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렉세이 펫첸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렉세이 펫첸코는 1844년 이르쿠츠크에서 태어나 김나지움을 졸업하고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식물학, 동물학, 지질학을 전공한 러시아의 탐험가이자 곤충학자이다. 그는 중앙아시아를 탐험하며 곤충을 수집하고 기니충증을 유발하는 Dracunculus의 생활 주기를 발견했다. 1873년 몽블랑 산에서 빙하 탐험 중 사망했으며, 파미르 산맥의 펫첸코 빙하와 소행성 3195 페첸코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러시아의 곤충학자 -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블라디미르 나보코프는 러시아 제국 출신으로 서유럽 망명 후 미국으로 이주하여 영미 문학에 큰 영향을 끼친 소설가, 시인, 번역가이자 곤충학자로, 복잡한 플롯과 언어유희, 독특한 문체로 20세기 주요 작가로 평가받는다.
알렉세이 펫첸코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알렉세이 파블로비치 펫첸코 |
원어 이름 | Алексей Павлович Федченко |
출생일 | 1844년 2월 7일 (구 러시아력 1844년 2월 19일) |
출생지 | 러시아 제국 이르쿠츠크 |
사망일 | 1873년 8월 31일 (구 러시아력 1873년 9월 15일) (29세) |
사망지 | 프랑스 몽블랑산 |
국적 | 러시아 제국 |
배우자 | 올가 아르펠트 (18??-1873, 사별) |
학력 및 경력 | |
분야 | 생물학, 지리학, 탐험 |
모교 | 모스크바 대학교 |
주요 업적 | 투르케스탄 탐험 |
식물학 약칭 | A.Fedtsch. |
2. 생애
알렉세이 펫첸코는 1844년 2월 7일에 이르쿠츠크에서 태어나 김나지움을 졸업했다. 펫첸코는 아버지의 파산과 사망 이후 1860년에 어머니를 따라 모스크바로 이주하여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식물학, 동물학, 지질학을 전공했다.[1] 1864년 대학교를 졸업한 펫첸코는 동료들과 함께 자연과학·인류학·민족학 애호가 협회를 설립했다.
1868년, 펫첸코는 식물학자인 올가 아름펠트와 결혼했다.[2] 1868년부터 1871년까지 펫첸코 부부는 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던 투르키스탄을 탐험했다. 이들은 투르케스탄, 사마르칸트, 판지켄트, 상부 자라프샨 강 계곡을 여행했고,[2] 1870년에는 자라프샨 남쪽의 판 산맥을 탐험했다. 1871년에는 다루트코르간의 알라이 계곡에 도달하여 북부 파미르 산맥을 탐험했다.
펫첸코는 3차례에 걸친 러시아령 투르키스탄 탐험 과정에서 상당수의 곤충을 수집했다. 이 곤충들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페르디난트 모라비츠에 의해 연구되었다.[3] 펫첸코는 중앙아시아에서 36개 속에 속하는 438종, ''Andrena'' 68종, 유럽에서 17종, 신종 곤충 51종을 수집했다.[3] 또한 기니충증이라고 더 잘 알려진 Dracunculiasis를 유발하는 ''Dracunculus''의 생활 주기를 발견했다.
펫첸코는 1873년 9월 15일 프랑스 몽블랑산에서 빙하를 탐험하던 도중에 29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그의 유해는 샤모니에 안장되었다.[4][5] 그의 사후, 아내 올가는 남편의 탐험, 수집 작업과 집필 활동을 이어나갔고, 아들 보리스와 함께 연구를 진행하기도 했다.[6] 펫첸코의 ''투르케스탄 여행기''는 1874년에, ''코칸 칸국에서''는 1875년에, ''식물학적 발견''은 1876년에 러시아 정부에 의해 출판되었다.[1]
파미르의 펫첸코 빙하와 소행성 3195 페첸코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식물학적 형용어 ''fedtschenkoi''와 ''fedtschenkoanus''는 각각 알렉세이 펫첸코 또는 그의 아들 보리스 펫첸코를 가리킬 수 있다. ''Primula fedtschenkoi'' (Regel)는 1875년에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고,[7] ''Bambusa fecunda fedtschenkoi''와 풀잠자리인 ''Lopezus fedtschenkoi'' (MacLachlan)도 1875년에 그의 이름을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8] 도마뱀붙이의 일종인 ''Tenuidactylus fedtschenkoi''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9]
2. 1. 이르쿠츠크 출생과 모스크바 유학
알렉세이 펫첸코는 1844년 2월 7일 이르쿠츠크에서 태어나 그곳 김나지움을 졸업했다.[1] 아버지는 금광을 소유했으나 펫첸코가 김나지움을 졸업할 때 파산하여 사망했다. 1860년 펫첸코는 어머니를 따라 모스크바로 이주하여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식물학, 동물학, 지질학을 전공했다.[1] 그는 동료 학생들과 함께 자연과학·인류학·민족학 애호가 협회를 설립했다.1864년 대학교를 졸업한 펫첸코는 1868년 식물학자 올가 아름펠트와 결혼했다.[2] 1868년부터 1871년까지 부부는 투르키스탄을 탐험했고, 1871년에는 파미르고원을 탐험했다. 펫첸코는 러시아령 투르키스탄 탐험 과정에서 곤충을 다수 수집하여 상트페테르부르크의 곤충학자 페르디난트 모라비츠가 연구했다.[3] 그는 중앙아시아에서 36개 속에 속하는 438종, ''Andrena'' 68종, 유럽에서 17종, 신종 51종을 기록했다.[3]
2. 2. 중앙아시아 탐험과 학문적 업적
알렉세이 펫첸코는 1844년 2월 7일에 이르쿠츠크에서 태어나 김나지움을 졸업했다. 펫첸코는 아버지의 파산과 사망 이후 1860년에 어머니를 따라 모스크바로 이주하여 모스크바 대학교에서 식물학, 동물학, 지질학을 전공했다.[1] 1864년 대학교를 졸업한 펫첸코는 동료들과 함께 자연과학·인류학·민족학 애호가 협회를 설립했다.1868년, 펫첸코는 식물학자인 올가 아름펠트와 결혼했다.[2] 1868년부터 1871년까지 펫첸코 부부는 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던 투르키스탄을 탐험했다. 이들은 투르케스탄, 사마르칸트, 판지켄트, 상부 자라프샨 강 계곡을 여행했고,[2] 1870년에는 자라프샨 남쪽의 판 산맥을 탐험했다. 1871년에는 다루트코르간의 알라이 계곡에 도달하여 북부 파미르 산맥을 탐험했다.
펫첸코는 3차례에 걸친 러시아령 투르키스탄 탐험 과정에서 상당수의 곤충을 수집했다. 이 곤충들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페르디난트 모라비츠에 의해 연구되었다.[3] 펫첸코는 중앙아시아에서 36개 속에 속하는 438종, ''Andrena'' 68종, 유럽에서 17종, 신종 곤충 51종을 수집했다.[3] 또한 기니충증이라고 더 잘 알려진 Dracunculiasis를 유발하는 ''Dracunculus''의 생활 주기를 발견했다.
펫첸코는 1873년 9월 15일 프랑스 몽블랑산에서 빙하를 탐험하던 도중에 29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그의 유해는 샤모니에 안장되었다.[4][5] 그의 사후, 아내 올가는 남편의 탐험, 수집 작업과 집필 활동을 이어나갔고, 아들 보리스와 함께 연구를 진행하기도 했다.[6] 펫첸코의 ''투르케스탄 여행기''는 1874년에, ''코칸 칸국에서''는 1875년에, ''식물학적 발견''은 1876년에 러시아 정부에 의해 출판되었다.[1]
파미르의 펫첸코 빙하와 소행성 3195 페첸코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식물학적 형용어 ''fedtschenkoi''와 ''fedtschenkoanus''는 각각 알렉세이 펫첸코 또는 그의 아들 보리스 펫첸코를 가리킬 수 있다. ''Primula fedtschenkoi'' (Regel)는 1875년에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고,[7] ''Bambusa fecunda fedtschenkoi''와 풀잠자리인 ''Lopezus fedtschenkoi'' (MacLachlan)도 1875년에 그의 이름을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다.[8] 도마뱀붙이의 일종인 ''Tenuidactylus fedtschenkoi''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9]
2. 3. 몽블랑에서의 죽음과 사후 업적
알렉세이 펫첸코는 1873년 9월 15일에 프랑스 몽블랑산에서 빙하를 탐험하던 도중에 사망했는데 그의 유해는 샤모니에 안장되었다. 펫첸코는 투르키스탄의 빙하와 비교하기 위해 프랑스의 빙하를 관찰하려다가 2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펫첸코가 사망한 이후, 그의 아내 올가 암펠트는 남편의 탐험, 수집 작업과 집필 활동을 이어나갔다. 러시아 정부는 펫첸코의 탐험과 발견에 대한 기록을 출판했는데 ''투르케스탄 여행기''는 1874년에, ''코칸 칸국에서''는 1875년에, ''식물학적 발견''은 1876년에 출판되었다. 페터만의 ''미텔룽겐'' (1872–1874)에도 관련 기록이 있다.
파미르의 펫첸코 빙하와 소행성 3195 페첸코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기니충증이라고 더 잘 알려진 Dracunculiasis를 유발하는 ''Dracunculus''의 생활 주기를 발견했다.
식물학적 형용어 ''fedtschenkoi''와 ''fedtschenkoanus''는 각각 알렉세이 펫첸코 또는 그의 아들 보리스를 가리킬 수 있다. ''Primula fedtschenkoi'' (Regel)는 1875년에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875년에는 풀잠자리인 ''Lopezus fedtschenkoi'' (MacLachlan)와 ''Bambusa fecunda fedtschenkoi''도 그를 기리기 위해 명명되었을 수 있다. 도마뱀붙이의 일종인 ''Tenuidactylus fedtschenkoi''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2. 4. 기니충증 연구
알렉세이 펫첸코는 기니충증(Dracunculiasis)을 유발하는 Dracunculus의 생활 주기를 발견했다.[1] 펫첸코의 탐험과 발견에 대한 기록은 러시아 정부에 의해 출판되었다. 그의 ''투르케스탄 여행기''는 1874년에, ''코칸 칸국에서''는 1875년에, 그리고 ''식물학적 발견''은 1876년에 출판되었다.[1]3. 유산
알렉세이 펫첸코는 1844년 2월 7일에 이르쿠츠크에서 태어나서 자신의 고향에 위치한 김나지움 과정을 졸업했다. 펫첸코의 아버지는 원래 금광을 소유했는데 펫첸코가 김나지움을 졸업할 때에 파산하면서 사망했다. 펫첸코는 1860년에 어머니를 따라 이르쿠츠크에서 모스크바로 이주했다. 펫첸코는 모스크바 대학교에 입학하면서 식물학, 동물학, 지질학을 전공했고 동료 학생들과 함께 자연과학·인류학·민족학 애호가 협회를 설립했다.
펫첸코는 1864년에 모스크바 대학교를 졸업했고 1868년에 식물학자인 올가 아름펠트와 결혼했다. 펫첸코는 1868년부터 1871년까지 아내와 함께 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고 있던 투르키스탄 탐험에 나섰고 1871년에는 세상에 알려져 있지 않던 파미르고원을 탐험했다. 펫첸코는 3차례에 걸친 러시아령 투르키스탄 탐험 과정에서 상당수의 곤충을 수집했는데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활동하고 있던 곤충학자인 페르디난트 모라비츠로부터 연구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펫첸코는 중앙아시아에 서식하던 곤충 36개 속·438종, 애꽃벌과 68종, 유럽에 서식하던 곤충 17종, 신종 곤충 51종을 수집했다.
펫첸코는 1873년 9월 15일에 프랑스 몽블랑산에서 빙하를 탐험하던 도중에 사망했는데 그의 유해는 샤모니에 안장되었다. 펫첸코의 아내는 남편이 사망한 이후에 탐험, 수집 작업과 집필 활동을 이어나갔다. 파미르고원에 위치한 펫첸코 빙하는 그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4. 저서
- 1875년 《투르케스탄 여행; 동물지리학적 연구. 국립 지리학 출판사》, 모스크바.
참조
[1]
서적
Fedchenko, Alexis Pavlovich
[2]
웹사이트
Fedtschenko, Olga Alexandrowna (1845-1921)
http://plants.jstor.[...]
plants.jstor.org
2014-10-02
[3]
웹사이트
The Genus ''Andrena'' from Kazakhstan and Kyrgyzstan, Collected by the Kyushu University Expedition (Hymenoptera, Andrenidae) (1)
https://web.archive.[...]
catalog.lib.kyushu-u.ac.jp
2014-10-02
[4]
간행물
855. Iris Stolonifera
2017-04
[5]
서적
Ladies in the Laboratory IV: Imperial Russia's Women in Science, 1800-1900: A Survey of Their Contributions to Research
https://books.google[...]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2015-03-12
[6]
웹사이트
Fedtschenko, Aleksei Pavlovich (Alexei Pawlowitsch) (1844-1873)
http://plants.jstor.[...]
plants.jstor.org
2014-10-02
[7]
웹사이트
"Primula fedtschenkoi "
http://www.primulawo[...]
primulaworld.com
2014-10-02
[8]
웹사이트
Bulletin of Zoological Nomenclature
http://pages.bangor.[...]
bangor.ac.uk
2014-10-02
[9]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