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다만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다만족은 안다만 제도에 거주하는 원주민 집단으로, 언어와 유전적 특징에서 독특한 특징을 보인다. 언어는 대안다만어족과 옹간어족으로 분류되며, 대안다만어족의 마지막 화자는 2010년에 사망했다. 유전적으로는 Y 염색체 하플로그룹에서 대 안다만인과 옹겐인의 차이가 두드러지며, 미토콘드리아 DNA 하플로그룹은 M31, M32가 관찰된다. 핵 DNA 분석 결과 상당한 병목 효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 원주민 - 자라와족
    자라와족은 안다만 제도에 2천 년 이상 거주해 온 장길족의 후손으로 추정되며, 외부와의 접촉으로 인구 감소와 질병 확산을 겪고 있으며, 현재 관광과 밀렵으로 인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 원주민 - 니코바르인
    니코바르인은 니코바르 제도에 거주하며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니코바르어를 사용하고, 모계 사회를 이루며 기독교와 전통 신앙을 믿고 원예 경제를 기반으로 살아간다.
  • 네그리토 - 아티족
    아티족은 필리핀 군도, 특히 파나이섬과 보라카이섬에 거주하는 네그리토계 원주민으로, 비사야족보다 먼저 정착하여 이나티어를 사용하며 애니미즘 신앙을 가지고 수렵 채집 생활을 했으나, 현재는 농업 등에 종사하며 아티-아티한 축제를 통해 문화를 기념하고, 토지 소유권 문제와 차별 속에서 필리핀 정부의 보호를 받고 있다.
  • 네그리토 - 자라와족
    자라와족은 안다만 제도에 2천 년 이상 거주해 온 장길족의 후손으로 추정되며, 외부와의 접촉으로 인구 감소와 질병 확산을 겪고 있으며, 현재 관광과 밀렵으로 인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인도의 민족 - 몰디브인
    몰디브인은 인도-아리아계 민족으로 몰디브 제도에 거주하며 디베히어를 사용하고, 수니파 이슬람교를 국교로 삼고 있으며, 이슬람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남아시아, 아랍, 아프리카 문화가 혼합된 문화를 가지고 있다.
  • 인도의 민족 - 파슈툰인
    파슈툰인은 아프가니스탄 최대 민족이자 파키스탄에서 두 번째로 큰 민족으로, 파슈토어를 사용하며 강력한 부족 시스템과 파슈툰왈리 관습법에 기반한 문화를 가지고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의 정치,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쳐왔다.
안다만족
지도
기본 정보
거주 지역인도, 미얀마, 태국
인종 그룹네그리토
관련 민족인도 원주민
언어안다만어족 (대부분 사멸)
종교토착 신앙
안다만인 부부
안다만인 부부
인구
총 인구약 400-500명 (2023년 추정)
주요 부족대안다만인
자라와족
옹게족
센티넬족
역사
기원구석기 시대 후기 (약 7만년 전) 아프리카에서 이주
외부 접촉 시작18세기 후반 영국 동인도 회사
인구 감소 원인전염병
영국의 식민 통치
인도 본토인의 이주
현재 상태대부분 부족이 멸종 위기에 처함
문화
생활 방식수렵-채집 생활
사회 구조부족 중심의 공동체 사회
언어 특징안다만어족 (고립어, 문법적 유사성 존재)
유전자 연구동아시아인보다 남아시아인과 더 가까운 유전적 연관성

2. 언어

대 안다만어족의 마지막 화자는 2010년에 사망했다.[1] 옹간족에는 자라와족, 옹게족, 장길족(†), 센티넬족이 있다.

2. 1. 대안다만어족

대 안다만어족의 마지막 화자는 2010년에 사망했다.

  • 옹간족
  • * 자라와족
  • * 옹게족
  • * 장길족†
  • 센티넬족

2. 2. 옹간어족


  • 대 안다만어족의 마지막 화자는 2010년에 사망했다.
  • 옹간족
  • * 자라와족
  • * 옹게족
  • * 장길족†
  • 센티넬족

3. 유전적 특징

안다만인의 Y 염색체는 대안다만인과 옹겐인(자라와족, 옹게족)에 따라 크게 다르다. 대안다만인은 "남부 루트"[2]를 거친 하플로그룹 F*, K*, L, P* 및 "북부 루트"의 오스트로아시아계 O1b1이 총 100%이지만, 옹겐인은 하플로그룹 D가 비교적 많이 존재한다.[3][4] 하플로그룹 D1a2b는 아프리카를 나온 후 "북부 루트"로 이란→알타이 산맥→티베트→미얀마→안다만 제도를 거쳐 온 것으로 생각된다.[5][6]

안다만인의 미토콘드리아 DNA 하플로그룹은 대안다만인, 옹겐인과 마찬가지로 아프리카를 떠난 후 "남부 루트"로 이동하여 도달한 M31, M32만 관찰된다.[3][7] 핵 DNA 분석 결과 안다만족은 상당한 병목 효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3. 1. Y 염색체 하플로그룹

안다만족의 Y 염색체는 대안다만인과 옹겐인 (자라와족, 옹게족)에서 크게 다르다. 대안다만인은 "남부 루트"[2]를 거친 하플로그룹 F*, K*, L, P* 및 "북부 루트"의 오스트로아시아계 O1b1이 총 100%이지만, 옹겐인은 하플로그룹 D가 비교적 많이 존재한다.[3][4] 하플로그룹 D1a2b는 아프리카를 나온 후 "북부 루트"로 이란→알타이 산맥→티베트→미얀마→안다만 제도를 거쳐 온 것으로 생각된다.[5][6]

3. 1. 1. 대안다만인

대안다만인의 Y 염색체는 대안다만인과 옹겐인에서 크게 다르다. 대안다만인은 아프리카를 나온 후 "남부 루트"[2]를 거친 하플로그룹 F*, K*, L, P* 및 "북부 루트"의 오스트로아시아계 O1b1이 총 100%이지만, 옹겐인(자라와족, 옹게족)은 하플로그룹 D가 비교적 많이 존재한다.[3][4] 하플로그룹 D1a2b는 아프리카를 나온 후 "북부 루트"로 이란→알타이 산맥→티베트→미얀마→안다만 제도를 거쳐 온 것으로 생각된다.[5][6]

3. 1. 2. 옹겐인

안다만인의 Y 염색체는 대 안다만인과 옹겐인에서 크게 다르다. 대 안다만인은 아프리카를 나온 후 "남부 루트"[2]를 거친 하플로그룹 F*, K*, L, P* 및 "북부 루트"의 오스트로아시아계 O1b1이 총 100%이지만, 옹겐인(자라와족, 옹게족)은 하플로그룹 D가 비교적 많이 존재한다.[3][4] 하플로그룹 D1a2b는 아프리카를 나온 후 "북부 루트"로 이란→알타이 산맥→티베트→미얀마→안다만 제도를 거쳐 온 것으로 생각된다.[5][6]

3. 2. 미토콘드리아 DNA 하플로그룹

안다만인의 미토콘드리아 DNA 하플로그룹은 대(大)안다만인, 옹게인과 마찬가지로 아프리카를 떠난 후 "남부 루트"로 이동하여 도달한 M31, M32만 관찰된다.[3][7]

3. 3. 핵 DNA

핵 DNA 분석 결과 안다만족은 상당한 병목 효과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조

[1] 웹사이트 Chapter 5: A Physical Examination http://www.andaman.o[...] Andaman.org 2012-08-13
[2] 서적 DNA・考古・言語の学際研究が示す新・日本列島史 勉誠出版 2009
[3] 논문 Genetic Affinities of the Andaman Islanders, a Vanishing Human Population 2003-01-21
[4] 웹사이트 アンダマン諸島については、従来よりハプログループD-M174*(xD-M15,D-M55)が高頻度であるとのデータ(kumarasamy et al. 2003)があり、その後系統解析の研究の進展によりアンダマン諸島のD-M174*はD-Y34537であることがわかった(Y-Full)。 https://www.yfull.co[...]
[5] 논문 Y chromosome evidence of earliest modern human settlement in East Asia and multiple origins of Tibetan and Japanese populations 2008
[6] 서적 ヒト癌ウイルスと日本人のDNA 勉誠出版 2011
[7] 논문 Reconstructing the Origin of Andaman Islanders 2005-05-13
[8] 저널 Unravelling the Genetic History of Negritos and Indigenous Populations of Southeast Asia http://gbe.oxfordjou[...] 2015-1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