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남도호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남도호부는 679년 당나라가 현재의 하노이에 설치한 행정 구역이다. 8세기에는 약 10만 명의 인구를 지배했으며, 13주, 39현, 32개의 기미주를 관할했다. 858년 남조의 공격을 받고 863년 함락되었으나 당나라는 재건을 시도했으나, 교역로 변화와 현지 반란으로 인해 880년 유명무실해졌다. 이후 정해군 절도사가 설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정해군절도사 - 즈엉딘응에
즈엉딘응에는 10세기 초 안남에서 곡호 휘하의 장군으로 활동하며 931년 남한을 배경으로 자립하여 교주자사 이진을 축출했으나 937년 암살당했다. - 정해군절도사 - 끼에우꽁띠엔
끼에우 꽁띠엔은 10세기 전반 베트남 권력 투쟁기에 즈엉 딩 응에를 살해하고 절도사의 자리를 찬탈했으나 응오 꾸옌에게 패배하여 처형당한 인물로, 그의 행위는 찬탈자로 비판받으며 이후 손자들이 12사군 반란의 주요 세력이 되는 계기가 되었다. - 당나라의 도호부 - 안북도호부
안북도호부는 당나라가 669년 한해도호부에서 개칭한 행정구역으로, 후돌궐의 성장에 따라 치소를 여러 차례 옮기며 유목민족을 관할했으나 안사의 난 이후 권한을 상실했고 관련 연구가 더 필요한 상태이다. - 당나라의 도호부 - 안동도호부
안동도호부는 668년 당나라가 고구려를 정복한 후 평양에 설치한 행정구역으로, 군사 주둔 및 현을 관할하며 동북아시아 정세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고구려 유민과 신라의 압력으로 위치를 옮기다 폐지되었다. - 중국의 폐지된 행정 구역 - 탕구구
탕구구는 톈진시에 위치한 주요 공업 지역으로, 풍부한 자원과 전략적 요충지로서의 역사, 그리고 현대적인 교통 인프라를 갖춘 곳이다. - 중국의 폐지된 행정 구역 - 구주 (중국)
구주는 중국을 아홉 개의 주로 나눈 고대 지리 개념으로, 시대와 문헌에 따라 범위와 명칭이 다르며, 중국 전체를 아우르는 표현으로도 사용되었다.
안남도호부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안남도호부 (安南都護府) |
로마자 표기 | Annan Duhufu (Ānnán Dūhùfǔ) |
한국어 음독 | 안남 도호부 |
베트남어 명칭 | An Nam đô hộ phủ |
위치 | 현재의 베트남 북부 |
존속 기간 | 679년 ~ 866년 |
지위 | 당나라 및 무주의 제국 보호령 |
수도 | 송평(宋平) (현재의 하노이, 후에 대라(Đại La)로 이전) |
주요 언어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크라-다이어족 티베트-미얀마어족 중고한어 |
종교 | 대승 불교 도교 애니미즘 |
정치 | |
정치 체제 | 군주제 (당나라 황제가 통치) |
당나라 황제 | 초대: 당 고종 (649년 ~ 683년) 마지막: 당 의종 (859년 ~ 873년) |
도호 | 초대: 유언우 (劉延祐) (684년 ~ 687년) 마지막: 채희 (蔡襲) (862년 ~ 863년) |
역사 | |
주요 사건 | 679년: 설치 687년: 이 자선의 반란 722년: 마이 툭Loan의 반란 864년 ~ 866년: 남조의 침공 866년: 정해군(靜海軍)으로 개편 |
지도 | |
![]() |
2. 역사
622년, 현재의 하노이에 교주총관부가 설치되었고, 624년에는 교주도독부로 개칭되었다.
679년, 당나라는 교주도독부를 안남도호부로 개편하고, 송평현(오늘날의 하노이)에 행정 중심지를 두었다. 8세기경 안남도호부는 인구 약 10만 명, 13주, 39현, 32개의 기미주를 지배하였다.
767년, 동남아시아 섬 지역 세력의 공격을 받아 당시 도호였던 장백의가 로성(羅城)을 건설하여 습격에 대비하였다. 9세기 초에는 참파 왕국의 공격이 심해져 수군을 강화하고 로성을 요새화했다. 이러한 군사비 증가는 현지인에 대한 증세로 이어져 현지인들의 불만을 키웠고, 도호가 살해되는 일도 있었다.
운남 지방에서 세력을 확장하던 남조는 사천에서 운남을 거쳐 홍하 델타에 이르는 상업로를 확보하려고 858년 통킹을 공격했고, 863년에는 안남도호부를 함락시켰다. 당은 베트남 지배를 포기하지 않고 다시 군대를 이끌고 도호부를 재건하였으나, 이 무렵에는 베트남 중남부에서 하이난섬으로 이어지는 교역로가 발전하여 홍하 델타의 지리적 우위가 상실되었다. 따라서 도호부의 중요성도 저하되었고, 880년에 발생한 반란으로 도호부는 유명무실해졌다.
2. 1. 이전 행정구역
북부 베트남 지역은 진시황 사후 조타가 진나라를 위해 정복하였다. 초한전쟁의 혼란기 동안, 조타는 남월을 세우고 판위(오늘날의 광저우)에서 이 지역을 다스렸다. 교주는 기원전 111년, 한나라가 남월을 조공국으로 합병한 이후 해당 지역에 설치한 주(州)로, 오늘날 광저우와 광시, 북베트남 일대를 모두 아우른다.삼국 시대인 222년 동오는 양광 지역을 광저우로 분리했다. 이후 교주 지역은 서진의 영역으로 남아있다가 남북조 초기에 남조의 지배를 받다가 544년 전 리 왕조로 독립하게 된다. 이후 수나라가 전 리 왕조 및 임읍국과의 전쟁을 벌여 두 왕국을 모두 중국의 영토로 편입시키고 교주군이 다시 부활하면서 제3차 중국의 베트남 지배가 시작되었다. 622년부터 베트남 지역의 중국 군벌이 당나라의 지배를 승인하면서, 당의 베트남 지배가 시작되었다.
2. 2. 당의 통치
624년, 당나라는 교주도호부를 설치하였다. 3년 뒤인 627년 교주도호부는 영남도의 행정구역으로 편입되었다. 679년 교주도호부는 안남도호부로 변경되었고, 오늘날 하노이인 송평현에 행정중심지를 두었다. 안남도호부는 757년 진남도호부로 개칭되었으나, 760년 원래 이름으로 돌아왔다. 846년부터 안남도호부는 남조의 공격을 받기 시작했고, 남조와 당의 전쟁은 866년까지 계속되었다. 이 전쟁 이후 안남도호부 지역에 정해군 절도사가 대신 들어서게 되었다.8세기경 안남도호부는 인구 약 10만 명, 13주(州), 39현(縣), 32개의 기미주를 지배하였다. 767년, 동남아시아 섬 지역의 세력으로부터 공격을 받아 당시 도호(都護)였던 장백의가 로성(羅城)을 건설하여 습격에 대비하였다. 9세기 초에는 참파 왕국의 공격도 심해져 수군을 강화하고 로성을 요새화했다. 이러한 군사비 증가는 현지인에 대한 증세로 이어져 현지인들의 불만을 키웠고, 도호가 살해되는 일도 있었다. 운남 지방에서 세력을 확장하던 남조는 사천에서 운남을 거쳐 홍하 델타에 이르는 상업로를 확보하려고 858년 통킹을 공격했고, 863년에는 안남도호부를 함락시켰다. 당은 베트남 지배를 포기하지 않고 다시 군대를 이끌고 도호부를 재건하였으나, 이 무렵에는 베트남 중남부에서 하이난섬으로 이어지는 교역로가 발전하여 홍하 델타의 지리적 우위가 상실되었다. 따라서 도호부의 중요성도 저하되었고, 880년에 발생한 반란으로 도호부는 유명무실해졌다.
2. 3. 주요 사건
676년, 광서(廣西), 광동(廣東), 교주(交州)의 절도사(節度使)와 관리들은 현지 원주민을 행정직에 앉히는 체계를 수립했다. 4년마다 5급 이상의 직책을 맡을 원주민 지도자를 선출했다. 과세는 당나라 본토에서보다 훨씬 더 온건했다.687년, 새로운 안남도호였던 유연우(劉彥攸)는 세금을 두 배로 올렸다. 이에 맞서 베트남 원주민들은 리뚜티엔(Lý Tự Tiên)을 중심으로 저항했다. 유연우는 리뚜티엔을 죽였고, 리뚜티엔의 동료였던 딘끼엔(Đinh Kiến)은 유연우에 맞서 베트남인들을 이끌고 송평현(宋平縣)을 포위하였다. 그 해 여름, 베트남 반란군은 송평현을 점령하고 유연우를 죽였다. 이후 장군 조선경(曹宣景)이 안남으로 진군해 반란을 진압하고 딘끼엔을 죽였다.
722년에는 마이툭로안(Mai Thúc Loan)이 오늘날 하띤성(Hà Tĩnh)에서 반란을 일으키고 스스로를 흑제(黑帝)라고 칭했다. 그는 참파(Champa), 첸라(Chenla) 등과 동맹을 맺었다. 당나라 군대는 723년 반란을 진압했다.
767년에는 스리위자야 함대가 안남도호부를 침공했으나 패배했다.
785년, 베트남 족장인 토안한, 풍흥(Phùng Hưng), 풍안이 안남도호였던 고정평(高正平)이 세금을 두 배로 올리자 반란을 일으켰다. 당군은 791년 안남도호부를 탈환했다.
803년 참파(Champa)가 안남도호부 남쪽을 포위했다. 요새에서 근무하던 군대들도 반란을 일으켰다. 820년 양청(Dương Thanh)은 대라성(Đại La)을 포위하고 안남도호를 사살했다.
823년부터 826년까지, 눙족(Nùng people)이 참파의 지원을 받아 녕주(Yongzhou)를 공격하고 18개의 현을 차지했다.
2. 4. 당-남조 전쟁과 안남도호부 개칭
854년, 안남도호부의 절도사 이탁은 소금 무역을 줄이고 영향력이 막강했던 족장들을 죽임으로써 산족과 갈등을 일으켰고, 그 결과 지역 유력 지도자들이 남조로 망명하게 되었다. 반군 이도독과 많은 사람들 역시 남조에 투항했다. 858년 남조는 안남도호부를 침공했고, 새로운 절도사 이후는 반란에 연루된 족장의 아들을 죽여 안남도호부의 족장들을 더욱 소외시켰고, 이는 족장들이 남조로 망명하는 결과를 낳았다. 남조가 본격적으로 침공하자, 도족은 30,000명의 사람을 이끌고 반란을 일으켰다. 863년 남조와 부족 동맹군은 격렬한 포위전 끝에 송평현을 점령했다. 남조가 안남도호부를 폐허로 만들면서 안남도호부는 혼란에 빠졌고, 부족민들은 서로 이간질했으며 당과 남조 사이의 권력 다툼이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864년 경험이 풍부한 고변이 남조군에 반격을 개시했고, 866년 당군은 송평현을 탈환했다. 고변은 송평현을 고쳐 대라로 이름을 바꾸었고, 안남도호부도 정해군 절도사로 승격, 군호(軍號)를 변경하였다.2. 5. 당-남조 전쟁의 여파
866년 당나라와 남조의 전쟁이 끝났지만, 정해군 지역은 계속 혼란스러웠다. 874년부터 879년까지 정해군 지역 원주민들에 대한 전쟁이 벌어졌다. 877년에는 영남서도(지금의 광서성 일대) 번진에서 정해군 번진으로 파병된 군대가 폭동을 일으켰다. 880년에는 정해군 번진에 주둔하던 군대가 폭동을 일으켜 대라를 점령하고 절도사를 도망가게 만들었는데, 이로써 사실상 중국의 베트남 지배는 끝나게 되었다.3. 문화와 종교
안남도호부 시대에 그 관할 지역에 살던 토착민들은 특별한 명칭이 없었다. 중국 문헌에서는 “야만인”, “리” 또는 안남인으로 불렸다. 고대부터 베트남 북부 지역 주민들은 문신과 짧은 머리카락, 긴 겉옷, 나무 창, 뼈로 만든 화살을 사용하는 공통적인 특징으로 알려져 있었다. 또한 농업 신에게 인신 공양을 하기도 했다.
2세기에 걸친 당나라의 직접적인 안남 통치는 당나라와 토착 문화가 혼합된 문화, 정치 및 법적 구조를 낳았다. 현지 한화된 엘리트들은 중국 문자를 사용했고, 일반 사람들과 부족민들은 현재까지도 베트남식 이름에 해당하는 이름과 이름 스타일을 채택했다. 당나라 시대 내내 안남에서는 불교가 번성했다. 현지 여성들은 종교 생활과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과 지위를 차지했다. 베트남 사찰과 수도원은 마을의 정신적 중심지이자 마을 원로들이 모이는 곳인 đình의 역할에서 중국 및 기타 동아시아 국가들과 달랐다. 토착 유교 학자 엘리트는 비교적 소규모였다. 845년, 당나라 관리는 "안남은 8명 이상의 궁중 관리를 배출하지 않았으며, 고위 졸업자는 10명을 넘지 않았다"고 보고했다. 료유방은 816년 당나라 수도 장안에서 과거 시험에 합격한 안남 출신 유일한 기록된 학생이었다. 그는 두 번째 시험에서 합격하여 궁중 사서가 되었다.
신권기는 리남에 불교가 세워진 것을 다음과 같이 회상했다.
옛날 부처는 천축[인도]에서 태어났지만,
이제 그는 리남의 백성을 교화하기 위해 이곳에 나타나셨네.
모든 더러움에서 벗어나,
산기슭에 사찰을 세우셨네.
시냇가의 향기로운 가지들이 깃발이 되고,
산꼭대기의 바위들이 그의 집이 되네.
푸른 비둘기들은 명상을 하고,
흰 원숭이들은 경전을 듣네.
덩굴들은 구름 높이 솟은 절벽을 덮고,
꽃들은 산기슭의 연못 위로 피어오르네.
시냇물은 의식을 행하기에 좋고,
나무들은 그가 옷을 걸 수 있게 하네.
이 제자는 자신이 무지하여 후회하네,
부처의 가르침을 논할 수 없어서.
어느 날 밤 호랑이 시내를 건넜네,
외로운 나무 아래 산 안개 속에서.
4. 부속 관할
주(州) |
---|
기타 |
---|
39현 |
32기미주 |
5. 역대 도호
안남도호부 도호는 안남도호부의 민정을 담당하는 관리였다. 군사 행정은 절도사가 담당하였으며, 반란이나 전시에는 두 직책을 동일 인물이 겸임하기도 하였다.
이상고는 양경의 반란으로 살해되었고, 양경은 귀중무에 의해 살해되었다. 왕식과 채습은 경략사를 겸임하였다. 송융과 장인은 명목상 경략사였으며, 이 시기에는 남조(南詔)의 안남 침입이 있었다.
6. 인구
시기 | 연도 | 가구 수 | 인구 | 출처 |
---|---|---|---|---|
개원 시대 | 740-742 | 75,839 | 299,377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