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도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도치는 고려 공민왕을 시종하던 환관으로, 공민왕과 외모가 비슷했다. 홍건적의 난 이후 김용의 난 당시 공민왕을 대신하여 반란군에게 살해되었다. 그는 공민왕을 탈출시키기 위해 자신의 목숨을 희생했다. 안도치는 드라마 《개국》, 《신돈》, 《신의》 등에서 배우가 연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환관 - 방신우
방신우는 고려 말 원나라에서 몽골식 이름 망쿠다이로 활동하며 평장정사까지 오른 관리로서, 충선왕 옹호와 고려의 국익을 위한 활동을 펼치다 원나라에서 사망 후 고려에 안장되었다. - 고려의 환관 - 김인존
김인존은 고려 시대 문신으로, 과거 급제 후 내시로서 선종, 헌종, 숙종 3대에 걸쳐 외교적 역량을 발휘하여 요나라와 북송에 파견되었고, 여진족의 동북 9성 반환 문제에 대한 현실적인 판단을 내렸으며, 이자겸의 난 이후 문하시중에 올랐다. - 1363년 사망 - 진우량
진우량은 원나라 말기 홍건적의 난에 가담하여 서수휘를 살해하고 스스로 황제가 되어 대한을 건국했으나 주원장과의 파양호 전투에서 패배하고 전사한 인물이다. - 1363년 사망 - 투글루크 티무르
투글루크 티무르는 14세기 중반 동서로 분열된 차가타이 칸국을 일시적으로 통일하고 동차가타이 칸국 최초로 이슬람교로 개종한 칸이다. - 생년 미상 - 손니 알리
손니 알리는 송가이 제국의 군주로서 니제르 강 유역을 장악한 후 팀북투와 젠네를 정복하고 군사력을 강화하여 제국을 확장했으며, 전통 신앙과 이슬람교 조화, 법에 의한 국가 통제, 무역 확립 등 내치에도 힘썼다. - 생년 미상 - 김조국
김조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치인으로, 2019년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위원 겸 당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되었으며,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으로 임명되었다.
안도치 | |
---|---|
인물 정보 | |
이름 | 안도치 |
한자 표기 | 安都赤 |
로마자 표기 | An Dochi |
국적 | 고려 |
사망일 | 1363년 3월 1일 (음력) |
직업 | 공민왕의 보좌관 |
상세 정보 | |
주요 역할 | 김용이 일으킨 흥왕사의 변란 진압 |
사망 원인 | 흥왕사의 난 때 공민왕을 대신하여 살해됨 |
2. 생애
안도치는 고려 공민왕 때의 환관이다. 김용의 난 때 왕을 대신해 목숨을 잃었다.[6]
2. 1. 김용의 난과 공민왕
홍건적의 난을 피해 경상북도 안동까지 피난했던 공민왕은 홍건적이 물러가고 전황이 수습되자 경기도 개풍군에 있던 흥왕사에 머물렀다. 이때 순군만호 김용이 반란을 일으켜 흥왕사를 습격했다. 공민왕을 시종하고 있던 환관 안도치는 외모가 공민왕과 비슷했다. 이강달은 왕을 업고 창문을 통해 달아났으며, 안도치는 자신이 대신 공민왕의 침전에 누워 있다가 공민왕으로 잘못 안 반란자들에게 살해되었다.[6]2. 2. 안도치의 희생
공민왕은 홍건적의 난으로 경상북도 안동까지 피난했다가, 홍건적이 물러간 후 경기도 개풍군 흥왕사에 머물던 중 순군만호 김용의 반란으로 흥왕사가 습격당했다. 이때 공민왕을 모시던 환관 안도치는 왕과 외모가 비슷했는데, 이강달이 왕을 업고 창문으로 달아나는 동안 공민왕의 침전에 대신 누워 있다가 왕으로 오인받아 반란군에게 살해되었다.[6]3. 대중문화에서의 안도치
1983년 KBS 드라마 개국에서 김동완이, 2005년~2006년 MBC 드라마 신돈에서는 이정섭이, 2012년 SBS 드라마 신의에서는 권민이 안도치를 연기했다.
3. 1. 등장 작품
참조
[1]
웹사이트
http://encykorea.aks[...]
2021-07-01
[2]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1-07-01
[3]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1-07-01
[4]
서적
Empire's twilight: northeast Asia under the Mongols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for the Harvard-Yenching Institute : Distributed by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
[5]
간행물
고려사
1363-03-01
[6]
간행물
고려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