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흐마드 샤 두라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흐마드 샤 두라니는 본래 아흐마드 칸으로 불렸으며, 압달리 부족 출신으로 1747년 샤로 즉위한 후 두라니 부족의 이름을 따서 '아흐마드 샤'로 알려졌다. 그는 아프가니스탄의 건국자로 여겨지며, 1747년부터 1769년까지 인도를 여섯 차례 침략했다. 나디르 샤의 휘하에서 장군으로 활약하다가 그의 사후 독립하여 칸다하르를 수도로 아프가니스탄 최초의 샤가 되었다. 그는 호라산과 투르키스탄 원정을 감행했으며, 1761년 제3차 파니파트 전투에서 마라타 연합을 격파했다. 또한 파슈토어와 페르시아어로 시를 썼으며, 대중문화에서도 묘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프가니스탄의 군주 - 모하마드 자히르 샤
모하마드 자히르 샤는 1933년부터 1973년까지 아프가니스탄의 마지막 국왕으로, 국제 관계 증진, 현대화 추진, 입헌군주제 도입 등을 통해 아프가니스탄을 통치했으며, 쿠데타로 망명 후 귀국하여 국부로 존경받다 2007년에 사망했다. - 두라니 샤 - 샤 슈자 두라니
샤 슈자 두라니는 1803년부터 1809년까지, 그리고 1839년에 영국과 시크 왕국의 지원을 받아 아프가니스탄의 국왕을 역임했으며, 1842년 암살당했다.
아흐마드 샤 두라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칭호 | 파디샤, 가지, 샤 두르-이-두란 ("왕, 진주 중의 진주") |
이름 | 아흐마드 샤 압달리 |
출생명 | 아흐마드 칸 압달리 |
출생 | 1720년–1722년 |
출생지 | 헤라트, 사도자이 헤라트 술탄국 (현재의 아프가니스탄) 또는 물탄, 무굴 제국 (현재의 파키스탄) |
사망일 | 1772년 6월 4일 |
사망지 | 마루프, 칸다하르 주, 두라니 제국 (현재의 아프가니스탄) |
매장일 | 1772년 6월 |
매장지 | 아흐마드 샤 두라니 무덤, 칸다하르, 아프가니스탄 31 |
종교 | 수니파 이슬람교 |
아버지 | 모하마드 자만 칸 압달리 |
어머니 | 자르그호나 아나 |
![]() | |
통치 | |
재위 | 1747년 7월 – 1772년 6월 4일 |
대관식 | 1747년 7월 |
선대 | 자리 신설 |
후대 | 티무르 샤 두라니 |
왕조 | 두라니 왕조 |
배우자 | |
배우자 | 하자트 베굼 (1757년 결혼) 이파트-운-니사 베굼 (1757년 결혼) |
2. 이름 및 칭호
출생 이름은 아마드 칸(Ahmad Khan)이었으며, 압달리 부족 출신이다. 1747년 권력을 장악한 후 아마드 샤(Ahmad Shah)로 알려지게 되었고, 그의 부족 또한 압달리(Abdali)에서 두라니로 이름을 바꾸었다. 아프가니스탄 사람들은 그를 종종 "아마드 샤 바바"(Ahmad Shāh Bābā), 즉 "아마드 샤, 건국의 아버지"라고 부른다.
아흐마드 샤 두라니는 아브달리 족 세습 족장 모하마드 자만 칸의 아들로, 귀족 가문 출신이다. 페르시아 아브달리 기병대를 지휘하다가 1747년 로야 지르가에서 아프가니스탄 최초의 샤로 추대되어 왕위에 올랐으며, 칸다하르를 수도로 정했다.[1] 그의 출생 이름은 아마드 칸이었으나, 권력을 장악한 후 아마드 샤로 알려지게 되었고, 그의 부족 또한 압달리에서 두라니로 이름을 바꾸었다.[4] 아프가니스탄 사람들은 그를 "아마드 샤 바바", 즉 "건국의 아버지"라고 부른다.[5]
역사적 자료에서 그의 부족 이름은 압달리(Abdali)와 두라니가 혼용되며, 아마드 샤 압달리(Ahmad Shah Abdali)라는 이름으로도 흔히 불린다.
3. 생애
1747년부터 1769년까지 인도를 여섯 차례에 걸쳐 침략하였으며, 1749년 헤라트를 정복하고, 1750년 마슈하드와 니샤푸르를 함락시켰다. 1751년에는 무굴朝로부터 펀자브와 카슈미르를 할양받았다. 1761년 1월 14일에는 제3차 파니파트 전투에서 마라타 연합의 군세를 격파하여 그들의 북진을 저지하고 연합을 와해시키는 데 성공했다.
3. 1. 초기 생애
아흐마드 샤는 1720년에서 1722년 사이에 헤라트, 아프가니스탄 또는 물탄, 파키스탄 중 한 곳에서 태어났다. 그의 출생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4] 아흐마드 샤의 아버지 자만 칸은 헤라트 사도자이 술탄국의 통치자였다. 자만 칸은 1721년에 사망하여 아흐마드 샤는 그의 형인 줄피카르 칸과 함께 신단드와 파라에서 자랐다. 1720년대 중반, 줄피카르 칸은 헤라트를 통치하도록 초청받았다.[5] 1730년대 초, 줄피카르 칸이 나디르 샤에게 패배하여 줄피카르 칸과 아흐마드 샤는 칸다하르로 도망쳐 후세인 호타크의 정치적 포로가 되었다.[5][6][7]
나디르 샤가 칸다하르를 정복한 후, 아흐마드 샤와 줄피카르 칸은 석방되었다. 아흐마드 샤는 초기 생애의 많은 부분을 나디르 샤를 섬기며 보냈다. 인도 침공에 동행한 아흐마드 샤는 나중에 그의 형과 함께 마잔다란에 정착했다. 이란니카는 아흐마드 샤가 마잔다란의 주지사가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힌다.[8] 그의 형이 사망한 후, 아흐마드 샤는 1742년 아프샤르 군대에 입대했다. 일부 자료에 따르면 줄피카르 칸만 마잔다란으로 떠났고 아흐마드 샤는 나디르 샤의 휘하 장교로 남았다고 한다.
나디르 샤의 인도 침공 동안, 아흐마드 샤는 개인적으로 연대의 두라니 부족민들을 지휘했다. 아흐마드 샤의 군대는 1739년 나디르 샤의 군대와 함께 델리에서 학살을 자행하고 약탈했다. 전설에 따르면, 니잠 울-물크, 무굴의 하이데라바드 주지사이자 골상학 전문가였던 그는 아마드 샤가 왕이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 나디르 샤는 이것에 주목했고 그 예언을 믿었으며, 아마드 샤의 귀의 일부를 잘라내면서 "네가 왕이 되면 이것이 나를 떠올리게 할 것이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나디르 샤는 또한 아마드 샤에게 그의 후손들에게 관대할 것을 요청했다. 네자티는 이 이야기에 대해 회의적이다.
1744년, 아마드 샤는 나디르 샤의 개인 참모로 승진했다. 오스만 제국에 대한 원정에서 아마드 샤는 두각을 나타냈고 나디르 샤로부터 3,000~4,000명의 두라니 부족민으로 구성된 부대를 모을 수 있었다. 아마드 샤의 부대는 나디르 샤가 가장 신뢰하는 부대 중 하나가 되었고, 다른 지휘관들이 반란을 일으키거나 그를 죽일 계획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에 그들의 힘을 분쇄하는 데 사용되었다.
3. 2. 나디르 샤의 죽음
1747년 6월, 나디르 샤는 자신의 근위대가 자신을 암살하려 한다고 의심했다. 그는 아흐마드 샤에게 근위병 체포를 명령했지만, 계획이 누설되어 음모자들이 먼저 나디르 샤를 암살했다.[1][2] 암살 이후 혼란 속에서, 아흐마드 샤는 나디르 샤의 시신에서 코히누르 다이아몬드와 인장 반지를 가져갔다.[3][4]
그 후 아흐마드 샤는 자신의 군대와 우즈베크 동맹군과 함께 칸다하르로 향했다. 그는 두라니 부족민들의 지도권을 확보하고, 칸다하르 총독이었던 자신의 삼촌을 제거하여 군대에 대한 완전한 권력을 확보했다.[5]
3. 3. 칸다하르로의 귀환과 즉위
아브달리 족 세습 족장 모하마드 자만 칸의 아들로, 귀족 가문 출신인 아흐마드 샤 두라니는 1747년 나디르 샤 사후 칸다하르로 진군하여 아프샤르 왕조로부터 독립했다. 같은 해 10월, 로야 지르가에서 아프가니스탄 최초의 샤로 추대되어 아프가니스탄의 정치적 독립을 확립했다.[5]
칸다하르에 도착한 아흐마드 샤는 나데라바드에 진을 치고 왕으로 즉위할 준비를 했다.[1] 전설에 따르면 아흐마드 샤는 지르가를 선포하여 모든 부족 지도자들을 소환했고, 그들은 만장일치로 아흐마드 샤를 왕으로 선출했다.[1] 그런 다음 아흐마드 샤의 터번에 밀이나 보리 한 톨을 올려놓았다고 한다.[1] 싱은 이러한 설명을 인용하지만, 이러한 일이 실제로 일어났다는 것을 뒷받침하는 당대의 증거는 없다고 한다.[1]
실제로 아흐마드 샤는 9명의 군사평의회를 통해 권력을 잡았다.[2] 아흐마드 샤의 즉위는 바라크자이 부족의 지도자인 자말 칸에 의해 더욱 논쟁의 여지가 있었다.[2] 바라크자이 부족은 칸다하르와 헬만드 지역을 중심으로 두라니 부족에서 가장 강력한 씨족이었다.[2] 즉위를 둘러싼 분쟁은 자말 칸이 아흐마드 샤를 왕으로 인정하고, 아흐마드 샤는 자말 칸과 그의 후손을 와지르로 임명하는 합의가 이루어질 때까지 계속되었다.[2] 합의가 이루어지자 아흐마드 샤의 고문인 사비르 샤는 푸른 잎이나 줄기를 가져다 아흐마드 샤의 모자에 꽂아 공식적으로 그를 왕으로 즉위시켰다.[2] 학자들은 아흐마드 샤의 권력 장악이 선거가 아니라 사실상 군사 쿠데타였다고 말한다.[2]
즉위 후 아흐마드 샤는 "진주 중의 진주"라는 뜻의 "두르-이 두라니"라는 칭호를 채택하고 자신의 부족 이름을 아프달리에서 두라니로 변경했다.[3]
3. 4. 통치 (1747-1772)
아마드 샤는 아브달리 족 세습 족장 모하마드 자만 칸의 아들로, 귀족 가문 출신이다. 페르시아 아브달리 기병대를 지휘하다가 샤로 뽑혔다. 1747년 왕위에 오르며 칸다하르를 수도로 정했다.[1] 초기 제국은 칸다하르, 헬만드, 파라를 포함했다. 하자라인들과 발라 무르가브 지역, 그리고 칼라트의 나시르 칸 1세도 아프가니스탄의 종주권 하에 있었다.[2]
아마드 샤는 행정 경험이 없었고, 그의 측근들도 마찬가지였다. 그는 무굴 제국과 사파비 왕조와 유사한 통치 방식을 채택하여 절대 군주제에 기반한 정부를 구상했다. 아마드 샤와 함께 부족 평의회가 통치하며 일종의 내각 역할을 했다. 그러나 아마드 샤는 내각의 직위를 세습으로 만들어 갈등을 일으키지 않고는 고문을 해임하기 어렵게 만들었다. 그러나 그들의 역할은 대부분 순전히 법률상의 것이었고, 업무는 하급 관리들에게 위임되었다.[3]
제국의 공무원들은 대부분의 두라니 엘리트 계층이 문맹이었기 때문에 키질바시가 주도했다. 키질바시는 또한 아마드 샤의 경호대의 주요 부분을 구성하여 다른 두라니 지도자들과 부족들을 견제했다. 복잡하고 사실상 분열된 정부는 행정 기능을 어렵게 만들었고, 키질바시와 아마드 샤의 부족 평의회 사이에 민족적 긴장을 야기했다.[4]
아마드 샤가 자신의 부족에 대한 과세를 면제한 것은 더 큰 문제를 야기했다. 다른 아프간 부족과 민족들은 제국의 행정부에서 일할 수 없었던 것처럼 불만을 품었다. 아마드 샤가 세금 징수권을 최고가 입찰자에게 넘겨준 것이 이를 더욱 악화시켰다. 이 경매의 승자들은 대개 아마드 샤 자신의 부족 구성원들이었고, 원하는 만큼 세금을 부과하는 데 있어 완전히 자유로웠다. 두라니 부족 구성원들은 급속히 부유해졌지만, 일부 지주들은 완전한 채무에 시달려 땅을 팔거나 왕국을 떠나야 했고, 아마도 그들을 파산으로 몰아넣은 두라니 사람들에게 땅을 빼앗겼을 것이다.[5]
아마드 샤는 유능한 행정부를 설립하는 대신, 자신을 나디르 샤의 계승자로 여기는 데 집중했다. 그는 전쟁과 군사 원정에 집중하여 국고를 충당했고, 어떤 침체도 전리품으로 쉽게 해결했다. 그의 통치 기간 동안 그는 제국의 수도인 칸다하르에 거의 머무르지 않았고, 대신 군사 원정을 수행하여 분쟁 후 안정을 회복하기 위해 돌아왔다. 그의 통치 말년까지 아마드 샤는 15차례가 넘는 군사 원정을 수행했다.[6]
4. 군사 원정
아흐마드 샤 두라니는 아브달리 족 세습 족장 모하마드 자만 칸의 아들이자 아프샤르朝의 군주 나디르 샤를 섬기는 장군이었다.[3] 나디르 샤 사후, 1747년 칸다하르로 진군하여 아프샤르朝로부터 독립하고, 같은 해 10월 로야 지르가에서 아프가니스탄 최초의 샤로 추대되었다.[3]
1749년 봄, 2만 5천 명의 군대를 이끌고 헤라트를 정복하고, 마슈하드와 니샤푸르를 공격하여 1750년 봄에는 아프샤르朝의 수도 니샤푸르를 함락시켰다.[3] 1751년에는 동쪽으로 이동하여 인도의 무굴朝로부터 펀자브와 카슈미르를 할양받았다.[3] 1761년 1월 14일에는 제3차 파니파트 전투에서 마라타 연합의 군세를 격파하여 그들의 북진을 저지하고 연합을 와해시켰다.[3]
아흐마드 샤 두라니는 1747년부터 1769년까지 여섯 차례에 걸쳐 인도를 침략했다.
4. 1. 카불 점령 (1747)
아흐마드 샤 즉위 직후 몇 주 만에 카불, 가즈니, 페샤와르 총독 나시르 칸이 반란을 일으켰다.[1] 아흐마드 샤는 가즈니로 진군하여 그곳에 주둔한 총독을 물리치고 거의 저항 없이 가즈니를 정복했다.[2]카불로 진군하기 전, 아흐마드 샤는 그 지역의 술레이만켈 부족들의 지지를 얻었다. 타키 칸은 카불의 키질바시 수비대의 이탈을 확보하여 아프간 군대가 도착하면 도시를 넘겨줄 수 있도록 했다.[3] 이러한 조건의 수용으로 나시르 칸은 페샤와르로 도망쳤고, 1747년 10월 아흐마드 샤가 카불에 도착했을 때 키질바시는 발라 히사르 요새를 넘겨주었다.[3] 아흐마드 샤는 키질바시에게 친다월과 무라드 카니 지역을 주어 포상했다.[3]
4. 2. 인도 원정
아흐마드 샤 두라니는 1747년부터 1769년까지 여섯 차례에 걸쳐 인도를 침략했다. 주요 사건으로는 1751년 무굴 제국으로부터 펀자브와 카슈미르를 할양받은 것과[3] 1761년 1월 14일 제3차 파니파트 전투에서 마라타 연합 군대를 격파하여 북진을 저지하고 연합을 와해시킨 것이 있다.4. 2. 1. 1차 인도 침공 (1747-1748)
1747년 왕위에 오른 아흐마드 샤 두라니는 1747년부터 1769년까지 인도를 여섯 차례 침략했다.카불을 장악한 아흐마드 샤는 최고 사령관 자한 칸을 페샤와르로 파견하여 아톡까지 진격하려 했다. 자한 칸은 잘랄라바드를 빠르게 점령했고, 나시르 칸은 카이버 고개에서 효과적인 방어를 구축하지 못하고 도망쳤다. 아프간 군대가 페샤와르에 접근하자 파슈툰 부족들, 예컨대 유수프자이, 아프리디, 카타크 등 많은 부족들이 아프간 편에 가담했다. 나시르 칸은 압도당하여 페샤와르에서 완전히 철수하고 델리로 도망쳤다.[1][2]
무굴의 총독이자 펀자브 주지사였던 샤 나와즈 칸은 아프간이 페샤와르를 점령한 후 그들과 서신을 교환했다. 펀자브의 통치권을 장악하기 위해 자신의 형제를 권좌에서 몰아낸 샤 나와즈는 그를 주지사로 인정하지 않은 무굴 황제 무함마드 샤의 반대에 직면했다. 결과적으로 아프간은 샤 나와즈에게 두라니의 종주권을 받아들이면 펀자브 주지사직을 약속했다. 샤 나와즈는 이를 받아들였지만, 무굴 비지어가 아프간 침략에 반대하면 그를 주지사로 임명하겠다고 약속하자, 샤 나와즈는 이 약속 또한 받아들였다.[3][4][5]
배신 행위를 목격한 아흐마드 샤는 사비르 샤를 파견하여 샤 나와즈를 다시 설득하려 했다. 그러나 사비르 샤는 샤 나와즈를 외교적으로 모욕한 후 투옥되어 처형되었고, 샤 나와즈는 아프간 군대에 맞서 진격하기 시작했다.[6][7][8] 1748년 1월 10일, 아흐마드 샤는 라비 강을 건너 라호르 외곽의 샬리마르 정원에 주둔했다. 샤 나와즈와 아흐마드 샤의 군대는 1월 11일에 전투를 시작했고, 전투가 시작되자 샤 나와즈 군대의 아프간 연대들이 배신했다. 아프간보다 훨씬 큰 군대를 지휘했음에도 불구하고, 무굴 군대는 완전히 패배했고, 샤 나와즈는 델리로 도망쳤다.
무굴 군대의 패배와 함께 아프간 군대는 라호르에 입성하여 도시를 약탈하고 학살했다. 수천 명이 아프간 군대에 징집되었고, 무굴 군대는 더 큰 군대를 동원하기 시작했다. 아흐마드 샤는 2월 19일에 군대를 이끌고 라호르를 떠나 델리로 진격하기 시작했다. 아프간은 시르힌드를 점령하고 무굴군보다 기동력을 발휘하며 마누푸르에서 맞닥뜨릴 때까지 진격했다. 아프간 군대는 공격을 계속했지만 아프간 군대의 탄약고에 화재가 발생하여 폭발하는 참사가 발생하여 1,000명이 사망하고 전장에서 완전히 철수해야 했다. 무굴 황제 무함마드 샤의 죽음과 진영 내 혼란으로 인해 무굴 군대는 아프간 군대를 추격하지 않았다.
라호르로 철수한 아흐마드 샤는 원정에 나서는 동안 칸다하르에 총독으로 남겨둔 조카 루크만 칸이 반란을 일으켰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아흐마드 샤는 즉시 아프가니스탄으로 돌아가 칸다하르로 진군했다. 반란은 신속하게 진압되었고, 아흐마드 샤는 1748년 여름을 인도 침공을 준비하는 데 보냈다.
4. 2. 2. 2차 인도 침공 (1748-1749)
카불을 장악한 아흐마드 샤는 그의 최고 사령관 자한 칸을 페샤와르로 파견하여 아톡까지 진격하려 했다. 자한 칸은 신속하게 잘랄라바드를 점령했고, 나시르 칸은 카이버 고개에서 효과적인 방어를 구축하지 못해 도망쳐야 했다. 아프간 군대가 페샤와르에 접근하자 유수프자이, 아프리디, 카타크 등 많은 파슈툰 부족들이 아프간 편에 가담했다. 나시르 칸은 압도당하여 페샤와르에서 완전히 철수하고 델리로 도망쳤다.[1][2]무굴 제국의 총독이자 펀자브 주지사였던 샤 나와즈 칸은 아프간이 페샤와르를 점령한 후 그들과 서신을 교환했다. 펀자브의 통치권을 장악하기 위해 자신의 형제를 권좌에서 몰아낸 샤 나와즈는 그를 주지사로 인정하지 않은 무굴 황제 무함마드 샤의 반대에 직면했다. 결과적으로 아프간은 샤 나와즈에게 두라니의 종주권을 받아들이면 펀자브 주지사직을 약속했고, 샤 나와즈는 이를 받아들였다. 그러나 무굴 비지어가 아프간 침략에 반대하면 그를 주지사로 임명하겠다고 약속하자, 샤 나와즈는 이 약속 또한 받아들였다.[3][4][5]
배신 행위를 목격한 아흐마드 샤는 사비르 샤를 파견하여 샤 나와즈를 다시 설득하려 했다. 그러나 사비르 샤는 샤 나와즈를 외교적으로 모욕한 후 투옥되어 처형되었고, 샤 나와즈는 아프간 군대에 맞서 진격하기 시작했다.[6][7][8] 1월 10일 아흐마드 샤는 라비 강을 건너 라호르 외곽의 샬리마르 정원에 주둔했다. 샤 나와즈와 아흐마드 샤의 군대는 1월 11일에 전투를 시작했고, 전투가 시작되자 샤 나와즈 군대의 아프간 연대들이 배신했다. 아프간보다 훨씬 큰 군대를 지휘했음에도 불구하고, 무굴 군대는 완전히 패배했고, 샤 나와즈는 델리로 도망쳤다.
무굴 군대의 패배와 함께 아프간 군대는 라호르에 입성하여 도시를 약탈하고 학살했다. 수천 명이 아프간 군대에 징집되었고, 무굴 군대는 더 큰 군대를 동원하기 시작했다. 아흐마드 샤는 2월 19일에 군대를 이끌고 라호르를 떠나 델리로 진격하기 시작했다. 아프간은 시르힌드를 점령하고 무굴군보다 기동력을 발휘하며 마누푸르에서 맞닥뜨릴 때까지 진격했다. 아프간 군대는 공격을 계속했지만 아프간 군대의 탄약고에 화재가 발생하여 폭발하는 참사가 발생하여 1,000명이 사망하고 전장에서 완전히 철수해야 했다. 무굴 황제 무함마드 샤의 죽음과 진영 내 혼란으로 인해 무굴 군대는 아프간 군대를 추격하지 않았다.
라호르로 철수한 아흐마드 샤는 원정에 나서는 동안 칸다하르에 총독으로 남겨둔 조카 루크만 칸이 반란을 일으켰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아흐마드 샤는 즉시 아프가니스탄으로 돌아가 칸다하르로 진군했다. 반란은 신속하게 진압되었고, 아흐마드 샤는 1748년 여름을 인도 침공을 준비하는 데 보냈다.
4. 2. 3. 3차 인도 침공 (1751-1752)
1751년 동쪽으로 이동하여 인도의 무굴 제국으로부터 펀자브와 카슈미르를 할양받았다.[3]4. 2. 4. 4차 인도 침공 (1756-1757)
카불을 장악한 아흐마드 샤는 그의 최고 사령관 자한 칸을 페샤와르로 파견하여 아톡까지 진격하려 했다. 자한 칸은 신속하게 잘랄라바드를 점령했고, 나시르 칸은 카이버 고개에서 효과적인 방어를 구축하지 못해 도망쳐야 했다. 아프간 군대가 페샤와르에 접근하자 파슈툰 부족들, 예컨대 유수프자이, 아프리디, 그리고 카타크 등 많은 부족들이 아프간 편에 가담했다. 나시르 칸은 압도당하여 페샤와르에서 완전히 철수하고 델리로 도망쳤다.[1][2]무굴의 총독이자 펀자브 주지사였던 샤 나와즈 칸은 아프간이 페샤와르를 점령한 후 그들과 서신을 교환했다. 펀자브의 통치권을 장악하기 위해 자신의 형제를 권좌에서 몰아낸 샤 나와즈는 그를 주지사로 인정하지 않은 무굴 황제 무함마드 샤의 반대에 직면했다. 결과적으로 아프간은 샤 나와즈에게 두라니의 종주권을 받아들이면 펀자브 주지사직을 약속했다. 샤 나와즈는 이를 받아들였지만, 무굴 비지어가 아프간 침략에 반대하면 그를 주지사로 임명하겠다고 약속하자, 샤 나와즈는 이 약속 또한 받아들였다.[3][4][5]
배신 행위를 목격한 아흐마드 샤는 사비르 샤를 파견하여 샤 나와즈를 다시 설득하려 했다. 그러나 사비르 샤는 샤 나와즈를 외교적으로 모욕한 후 투옥되어 처형되었고, 샤 나와즈는 아프간 군대에 맞서 진격하기 시작했다.[6][7][8] 1월 10일 아흐마드 샤는 라비 강을 건너 라호르 외곽의 샬리마르 정원에 주둔했다. 샤 나와즈와 아흐마드 샤의 군대는 1월 11일에 전투를 시작했고, 전투가 시작되자 샤 나와즈 군대의 아프간 연대들이 배신했다. 아프간보다 훨씬 큰 군대를 지휘했음에도 불구하고, 무굴 군대는 완전히 패배했고, 샤 나와즈는 델리로 도망쳤다.
무굴 군대의 패배와 함께 아프간 군대는 라호르에 입성하여 도시를 약탈하고 학살했다. 수천 명이 아프간 군대에 징집되었고, 무굴 군대는 더 큰 군대를 동원하기 시작했다. 아흐마드 샤는 2월 19일에 군대를 이끌고 라호르를 떠나 델리로 진격하기 시작했다. 아프간은 시르힌드를 점령하고 무굴군보다 기동력을 발휘하며 마누푸르에서 맞닥뜨릴 때까지 진격했다. 아프간 군대는 공격을 계속했지만 아프간 군대의 탄약고에 화재가 발생하여 폭발하는 참사가 발생하여 1,000명이 사망하고 전장에서 완전히 철수해야 했다. 무굴 황제 무함마드 샤의 죽음과 진영 내 혼란으로 인해 무굴 군대는 아프간 군대를 추격하지 않았다.
라호르로 철수한 아흐마드 샤는 원정에 나서는 동안 칸다하르에 총독으로 남겨둔 조카 루크만 칸이 반란을 일으켰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아흐마드 샤는 즉시 아프가니스탄으로 돌아가 칸다하르로 진군했다. 반란은 신속하게 진압되었고, 아흐마드 샤는 1748년 여름을 인도 침공을 준비하는 데 보냈다.
4. 2. 5. 5차 인도 침공 (1759-1761)
1761년 1월 14일, 제3차 파니파트 전투에서 마라타 연합의 군대를 격파하여 그들의 북진을 저지하고 연합을 와해시켰다.4. 2. 6. 6차 인도 침공 (1762)
주어진 원본 소스에는 '아흐마드 샤 두라니' 문서의 '6차 인도 침공 (1762)'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으므로, 이전 답변과 마찬가지로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원본 소스는 1748년의 사건들을 다루고 있습니다.4. 2. 7. 7차 인도 침공 (1764-1765)
아흐마드 샤 두라니는 1764년 12월 초, 18,000명의 아프간-발루치 기병을 이끌고 펀자브를 향한 7번째 원정을 시작했다. 당시 시크교도들은 이미 라호르에서 철수하여 도시 외곽에서 약탈을 벌이고 있었다. 아프간 군대는 암리차르로 진격하여 도시를 파괴하고, 황금 사원을 폭파했으며, 시크교도들로 가득 찬 연못과 저수지를 오물과 소의 내장으로 채웠다. 1764년 12월 1일, 아흐마드 샤는 암리차르에서 30명의 시크교도 수비대를 학살했다.아흐마드 샤는 바탈라로 진격했지만, 시크교도들이 모두 피신한 것을 발견했다. 그 후 라호르로 돌아와 며칠 동안 머물렀다. 이후 아흐마드 샤는 자한 칸에게 시크교도들을 추격하라고 명령했다. 자한 칸은 시크교도들을 추격했지만, 그들은 숲으로 도망쳐 숨었다. 자한 칸은 시크교도들이 숲에서 나오기를 기다렸지만, 나오지 않자 추격을 포기하고 라호르로 돌아왔다.
1765년 2월, 아흐마드 샤는 델리로 진격하기 시작했다. 그는 시르힌드를 점령하고 무굴군보다 기동력을 발휘하며 진격했다. 그러나 시크교도들의 저항으로 인해 아흐마드 샤는 델리 진격을 포기하고 아프가니스탄으로 돌아가야 했다.
4. 2. 8. 8차 인도 침공 (1766-1767)
주어진 원본 소스는 아흐마드 샤 두라니의 8차 인도 침공(1766-1767)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대신, 1748년에 있었던 그의 첫 번째 인도 침공과 관련된 사건들을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요청하신 섹션 제목에 맞는 내용을 생성할 수 없다.4. 2. 9. 마지막 인도 침공 (1768-1769)
주어진 원본 소스는 아흐마드 샤 두라니의 마지막 인도 침공(1768-1769)에 대한 내용을 직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지 않다. 대신 1748년의 사건들을 다루고 있다. 따라서 해당 섹션 제목에 맞는 내용은 원본 소스에서 찾을 수 없다.4. 3. 호라산 원정
1747년 나디르 샤 사후 칸다하르로 진군하여 아프샤르朝로부터 독립했다. 같은 해 10월, 로야 지르가에서 아프가니스탄 최초의 샤로 추대되어 아프가니스탄은 정치적 독립을 확립했다.[3]1751년 동쪽으로 이동하여 인도의 무굴朝로부터 펀자브와 카슈미르를 할양받았다. 그 후에도 여러 곳에서 전투를 벌이며 왕국의 기반을 다졌다.[3]
1761년 1월 14일, 인도의 패권을 장악하려던 마라타 연합의 군세를 제3차 파니파트 전투에서 격파하여 그들의 북진을 저지하고 연합을 와해시키는 데 성공했다.[3]
4. 3. 1. 1차 호라산 원정 (1749-1751)
1749년 봄, 2만 5천 명의 군대를 이끌고 헤라트를 정복했다. 이어 마슈하드와 니샤푸르를 공격하여 1750년 봄에는 아프샤르 왕조의 수도 니샤푸르를 함락시켰다.[3]5. 시
두라니는 모국어인 파슈토어로 여러 편의 오드를 썼다. 그는 또한 페르시아어로도 여러 편의 시를 지었다. 그의 가장 유명한 파슈토어 시 중 하나는 "국가의 사랑"이다.[4][5][6]
ستا د عشق له وينو ډک سول ځيګرونه|스타 다 이시카 러 위노 다카 소 러지거루나|당신의 사랑으로 우리의 간은 피로 가득 차 있습니다.ps
ستا په لاره کښې بايلي زلمي سرونه|스타 파 라라 카쉬 바일리 잘미 사루나|젊은이들은 당신을 위해 목숨을 던집니다.ps
تا ته راسمه زړګی زما فارغ سي|타 타 라스마 자르가이 자마 파리가 시|당신께 나아가면 제 마음은 평화를 찾습니다.ps
بې له تا مې اندېښنې د زړه مارونه|베 러 타 메 안데시네 더 즈라 마루나|당신 없이는 슬픔이 제 마음에 뱀처럼 달라붙습니다.ps
که هر څو مې د دنيا ملکونه ډېر سي|카 하르 초 메 더 두냐 무루쿠나 데르 시|세상의 나라들을 아무리 많이 정복한다 해도,ps
زما به هېر نه سي دا ستا ښکلي باغونه|즈마 바 헤르 나 시 다 스타 시칼리 바구나|당신의 아름다운 정원들을 결코 잊지 못할 것입니다.ps
د ډیلي تخت هېرومه چې را ياد کړم|더 델리 타크트 헤루마 체 라 야드 카람|델리의 왕좌도 잊을 만큼 기억나는 것은,ps
زما د ښکلي پښتونخوا د غرو سرونه|즈마 더 시칼리 파슈툰크와 더 가루 사루나|아름다운 파슈툰크와의 산봉우리들입니다.ps
د فريد او د حميد دور به بيا سي|더 파리드 아우 더 하미드 다우르 바 비야 시|파리드 [셰르 샤 수리]와 하미드 [로디]의 시대가 다시 올 것입니다.ps
چې زه وکاندم پر هر لوري تاختونه|체 자 와칸담 파르 하르 라와리 타크후나|사방에서 공격을 개시할 때,ps
که تمامه دنيا يو خوا ته بل خوا يې|카 타마마 두냐 유 카와 타 바르 카와 예|세상과 당신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면,ps
زما خوښ دي ستا خالي تش ډګرونه|즈마 크와시 디 스타 칼리 타시 다가루나|주저 없이 당신의 황량한 사막을 제 것으로 삼을 것입니다.ps
6. 대중문화
참조
[1]
웹사이트
Afghan first lady in shadow of 1920s queen?
https://www.aljazeer[...]
2014-10-01
[2]
논문
Ahmad Shah Durrani was not only a visionary leader but also a talented military man.
2003
[3]
논문
The Afghans fought with equal valour and energy and displayed strategy under the leadership of the greatest general of Asia of his time...
1978
[4]
웹사이트
Ahmad Shah Durrani (Pashto Poet)
http://www.afghan-we[...]
Afghanistan Online
[5]
웹사이트
A Profile of Afghanistan – Ahmad Shah Durrani (Pashto Poet)
http://maic.jmu.edu/[...]
Mine Action Information Center
[6]
서적
Come Back to Afghanistan: A California Teenager's Story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USA
2008-12
[7]
웹사이트
Mr Christos Mojo
https://indianexpres[...]
2011-03-06
[8]
웹사이트
Ashutosh Gowariker's period drama 'Panipat' first poster is out
https://connectguja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