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토스트라다 A11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우토스트라다 A11은 이탈리아의 고속도로로, 피렌체와 피사를 연결한다. 1928년부터 1932년 사이에 건설되었으며, 피렌체, 몬테카티니 테르메, 베르실리아 해안 사이의 관광 연결을 목표로 했다. 루카와 미리아리노 피사노 구간은 1933년에 개통되었고, 이후 상하선 분리 작업과 경로 변경을 거쳤다. A11은 A1 고속도로와 A12 고속도로와 교차하며, 피렌체, 프라토, 피스토이아, 루카 등 주요 도시를 경유한다. A11/A12 연결로를 통해 피렌체와 제노바를 더 빠르게 연결하며, 현재 3차선 확장 및 캄피 비젠치오 출입구 건설 계획이 논의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스카나주의 교통 - 피사 국제공항
피사 국제공항은 이탈리아 피사에 위치하며, 민간 항공 운항과 군사 시설로 사용되고, 피사 중앙역과 연결되는 셔틀 서비스가 운행되며, 다양한 항공 노선이 있는 공항이다. - 토스카나주의 교통 - 아우토스트라다 A1
아우토스트라다 A1은 이탈리아의 주요 고속도로인 "아우토스트라다 델 솔레"의 일부로 밀라노에서 나폴리까지 이어지며, 1950년대 후반에 착공하여 1964년에 완공되어 이탈리아 경제 발전에 기여했고, 특히 발리코 우회 도로는 볼로냐와 피렌체 사이의 아펜니노 산맥을 통과하는 구간을 우회한다. - 아우토스트라다 - 아우토스트라다 A2 (1962년)
1956년부터 1964년까지 건설되어 1988년 A1 고속도로와 연결되며 완공된 아우토스트라다 A2는 로마 환상 고속도로의 우회로 역할을 했으나, 2017년 A3 고속도로 일부와 통합되어 "지중해 고속도로"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 아우토스트라다 - 모란디 교
모란디 교는 이탈리아 제노바에 위치한 1967년 개통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사장교로, 2018년 붕괴 사고로 43명이 사망하고 이탈리아 사회 기반 시설 문제를 드러냈다. - 나라별 도로 - 니시세토 자동차도
니시세토 자동차도는 히로시마현과 에히메현 사이의 섬들을 연결하는 시마나미 해도의 자동차 전용 도로로, 여러 개의 다리로 이루어져 혼슈와 시코쿠를 육상으로 연결하며, 자전거와 보행자 전용 도로가 있어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높고 지역 관광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지만, 일부 구간은 아직 미개통 상태이다. - 나라별 도로 - 반에쓰 자동차도
반에쓰 자동차도는 후쿠시마현 이와키시와 니가타현 니가타시를 잇는 고속도로이며, 태평양과 동해를 횡단하는 주요 교통로 역할을 한다.
아우토스트라다 A11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정식 명칭 | 아우토스트라다 A11 |
별칭 | 피렌체-마레 고속도로 (Autostrada Firenze-Mare), 피렌체-피사 북부 고속도로 (Firenze - Pisa nord) |
노선 번호 | A11 |
유럽 경로 | E76 |
개통 연도 | 1933년 |
노선 정보 | |
총 연장 | 81.7km |
주요 경유지 | 토스카나주 |
기점 | 피렌체 |
종점 | 피사 북부 |
연결 노선 | |
피렌체 | A1 |
루카 | A12 |
피사 | A12 |
기타 | |
이전 노선 번호 | A10 |
다음 노선 번호 | A12 |
2. 역사
아우토스트라다 피렌체 - 마레
아우토스트라다 A11은 1928년에서 1932년 사이, 토스카나 활동청(EAT)의 주도로 건설되었다.[2] 통신 담당 차관 알레산드로 마르텔리, 루카 연방 장관 카를로 스코르차, 당시 피렌체의 PNF 지방 연맹 서기 알레산드로 파볼리니 등이 지원했다. 이 고속도로 건설의 초기 목적은 지역 도로망 개선뿐만 아니라 피렌체, 몬테카티니 테르메, 베르실리아 해안 사이의 관광용 고속 연결로를 만드는 것이었다.
건설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토지 소유자와의 충돌, 지역 주민들의 항의, 부정 행위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2] 프라토에서는 "아우토스트라다가 시 남부의 개발을 방해하고 농업으로부터 비옥한 토지를 빼앗는다. "곡물 전투"에 도움이 되지만, 아우토스트라다는 휴가로 비아레조나 포르테 데이 마르미에 가는 부유층에게만 이익이 있다."라는 비판도 있었다.
1933년 8월 5일, 루카와 미리아리노 피사노 사이 구간이 개통되면서 전 구간이 공식 개통되었다.[3][4] 당시에는 폭 8m의 상하선 비분리 도로였으나, 1961년부터 1962년 사이에 상하선 분리화 작업이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프라토와 루카 인근 구간의 경로가 변경되었다. 프라토에서는 도시 남쪽으로 발전하는 것을 방해한다는 이유로, 루카에서는 세르키오 강을 건너는 다리 문제로 인해 경로가 조정되었다.
초기에는 통행량이 적어 운영에 어려움을 겪었다. 중산층 이상을 제외하고는 자동차 보급률이 낮았고, 통행료도 비쌌기 때문이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베르실리아의 관광 산업 발전과 함께 아우토스트라다의 중요성이 증대되었다.[5][6]
3. 경로
출구 ↓km↓ ↑km↑ 구 유럽 고속도로 피렌체 서 - 페르톨라
피렌체 페르톨라 공항0.0 81.7 피렌체 세스토 피오렌티노 2.0 79.2 3.0 78.2 톨게이트 피렌체 서 4.2 77.0 휴게소 "피렌체 북"[7] 4.6 76.6 4.9 76.3 프라토 동 9.0 72.2 프라토 프라토 서 16.8 64.4 피스토이아 27.4 53.8 피스토이아 휴게소 "세라발레" 35.5 45.7 몬테카티니 테르메 39.0 42.2 키에시나 우자네세 46.4 34.8 알토파시오 49.3 31.9 루카 카판노리 57.2 24.0 루카 동 63.5 17.7 루카 서
루카-비아레조
제노바66.0 15.2 휴게소 "미글리아리노" 79.1 2.1 피사 제노바 - 체치나
피사
피사 국제공항80.7 0.5 톨게이트 피사 북 81.0 0.2 피사 북
비아 아우렐리아81.7 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