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드레이 돌고루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드레이 돌고루키는 1111년경에 태어나 1174년 암살된 블라디미르-수즈달 대공국의 통치자이다. 그는 키예프 근교의 비시호로드에서 수즈달로 이동하여 블라디미르를 수도로 삼고, 성모 승천 대성당을 건설했다. 1169년에는 키예프를 약탈했지만, 스스로는 키예프 대공이 되지 않고 동생을 앉혔다. 그는 공권력 강화를 시도했지만, 귀족들의 반발로 암살당했다. 그의 사후 블라디미르-수즈달 대공국은 혼란에 휩싸였고, 그의 아들들은 노브고로드 공, 그루지야 왕국의 왕비와 결혼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110년 출생 - 복창원주
    복창원주는 이자겸의 딸이자 인종의 왕비였으나, 이자겸의 난 이후 왕의 종모라는 이유로 폐위되어 복창원주로 불렸고, 인종 독살 시도를 막은 공로로 우대받은 인물이다.
  • 1110년 출생 - 유완소
    유완소는 금나라 시대의 의학자이자 금원사대가 중 한 명으로, 화열론을 중심으로 독자적인 의학 이론을 정립하고 한량한 성질의 약재를 사용하여 온열 질환 치료에 기여한 한량파의 시조이다.
  • 1174년 사망 - 에버라드 데 바레스
    에버라드 데 바레스는 프랑스 출신의 기사로, 루이 7세의 신임을 받으며 1147년부터 1152년까지 템플 기사단의 제3대 총장을 지냈으나, 재정 문제와 내부 갈등으로 사임 후 수도원으로 은퇴했으며 제2차 십자군에 참여했다.
  • 1174년 사망 - 누르 앗딘
    누르 앗딘은 12세기 중반 시리아의 장기 왕조 군주로서, 십자군에 맞서 이슬람 세력을 규합하고 영토를 확장하며, 살라딘을 등용하여 이집트 정복에 기여하는 등 십자군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유리가 - 이반 1세
    이반 1세는 모스크바 공작으로 즉위하여 블라디미르 대공의 지위를 얻어 모스크바 대공국을 러시아의 중심지로 만들고, 킵차크 칸국과의 외교, 재정적 수단, 트베리 공국과의 갈등 승리, 러시아 정교회 중심지 이전 등을 통해 모스크바 대공국의 성장과 러시아 국가 형성의 기틀을 마련한 인물이다.
  • 유리가 - 이반 2세
    이반 2세는 이반 1세의 아들이자 흑사병으로 사망한 형을 이어 모스크바 대공이 되었으며, 킵차크 칸국에 복속되었으나 키예프의 알렉세이 대주교의 지원을 받아 영토를 확장하고 1359년 사망했다.
안드레이 돌고루키
기본 정보
이름안드레이 유리예비치 보골류프스키
다른 이름(안드레이 보골류프스키)
칭호동방 정교회의 성인, 열정 봉헌자
출생일미상
출생지로스토프, 키예프 루시
사망일1174년 6월 28일
사망지보고류보보, 블라디미르-수즈달 공국
기념일7월 4일 (매장), 6월 30일, 6월 23일, 10월 10일, 5월 25일
공경 대상동방 정교회
안드레이 보골류프스키. [[미하일 미하일로비치 게라시모프]]의 법의학적 얼굴 재구성.
안드레이 보골류프스키. 미하일 미하일로비치 게라시모프의 법의학적 얼굴 재구성.
속성러시아 대공으로 옷을 입고 오른손에 3중 십자가를 들고 있음
수호러시아 NBC 보호 부대
주요 성지성모 승천 대성당, 블라디미르
시성일1702년 10월 15일 (이전)
시성 장소성모 승천 대성당, 블라디미르
시성러시아 정교회
통치 정보
직함블라디미르 대공
통치 기간1157년 ~ 1174년
이전 직함키예프 대공, 수즈달 공
아버지유리 돌고루키
어머니폴로베츠의 칸 아에파의 딸
배우자울리타
자녀유리
로스티슬라바
가문
왕조류리크 왕조

2. 생애

원초 연대기에 따르면 안드레이의 부모는 1108년 1월 12일에 루스족과 쿠만족(폴로브치) 간의 평화 협정의 일환으로 결혼했다.[1][2] 안드레이의 아버지 유리 돌고루키블라디미르 2세 모노마흐의 아들이자 모노마호비치의 조상이다.[3] 안드레이의 어머니는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쿠만 공주로, 아이파의 딸이었다.[1][2] 안드레이는 1111년경에 태어났으며, 유리는 안드레이를 키예프 근처의 비시고로드에서 공작으로 선포했다.

1155년, 안드레이는 비시호로드를 떠나 클랴지마 강가의 작은 도시인 블라디미르로 이주하며,블라디미르 성모자상을 옮겼다.[1] 1157년 아버지의 죽음 이후, 로스토프-수즈달의 공작이 되었고, 북부 드비나 강 지역 주민들로부터 조공을 받을 권리를 스스로 확립했다.

안드레이는 공국의 수도를 귀족 세력이 강한 수즈달에서 클랴지마 강변의 블라디미르로 이전하고 대공을 칭했다. 이후, 이 공국은 블라디미르-수즈달 대공국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1158년에는 성모 승천 대성당을 건립하여 수도로서의 모습을 갖추었다. 그는 블라디미르 북동쪽 교외의 보고류보보 마을에 거성을 짓고 거주하여 "보고류브스키"라는 별칭으로 불리게 되었다.

1169년 3월, 안드레이의 군대가 키예프를 약탈하여 이전 어느 때보다 더 큰 피해를 입혔다.[5] 안드레이는 블라디미르-수즈달에 머물렀고, 그의 군대는 수도를 약탈했다.[6] 약탈 후, 종교 예술품, 책, 귀중품을 훔치고 주택과 종교 건물을 모두 파괴한 후, 대공의 칭호를 주장했지만 블라디미르에 거주하며 블라디미르의 위신과 키예프로부터의 교회 독립을 주장했다.[7] 안드레이는 동생 글레브를 키예프의 공으로 임명했으나, 1171년 글레브가 사망하면서 지배권은 2년만에 끝났다.

안드레이가 키예프 루스의 다른 지역을 통제하려는 시도는 거의 성공하지 못했다. 1171년 글레프의 죽음은 키예프 계승 위기를 야기했고, 안드레이는 키예프를 다시 장악하기 위한 2년간의 전쟁에 휘말렸다.

1174년 6월 28일에서 29일 밤, 안드레이의 공작 권위 확장과 보야르들과의 갈등은 보야르들의 음모로 이어졌다. 20명의 보야르가 그의 침실로 들이닥쳐 그를 침대에서 살해했다.

키예프 연대기의 ''이파티예프 연대기''(Ipatiev)와 ''라지빌 연대기''에 따르면,[8] "표트르"(Петръ)라는 자객이 그의 "오른손"을 잘랐다.[8]


2. 1. 초기 생애

원초 연대기에 따르면 안드레이의 부모는 1108년 1월 12일에 루스족과 쿠만족(폴로브치) 간의 평화 협정의 일환으로 결혼했다.[1][2] 안드레이의 아버지인 유리 블라디미로비치는 유리 돌고루키로 알려져 있으며, 블라디미르 2세 모노마흐의 아들이자 모노마호비치의 조상이다.[3] 안드레이의 어머니는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쿠만 공주로, 아이파의 딸이었다.[1][2] 안드레이는 1111년경에 태어났으며, 유리는 안드레이를 키예프 근처의 비시고로드에서 공작으로 선포했다.

2. 2. 권력 장악 (1155-1162)

1155년, 안드레이는 비시호로드를 떠나 클랴지마 강가의 작은 도시인 블라디미르로 이주했다.[1] 이 과정에서 그는 비시고로드에서 블라디미르 성모자상을 블라디미르로 옮겼다.[1] 1157년 아버지의 죽음 이후, 안드레이는 그의 동생들인 미하일 "미할코" 유르예비치와 세볼로트 "빅 네스트"를 1162년에 로스토프와 수зда리에서 쫓아냈고, 이로써 아버지의 유산인 블라디미르-수зда리를 그의 단독 통치(''사모블라스테츠'') 하에 통일했다.[3] 그는 네 명의 형제를 어머니이자 유리 2세의 두 번째 부인과 함께 비잔틴 제국으로 추방했다.[3]

안드레이는 북부 드비나 강 지역 주민들로부터 조공을 받을 권리를 스스로 확립했다.

2. 3. 건설 사업

그는 1158년에 블라디미르 시 주변에 요새 건설을 시작했으며, 블라디미르의 성모 승천 대성당도 건설했다.[2] 1162년 또는 1164년에 안드레이는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사절단을 보내 블라디미르에 별도의 대교구를 설치하도록 요청했지만,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에 의해 거부되었다.[3] 블라디미르 주변의 요새는 1164년에 완공되었다. 같은 해 안드레이는 볼가 불가르족을 공격하여 승리했다. 후대의 전승에 따르면, 그의 아들이 전투에서 사망했고, 그는 1165년에 그의 아들을 기리기 위해 네를 강변의 중재 교회 건설을 지시했다고 한다.[4]

안드레이는 공국의 수도를 귀족 세력이 강한 수즈달에서 클랴지마 강변에 있는 신흥 도시 블라디미르로 이전하고 대공을 칭했다. 이후, 이 공국은 블라디미르-수즈달 대공국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또한, 1158년에는 성모 승천 대성당을 건립하여 수도로서의 모습을 갖추었다. 그는 블라디미르 북동쪽 교외의 보고류보보 마을에 거성을 짓고 거주하여 "보고류브스키"라는 별칭으로 불리게 되었다.

2. 4. 키예프 공략과 패권 (1169-1171)

1169년 3월, 안드레이의 군대가 키예프를 약탈하여 이전 어느 때보다 더 큰 피해를 입혔다.[5] 안드레이는 공격에 참여하지 않고 블라디미르-수즈달에 머물렀고, 그의 군대는 수도를 약탈했다.[6] 도시를 약탈한 후, 많은 종교 예술품, 책, 귀중품을 훔치고 주택과 종교 건물을 모두 파괴한 후, 안드레이는 대공의 칭호를 주장했지만 블라디미르에 거주하며 블라디미르의 위신과 키예프로부터의 교회 독립을 주장하기 위해 블라디미르의 비잔틴 종교 유산을 강조했다.[7] 안드레이는 자신의 지배권을 확립하기 위해 동생 글레브를 키예프의 공으로 임명했다. 그러나 이 지배권은 2년도 채 되지 않아 1171년 1월 20일 글레브가 사망하면서 끝났다.

안드레이가 키예프 루스의 다른 지역을 통제하려는 시도 역시 거의 성공하지 못했다. 그의 노브고로드 공방전 (1170)은 실패했고, 수즈달인들은 패배했다. 그는 나중에 무역 중심지에 봉쇄를 가하여 노브고로드인들을 협박하고 1171년에 아들 유리 보고류브스키에게 공작위를 확보했지만, 노브고로드인들은 1174년 6월 안드레이가 사망하자마자 그를 추방했다.

2. 5. 키예프 계승 위기 (1171-1173)

1171년 글레프의 죽음은 키예프 계승 위기를 야기했고, 안드레이는 키예프를 다시 장악하기 위한 2년간의 전쟁에 휘말렸다. 스몰렌스크의 로스티슬라비치와 볼히니아의 이자슬라비치가 공동으로 키예프의 왕위를 확보하자, 안드레이는 또 다른 연합을 구성하여 1173년 비슈고로드 공방전을 일으켰으나, 수즈달과 체르니고프의 유리에비치-올고비치 군대가 완전히 패배했다.

2. 6. 죽음



안드레이의 두 번째 연합군의 비시고로드에서의 패배, 그의 공작 권위의 확장, 그리고 상류 귀족인 보야르들과의 갈등은 1174년 6월 28일에서 29일 밤, 보고류브스키가 사망하는 결과를 낳은 음모로 이어졌다. 이때 20명의 보야르가 그의 침실로 들이닥쳐 그를 침대에서 살해했다.

키예프 연대기의 ''이파티예프 연대기''(Ipatiev)와 ''라지빌 연대기''에 따르면,[8] 그의 "오른손"은 "표트르"(Петръ)라는 자객에 의해 잘렸다.[8]

  • ''키예프 연대기'' 6683년(1175 [오류]): Петръ же ѿтѧ ему руку десную. кнѧзь же вьзрѣвъ. на н҃бо. и реч̑ Гс̑и в руцѣ твои предаю тобѣ дх҃ъ мои. и тако оуспе оубьенъ же быс̑ в суботу на нощь.|그리고 표트르는 그의 오른손을 빼앗았다. 공작은 하늘을 쳐다보며 말했다: '주님, 당신의 손에 내 영혼을 맡깁니다.' 그리하여 그는 토요일 밤에 죽임을 당했다.cu
  • ''라지빌 연대기'' 6683년(1175 [오류]): Петръ ему же от(ъ)тя руку десную. И убьенъ ж(е) быс(ть) в суб(оту) на ноч(ь).|그리고 표트르는 그의 오른손을 빼앗았다. 그리고 그는 토요일 밤에 살해되었다.cu


그러나 ''라지빌 연대기''에 인접한 세밀화는 그의 암살자들이 그의 왼쪽 팔을 자르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8] 1965년에 Дмитрий Герасимович Рохлин|드미트리 게라시모비치 로흘린ru이 안드레이 보고류브스키의 발굴된 시신을 조사했을 때, 그는 "왼쪽 상완골과 전완골에서 많은 절단 자국을 발견했다".[8] 2009년 러시아 역사가 A.V. Artcikhovsky의 특별 역사 연구는 로흘린의 관찰을 확인했다.[8]

안드레이의 죽음은 1174–1177 수즈달 계승 전쟁을 촉발했다.

3. 후손


  • 이지슬라프 안드레예비치(ru:Изяслав Андреевич)는 1164년 또는 1165년에 블라디미르의 성모 승천 대성당에 묻혔다. 자넷 마틴(2007)에 따르면, 이지슬라프의 죽음은 1164년 볼가 불가리아에 대한 수즈달의 성공적인 원정과 관련이 있으며, 안드레이는 이 아들을 기리기 위해 1165년에 넬 강변의 중보 교회를 짓도록 했다.
  • 므스티슬라프 안드레예비치(uk:Мстислав Андрійович, ru:Мстислав Андреевич)는 1172년에 사망했다.[1] 그는 1169년 키예프를 약탈하고 삼촌 글레프를 키예프의 공작으로 임명한 연합군을 지휘했다.[1]
  • 유리 보고류브스키는 1160년경 출생, 노브고로드 공 (1171-1173), 조지아의 타마르 여왕과 결혼했으나 이혼했다(1185-1188).[2]
  • 로스티슬라바는 흐시치 공스뱌토슬라프 블라디미로비치와 결혼했다.[3]

4. 유산


  • ''수즈달 연대기''의 367–369절에는 안드레이 보고류브스키에 대한 단편 찬가가 실려 있다.[9]
  • ''키예프 연대기''의 580–595절에는 안드레이 보고류브스키에 대한 장편 찬가가 실려 있으며,[9] '안드레이 보고류브스키 살해에 대한 이야기'(Povĕst' ob ubienii Andreja [Bogoljubskogo])라고도 한다.[9]
  • 고대 성상인 보고류보보의 테오토코스는 안드레이 보고류브스키의 요청에 의해 12세기에 그려졌다.[9]
  • 안드레이는 블라디미르 근처에 보고류보보 성을 지었으며, 그곳은 그의 가장 좋아하는 거주지가 되었다.
  • 그의 불가르족과의 승리는 꿀 구세주 축제 동안 매년 기념된다.

참조

[1] 웹사이트 АНДРЕЙ ЮРЬЕВИЧ БОГОЛЮБСКИЙ https://www.pravenc.[...] 2022-05-29
[2] 서적 Landmarks of Russian Architecture https://books.google[...] Routledge
[3] 서적 The Gates of Europe : A History of Ukraine Basic Books 2021
[4] 서적 Russian Architecture and the West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5] 서적 Treasure of the Land of Darkness: The Fur Trade and Its Significance for Medieval Russia Cambridge University Press
[6] 간행물 Russian Rulers: Andrey Yurievich Bogolyubsky http://russia.rin.ru[...] 2007-08-07
[7] 서적 Byzantium and the Rise of Russia A Study of Byzantino-Russian Relations in the Fourteenth Centu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8] 웹사이트 Отсечение левой руки (!) и убийство Андрея Юрьевича Боголюбского заговорщиками-боярами при активном участии злокозненной жены князя. https://runivers.ru/[...] 2023-05-19
[9] 웹사이트 "Bogolyubov" Icon of the Mother of God https://www.oca.org/[...] 2021-06-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