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야베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야베번은 탄바국에 1633년 구키 다카스에가 세운 도자마 다이묘 번이다. 자연재해와 농민 반란으로 번정이 쇠퇴했으나, 9대 번주 구키 다카히로가 농업 및 군사 정책 개혁을 통해 재정을 회복했다. 1868년 메이지 정부를 지지하며 판적봉환 후 폐번되어 교토부에 편입되었고, 번주 가문은 자작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야베 구키가 - 구키 다카스에
구키 다카스에는 에도 시대 무장으로 구키 수군 후예이자 초대 토바 번주 구키 모리타카의 아들이며, 가독 다툼 후 아야베 번을 건립하고 번정에 힘썼다. - 아야베 구키가 - 구키 다카요시
구키 다카요시는 단바 아야베 번주 구키 다카토의 아들로, 미타 번의 번주를 상속하여 번정 개혁을 추진하고, 보신 전쟁에서 신정부에 협력했으며, 메이지 시대에는 고베 지역 개발에 기여하고 시마 상사를 설립하여 상업, 도시 개발, 교육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 단바국의 번 - 유나가야번
유나가야번은 1670년부터 1871년까지 이와키 국 유나가야에 존재했던 이와키 다이라 번의 지번으로, 후다이 다이묘인 나이토 가문(초기 도야마 가문)이 다스렸으며, 고쿠다카는 1만 석에서 1만 5천 석으로 증가했다가 폐번 당시 1만 4천 석이었고, 보신 전쟁에서 패배하여 영지를 삭감당한 후 폐번치현으로 폐지되었다. - 단바국의 번 - 가메야마번 (단바국)
아케치 미쓰히데가 축성한 단바 가메야마성을 기원으로 하는 가메야마번(단바국)은 도요토미 정권과 에도 막부를 거치며 번주가 여러 차례 교체된 후, 가타하라 마쓰다이라 가문이 정착하여 가메오카 번으로 개칭, 폐번치현으로 소멸되었다. - 아야베시의 역사 - 우에스기씨
우에스기씨는 가마쿠라 시대부터 무로마치 시대, 센고쿠 시대를 거쳐 에도 시대까지 번영하며 간토 간령, 슈고 다이묘, 요네자와 번주 등을 역임했고, 메이지 시대에는 화족으로 서임되었다. - 아야베시의 역사 - 야마가촌
야마가촌은 1889년 교토부 이카루가군에 설치된 촌으로 유라강과 가미바야시강 유역에 위치하며 야마가역이 있었으나, 1950년 아야베시 발족으로 폐지되고 일부는 다른 정으로 분리되었다.
아야베번 | |
---|---|
위치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아야베 번 |
로마자 표기 | Ayabe-han |
위치 | 단바국 |
현재 위치 | 교토부 아야베시 |
통치 | |
정치 체제 | 한 (다이묘) |
거점 | 아야베 진야 |
역사 | |
성립 | 1633년 |
폐지 | 1871년 |
이전 | 도쿠가와 막부 시대 |
통계 | |
연도 | 알 수 없음 |
면적 | 알 수 없음 |
인구 | 알 수 없음 |
참고 자료 | |
참고 문헌 | 고사이도 출판 "에도 300번전 전번 번주 변천표부" (2015) 도쿄도 인쇄 "번과 조카마치의 사전 - 나라별" (2004) E. 파피노 "일본 역사 및 지리 사전" (1910) |
2. 역사
구키 모리타카는 센고쿠 시대의 제독 구키 요시타카의 아들로, 3만 5천 코쿠의 토바번을 하사받았다. 1632년 모리타카가 사망하자 상속 분쟁이 발생했다. 요시타카는 다섯째 아들인 구키 히사타카를 후계자로 지명했지만, 셋째 아들인 구키 타카스에는 장자 상속을 근거로 더 강력한 주장이 있다고 하며 도쿠가와 막부에 중재를 요청했다. 막부는 히사타카의 손을 들어주었지만, 모리타카에게 2만 코쿠의 고쿠다카를 할당하여 새로운 번을 세우도록 했다. 이것이 아야베번의 시작이었다. 1661년, 타카스에는 이 영지의 500 코쿠를 그의 동생 구키 타카시게에게 할당했다. 구키 씨는 메이지 유신까지 아야베를 계속 통치했다.
2대 다이묘 재임 기간 동안, 대홍수와 폭풍으로 3729명이 사망하고 번의 재정이 쇠퇴하기 시작했다. 홍수와 기근이 반복적으로 발생했고, 재정 시스템을 개혁하려는 시도에도 불구하고 농민 반란이 자주 일어났다. 구키 타카나오 재임 기간 동안 한 학교인 "신토쿠칸"이 설립되었다. 8대 다이묘인 구키 타카히로는 농업 및 군사 정책을 개혁하기 위해 외부 고문(사토 노부히로 포함)을 초빙했다. 1847년부터 면화에 대한 씨족 독점 시스템은 번의 재정을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번주 가문은 후에 자작, 다카시게의 자손도 유신 후의 관료로서의 훈공에 의해 후에 남작을 수여받았다.[2] 아야베 진야 부지는 현재 교토 부립 아야베 고등학교이다.
2. 1. 번의 성립과 초기
1633년 3월 5일, 구키 요시타카의 손자인 구키 타카스에가 탄바국에 2만 석의 도자마 다이묘로 아야베번을 세웠다. 구키 모리타카 사후, 상속 분쟁이 발생하여 도쿠가와 막부의 중재로 구키 히사타카는 셋쓰국 산다번으로, 구키 타카스에는 아야베번으로 각각 이봉되었다. 구키 타카스에는 성하 마을 건설, 검지 등을 통해 번정의 기초를 다졌다.구키 모리타카가 1632년에 사망하자 셋째 아들 구키 타카스에와 다섯째 아들 구키 히사타카 사이에서 가독 쟁탈전이 일어났다. 이는 모리타카가 생전에 다섯째 아들 히사타카를 편애하여 적자로 선택했기 때문이었지만, 오가 소동의 결과 히사타카는 셋쓰국 산다번으로, 타카스에는 아야베로 각각 이봉되어, 구키 씨는 요시타카 이래의 고향인 시마국 토바번의 땅을 잃게 되었다. 구키 타카스에는 1661년 3월 28일, 동생 구키 타카시게에게 500석을 분여하여 분가를 창설했다.
2. 2. 중기의 어려움과 개혁
2대 번주 구키 다카쓰네 대부터 대홍수, 폭풍우 등 자연재해가 빈번하여 3729명이 사망하는 등 번정이 쇠퇴하기 시작했다. 잦은 자연재해와 기근으로 재정난이 심화되어 농민 반란이 자주 발생했다. 구키 다카나오 시대에 번교 신토쿠칸이 설립되었다.9대 번주 구키 타카히로는 사토 노부히로, 오쿠야마 고헤이, 야마가 소스이 등을 초빙하여 농업 및 군사 정책 개혁을 단행했다. 1847년 면화 독점 시스템(면회소)을 도입하여 번 재정을 회복하는 데 성공했다.
2. 3. 막부 말기와 메이지 유신
마지막 번주 구키 다카토모는 금문의 변에서 고메이 천황을 경호했고, 보신 전쟁 때 메이지 정부를 지지했다. 게이오 4년 (1868년) 1월에는 사이온지 긴모치를 통해 신정부 측에 귀순했다.[2] 이후 판적봉환으로 번 지사가 되었고, 메이지 4년 (1871년) 폐번치현으로 아야베 번은 폐지되었다.[2] 그 후, 아야베현을 거쳐 교토부에 편입되었다.[2]다카토모는 번교 신토쿠칸을 도쿠신칸으로 개명하고, 이듬해 번내 6곳에 향학교를 설립하여 서민 교육에 힘썼다.[2]
3. 역대 번주
# | 이름 | 재임 기간 | 관위 | 조정 관위 | 고쿠다카 |
---|---|---|---|---|---|
1 | 쿠키 다카스에|九鬼隆季일본어 | 1633년 ~ 1674년 | 시키부쇼유|式部少輔일본어 | 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 | 20,000 → 19,500 고쿠 |
2 | 쿠키 다카츠네|九鬼隆常일본어 | 1674년 ~ 1698년 | 오스미노카미|大隅守일본어 | 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 | 19,500 고쿠 |
3 | 쿠키 다카나오|九鬼隆直일본어 | 1698년 ~ 1713년 | 나가토노카미|長門守일본어 | 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 | 19,500 고쿠 |
4 | 쿠키 다카노부|九鬼隆寛일본어 | 1713년 ~ 1766년 | 빈고노카미|備後守일본어 | 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 | 19,500 고쿠 |
5 | 쿠키 다카사다|九鬼隆貞일본어 | 1766년 ~ 1780년 | 시키부쇼유|式部少輔일본어 | 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 | 19,500 고쿠 |
6 | 쿠키 다카요시| 九鬼隆棋일본어 | 1780년 ~ 1787년 | 오스미노카미|大隅守일본어 | 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 | 19,500 고쿠 |
7 | 쿠키 다카사토|九鬼隆郷일본어 | 1787년 ~ 1808년 | 시키부쇼유|式部少輔일본어 | 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 | 19,500 고쿠 |
8 | 쿠키 다카노리|九鬼隆度일본어 | 1808년 ~ 1822년 | 이즈모노카미|出雲守일본어 | 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 | 19,500 고쿠 |
9 | 쿠키 다카히로|九鬼隆都일본어 | 1808년 ~ 1861년 | 시키부쇼유|式部少輔일본어 | 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 | 19,500 고쿠 |
10 | 쿠키 다카토모|九鬼隆備일본어 | 1861년 ~ 1871년 | 오스미노카미|大隅守일본어 | 종5위상|従五位上일본어 | 19,500 고쿠 |
메이지 유신 이후, 구키 다카하루는 1919년 황도선양회를 설립하고 총재를 역임하였고, 구키 무네타카는 구마노혼구 대사 궁사를 지냈다. 현재 구마노혼구 대사 궁사는 구키 이에타카이다.[1]
3. 1. [[구키 씨|구키가(九鬼家)]]
1633년부터 1871년까지 아야베 번을 다스린 도자마 다이묘 가문은 구키가(九鬼家)이다.메이지 유신 이후, 구키 다카하루는 1919년 황도선양회를 설립하고 총재를 역임하였고, 구키 무네타카는 구마노혼구 대사 궁사를 지냈다. 현재 구마노혼구 대사 궁사는 구키 이에타카이다.[1]
3. 1. 1. [[에도 시대]]
도자마 다이묘일본어. 고쿠다카 2만 석 → 1만 9500석# | 이름 | 재임 기간 | 관위 | 조정 관위 | 고쿠다카 |
---|---|---|---|---|---|
쿠키 씨족, 1633-1871 (도자마) | |||||
1 | 쿠키 타카스에|九鬼隆季일본어 | 1633년 ~ 1674년 | 시키부쇼유|式部少輔일본어 | 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 | 20,000 → 19,500 고쿠 |
2 | 쿠키 타카츠네|九鬼隆常일본어 | 1674년 ~ 1698년 | 오스미노카미|大隅守일본어 | 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 | 19,500 고쿠 |
3 | 쿠키 타카나오|九鬼隆直일본어 | 1698년 ~ 1713년 | 나가토노카미|長門守일본어 | 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 | 19,500 고쿠 |
4 | 쿠키 타카노부|九鬼隆寛일본어 | 1713년 ~ 1766년 | 빈고노카미|備後守일본어 | 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 | 19,500 고쿠 |
5 | 쿠키 타카사다|九鬼隆貞일본어 | 1766년 ~ 1780년 | 시키부쇼유|式部少輔일본어 | 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 | 19,500 고쿠 |
6 | 쿠키 타카요시| 九鬼隆棋일본어 | 1780년 ~ 1787년 | 오스미노카미|大隅守일본어 | 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 | 19,500 고쿠 |
7 | 쿠키 타카사토|九鬼隆郷일본어 | 1787년 ~ 1808년 | 시키부쇼유|式部少輔일본어 | 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 | 19,500 고쿠 |
8 | 쿠키 타카노리|九鬼隆度일본어 | 1808년 ~ 1822년 | 이즈모노카미|出雲守일본어 | 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 | 19,500 고쿠 |
9 | 쿠키 타카히로|九鬼隆都일본어 | 1808년 ~ 1861년 | 시키부쇼유|式部少輔일본어 | 종5위하|従五位下일본어 | 19,500 고쿠 |
10 | 쿠키 타카토모|九鬼隆備일본어 | 1861년 ~ 1871년 | 오스미노카미|大隅守일본어 | 종5위상|従五位上일본어 | 19,500 고쿠 |
구키 가문은 외양 다이묘로, 2만 석에서 1만 9500석을 다스렸다.
- 구키 다카스에 (たかすえ일본어) : 간에이 10년(1633년) 3월 5일 번주 취임 - 엔포 2년(1674년) 11월 16일 은거
- 구키 다카츠네 (たかつね일본어) : 엔포 2년 11월 16일 번주 취임 - 겐로쿠 11년(1698년) 4월 1일 사망
- 구키 다카나오 (たかなお일본어) : 겐로쿠 11년 5월 번주 취임 - 쇼토쿠 3년(1713년) 1월 그믐날 은거
- 구키 타카노부 (たかのぶ일본어) : 쇼토쿠 3년 1월 그믐날 번주 취임 - 메이와 3년(1766년) 3월 8일 은거
- 구키 타카사다 (たかさだ일본어) : 메이와 3년 3월 8일 번주 취임 - 안에이 9년(1780년) 12월 12일 사망
- 구키 타카요시 (たかよし일본어) : 덴메이 원년(1781년) 3월 12일 번주 취임 - 덴메이 7년(1787년) 1월 그믐날 사망
- 구키 타카사토 (たかさと일본어) : 덴메이 7년 4월 7일 번주 취임 - 분카 5년(1808년) 5월 그믐날 사망
- 구키 다카노리 (たかのり일본어) : 분카 5년 7월 5일 번주 취임 - 분세이 5년(1822년) 윤 1월 24일 은거
- 구키 다카히로 (たかひろ일본어) : 분세이 5년 윤 1월 24일 번주 취임 - 분큐 원년(1861년) 6월 10일 은거
- 구키 다카토모 (たかとも일본어) : 분큐 원년 6월 10일 번주 취임 - 메이지 4년(1871년) 번 지사 면관
3. 1. 2. [[메이지 유신|메이지]] 이후
- 구키 다카하루 (1980년 3월 25일 사망)는 1919년 황도선양회를 설립하고 총재직을 맡았다. 향년 96세였다.[1]
- 구키 무네타카 (2003년 6월 27일 사망)는 전 구마노혼구 대사 궁사이며, 구키 다카하루의 장남이다. 향년 90세였다.[1]
- 구키 이에타카는 현 구마노혼구 대사 궁사이며, 구키 무네타카의 장남이다.[1]
4. 영지
탄바국
- 후나이군 5개 마을
- 이카루가군 32개 마을
- 아마타군 25개 마을
메이지 유신 이후, 아마타군 2개 마을 (구 시노야마번 영지)이 추가되었고, 아마타군 1개 마을 (구 카이바라번, 쿠미하마다이칸쇼 관할의 구 막부령과 상급), 아마타군 1개 마을 (쿠미하마다이칸쇼의 구 막부령과 상급)의 전역을 아야베 번 영지로 삼았다.
참조
[1]
서적
江戸三百藩大全 全藩藩主変遷表付
Kosaido Publishing
2015
[2]
서적
藩と城下町の事典―国別
Tokyodo Printing
2004
[3]
서적
Historical and Geographic Dictionary of Japan
Tuttle (reprint) 1972
[4]
서적
The Bakufu in Japanese History
https://books.google[...]
[5]
서적
Warlords, Artists, & Commoners: Japan in the Sixteenth Century
https://books.googl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