위4위6위6위9위18
홍콩6위8위10위8위11위12위9위9위8위12위10위13위13위11위11위11위16
인도7위14위11위11위11위11위10위10위7위9
인도네시아5위6위6위9위9위8위9위13위13위10위8위11
이란12위8위8위8위8위9위7위10위8
일본1위2위1위2위3위2위2위3위3위3위4위2위3위1위3위2위2위6위1위1위3위21
카자흐스탄5위9위7위2위5위5위9위5위7위7위5위5위12
마카오11위10위2
말레이시아9위1
몰디브14위1
몽골14위11위12위3
미얀마16위1
뉴질랜드5위9위4위10위11위7위8위10위11위12위12위11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5위4위9위7위6위5
필리핀5위13위13위8위8위8위9위12위12위8위13위11
싱가포르8위1
대한민국2위3위3위3위2위3위3위2위2위2위2위2위3위4위4위4위3위3위2위3위6위21
스리랑카12위14위9위10위14위12위15위14위13위13위10
태국5위6위7위7위5위5위4위3위4위6위3위1위4위1위3위2위2위1위18
투르크메니스탄14위1
우즈베키스탄6위6위7위13위12위14위6
베트남8위7위6위8위7위7위7위6위5위5위4위11


4. 2. 국가별 첫 출전

국가별 첫 출전
연도데뷔팀합계
19755
19793
19832
19874
19891
19912
19932
1995없음0
1997
1999
2001없음0
2003
2005
20071
2009없음0
20111
20132
2015없음0
20171
2019없음0
20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