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창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창선은 전북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총신대학교 신학대학원에서 목회학 석사 학위를 취득한 후, 미국 듀크 대학교에서 신학 석사, 예일 대학교에서 문학 석사, 보스턴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에스라성경대학원대학교 신약학 교수를 역임했으며, 신약성서, 특히 요한복음과 관련된 연구를 활발히 진행했다. 또한 고대 유대교와 헬레니즘 문화, 쿰란 공동체와 랍비 할라카 비교 연구, 초기 유대교 및 기독교 문헌에 나타나는 신비, 괴물, 눈물 등의 개념을 연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성서대학교 교수 - 안명준
    안명준은 독립운동가 안봉순의 손자이자 평택대학교 피어선신학전문대학원 명예교수로, 칼빈 신학에 근거한 성경 해석학 연구와 다양한 학회 활동을 통해 한국교회와 해석학 분야에 기여했다.
  • 한국성서대학교 교수 - 김승호 (신학자)
    김승호는 한국성서대학교 성서학과 교수로, 사우스이스턴 침례신학대학원 등에서 학위를 받고 개혁주의선교신학회 등에서 활동하며 선교 관련 저술과 연구를 통해 한국선교신학자상을 수상한 신학자이다.
  • 성서학자 - 게르하르트 폰 라트
    게르하르트 폰 라트는 독일의 루터교 신학자로서 구약학 연구에 기여했으며, 형식 비평과 전승사 연구를 통해 새로운 접근 방식을 제시하고, 하이델베르크 대학교에서 구약학 교수로 재직하며 저서 《구약성서신학》 등을 저술했다.
  • 성서학자 - 니컬러스 토머스 라이트
    니컬러스 토머스 라이트는 영국의 성공회 주교이자 신약성서 학자로,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신학 박사 학위를 받았고 케임브리지 대학교 등에서 신약성서학을 가르쳤으며 더럼 주교를 역임했고 현재는 세인트앤드류스 대학교에서 신약성경학과 초기 기독교 역사를 가르치며 역사적 예수 연구와 바울 신학 분야에서 세계적인 석학으로 인정받고 '바울에 대한 새 관점'을 제시하고 전통적인 칭의론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제시한 것으로 유명하며 그의 신학적 관점은 많은 지지와 함께 논란과 비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 대한민국의 장로교도 - 원희룡
    원희룡은 서울대 법대 졸업 후 사법시험 수석 합격, 검사, 변호사를 거쳐 3선 국회의원과 제주특별자치도지사, 국토교통부 장관을 역임한 정치인이지만, 총선 낙선과 여러 논란을 겪었다.
  • 대한민국의 장로교도 - 이낙연
    이낙연은 1952년 전라남도 영광 출생으로,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동아일보 기자로 활동하다가 4선 국회의원, 전라남도지사, 국무총리를 역임했으며,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지낸 후 새로운미래를 창당하여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낙선했다.
안창선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안창선 교수
안창선 한국성서대학교 교수
이름안창선
원어 이름安昶䁢
로마자 표기An Changseon
활동 기간2012년 ~ 현재
출생일1975년 7월 13일
종교기독교
직업대학 교수
목사
저술가
학력
학력미국 Boston University (Ph.D.)
연구 분야
장르요한문헌
이성전 유대교
성서신학
주요 작품역서『사해사본과 쿰란공동체』외

2. 학력

3. 경력

에스라성경대학원대학교 신약학 교수를 역임했다.

4. 저서


  • Making Sense of Time: Reconsidering the Rhetoric of Temporality in the Johannine Literature|Making Sense of Time: Reconsidering the Rhetoric of Temporality in the Johannine Literature영어 (Mohr Siebeck, 집필 중)
  • 존 J. 콜린스, The Dead Sea Scrolls and the Qumran Community|사해사본과 쿰란공동체영어, 안창선 역 (쿰란출판사, 2012)

5. 논문

안창선은 신약성서, 고대 유대교, 헬레니즘 관련 연구를 진행하며 다양한 논문을 발표했다. 다음은 주요 논문 목록이다.

제목게재지연도
Review on Reading John by Christopher W. SkinnerReview of Biblical Literature2017
Review on God in the New Testament by Warren CarterReading Religion2018
Review on Resurrecting Easter: How the West Lost and the East Kept the Original Easter Vision by John Dominic Crossan and Sarah CrossanReading Religion2018
Review on Between Jews and Heretics: Refiguring Justin Martyr’s Dialogue with Trypho by Matthijs den DulkReview of Biblical Literature2019
“The Hellenized Jews, Civilized or Apostate?: Jewish Attitudes Toward the Nudity and Circumcision in the Gymnasium and Their Socio-Cultural Interaction with Hellenistic Culture”서양고대사연구 562019
“Re-Examining Johannine Arrangements of Time: Shifting the Temporal Axis from Death to Resurrection of Jesus in John 19:42-20:31”신약연구 182019
“요한문헌: 심층기획 전문가가 추천하는 성경 책별 베스트 주석”목회와 신학2020
“Re-Considering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Mystery” through the hyhn zr (Raz Nihyeh) in 4QInstruction”캐논앤컬처 142020
“Measuring the pē'āh (pe’ah) to the Poor: Examining Legal Interpretations about Leviticus 19:9-10 in Qumran and Rabbinic Halakhah”성경원문연구 462020
“Jesus, the Divine Provider and Host of Messianic Banquet: Re-Considering the Meaning of Feeding Five Thousand in John 6:1-14 as Indicating the Multiple Identities of Jesus”개혁논총2020
“Halakhic Controversy as Famly Quarrel: Re-Considering Jesus’ Hand Washing Debate with the Pharasees in Matthew 15:1-20”신약연구 192020
“전문가의 책읽기-요한계시록, 바르게 해석하라”목회와 신학2020
“심층기획 신약 속 구약,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누가복음·사도행전의 구약 인용”목회와 신학2020
“Understanding the Divine Time : A Brief Observation on the Rhetorical Role of Psalm 90:4 in 2 Peter 3:8 as Manifesting the Divine Prerogative to Begin and End Time”ACTS 신학저널2020
“전문가의 책 읽기-칼 디닉의 《할례 성경신학》”목회와 신학2020
“Reconsidering the Rhetoric of Temporality: Communal Time and Family Tree in 1 John”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Johannine Section2020
“The Power of Knowing Names and the Exorcism Spell as Methods of Controlling Supernatural Beings: Understanding the Cases in the Testament of Solomon”서양고대사연구 162021
“The Function of Monstrous Beasts in Visionary Experiences: Understanding Beasts in Early Jewish and Christian Apocalyptic Literature”캐논앤컬처2021
“공관복음 ㆍ 사도행전 연구의 최근 동향과 논쟁”목회와 신학2021
“한눈으로 보는 성경: 누가복음① (1-8장)”생명의 삶2022
“한눈으로 보는 성경: 누가복음② (9-17장)”생명의 삶2022
“한눈으로 보는 성경: 누가복음③ (18-24장)”생명의 삶2022
"『새한글성경 신약과 시편』 번역에 관한 제언 — 요한복음에 나타나는 독특한 표현들을 중심으로 —"성경원문연구2022
“The Holy People and the Holy Tears: Understanding Tears and Weeping in the Churches in the Late Antiquity”서양고대사연구2022
“Who Bears the Blame for Sin?: Comparing the Interpretations of Adam's Fall in the Book of Ben Sira and the Dead Sea Scrolls”캐논앤컬처2023
“Mourning for Babylon, the Fallen City: Exploring the Rhetoric of the Laments in Rev. 18:9-19 through the Lens of City Lamentations in Ancient Roman Literature”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Bible and Emotion Section2023


5. 1. 신약성서 연구

안창선은 신약성서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를 진행했다. 주요 연구 주제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목게재지연도
Reading John (Christopher W. Skinner 저) 서평Review of Biblical Literature2017
God in the New Testament (Warren Carter 저) 서평Reading Religion2018
Resurrecting Easter: How the West Lost and the East Kept the Original Easter Vision (John Dominic Crossan and Sarah Crossan 저) 서평Reading Religion2018
Between Jews and Heretics: Refiguring Justin Martyr’s Dialogue with Trypho (Matthijs den Dulk 저) 서평Review of Biblical Literature2019
“Re-Examining Johannine Arrangements of Time: Shifting the Temporal Axis from Death to Resurrection of Jesus in John 19:42-20:31”신약연구 182019
“요한문헌: 심층기획 전문가가 추천하는 성경 책별 베스트 주석”목회와 신학2020
“Jesus, the Divine Provider and Host of Messianic Banquet: Re-Considering the Meaning of Feeding Five Thousand in John 6:1-14 as Indicating the Multiple Identities of Jesus”개혁논총2020
“Halakhic Controversy as Famly Quarrel: Re-Considering Jesus’ Hand Washing Debate with the Pharasees in Matthew 15:1-20”신약연구 192020
“전문가의 책읽기-요한계시록, 바르게 해석하라”목회와 신학2020
“심층기획 신약 속 구약,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누가복음, 사도행전의 구약 인용”목회와 신학2020
“Understanding the Divine Time : A Brief Observation on the Rhetorical Role of Psalm 90:4 in 2 Peter 3:8 as Manifesting the Divine Prerogative to Begin and End Time”ACTS 신학저널2020
“Reconsidering the Rhetoric of Temporality: Communal Time and Family Tree in 1 John”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Johannine Section2020
“공관복음 ㆍ 사도행전 연구의 최근 동향과 논쟁”목회와 신학2021
“한눈으로 보는 성경: 누가복음① (1-8장)”생명의 삶2022
“한눈으로 보는 성경: 누가복음② (9-17장)”생명의 삶2022
“한눈으로 보는 성경: 누가복음③ (18-24장)”생명의 삶2022
"『새한글성경 신약과 시편』 번역에 관한 제언 — 요한복음에 나타나는 독특한 표현들을 중심으로 —"성경원문연구2022
“Mourning for Babylon, the Fallen City: Exploring the Rhetoric of the Laments in Rev. 18:9-19 through the Lens of City Lamentations in Ancient Roman Literature”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Bible and Emotion Section2023


5. 2. 고대 유대교 및 헬레니즘 연구

제목학술지발행년도
The Hellenized Jews, Civilized or Apostate?: Jewish Attitudes Toward the Nudity and Circumcision in the Gymnasium and Their Socio-Cultural Interaction with Hellenistic Culture서양고대사연구 562019년 12월
Re-Considering the Meaning and Function of the “Mystery” through the hyhn zr (Raz Nihyeh) in 4QInstruction캐논앤컬처 142020년 4월
Measuring the pē'āh (pe’ah) to the Poor: Examining Legal Interpretations about Leviticus 19:9-10 in Qumran and Rabbinic Halakhah성경원문연구 462020년 4월
전문가의 책 읽기-칼 디닉의 《할례 성경신학》목회와 신학2020년 11월
The Power of Knowing Names and the Exorcism Spell as Methods of Controlling Supernatural Beings: Understanding the Cases in the Testament of Solomon서양고대사연구 162021년 8월
The Function of Monstrous Beasts in Visionary Experiences: Understanding Beasts in Early Jewish and Christian Apocalyptic Literature캐논앤컬처2021년 10월
The Holy People and the Holy Tears: Understanding Tears and Weeping in the Churches in the Late Antiquity서양고대사연구2022년 12월
Who Bears the Blame for Sin?: Comparing the Interpretations of Adam's Fall in the Book of Ben Sira and the Dead Sea Scrolls캐논앤컬처2023년 10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