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카데미 편집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카데미 편집상은 영화 편집 분야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미국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가 수여하는 상이다. 1934년 제7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에스키모》의 콘래드 A. 너비그가 처음 수상하며 시작되었으며, 2008년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텔마 슈누메이커는 3회 수상과 9회 후보 지명으로 최다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 마이클 칸, 다니엘 맨델, 랄프 도슨 또한 여러 차례 수상했다. 제임스 카메론과 알폰소 쿠아론은 감독으로서 편집상을 수상한 이력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영화 편집상 - 미국 영화 편집자 협회
미국 영화 편집자 협회는 영화 편집 분야의 발전과 회원 간의 교류를 장려하며 영화 편집의 우수성을 기리기 위해 설립된 전문가 단체로, 에디상 수여, 회원 자격 부여, 학생 편집 대회 개최 등을 통해 영화 편집 분야에 기여한다. - 아카데미상 - 록키
록키는 1976년 개봉한 미국의 스포츠 드라마 영화로, 삼류 복서 록키 발보아가 권투 챔피언 아폴로 크리드와 시합을 벌이는 과정을 그리며, 아카데미 작품상을 수상하고 아메리칸 드림을 상징하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 아카데미상 - 성룡
성룡은 홍콩 출신의 배우, 무술가, 영화감독 등으로, 코미디와 무술을 결합한 영화로 아시아에서 스타덤에 올랐으며, 할리우드 진출 후 세계적인 배우로 자리매김했다. - 아카데미상 - 아카데미 작품상
아카데미 작품상은 매년 최고의 영화에 수여되는 아카데미상의 주요 부문으로, 1927/28년 시작되어 명칭과 수여 대상, 후보작 수의 변화를 거쳐 현재 제작자에게 수여되며, 감독상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 아카데미상 - 돌비 극장
돌비 극장은 캘리포니아 할리우드에 위치하며 아카데미 시상식의 주요 개최지이고, 2001년 완공 후 코닥 극장으로 불리다 2012년 돌비 연구소의 명명권 획득으로 현재 이름으로 변경되었으며, TV 중계에 최적화된 설계와 첨단 기술을 갖춰 다양한 행사가 개최된다.
아카데미 편집상 - [상(Prize)]에 관한 문서 | |
---|---|
아카데미 편집상 | |
기본 정보 | |
주최 |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 (AMPAS) |
국가 | 미국 |
시상 시작 | 1935년 |
최근 수상자 | 제니퍼 레임 |
최근 수상작 | 오펜하이머 (2023년) |
웹사이트 | oscars.org |
기타 정보 | |
편집상 중요도 | 편집상 후보 지명은 아카데미 작품상 수상 예측에 중요한 지표이다. |
편집 부서 | 영화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편집 부문에서 담당한다. |
2. 역사
1934년 제7회 아카데미상에서 《에스키모》의 콘래드 A. 너비그가 처음으로 아카데미 편집상을 수상했다.[13] 초기에는 '아카데미 편집상(Academy Award for Film Editing)'으로 불렸으나, 2008년부터 '아카데미 최우수 편집상(Academy Award for Achievement in Film Editing)'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다음은 역대 아카데미 편집상 수상자 및 최다 기록 목록이다.
텔마 슈누메이커는 9회 후보 지명 및 3회 수상으로 최다 후보 지명 및 최다 수상 기록을 모두 보유하고 있다. 마이클 카한은 8회 후보 지명 및 3회 수상을 기록했다. 다니엘 맨델은 5회 후보 지명 및 3회 수상, 랄프 도슨은 4회 후보 지명 및 3회 수상을 기록했다.
제임스 카메론 (《타이타닉》)과 알폰소 쿠아론 (《그래비티》)은 감독으로서 편집상을 수상한 독특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3. 주요 수상자 및 후보
《솔로몬 왕의 보고》 랠프 E. 윈터스, 콘래드 A. 너비그 《이브의 모든 것》 바버라 매클레인 《애니여 총을 잡아라》 제임스 E. 뉴컴 《선셋 대로》 아서 P. 슈밋, Doane Harrison 1951
(24회)《젊은이의 양지》 윌리엄 혼벡 《파리의 아메리카인》 Adrienne Fazan 《반역》 도러시 스펜서 《쿼바디스》 랠프 E. 윈터스 1952
(25회)《하이 눈》 엘모 윌리엄스, 해리 W. 거스테드》 《사랑하는 시바여 돌아오라》 워런 로 《플랫 탑 Flat Top》 윌링머 오스틴 《지상 최대의 쇼》 Anne Bauchens 1953
(26회)《지상에서 영원으로》 윌리엄 A. 라이언 《신들린 다리》 어빈 "코튼" 워버턴 《푸른 달》 Otto Ludwig 《로마의 휴일》 로버트 스윙크 1954
(27회)《워터프론트》 진 밀퍼드 《해저 2만리》 엘모 윌리엄스 《케인호의 반란》 윌리엄 A. 라이언, 헨리 바티스타 《비상착륙》 랠프 도슨 1955
(28회)《피크닉》 찰스 넬슨, 윌리엄 A. 라이언 《폭력 교실》 페리스 웹스터 《원한의 도곡리 다리》 앨마 매크로리 《오클라호마 Oklahoma!》 Gene Ruggiero, 조지 봄러 1956
(29회)《80일간의 세계 일주》 Gene Ruggiero, 폴 웨더왁스 《더 브레이브 원》 메릴 G. 화이트 《자이언트》 윌리엄 혼벡, 필립 W. 앤더슨, 프레드 보해넌 《상처뿐인 영광》 앨버트 액스트 1957
(30회)《콰이 강의 다리》 피터 테일러 《OK 목장의 결투》 워런 로 《팔 조이》 바이올라 로런스, 제롬 톰스 《사요나라》 아서 P. 슈밋, 필립 W. 앤더슨 1958
(31회)《지지》 Adrienne Fazan 《앤티 맘》 윌리엄 H. 지글러 《카우보이》 윌리엄 A. 라이언, 앨 클라크 《흑과 백》 프레더릭 누트슨 1959
(32회)《벤허》 랠프 E. 윈터스, 존 D. 더닝 《살인의 해부》 루이스 R. 레플러 《북북서로 진로를 돌려라》 조지 토마시니 《파계》 월터 톰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