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자라와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자라와족은 안다만 제도의 고립된 원주민 부족 중 하나로, 장길족의 후손으로 추정되며 2천 년 이상 이 지역에 거주해 왔다. 19세기 이후 외부와의 접촉으로 전염병과 인구 감소를 겪었으며, 1970년대 그레이트 안다만 트렁크 로드 건설로 외부인과의 접촉이 증가했다. 현재 약 270명의 자라와족이 남아 있으며, 관광, 밀렵 등으로 인해 질병 확산, 상업적 착취 등의 문제에 직면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도 사람 - 옹게인
    옹게족은 안다만 제도의 리틀 안다만 섬에 거주하는 네그리토 계통의 토착 부족으로, 외부 접촉 후 인구 감소를 겪었으나 현재 소폭 증가했으며, 수렵 채집 생활과 고유 언어 및 애니미즘 신앙을 유지하며 인도 정부의 보호를 받고 있고, 유전적으로 동아시아인 및 일부 동남아시아 네그리토와 관련이 있다.
  • 인도 사람 - 인도인
    인도인은 인도 국적 또는 혈통을 가진 사람들을 지칭하며, 다양한 민족 언어 집단으로 구성되어 남아시아 역사상 위대한 제국들을 건설하고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시크교 등 주요 종교의 발상지로서 다양한 문화와 전통을 가진다.
  •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 원주민 - 니코바르인
    니코바르인은 니코바르 제도에 거주하며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니코바르어를 사용하고, 모계 사회를 이루며 기독교와 전통 신앙을 믿고 원예 경제를 기반으로 살아간다.
  • 안다만 니코바르 제도 원주민 - 안다만족
    안다만족은 안다만 제도에 거주하며 언어와 유전적 특징을 보이는 원주민 집단으로, 언어는 대안다만어족과 옹간어족으로 분류되고, 유전적으로는 Y 염색체와 미토콘드리아 DNA에서 특징적인 양상을 나타낸다.
  • 네그리토 - 아티족
    아티족은 필리핀 군도, 특히 파나이섬과 보라카이섬에 거주하는 네그리토계 원주민으로, 비사야족보다 먼저 정착하여 이나티어를 사용하며 애니미즘 신앙을 가지고 수렵 채집 생활을 했으나, 현재는 농업 등에 종사하며 아티-아티한 축제를 통해 문화를 기념하고, 토지 소유권 문제와 차별 속에서 필리핀 정부의 보호를 받고 있다.
  • 네그리토 - 아에타족
    아에타족은 필리핀 루손섬에 거주하며 수렵 채집 생활을 하는 여러 민족 집단을 통칭하는 용어로, 동남아시아의 네그리토 인구 집단 중 하나이며 필리핀 제도의 초기 이주민 후손으로 데니소바인 유전자 비율이 높은 특징을 가진다.
자라와족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민족 이름자라와족
고유 이름Aong
총 인구약 380명 (2011년)
거주 지역남안다만 제도 서쪽, 미들안다만 제도, 인도
언어자라와어 (안다만 제도), 옹게어족의 일종
종교전통 종교
관련 민족기타 토착 안다만 제도 민족, 특히 옹게족
역사적 정보
과거 이름Jangil (조상이라는 뜻으로 사용)
기타 정보
기타1921년경에 미들안다만의 아카콜 부족이 멸종함.
1931년경에 미들안다만의 오코주워이 부족과 남안다만과 러틀랜드 섬의 아카베아 부족이 멸종함.
리치 군도의 아카발레 부족, 미들안다만의 아카케데 부족, 남안다만의 아푸치크와르 부족이 곧 멸종함.
1951년 인구 조사에서 대 안다만 제도에서 단 23명의 부족민과 10명의 센티넬 부족만이 남았다고 집계함.

2. 역사

자라와족은 안다만 제도의 다른 원주민 부족들과 마찬가지로 지구상에서 가장 고립된 부족 중 하나이며, 외부와의 접촉 없이 생활해 왔다.

2. 1. 기원

자라와족은 장길족의 후손으로 여겨지며, 안다만 제도에 2천 년 이상 거주해 온 것으로 추정된다. 자라와족은 언어적, 문화적으로 대안다만족과 구분되는데, 대안다만족은 현재 스트레이트 섬에 59명이 거주하고 있다. 초기 자라와족의 이주는 남아시아를 통한 초기 인류 이동의 증거를 보여주며, 아프리카 집단과의 표현형적 유사성이 수렴적임을 시사한다. 그들은 또한 아프리카에서 성공적으로 이주한 최초의 부족으로 여겨진다.[6]

사회적, 문화적, 역사적, 고고학적, 언어적, 표현형적, 유전적 증거는 안다만 제도 주민들이 상당 기간 고립되어 왔다는 결론을 뒷받침하며, 이는 현대화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생존할 수 있었던 이유를 시사한다.[6] 자라와족은 이 지역에 살아남은 네 부족 중 하나이며, 다른 부족으로는 대안다만족, 센티넬족, 옹게족이 있다. 이 세 부족은 계통적이라기보다는 유형론적 기반으로 대안다만어 어족과 연결되는데, 이는 상당한 기간의 역사적 분리를 시사한다.[6] 자라와족은 안다만 제도의 다른 원주민 부족들과 마찬가지로 지구상에서 가장 고립된 부족 중 하나이며, 외부와의 접촉 없이 생활해 왔다.

2. 2. 외부와의 접촉 및 이주

19세기 이전 자라와족의 고향은 남안다만섬 남동부와 인근의 작은 섬들이었다. 1789년 벵골 주재영국인도정부에 의해 영국 식민지가 수립된 후, 외부에서 유입된 전염병으로 인해 자라와족은 면역력이 없어 대규모 인구 감소를 경험했다.[8] 큰안다만족 부족들도 식민 당국이 도입한 알코올과 아편의 과다 사용으로 인해 인구가 감소했고, 이로 인해 서쪽 지역이 비게 되면서 자라와족이 점차 새로운 고향으로 삼게 되었다.[9] 약 2세기 전부터 시작된 인도 본토 인도인과 카렌족(버마) 정착민들의 이주는 이러한 과정을 가속화했다.[10]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일본군의 공격을 받았다.[7]

2. 3. 현대

1970년대부터 자라와족의 서쪽 숲 고향을 가로지르는 그레이트 안다만 트렁크 로드가 건설되었다. 그 결과, 자라와족과 외부인 간의 접촉이 증가하기 시작했고, 때때로 무역이 이루어지기도 했지만 전염병이 발생하기도 했다.[16][17][10] 그러나 대부분의 자라와족은 독립성과 거리를 굳건히 지켰다.[10] 1997년부터 자라와족은 정착민들에게 먼저 접촉하기 시작했다. 특히 관광객들과의 만남은 질병의 위험 때문에 자라와족에게 매우 위험했다.[10]

오늘날 여러 자라와족 집단은 외부 세계와 정기적으로 접촉하고 있으며, 심지어 어떤 아이들은 주류 학교에 나타나 정착민 아이들과 함께 교육받기를 요청하기도 한다.[12] 현재 자라와족은 270명이 남아 있다.[13]

3. 생활 양식

자라와족은 키가 작고, 매우 검은 피부, 쌍꺼풀 눈, 검고 곱슬거리는 머리카락을 가지고 있다. 안다만 제도는 현재 인도에 속해 있으며, 인도 정부는 외부인의 출입을 통제하고 있다. 옹게족과는 달리, 인도 정부 관리자조차도 자라와족의 강한 저항 때문에 이들과 접촉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3. 1. 수렵 및 채집

자라와족은 활과 화살을 사용하여 토종 멧돼지, 왕도마뱀 등을 사냥하는 유목 민족이다. 최근에는 온지족과 안다만 원주민처럼 사냥을 돕기 위해 개를 기르기 시작했다.[7]

섬에 사는 부족이기 때문에 바다의 식량 자원이 매우 중요하다. 남자들은 얕은 물에서 활과 화살로 물고기를 잡고, 여자들은 바구니로 물고기를 잡는다. 연체동물, 듀공, 거북이 등은 자라와족 식단의 주요 부분을 차지한다. 고기와 해산물 외에도 자라와족은 숲에서 과일, 덩이줄기, 꿀을 채취한다. 꿀을 얻기 위해서는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벌을 진정시킨다.

자라와족의 언어로 "아오(aao)"라고 불리는 활은 추이오드 (''사게라에아속 elliptica'')로 만들어진다. 화살은 "파토(patho)"라고 불린다. 화살의 나무 머리는 ''아레카야자'' 나무로 만들어진다. 철촉 화살은 그들의 언어로 "에타호(aetaho)"라고 불리며, 철과 ''아레카야자'' 나무 또는 대나무를 사용하여 만든다. 사냥이나 습격을 갈 때는 "케카드(kekad)"라고 불리는 가슴 보호대를 착용한다.[14]

3. 2. 식생활

자라와족은 음식을 주로 굽거나 삶아서 조리하지만, 날것으로 먹기도 한다. 이들은 육지와 수중 자원을 모두 이용하여 균형 잡힌 식단을 유지하며, 한 종류의 식량이 부족할 경우 다른 종류의 식량으로 쉽게 보충할 수 있다.[15]

섬에 사는 부족이기 때문에 바다의 식량 자원이 매우 중요하다. 남자들은 얕은 물에서 활과 화살로 물고기를 잡고, 여자들은 바구니로 물고기를 잡는다. 연체동물, 듀공, 거북이는 자라와족 식단의 주요 부분을 차지한다. 고기와 해산물 외에도 자라와족은 숲에서 과일, 덩이줄기, 꿀을 채취한다. 꿀을 얻기 위해서는 식물 추출물을 사용하여 벌을 진정시킨다.

자라와족은 인도 정부의 지원을 받으며, 매달 생활비와 감귤 과수원 관리 임금을 받는다. 이들은 거북알, 꿀, 야생 마, 유충, 잭프루트, 야생 감귤류 과일, 야생 베리 등 다양한 물품 채취에 크게 의존한다.

3. 3. 외모

자라와족은 키가 작고, 매우 검은 피부, 쌍꺼풀 눈, 검고 곱슬거리는 머리카락을 가지고 있다.

4. 현대 사회의 문제점

1970년대 인도 정부가 섬 중앙의 숲에 도로 (안다만 대간선도로)를 건설하려 시도하면서 자라와족에게 위기가 닥쳤다. 외부인과의 접촉이 늘면서 질병에 대한 면역력이 없던 자라와족에게 질병이 확산되기 시작했다. 1998년과 2006년에는 홍역이 유행하여 멸종 위기에 놓이기도 했다.

2001년 인도 정부는 NGO 단체의 요청을 받아 자라와족의 재정착 계획을 중단하고 도로를 폐쇄하라는 명령을 내렸지만, 도로는 여전히 개방된 상태이며 밀렵 문제도 계속되고 있다.[1]

4. 1. 안다만 대간선도로의 영향

1970년대 안다만 대간선도로 건설은 자라와족에게 가장 큰 위협이 되었다.[16][17] 이 도로는 자라와족의 새로운 서쪽 숲 고향을 관통하여 건설되었으며, 외부인과의 접촉 증가, 질병 확산, 밀렵 및 자라와족 땅의 상업적 착취 등 여러 문제를 야기했다.[16][17]

1997년 말, 일부 자라와족이 처음으로 숲에서 나와 인근 정착촌을 방문하기 시작했고, 몇 달 안에 심각한 홍역 유행이 발생했다. 1999년과 2006년에도 자라와족은 홍역 재발을 겪었으나,[18] 사망자는 보고되지 않았다.

이러한 문제는 캘커타 고등법원에 소송으로 이어졌고, 인도 대법원의 공익 소송(PIL)으로 확대되었다. 안다만 니코바르 생태학회, 봄베이 자연사회, 푸네에 기반을 둔 칼파브리크시가 청원에 참여하여, 2001년에 획기적인 고등법원 판결을 이끌어냈다. 이 판결은 행정부가 자라와족을 침입과 접촉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자라와족을 새로운 보호구역으로 이주시키는 모든 프로그램을 예방적으로 배제하도록 명령했다. 또한, 고속도로의 계획된 연장도 법원에 의해 금지되었다.[19] 그러나 ''안다만의 빛''은 자라와족의 변화는 돌이킬 수 없을 가능성이 높으며 도로가 건설되기 전에 더 철저히 평가되었어야 했다고 사설에서 논평했다.[16]

4. 2. 관광 산업의 문제점

사기업이 운영하는 관광 투어는 자라와족에게 여러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관광객들은 자라와족을 구경하고 사진을 찍거나 상호작용을 시도하며, 자라와족은 종종 고속도로에서 구걸을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20] 이는 인도 법률에 따라 불법이다. 2008년 3월, 안다만 니코바르 행정부 관광부는 여행사에 자라와족과의 접촉, 사진 촬영, 차량 정차, 차에 태워주는 행위 등을 1956년 원주민 부족 보호 규정에 따라 금지하며, 위반 시 법적 조치를 받을 수 있다는 경고를 발표했다.[20] 그러나 매일 500명이 넘는 관광객이 사설 여행사에 의해 자라와족을 보러 가고 있으며, 이는 보호 구역 내에서 자라와족과 관광객 간의 지속적인 상호 작용으로 이어진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20]

2012년에는 관광객이 촬영한 비디오에서 경찰관이 자라와 여성들에게 춤을 추도록 부추기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22]

2013년 1월 21일, 인도 대법원은 자라와 지역을 통과하는 간선도로를 통과하는 관광객을 금지하는 임시 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지역 주민들은 안다만 간선도로가 350개 이상의 마을을 연결하는 중요한 도로라는 청원을 제출했다. 이에 대법원은 2013년 3월 5일 임시 명령을 번복하고 도로를 완전히 재개방했지만, 차량은 하루에 네 번 대형 차량으로만 통행할 수 있도록 제한했다.

4. 3. 밀렵 문제

1970년대 인도 정부가 섬 중앙의 숲에 도로를 건설하려고 시도하면서 외부인의 출입이 늘어났다. 도로 건설로 외부인과 자라와족 간의 접촉 빈도가 높아지면서 질병에 대한 면역력이 없는 자라와족에게 질병이 확산되기 시작했다.[1]

밀렵꾼 등 외부인의 출입과 도로 건설로 인해 자라와족은 1998년과 2006년에 홍역이 유행하여 멸종 위기에 놓이기도 했다.[1]

2001년 인도 정부는 NGO 단체의 요청을 받아 자라와족 재정착 계획을 중단하고 도로를 폐쇄하라는 명령을 내렸지만, 도로는 여전히 개방된 상태이며 밀렵 문제도 계속되고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Table A-11 (Appendix) DISTRICT WISE SCHEDULED TRIBE POPULATION (FOR EACH TRIBE SEPARATELY) https://web.archive.[...]
[2] PhD Descriptive and Typological study of Jarawa Jawaharlal Nehru University 2012
[3] 서적 Notes on the Languages of the South Andaman Group of Tribes https://books.google[...] Office of the Superintendent of Government Printing, Government of India
[4] 서적 Languages of the Himalayas: An Ethnolinguistic Handbook of the Greater Himalayan Region : Containing an Introduction to the Symbiotic Theory of Language https://books.google[...] BRILL
[5] 웹사이트 List of notified Scheduled Tribes https://web.archive.[...] Census India 2013-12-15
[6] 간행물 The Genetic Origins of the Andaman Islanders 2003-01
[7] 간행물 Palaeolithic Cognitive Inheritance in Aesthetic Behavior of the Jarawas of the Andaman Islands
[8] 서적 Development and Ethnocide: Colonial Practices in the Andaman Islands https://books.google[...] IWGIA
[9] 서적 The Great Human Diasporas: The History of Diversity and Evolution https://books.google[...] Basic Books
[10] 웹사이트 Jarawa http://www.survival-[...] 2009-07-06
[11] 간행물 A Bibliographical Introduction to Andamanese Linguistics
[12] 웹사이트 From dangerous to endangered: Jarawa "primitives" and welfare politics in the Andaman Islands https://web.archive.[...] 2009-07-02
[13] 웹사이트 Database for Indigenous Cultural Evolution https://web.archive.[...] 2021-10-21
[14] 웹사이트 Jarawa https://web.archive.[...] 2021-10-21
[15] 웹사이트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of the Jarawas : A Preliminary Report https://www.research[...]
[16] 뉴스 Editorial: After ATR what? 2006-01-06
[17] 서적 Endangered Languages of the Andaman Islands https://books.google[...] Lincom Europa
[18] 웹사이트 Jarawa https://www.survival[...] 2021-10-21
[19] 뉴스 The road to destruction http://www.indiatoge[...] 2008-11-19
[20] 뉴스 जारवा के इलाकों में पयर्टकों का प्रवेश बंद (Tourists' entry to Jarawa areas forbidden) https://web.archive.[...] 2008-11-24
[21] 웹사이트 Indian Luxury Resort Endangers Isolated Jarawa Tribe https://web.archive.[...] 2009-07-03
[22] 뉴스 Andaman Islands tribe threatened by lure of mass tourism https://www.theguard[...] 2012-01-07
[23] 문서 안다만 제도의 사멸된 언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