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이신기오로 다이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이신기오로 다이샨은 누르하치의 차남으로, 후금 건국 초기부터 주요 전투에서 활약한 만주족 인물이다. 정홍기 기주를 거쳐 버일러에 봉해졌으며, 청 제국 건국 후 화석친왕에 책봉되었다. 숭덕제 사후 순치제를 옹립하는 데 기여했고, 1648년 사망 후 예열친왕으로 추존되었다. 건륭제는 그의 공을 기려 철모자왕으로 봉했고, 그의 후손들은 대대로 작위를 세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만주 정홍기인 - 라오서
    라오서는 20세기 중국의 대표적인 만주족 출신 소설가이자 극작가로, 가난한 유년 시절과 영국 유학 후, 『낙타 샹쯔』, 『사세동당』 등의 작품을 통해 중국 사회의 현실과 하층민의 삶을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날카로운 사회 비판과 독특한 문체로 현대 중국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나, 문화대혁명 중 박해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했다.
  • 만주 정홍기인 - 화신 (청나라)
    청나라 건륭제 시기 만주족 출신 권신 화신은 건륭제의 총애를 받으며 막강한 권력을 휘둘렀으나 부정부패로 재산을 축적하여 가경제에 의해 탄핵 후 자진, 청나라 쇠퇴의 원인으로 평가받는다.
  • 천명제의 황자 - 아이신기오로 아지거
    아이신기오로 아지거는 청나라 초기의 황족이자 군사가로, 누르하치의 아들이며 홍타이지의 이복동생이자 도르곤의 이복형으로, 용맹하고 전투에 능하여 영친왕에 봉해졌으나 도르곤 사후 모반 혐의로 숙청되었다.
  • 천명제의 황자 - 숭덕제
    숭덕제는 청나라의 제2대 황제이자 후금의 칸으로, 국호를 청으로 바꾸고 내몽골 복속, 조선 정복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한족 관료 등용과 육부 설치로 통치 체제를 정비하여 청나라의 중국 대륙 지배 기반을 마련했다.
아이신기오로 다이샨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다이샨의 초상화 (미상, 청나라 화가)
작위예친왕
시호예열친왕(禮烈親王)
다이샨(代善)
출생일1583년 8월 19일
사망일1648년 11월 25일
사망 장소베이징, 청나라
아버지누르하치
어머니퉁기야 하하나 자칭
배우자리기야 씨
예허나라 씨
예허나라 수벤주
자녀요토, 케친 군왕
쇼토
사할리안, 영의 친왕
와크다, 첸샹 군왕
발라마
마잔
만다하이, 쉰젠 친왕
후세
가문아이신 교로
전체 이름아이신기오로 다이샨 (愛新覺羅 代善)
만주어 이름|Aisin-Gioro Daišan}}
통치
즉위1636년
퇴위1648년
전임없음
후임만다하이

2. 생애

ᡩᠣᡵᠣᠨᡤᡤᠣ
ᠴᡳᠨ
ᠸᠠᠩ|Hošoi Doronggo Ahūn Cin Wang}})의 세습작위를 받았다. 뛰어난 군사적 재능을 바탕으로 후금 건국 초기부터 주요 전투에서 활약하며, '구옌 바투루'(탐험 영웅)라는 칭호를 받기도 했다.

1643년(숭덕 8년) 숭덕제가 급사한 후 의정왕대신회의를 주재하여 새로운 황제로 숭덕제의 아홉 번째 아들인 아이신 교로 풀인을 선출하여 순치제로 옹립하였다.

1648년(순치 5년) 북경에서 사망하였다.

시호는 예열친왕(禮烈親王)이며 1778년(건륭 43년) 건륭제는 그의 개국 당시의 공을 인정하여 그의 왕가를 철모자왕으로 봉하여 그 작위를 대대로 전하게 하였다.

2. 1. 누르하치 시대

어릴 때부터 아버지인 누르하치와 숙부 슈르가치, 동복 형 추옝을 따라 여러 전장을 누볐다. 1607년 사촌인 수르하치와 추옝을 도와 전장에서 두각을 나타냈고, "구옌 바투루"() (뜻: 탐험 영웅)라는 칭호를 받았다. 정홍기(正紅旗)의 기주를 맡았으며, 1613년 누르하치의 울라 부족과의 전쟁에서 다시 한번 큰 공을 세웠다.

1616년 누르하치가 칸으로 즉위하여 후금을 건국한 후, 다이샨은 4대 버일러(貝勒) 중 한 명으로 임명되어 행정 업무를 담당했다. 나머지 4대 버일러는 아민, 망굴타이, 홍타이지였다.

1618년 누르하치가 칠대원고를 발표하며 명나라에 대한 전쟁을 선포한 이후부터 1622년까지, 다이샨은 주요 장군이자 정홍기 지휘관으로서 활약했다. 1618년 푸순 점령, 1619년 사르후 전투 승리, 1621년 선양 점령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621년부터 다이샨과 다른 3명의 4대 버일러는 매달 교대로 누르하치를 보좌하며 후금 국정을 처리했다.

2. 2. 홍타이지 시대

누르하치가 1626년 닝위안 전투에서 사망한 후, 다이샨은 자신의 영향력을 발휘하여 홍타이지가 칸으로 즉위하는 것에 대한 왕자들과 장군들의 합의를 이끌어냈다. 홍타이지가 칸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다이샨은 망굴타이, 아민과 함께 1629년까지 번갈아 가며 보좌관을 맡았으며, 홍타이지는 권력을 강화하기 시작했다.

1629년부터 1634년까지 다이샨은 홍타이지가 명나라를 상대로 벌인 대부분의 전쟁에 참여했다. 1636년, 홍타이지는 스스로 황제를 칭하고 후금을 청나라로 국호를 변경했다. 다이샨은 화석예친왕(和碩禮親王)에 봉해지고, '형님'이라는 칭호를 받았다.

2. 3. 순치제 시대

1643년(숭덕 8년) 홍타이지가 급사한 후 의정왕대신회의를 주재하여 새로운 황제로 숭덕제의 아홉 번째 아들인 아이신 교로 풀인을 순치제로 옹립하였다. 처음에는 다이샨이 홍타이지의 장남인 호오거를 후계자로 지명했지만, 호오거는 부친의 뒤를 잇는 것을 거절했다. 아지거와 도도는 도르곤이 황위에 오르기를 원했지만, 도르곤은 자신을 키워준 선황에 대한 불충한 행위라며 거절했다. 홍타이지를 따라 출정했던 많은 장군들이 홍타이지의 아들 중 한 명을 황위에 옹립하기를 원한다고 선언하면서 당시 6세였던 푸린이 황제로 즉위했고, 도르곤과 제르갈랑이 공동 섭정으로 활동하게 되었다.

다이샨은 순치제를 지지하고 자신의 아들 쇼토와 손자 아달리(사할리옌의 장남)를 포함한 음모자들을 고발하여 이 분쟁을 해결했으며, 도르곤과 다이샨은 그들 모두를 처형했다. 1648년(순치 5년) 북경에서 사망하였다.

3. 사망과 유산

1648년 북경에서 사망하였다. 사후 예열친왕(禮烈親王)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1778년 건륭제는 그의 개국 당시의 공을 인정하여 그의 왕가를 철모자왕으로 봉하여 그 작위를 대대로 전하게 하였다.

그가 사망했을 당시, 그의 장례식에 통상적인 5,000 냥 대신 10,000냥을 그의 가족에게 지급하고 기념비를 세웠다. 이후 청나라 황제들은 그가 왕조와 황실을 위해 한 일을 인정하고 높이 평가하게 되었다. 강희제는 1671년에 다이샨에게 "열(烈)"이라는 시호를 하사했다. 1754년, 건륭제는 다이샨에게 무크덴의 종실묘에 자리를 내릴 것을 명했고, 1778년에는 다이샨, 지르갈랑, 도르곤, 호게, 요토를 왕조 초기의 빛나는 업적으로 칭찬하며 그들의 이름을 황실 종묘에 올리도록 명했다.

다이샨의 작위는 그의 사후 아들 만다하이와 손자 기예수에 의해 두 번 변경되었으나, 이후 예친왕으로 복원되었으며, 상속자는 다른 어떤 친왕보다 조정 의례에서 더 높은 지위를 가졌다.

4. 가족 관계

'''정실 부인'''


  • 첫 번째 정실 부인, 리지야 씨족 (嫡福晉 李佳氏)
  • * 유악도, 극근군왕 유악도(克勤郡王 岳託; 1599년 2월 26일 – 1639년 2월 11일), 장남
  • * 서토, 삼등 공 (貝勒 碩託; 1600년 12월 15일 – 1643년 9월 30일), 차남

  • 두 번째 정실 부인, 예허나라 씨족(繼福晉 葉赫那拉氏)
  • * 삼등 군주 (郡主; 1602년 12월 14일 – 1649년), 장녀
  • ** 1615년 1/2월 만주 동고 씨족의 허서투(和碩圖)와 결혼
  • * 사하린, 영의친왕 사하린(穎毅親王 薩哈璘; 1604년 6월 19일 – 1636년 6월 11일), 삼남
  • * 와극달, 겸양군왕 와극달(謙襄郡王 瓦克達; 1606년 6월 17일 – 1652년 9월 9일), 사남
  • * 바라마(巴喇瑪; 1608년 3월 16일 – 1631년 7월 17일), 오남

  • 세 번째 정실 부인, 예허나라 씨족(三娶福晉 葉赫那拉氏), 이름 수분주(蘇本珠)
  • * 만달해, 순간친왕 만달해(巽簡親王 滿達海; 1622년 4월 30일 – 1652년 3월 15일), 칠남
  • * 삼등 군주 (郡主; 1624년 9월 14일 – 1685년), 삼녀
  • ** 1640년 8/9월 만주 동고 씨족의 두레이(都类)와 결혼
  • * 삼등 군주 (郡主; 1626–1646), 오녀
  • * 호새, 혜순친왕(惠順親王 祜塞; 1628년 3월 3일 – 1646년 3월 22일), 팔남


'''측실 부인'''

  • 측실 부인, 하다나라 씨족(側福晉 哈達那拉氏)
  • * 마잔, 이등 공 (輔國公 瑪佔; 1612년 8월 9일 – 1638년 12월 29일), 육남
  • * 칠녀 (1629–1649)

  • 측실 부인, 할카 보르지기트(側福晉 喀爾喀博爾濟吉特氏)
  • * 삼등 군주 (郡主; 1624년 6월 20일 – 1650년), 차녀
  • * 사녀 (1625–1654)
  • * 삼등 군주 (郡主; 1628–1649), 육녀
  • * 삼등 군주 (郡主; 1629–1649), 팔녀
  • * 삼등 군주 (郡主; 1631–1673), 구녀
  • * 삼등 군주 (郡主; 1638–1712), 십일녀
  • * 삼등 군주 (郡主; 1641–1666), 십이녀


'''첩'''

  • 첩, 부찰 씨족 (富察氏)
  • * 십녀 (1638–1710)

4. 1. 조상


  • 고조부 푸만
  • 증조부 기오창가
  • 조부 탁시
  • 부친 누르하치
  • 모친: 퉁기야 씨(佟佳氏) - 누르하치의 첫 번째 첩

4. 2. 배우자

아이신기오로 다이샨은 정실 부인으로 리기야 씨, 예허나라 씨(2명)를 두었고, 측실 부인으로는 하다나라 씨, 할카 보르지기트를 두었으며, 첩으로는 부찰 씨를 두었다.

  • 정실 부인 리지야 씨는 유악도와 극근군왕 유악도, 서토를 낳았다.
  • 정실 부인 예허나라 씨는 장녀(1602년생), 사하린, 영의친왕 사하린, 와극달, 겸양군왕 와극달, 바라마를 낳았다. 장녀는 1615년 만주 동고 씨족의 허서투와 결혼하였다.
  • 또 다른 정실 부인 예허나라 씨는 만달해, 순간친왕 만달해, 3녀(1624년생), 5녀(1626년생), 호새, 혜순친왕를 낳았다. 3녀는 1640년 만주 동고 씨족의 두레이와 결혼하였다.
  • 측실 부인 하다나라 씨는 마잔과 7녀(1629년생)를 낳았다.
  • 측실 부인 할카 보르지기트는 2녀(1624년생), 4녀(1625년생), 6녀(1628년생), 8녀(1629년생), 9녀(1631년생), 11녀(1638년생), 12녀(1641년생)를 낳았다.
  • 첩 부찰 씨는 10녀(1638년생)를 낳았다.

4. 3. 자녀

다이샨은 적어도 8남 7녀를 두었다.

  • 적복진 리기야씨(李佳氏) 소생

:* 장남: 요토(岳託) - 극근군왕(克勤郡王) 작위를 받았다.

:* 차남: 쇼토(碩託) - 버일러(貝勒) 작위를 받았다.

  • 계복진 여허나라씨(葉赫納喇氏) 소생

:* 삼남: 사할리얀(薩哈璘) - 영의친왕(穎毅親王) 작위를 받았다.

:* 사남: 왁다(瓦克達) - 겸양군왕(謙襄郡王) 작위를 받았다.

:* 오남: 발라마(巴喇瑪)

  • 삼계복진 여허나라씨(葉赫納喇氏) 소생

:* 칠남: 만다하이(滿達海) - 순간친왕(巽簡親王) 작위를 받았다.

:* 팔남: 후서(祜塞) - 혜순친왕(惠順親王) 작위를 받았다.

  • 측복진 하다나라씨(哈達納喇氏) 소생

:* 육남: 마잔(瑪占) - 봉은보국공(奉恩輔國公) 작위를 받았다.

다이샨은 강홍립(姜弘立)의 차남을 수양딸과 혼인시켰다. 또한, 여러 명의 딸을 두었는데, 최소 7명 이상으로 추정되지만 자세한 기록은 불완전하다.

5. 평가

6.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