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쿠아리우스 연구소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쿠아리우스 연구소는 플로리다 키스 국립 해양 보호구역의 산호초 기저부 20m 아래에 위치한 수중 연구 시설이다. 해양 생물학 연구를 위한 시설로, 포화 잠수 기술을 활용하여 과학자들이 장기간 수중에서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아쿠아리우스는 세 구획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NASA의 NEEMO 프로젝트를 통해 우주 탐사 임무를 시뮬레이션하는 데 활용되기도 했다. 예산 삭감과 사고 등의 어려움 속에서도 운영을 지속해 왔으며, 파비앙 쿠스토의 미션 31을 통해 해양 탐험의 중요성을 알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중거주시설 - 해저도시
    해저 도시는 전설이나 SF에서 시작되어 미래 예측에 등장했으며, 높은 비용과 기술적 문제로 연구가 쇠퇴했지만, 현재 기술로 건설은 가능하나 경제성과 실용성 문제로 실현에 어려움이 있다.
  • 미국 해양대기청 - 미국 국립기상청
    미국 국립기상청(NWS)은 1870년에 설립되어 기상 관측, 예보, 경보를 제공하며, 국립 해양 대기청(NOAA) 산하에서 122개의 지역 사무소와 국립 환경 예측 센터 등을 운영한다.
  • 미국 해양대기청 - GOES 14
    GOES 14는 미국의 정지궤도 환경 관측 위성 시리즈 중 하나로, 원래 GOES-O로 명명되었으며 2009년 6월 27일에 발사되어 허리케인 빌의 첫 번째 전체 디스크 열 이미지와 같은 중요한 데이터를 전송했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아쿠아리우스 연구소 - [연구소]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플로리다 키스 연안의 콘크 리프에 있는 아쿠아리우스
플로리다 키스 연안의 콘크 리프에 있는 아쿠아리우스
종류수중 연구 및 해양 탐사
위치플로리다 키스, 플로리다
좌표24
개장1986년 7월 23일
운영 기관플로리다 국제 대학교
웹사이트메디나 아쿠아리우스 프로그램
상세 정보
위치 상세플로리다 키스 국립 해양 보호 구역의 키 라르고 연안
연구 분야MRDF
관련 정보
관련 정보앤드루 N. 셰퍼드
데이비드 A. 딘스모어
스티븐 L. 밀러
크레이그 B. 쿠퍼
로버트 I. 위클런드

2. 목적

아쿠아리우스 연구소는 산호초 기저부 수면 아래 20m에 위치해 있으며, 플로리다 키스 국립 해양 보호구역 내에 있어 민감한 산호초의 건강을 연구하기에 이상적인 장소이다.[4]

이 연구소는 해양 생물학자들이 아쿠아리우스를 기지로 삼아 산호초, 근처에 서식하는 물고기 및 수생 식물, 주변 해수의 조성을 연구하는데 사용된다. 아쿠아리우스에는 정교한 실험 장비와 컴퓨터가 있어 과학자들이 수중 시설을 떠나지 않고도 연구를 수행하고 샘플을 처리할 수 있다.[6]

포화 잠수 기술을 통해 아쿠아노트들은 며칠 또는 몇 주 동안 수중에서 생활하고 작업할 수 있다. 아쿠아리우스 서식지에서 생활하며 해저에서 동일한 깊이에서 작업함으로써 아쿠아리우스 아쿠아노트들은 임무 기간 동안 수중에 머물 수 있다. 아쿠아리우스를 통한 포화 잠수는 한 번에 최대 9시간까지 다이빙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표면 다이빙(1~2시간)보다 훨씬 긴 시간이다. 이러한 긴 다이빙 시간은 다른 방법으로는 불가능한 관찰을 가능하게 한다.[6][7] 아쿠아리우스 외부에 있는 산호초의 중간 기착지에서는 아쿠아노트들이 다이빙 중에 스쿠버 탱크를 다시 채울 수 있다.[6]

3. 구조

아쿠아리우스는 세 개의 구획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에 대한 접근은 습식 현관을 통해 이루어진다. 습식 현관은 문 풀이 갖춰진 챔버로, 약 2.6 기압의 해당 깊이에서의 수압과 동일한 공기 압력(주위 압력)을 유체 정역학을 통해 유지한다.[8] 주요 구획은 잠수함과 같이 정상적인 대기압을 유지할 수 있을 만큼 튼튼하며, 주위 압력으로 가압할 수도 있으며, 일반적으로 그 중간의 압력을 유지한다. 가장 작은 구획인 출입 록은 다른 두 구획 사이에 있으며, 압력이 습식 현관 또는 주요 구획에 맞게 조정되는 동안 승무원이 대기하는 에어록 역할을 한다.[8]

다른 관점의 서식지


이 설계는 승무원이 표면에 도달했을 때 감압 챔버 없이 표면으로 돌아갈 수 있게 해준다. 승무원은 압력이 서서히 감소하면서 상승하기 전에 주요 구획 내에서 17시간 동안 머물러, 상승 후 잠수병을 겪지 않도록 한다.[8]

3. 1. 습식 현관 (Wet Porch)

아쿠아리우스는 세 개의 구획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에 대한 접근은 습식 현관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습식 현관은 문 풀이 갖춰진 챔버로, 약 2.6 기압의 해당 깊이에서의 수압과 동일한 공기 압력(주위 압력)을 유체 정역학을 통해 유지한다.[8] 주요 구획은 잠수함과 같이 정상적인 대기압을 유지할 수 있을 만큼 튼튼하며, 주위 압력으로 가압할 수도 있으며, 일반적으로 그 중간의 압력을 유지한다. 가장 작은 구획인 출입 록은 다른 두 구획 사이에 있으며, 압력이 습식 현관 또는 주요 구획에 맞게 조정되는 동안 승무원이 대기하는 에어록 역할을 한다.[8]

이 설계는 승무원이 표면에 도달했을 때 감압 챔버 없이 표면으로 돌아갈 수 있게 해준다. 승무원은 압력이 서서히 감소하면서 상승하기 전에 주요 구획 내에서 17시간 동안 머물러, 상승 후 잠수병을 겪지 않도록 한다.[8]

3. 2. 주 거주 구역 (Main Compartment)

아쿠아리우스는 세 개의 구획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에 대한 접근은 습식 현관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습식 현관은 문 풀이 갖춰진 챔버로, 약 2.6 기압의 해당 깊이에서의 수압과 동일한 공기 압력(주위 압력)을 유체 정역학을 통해 유지한다.[8] 주요 구획은 잠수함과 같이 정상적인 대기압을 유지할 수 있을 만큼 튼튼하며, 주위 압력으로 가압할 수도 있으며, 일반적으로 그 중간의 압력을 유지한다.[8] 가장 작은 구획인 출입 록은 다른 두 구획 사이에 있으며, 압력이 습식 현관 또는 주요 구획에 맞게 조정되는 동안 승무원이 대기하는 에어록 역할을 한다.[8]

이 설계는 승무원이 표면에 도달했을 때 감압 챔버 없이 표면으로 돌아갈 수 있게 해준다.[8] 승무원은 압력이 서서히 감소하면서 상승하기 전에 주요 구획 내에서 17시간 동안 머물러, 상승 후 잠수병을 겪지 않도록 한다.[8]

3. 3. 출입 록 (Entry Lock)

아쿠아리우스는 세 개의 구획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에 대한 접근은 습식 현관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습식 현관은 문 풀이 갖춰진 챔버로, 약 2.6 기압의 해당 깊이에서의 수압과 동일한 공기 압력(주위 압력)을 유체 정역학을 통해 유지한다.[8] 주요 구획은 잠수함과 같이 정상적인 대기압을 유지할 수 있을 만큼 튼튼하며, 주위 압력으로 가압할 수도 있으며, 일반적으로 그 중간의 압력을 유지한다.[8]

출입 록은 다른 두 구획(습식 현관, 주요 구획) 사이에 있으며, 압력이 습식 현관 또는 주요 구획에 맞게 조정되는 동안 승무원이 대기하는 에어록 역할을 한다.[8]

이러한 설계 덕분에 승무원은 표면에 도달했을 때 감압 챔버 없이 표면으로 돌아갈 수 있다.[8] 승무원은 압력이 서서히 감소하면서 상승하기 전에 주요 구획 내에서 17시간 동안 머물러, 상승 후 잠수병을 겪지 않도록 한다.[8]

4. 해저 임무 및 연구

아쿠아리우스에서는 여러 차례 허리케인으로 인해 임무가 취소되었다. 1994년 허리케인 고든 당시에는 서식지 발전기 화재로 인해 승무원들이 대피해야 했다.[9][10] 1998년 허리케인 조지스는 아쿠아리우스를 거의 파괴했으며, 같은 해 허리케인 미치는 아쿠아넛의 스쿠버 탱크 재충전 시설을 파괴했다.[9] 2005년 허리케인 리타는 해저 앵커 두 개를 파손시키고 아쿠아리우스를 이동시켰으며,[9][11] 2017년 허리케인 어마는 생명 유지 부표를 유실시키고 수중 생활 공간 등에 피해를 입혔다.[12] 이러한 자연재해에도 불구하고, 2008년까지 과학자나 직원이 부상당한 경우는 없었다.[9]

2001년부터 NASA는 NEEMO(NASA 극한 환경 임무 작전) 유사 임무를 위해 아쿠아리우스를 활용하여 우주 탐사 임무를 시뮬레이션하고 있다.[13][14] 수중 환경은 우주와 유사하며, 아쿠아넛은 우주선 생활을 시뮬레이션하고 우주 유영 기술을 테스트할 수 있다. NASA는 수중 환경의 이점을 활용하여 다양한 중력 환경을 시뮬레이션한다.[14]

2009년 5월에는 다이버 듀이 스미스가 아쿠아리우스에서 다이빙 중 사망하는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다.[7][15] 조사 결과, 그의 인스피레이션/Inspiration영어 폐쇄 회로 혼합 가스 리브리더의 전자 기능 고장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밝혀졌다.[16]

2012년 예산 삭감으로 NOAA는 아쿠아리우스에 대한 자금 지원을 중단했으며,[17] 이로 인해 운영 중단 위기에 처했다. 하지만, 2012년 7월 임무에 실비아 얼이 참여하여 아쿠아리우스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알렸다.[17][18] 운영 유지를 위해 아쿠아리우스 재단이 설립되었고,[17][18] 셔먼의 라군 만화에서 아쿠아리우스 폐쇄 가능성과 중요성을 다루기도 했다.[19] 다행히도 2013년 플로리다 국제 대학교가 운영을 재개했다.[2]

2014년 파비앙 쿠스토는 아쿠아리우스에서 31일 동안 생활하고 작업하며 자크 쿠스토의 수중 탐험에 경의를 표했다.[20][21] 이 임무는 10편의 과학 논문을 작성하기에 충분한, 2년치에 해당하는 수면 다이빙 데이터를 수집하는 성과를 거두었다.[20]

4. 1. 주요 연구 활동

아쿠아리우스에서는 1994년 허리케인 고든 발생 당시 발전기 화재로 인해 과학자와 다이버들이 대피해야 했고,[9][10] 1998년 허리케인 조지스는 아쿠아리우스를 거의 파괴했으며, 같은 해 허리케인 미치는 아쿠아넛의 스쿠버 탱크 재충전 시설을 파괴했다.[9] 2005년 허리케인 리타는 해저 앵커 두 개를 파손시키고 아쿠아리우스를 이동시켰으며,[9][11] 2017년 허리케인 어마는 생명 유지 부표를 유실시키고 수중 생활 공간 등에 피해를 입혔다.[12] 이러한 허리케인으로 인해 여러 임무가 취소되었지만, 2008년까지 과학자나 직원이 부상당한 경우는 없었다.[9]

2001년부터 NASA는 NEEMO(NASA 극한 환경 임무 작전) 유사 임무를 위해 아쿠아리우스를 활용하여 우주 탐사 임무를 시뮬레이션하고 있다.[13][14] 수중 환경은 우주와 유사하며, 아쿠아넛은 우주선 생활을 시뮬레이션하고 우주 유영 기술을 테스트할 수 있다.[13] NASA는 수중 환경의 이점을 활용하여 다양한 중력 환경을 시뮬레이션한다.[14]

2009년 5월에는 다이버 듀이 스미스가 아쿠아리우스에서 다이빙 중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7][15] 조사 결과, 그의 Inspiration 폐쇄 회로 혼합 가스 리브리더의 전자 기능 고장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밝혀졌다.[16]

2012년 예산 삭감으로 NOAA는 아쿠아리우스에 대한 자금 지원을 중단했으며,[17] 2012년 7월 임무에는 실비아 얼이 참여했다.[17][18] 운영 유지를 위해 아쿠아리우스 재단이 설립되었고,[17][18] 셔먼의 라군 만화에서 아쿠아리우스 폐쇄 가능성과 중요성을 다루기도 했다.[19] 2013년 플로리다 국제 대학교가 운영을 재개했다.[2]

2014년 파비앙 쿠스토는 아쿠아리우스에서 31일 동안 생활하고 작업하며 자크 쿠스토의 수중 탐험에 경의를 표했다.[20][21] 이 임무를 통해 10편의 과학 논문을 작성하기에 충분한 데이터를 수집했다.[20]

4. 2. NASA NEEMO 프로젝트

NASA는 2001년부터 NEEMO(NASA 극한 환경 임무 작전) 유사 임무를 위해 아쿠아리우스 연구소를 사용해 왔으며, 우주 비행사 그룹을 보내 유인 우주 비행 우주 탐사 임무를 시뮬레이션했다.[13][14] 우주와 마찬가지로 수중 세계는 인간이 살기에 적대적이고 이질적인 장소이며, NEEMO 승무원은 멀리 떨어진 소행성, 행성 또는 달에서 겪는 것과 유사한 어려움을 겪는다. NEEMO 임무 동안 아쿠아넛은 우주선에서 생활하는 것을 시뮬레이션하고 미래의 우주 임무를 위한 우주 유영 기술을 테스트할 수 있다. 수중 환경은 NASA가 아쿠아넛의 "무게"를 조절하여 다양한 중력 환경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는 추가적인 이점을 제공한다.[13][14]

아쿠아리우스에서 여러 임무가 허리케인 활동으로 인해 취소되었다. 1994년 허리케인 고든 동안, 과학자와 다이버로 구성된 승무원들은 서식지의 발전기 중 하나에 화재가 발생한 후, 4.6m 파도 속에서 아쿠아리우스를 대피하고 구조 라인을 타고 수면으로 올라가야 했다.[9][10] 1998년, 허리케인 조지스는 아쿠아리우스를 거의 파괴하여 다리의 관절을 부러뜨리고, 습식 현관에 있던 두 개의 3,629kg 무게추를 구조물 밖으로 거의 밀어냈다. 1998년 후반의 허리케인 조지스와 허리케인 미치는 또한 아쿠아넛의 스쿠버 탱크를 재충전하는 데 사용되는 아쿠아리우스 외부의 경유지를 파괴했다.[9] 2005년, 허리케인 리타는 서식지의 해저 앵커 두 개를 부러뜨리고 아쿠아리우스의 한쪽 끝을 3.7m 이동시켰다.[9][11] 2017년, 허리케인 어마는 서식지의 42,638kg 생명 유지 부표를 계류 장치에서 찢어내어 23km 떨어진 리그넘 바이테 채널로 날려 보냈으며, 수중 생활 공간과 습식 현관 구역에도 피해를 입혔다.[12] 2008년 기준으로, 폭풍으로 인해 아쿠아리우스에서 과학자나 직원이 부상당한 경우는 없었다.[9]

2009년 5월, 듀이 스미스라는 다이버가 아쿠아리우스에서 다이빙을 하던 중 사망했다.[7][15] 이후의 조사 결과 스미스의 사망 원인은 인근에서 사용된 유압 충격 해머로 인한 수력학적 힘으로 인해 그의 인스피레이션/Inspiration영어 폐쇄 회로 혼합 가스 리브리더의 전자 기능이 고장난 것을 포함한 여러 요인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밝혀졌다.[16]

예산 삭감으로 인해 NOAA는 2012년 9월 이후 아쿠아리우스에 대한 자금 지원을 중단했으며, 2012년 7월 임무 이후 추가 임무는 계획되지 않았다. 2012년 7월 임무에는 선구적인 여성 다이버 실비아 얼이 아쿠아넛 승무원으로 참여했다. 아쿠아리우스 재단이 아쿠아리우스를 계속 운영하기 위해 설립되었다.[17][18] 2013년 1월, 플로리다 국제 대학교 행정부에서 아쿠아리우스를 계속 운영하자는 제안이 받아들여졌다.[2] 2014년 6월 1일부터 7월 2일까지 파비앙 쿠스토와 그의 승무원은 아쿠아리우스에서 31일 동안 생활하고 작업하며 1963년 자크 쿠스토의 30일 수중 탐험에 헌사를 바쳤다. 쿠스토는 팀이 임무 동안 2년치에 해당하는 수면 다이빙 데이터를 수집했으며, 이는 10편의 과학 논문을 작성하기에 충분하다고 추정했다.[20][21]

4. 3. 사고 및 사건

아쿠아리우스에서는 여러 차례 허리케인으로 인해 임무가 취소되었다. 1994년 허리케인 고든 당시에는 서식지 발전기 화재로 인해 승무원들이 대피해야 했다.[9][10] 1998년 허리케인 조지스는 아쿠아리우스를 거의 파괴했으며, 이후의 허리케인 조지스와 허리케인 미치는 아쿠아넛의 스쿠버 탱크 재충전 시설을 파괴했다.[9] 2005년 허리케인 리타는 앵커를 부러뜨리고 서식지를 이동시켰다.[9][11] 2017년 허리케인 어마는 생명 유지 부표를 유실시키고 수중 생활 공간 등에 피해를 입혔다.[12] 하지만 이러한 폭풍으로 인해 과학자나 직원이 부상당한 경우는 없었다.[9]

2009년 5월에는 듀이 스미스라는 다이버가 아쿠아리우스에서 다이빙 중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했다.[7][15] 조사 결과, 근처에서 사용된 유압 충격 해머로 인한 수력학적 힘이 그의 Inspiration 폐쇄 회로 혼합 가스 리브리더의 전자 기능 고장을 유발한 것을 포함한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밝혀졌다.[16]

2001년부터 NASA는 NEEMO(NASA 극한 환경 임무 작전) 유사 임무를 위해 아쿠아리우스를 활용하여 우주 탐사 임무를 시뮬레이션해 왔다. 수중 환경은 우주와 유사하게 인간에게 적대적인 환경이며, NEEMO 임무를 통해 우주 비행사들은 소행성, 행성, 달 탐사와 유사한 어려움을 겪으며 우주 유영 기술을 시험할 수 있다.[13][14]

2012년에는 예산 삭감으로 운영 중단 위기에 처했으나, 아쿠아리우스 재단이 설립되어 운영을 지속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17][18] 2013년 플로리다 국제 대학교의 제안이 받아들여져 운영이 재개되었다.[2] 2014년 파비앙 쿠스토는 아쿠아리우스에서 31일 동안 생활하고 작업하며 자크 쿠스토의 수중 탐험에 경의를 표했다.[20][21]

4. 4. 운영 중단 위기와 극복

1994년 허리케인 고든 동안, 과학자와 다이버들은 서식지의 발전기 화재 발생 후, 높은 파도 속에서 아쿠아리우스를 대피하고 구조 라인을 타고 수면으로 올라가야 했다.[9][10] 1998년 허리케인 조지스는 아쿠아리우스를 거의 파괴했으며, 같은 해 후반의 허리케인 조지스와 허리케인 미치는 아쿠아넛의 스쿠버 탱크 재충전 장소인 아쿠아리우스 외부의 경유지를 파괴했다.[9] 2005년 허리케인 리타는 서식지의 해저 앵커 두 개를 부러뜨리고 아쿠아리우스의 한쪽 끝을 이동시켰다.[9][11] 2017년 허리케인 어마는 생명 유지 부표를 찢어내고 수중 생활 공간과 습식 현관 구역에 피해를 입혔다.[12] 폭풍으로 인해 아쿠아리우스에서 과학자나 직원이 부상당한 경우는 없었다.[9]

2001년부터 NASA는 NEEMO(NASA 극한 환경 임무 작전) 유사 임무를 위해 아쿠아리우스를 사용해 왔으며, 우주 비행사 그룹을 보내 우주 탐사 임무를 시뮬레이션했다. NEEMO 임무 동안 아쿠아넛은 우주선 생활을 시뮬레이션하고 미래 우주 임무를 위한 우주 유영 기술을 테스트한다.[13][14]

2009년 5월, 다이버 듀이 스미스가 아쿠아리우스에서 다이빙 중 사망했다. 조사 결과, 스미스의 사망 원인은 인근에서 사용된 유압 충격 해머로 인한 수력학적 힘으로 인해 그의 리브리더의 전자 기능이 고장난 것을 포함한 여러 요인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밝혀졌다.[16]

예산 삭감으로 인해 2012년 9월 이후 NOAA는 아쿠아리우스에 대한 자금 지원을 중단했으며, 추가 임무는 계획되지 않았다. 2012년 7월 임무에는 실비아 얼이 아쿠아넛 승무원으로 참여했다.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윌밍턴도 운영을 지속할 자금을 제공할 수 없었다. 아쿠아리우스 재단이 운영 유지를 위해 설립되었으며,[17][18] 2013년 1월, 플로리다 국제 대학교의 제안이 받아들여져 아쿠아리우스 운영이 계속되었다.[2]

2014년 6월 1일부터 7월 2일까지 파비앙 쿠스토와 그의 승무원은 아쿠아리우스에서 31일 동안 생활하고 작업하며 자크 쿠스토의 30일 수중 탐험에 헌사를 바쳤다. 쿠스토는 팀이 임무 동안 2년치에 해당하는 수면 다이빙 데이터를 수집했으며, 이는 10편의 과학 논문을 작성하기에 충분하다고 추정했다.[20][21]

4. 5. 미션 31

아쿠아리우스에서는 여러 임무가 허리케인 활동으로 인해 취소되었다. 1994년 허리케인 고든 동안, 과학자와 다이버들은 서식지의 발전기 화재 발생 후, 4.6m 파도 속에서 아쿠아리우스를 대피하고 구조 라인을 타고 수면으로 올라가야 했다.[9][10] 1998년, 허리케인 조지스는 아쿠아리우스를 거의 파괴하여 다리의 관절을 부러뜨리고, 습식 현관에 있던 두 개의 3,629kg 무게추를 구조물 밖으로 밀어냈다. 1998년 후반의 허리케인 조지스와 허리케인 미치는 아쿠아넛의 스쿠버 탱크를 재충전하는 데 사용되는 아쿠아리우스 외부의 경유지를 파괴했다.[9] 2005년, 허리케인 리타는 서식지의 해저 앵커 두 개를 부러뜨리고 아쿠아리우스의 한쪽 끝을 3.7m 이동시켰다.[9][11] 2017년, 허리케인 어마는 서식지의 42,638kg 생명 유지 부표를 계류 장치에서 찢어내어 23km 떨어진 리그넘 바이테 채널로 날려 보냈으며, 수중 생활 공간과 습식 현관 구역에도 피해를 입혔다.[12] 2008년 기준으로, 폭풍으로 인해 아쿠아리우스에서 과학자나 직원이 부상당한 경우는 없었다.[9]

2001년부터 NASA는 NEEMO(NASA 극한 환경 임무 작전) 유사 임무를 위해 아쿠아리우스를 사용해 왔으며, 우주 비행사 그룹을 보내 우주 탐사 임무를 시뮬레이션했다. NEEMO 승무원은 소행성, 행성 또는 달에서 겪는 것과 유사한 어려움을 겪는다. 아쿠아리우스에서 진행되는 NEEMO 임무 동안 아쿠아넛은 우주선에서 생활하는 것을 시뮬레이션하고 미래의 우주 임무를 위한 우주 유영 기술을 테스트할 수 있다. 수중 환경은 NASA가 아쿠아넛의 "무게"를 조절하여 다양한 중력 환경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13][14]

2009년 5월, 듀이 스미스가 아쿠아리우스에서 다이빙 중 사망했다.[7][15] 조사 결과 스미스의 사망 원인은 인근에서 사용된 유압 충격 해머로 인한 수력학적 힘으로 인해 그의 Inspiration 폐쇄 회로 혼합 가스 리브리더의 전자 기능이 고장난 것을 포함한 여러 요인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밝혀졌다.[16]

예산 삭감으로 인해 NOAA는 2012년 9월 이후 아쿠아리우스에 대한 자금 지원을 중단했으며, 2012년 7월 임무 이후 추가 임무는 계획되지 않았다. 2012년 7월 임무에는 실비아 얼이 참여했다. 노스캐롤라이나 대학교 윌밍턴도 운영을 지속할 자금을 제공할 수 없었다. 아쿠아리우스 재단이 아쿠아리우스를 계속 운영하기 위해 설립되었다.[17][18] 2013년 1월, 플로리다 국제 대학교 행정부에서 아쿠아리우스를 계속 운영하자는 제안이 받아들여졌다.[2]

2014년 6월 1일부터 7월 2일까지 파비앙 쿠스토와 그의 승무원은 아쿠아리우스에서 31일 동안 생활하고 작업하며 1963년 자크 쿠스토의 30일 수중 탐험에 헌사를 바쳤다. 쿠스토는 팀이 임무 동안 2년치에 해당하는 수면 다이빙 데이터를 수집했으며, 이는 10편의 과학 논문을 작성하기에 충분하다고 추정했다.[20][21]

5. 한국 해양 과학 및 우주 개발에의 시사점

참조

[1] 논문 Aquarius undersea laboratory: The next generation http://archive.rubic[...] 2012-02-26
[2] 웹사이트 It's Official: Aquarius Reef Base still in business http://www.advanceda[...] Pomacanthus Publications 2013-01-15
[3] 웹사이트 Medina Aquarius Program https://environment.[...] 2021-05-25
[4] 논문 Training, equipment, and operational procedures for conducting scientific saturation diving activities http://archive.rubic[...] 2013-04-16
[5] 서적 Sealab: America's Forgotten Quest to Live and Work on the Ocean Floor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6] 서적 Chasing Science at Sea: Racing Hurricanes, Stalking Sharks, & Living Undersea With Ocean Experts https://archive.org/[...]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7] 서적 Sealab : America's forgotten quest to live and work on the ocean floor http://archive.org/d[...] New York : Simon & Schuster 2012
[8] 웹사이트 Deep Science @ National Geographic Magazine - National Geographic Online Extra https://web.archive.[...]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03-09
[9] 서적 Chasing Science at Sea: Racing Hurricanes, Stalking Sharks, and Living Undersea with Ocean Expert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9-05-15
[10] 웹사이트 Divers http://consumer.heal[...] HealthDay 2011-03-20
[11] 간행물 Seabee Divers Help NOAA Restore Aquarius Undersea Lab https://web.archive.[...] 2006-01
[12] 웹사이트 Irma battered, but didn't beat, this beloved underwater lab http://www.miamihera[...] Miami Herald 2017-09-27
[13] 웹사이트 About NEEMO (NASA Extreme Environment Mission Operations) http://www.nasa.gov/[...] 2015-06-24
[14] 뉴스 Astronauts to Aquanauts; NASA Conducts Experiments on Sea Floor https://www.voanews.[...] VOA 2010-05-21
[15] 뉴스 Aquarius diver's death remains a question https://web.archive.[...] Cooke Communications 2009-05-09
[16] 웹사이트 External Review Board Report of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http://aaus.membercl[...] American Academy of Underwater Sciences 2009-08-27
[17] 웹사이트 Searching for the Ocean's Secrets From the Last Undersea Base https://gizmodo.com/[...] Gawker Media 2012-07-13
[18] 웹사이트 How Humans Learned To Live Under Water http://gizmodo.com/5[...] Gawker Media 2012-08-03
[19] 웹사이트 This Week in Comics: What To Read - DailyINK Blog https://web.archive.[...] King Features Syndicate 2012-09-17
[20] 뉴스 Fabien Cousteau Calls the Ocean 'Second Home' After 31-Day Undersea Mission https://abcnews.go.c[...] ABC News 2014-07-02
[21] 뉴스 5 Things to Know About Cousteau's Undersea Mission https://abcnews.go.c[...] 2014-07-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