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몽블랑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몽블랑산은 프랑스와 이탈리아 사이에 위치한 알프스 산맥의 최고봉으로, 지질학적으로 화강암과 편마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빙하 작용으로 현재의 지형을 갖추게 되었다. 1786년 자크 발마와 미셸-가브리엘 파카르가 초등에 성공한 이래, 연간 2만 명의 등반객이 찾는 인기 있는 산이다. 기후는 고도에 따라 냉온대 기후를 보이며, 정상 부근은 연중 얼음으로 덮여 있다. 몽블랑 터널은 프랑스와 이탈리아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로이며, 몽블랑은 등반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기후 변화의 영향을 받는 곳이기도 하다. 몽블랑산은 문화적으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세계 유산 등재를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의 산 - 피크 뒤 미디 드 비고르
    피크 뒤 미디 드 비고르는 프랑스 피레네 산맥의 봉우리로, 천문대가 설치되어 천문학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토성의 위성 헬레네가 발견된 곳이자 국제 밤하늘 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고, 케이블카로 정상까지 접근이 가능하다.
  • 프랑스의 산 - 그랑드조라스
    그랑드조라스는 프랑스와 이탈리아 국경에 위치한 산으로, 알프스 3대 북벽 중 하나이며, 워커 능선 등 다양한 등반 루트가 존재한다.
  • 오트사부아주의 지형 - 레만호
    레만 호는 스위스와 프랑스 국경에 걸쳐 있는 초승달 모양의 큰 호수로, 아름다운 자연 경관, 다양한 수상 레저 활동, 풍부한 역사와 문화 유적, 유명 인사들과의 연관성으로 유명하며, 과거 오염 문제를 겪었으나 현재는 수질이 개선되었고 쓰나미의 역사적 사건으로도 알려져 있다.
  • 오트사부아주의 지형 - 론강
    론강은 스위스에서 발원하여 프랑스를 거쳐 지중해로 흐르는 813km의 강으로, 수로와 수력 발전, 농업 용수로 활용되며, 다양한 생태계를 이루어 람사르 협약 등록지와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 지역으로 보호받고 있다.
몽블랑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산 정보
이름몽블랑
다른 이름몬테 비안코
아오스타 계곡에서 바라본 몽블랑 (이탈리아)
아오스타 계곡에서 바라본 몽블랑 (이탈리아)
해발고도4,805.59 m
돌출높이4,696 m
어미산엘브루스산
고립도2,812 km 쿠쿠르틀루 돔(Kukurtlu Dome)
위치이탈리아, 아오스타 계곡
프랑스, 오베르뉴론알프
산맥그라이에알프스산맥
좌표45°49′58″N 6°51′54″E
첫 등반1786년 8월 8일 자크 발마, 미셸-가브리엘 파카르
기타 정보
목록국가 최고점
울트라
7대륙 최고봉

2. 지리

몽블랑 산괴는 후기 고생대의 바리스크 산 형성 사건 동안 편마암과 운모 편암 기저층을 뚫고 올라온 거대한 화강암 관입암인 바토리스로 형성되었다. 몽블랑 정상은 이 두 암석 유형이 접촉하는 지점에 있으며, 남서쪽으로는 화강암 접촉이 관입암의 성질을 띠는 반면, 북동쪽으로는 구조적 성질로 바뀐다. 화강암은 대부분 입자가 매우 굵으며, 미세 화강암에서 반상 조직 화강암까지 다양하다. 산괴는 북서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바리스크 조산 운동 동안 북-남 방향으로 놓인 거의 수직인 반복 단층에 의해 잘렸다. 이후 알프스 조산 운동 동안 전단대를 동반한 추가적인 단층 작용이 발생했다. 반복적인 구조 활동으로 인해 암석은 여러 방향과 겹치는 면에서 쪼개졌다. 마지막으로, 과거와 현재의 빙하 작용으로 인해 지형이 현재의 형태로 조각되었다.[7]

몽블랑 지역의 광물에 대한 최초의 체계적인 설명은 1873년 베낭스 파요가 발표했는데, 그의 목록은 90가지의 광물 종류를 포함했지만, 암석의 아주 작은 구성 요소로만 존재하는 것도 포함되었다.[8] 이를 제외하면, 오늘날 몽블랑 산괴의 더 넓은 범위에 걸쳐 최소 68개의 개별 광물 종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10][11][12]

몽블랑 정상


몽블랑 정상은 두껍고 영구적인 얼음과 눈 돔으로 덮여 있어 그 두께가 변동하므로, 정확한 정상 해발고도는 결정하기 어렵지만 특정 날짜에 측정이 이루어졌다. 오랫동안 공식 해발고도는 4807m였으나, 2002년 국립 지리원(IGN)과 전문가 측량사들은 GPS(GPS) 기술을 이용하여 4807.4m로 측정했다. 2003년 유럽 폭염 이후 과학자팀은 높이를 재측정했는데, 해발고도가 4808.45m이며 정점이 2002년 위치에서 75cm 이동했다고 기록했다. 이후 산의 해발고도는 2년마다 측정되고 있다. 2005년에는 4808.75m로 이전보다 30cm 더 높았으며, 암석 정상은 4792m 지점에 위치해 있고 얼음으로 덮인 정상에서 서쪽으로 약 40m 떨어져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35] 2007년과 2009년에는 각각 4807.9m, 4807.45m로 측정되었고,[36] 2013년에는 4810.02m, 2015년에는 4808.73m로 측정되었다.[37] 맑은 날 몽블랑 정상에서는 쥐라 산맥, 보주 산맥, 검은 숲, 중앙 산괴 산맥과 알프스의 주요 봉우리들을 볼 수 있다.

에귀 뒤 미디의 레뷔파 플랫폼에서 본 몽블랑


발레 블랑슈에서 르 제앙 빙하와 데 당 뒤 제앙을 바라본 모습, 타쿨 빙하를 지나 메르 드 글라스를 바라보며, 아귀유 드 무아느, 레 드뤼, 아귀유 베르트가 중앙 왼쪽에 위치


몽블랑은 이탈리아의 아오스타 계곡과 프랑스의 오트사부아 주 사이에 위치하며, 정상이 어느 국가에 속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다. 몽블랑과 가장 가까운 도시는 프랑스 측의 샤모니와 이탈리아 측의 쿠르마유르이다. 1957년부터 1965년에 걸쳐 두 도시를 잇는 총 길이 11.6km의 몽블랑 터널 굴착이 이루어졌으며, 알프스 횡단의 주요 루트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2. 1. 기후

론 강과 포 강의 분수령에 위치한 몽블랑 산괴는 북부 및 서부 알프스와 남부 알프스의 두 가지 다른 기후 지역 사이에 있다. 메르 드 글라스의 기후 조건은 스위스 알프스 북쪽에서 발견되는 조건과 유사하다.[14]

기후는 냉온대 기후(쾨펜 기후 구분 ''Cfb'')이며,[13] 고도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알프스에서 가장 높은 부분인 몽블랑과 주변 산들은 자체적인 기상 패턴을 만들 수 있다. 산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기온이 떨어지며, 몽블랑 정상은 연중 얼음으로 덮여 있고 기온은 약 -20°C이다. 정상은 또한 강풍과 갑작스러운 기상 변화에 취약하다. 전반적인 높이가 매우 높기 때문에 상당 부분이 영구적으로 빙하로 덮여 있거나 눈으로 덮여 있으며 극도로 추운 환경에 노출되어 있다.[14]

강수량은 고도에 따라 상당한 변화가 있다. 예를 들어, 몽블랑 아래에 있는 샤모니 마을은 해발 약 1030m에 위치해 있고, 연간 약 1020mm의 강수량을 기록한다. 반면, 해발 3500m에 위치한 콜 뒤 미디는 훨씬 많은 양의 강수량을 기록하며, 총 3100mm에 달한다. 그러나 훨씬 더 높은 고도(몽블랑 정상 근처)에서는 강수량이 상당히 적어, 4300m 높이에서 측정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약 1100mm만이 기록되었다.[15]

3. 역사

아오스타 계곡의 Valdigne에서 바라본 몽블랑


몽블랑은 샤를마뉴 치하의 프랑크 왕국에서 가장 높은 산이었고, 1792년까지 신성 로마 제국에서 가장 높은 산이었다.[16]

1760년, 스위스 박물학자 오라스-베네딕트 드 소쉬르는 몽블랑을 관찰하기 위해 샤모니-몽블랑으로 가기 시작했다.[16] 그는 쿠르마유르의 산악 가이드이자 프레-생-디디에 출신인 장-로랑 조르데이와 함께 등반을 시도했는데, 그는 1774년부터 드 소쉬르와 함께 미아제 빙하와 몽 크라몽에 동행했다. 몽블랑의 최초 등반 기록(당시 이탈리아도 프랑스도 아니었음)은 1786년 8월 8일 자크 발마와 의사 미셸-가브리엘 파카르에 의해 이루어졌다. 오라스-베네딕트 드 소쉬르가 시작하여 성공적인 등반에 대한 보상을 제공한 이 등반은 전통적으로 현대 산악 등반의 시작을 알린다.[17] 정상에 오른 최초의 여성은 1808년의 마리 파라디였다.

몽블랑 등반과 관련된 주요 사건들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날짜사건
1787년영국인 마크 보포이가 최소 6명의 가이드와 하인을 동반하여 4번째 등반.
1838년 7월여성 두 번째 등반, 앙리에트 다앙제빌.
1890년조반니 보닌, 루이지 그라셀리, 아킬레 라티 신부(후일 교황 비오 11세)가 하강 중 이탈리아 정규 루트(서벽 직등) 발견.
1950년에어 인디아 245편이 몽블랑에 추락.
1960년비행기 조종사 앙리 지로가 30m 길이의 정상에 착륙.[49]
1966년에어 인디아 101편이 몽블랑에 추락.
1990년스위스의 피에르-앙드레 고베가 샤모니에서 출발하여 5시간 10분 14초 만에 등반 및 하산 완료.
2003년 5월 30일스테판 브로스와 피에르 지뉴가 스키를 타고 오르며 기록 경신을 시도. 4시간 7분 만에 올라 1시간 8분 만에 하산. 총 5시간 15분 만에 등반 및 하산.
2003년 8월 13일7명의 프랑스 패러글라이딩 조종사가 정상에 착륙. 강한 열기류를 제공하는 더운 날씨 덕분에 5200m의 최고 고도에 도달. 5명은 플랑프라에서, 1명은 메제브의 로슈브룬, 오트알프에서, 마지막 한 명은 사모앙에서 출발.
2007년 6월 8일덴마크 예술가 마르코 에바리스티가 몽블랑 정상에 붉은 천을 두르고, "핑크 스테이트"라는 깃발이 달린 약 6.10m짜리 기둥을 세움. 그는 6월 6일 정상으로 이어지는 길을 붉게 칠하려다 체포되어 구금되었음. 그는 환경 파괴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함.[50]
2007년 9월 13일20명의 그룹이 정상에 온수 욕조를 설치.[51]
2012년 8월 19일50명의 패러글라이딩 조종사가 정상에 착륙, 2003년에 세워진 7명의 최고 착륙 기록을 경신. 여기에는 정상에서 두 번째로 이루어진 탠덤 착륙도 포함됨.[52]
2013년 7월 11일킬리안 조르네가 4시간 57분 40초로 등반 및 하산의 전체 최단 시간 기록을 경신.[53][54]
2018년 6월 21일에밀리 포르스베르가 7시간 53분 12초로 샤모니에서 출발하여 여성 최단 등반 및 하산 기록을 세우며, 2013년의 이전 기록인 8시간 10분을 경신.[55]
2023년 6월 17일힐러리 제라디가 세락 낙하로 인해 더 길지만 안전한 아레트 노르를 통해 7시간 27분 39초의 새로운 여성 최단 시간을 기록.[56]


3. 1. 몽블랑 초등

오라스-베네딕트 드 소쉬르는 1760년 몽블랑을 관찰하기 위해 샤모니-몽블랑으로 가기 시작했다.[16] 그는 쿠르마유르의 산악 가이드이자 프레-생-디디에 출신인 장-로랑 조르데이와 함께 등반을 시도했는데, 그는 1774년부터 드 소쉬르와 함께 미아제 빙하와 몽 크라몽에 동행했다.

몽블랑의 최초 등반 기록(당시 이탈리아도 프랑스도 아니었음)은 1786년 8월 8일 자크 발마와 의사 미셸-가브리엘 파카르에 의해 이루어졌다. 오라스-베네딕트 드 소쉬르가 시작하여 성공적인 등반에 대한 보상을 제공한 이 등반은 전통적으로 현대 산악 등반의 시작을 알린다.[17] 정상에 오른 최초의 여성은 1808년의 마리 파라디였다.

날짜사건
1786년미셸 가브리엘 파카르와 자크 발마가 최초 등반, 알프스 고지대 탐험 참조.
1787년영국인 마크 보포이가 최소 6명의 가이드와 하인을 동반하여 4번째 등반.
1808년 7월여성 최초 등반, 마리아 파라디스, 발마가 가이드로 동행.
1838년 7월여성 두 번째 등반, 앙리에트 다앙제빌.
1890년조반니 보닌, 루이지 그라셀리, 아킬레 라티 신부(후일 교황 비오 11세)가 하강 중 이탈리아 정규 루트(서벽 직등) 발견.
1960년비행기 조종사 앙리 지로가 30m 길이의 정상에 착륙.[49]
1990년스위스의 피에르-앙드레 고베가 샤모니에서 출발하여 5시간 10분 14초 만에 등반 및 하산 완료.
2003년 5월 30일스테판 브로스와 피에르 지뉴가 스키를 타고 오르며 기록 경신을 시도. 4시간 7분 만에 올라 1시간 8분 만에 하산. 총 5시간 15분 만에 등반 및 하산.
2003년 8월 13일7명의 프랑스 패러글라이딩 조종사가 정상에 착륙. 강한 열기류를 제공하는 더운 날씨 덕분에 5200m의 최고 고도에 도달. 5명은 플랑프라에서, 1명은 메제브의 로슈브룬, 오트알프에서, 마지막 한 명은 사모앙에서 출발.
2007년 6월 8일덴마크 예술가 마르코 에바리스티가 몽블랑 정상에 붉은 천을 두르고, "핑크 스테이트"라는 깃발이 달린 약 6.10m짜리 기둥을 세움. 그는 6월 6일 정상으로 이어지는 길을 붉게 칠하려다 체포되어 구금되었음. 그는 환경 파괴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함.[50]
2007년 9월 13일20명의 그룹이 정상에 온수 욕조를 설치.[51]
2012년 8월 19일50명의 패러글라이딩 조종사가 정상에 착륙, 2003년에 세워진 7명의 최고 착륙 기록을 경신. 여기에는 정상에서 두 번째로 이루어진 탠덤 착륙도 포함됨.[52]
2013년 7월 11일킬리안 조르네가 4시간 57분 40초로 등반 및 하산의 전체 최단 시간 기록을 경신.[53][54]
2018년 6월 21일에밀리 포르스베르가 7시간 53분 12초로 샤모니에서 출발하여 여성 최단 등반 및 하산 기록을 세우며, 2013년의 이전 기록인 8시간 10분을 경신.[55]
2023년 6월 17일힐러리 제라디가 세락 낙하로 인해 더 길지만 안전한 아레트 노르를 통해 7시간 27분 39초의 새로운 여성 최단 시간을 기록.[56]



1786년 8월 8일, 수정 채취자 Jacques Balmat|자크 발마영어와 Michel-Gabriel Paccard|미셸 가브리엘 파카르영어가 처음으로 몽블랑 등정에 성공했다. 이 등반은 근대 등산의 창시자로 불리는 오라스 베네딕트 드 소쉬르의 주도하에 이루어졌으며, 이것이 성공 요인 중 하나로 여겨진다. 1808년, Marie Paradis|마리 파라디영어가 여성으로서 처음으로 등정에 성공했다.

3. 2. 정상 소유권 분쟁

몽블랑 산괴 크기에서 이탈리아와 프랑스의 국경은 대부분 주요 알프스산맥 분수령을 따라 아귀유 데 글라시에에서 몽 돌랑까지 이어진다. 그러나 몽블랑과 인근 돔 뒤 구테 정상 부근의 정확한 위치는 논쟁의 대상이다.[18][19][20] 이탈리아 관료들은 국경이 분수령을 따라가며 두 정상 모두 이탈리아와 프랑스로 나뉜다고 주장한다. 반대로 프랑스 관료들은 국경이 두 정상을 피하여 전체가 프랑스에 속한다고 주장한다. 이 두 (구분되는) 분쟁 지역의 크기는 몽블랑에서 약 65ha이고 돔 뒤 구테에서 10ha이다.[21]

1723년, 사보이아의 빅토르 아메데우스 2세 공작은 사르데냐 왕국을 획득했다. 그 결과 사르데냐 국가는 이탈리아 통일에서 탁월한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다.[22]

아귀유 루즈에서 바라본 몽블랑 남쪽 측면(왼쪽의 큰 정상)


프랑스는 파리 조약 (1796년)을 인용하며, 사보이와 피에몬테의 역사적 국경이 분수령 선에서 벗어나 몽블랑 정상을 완전히 사보이에 포함시켰고, 따라서 프랑스 영토 내에 있다고 주장한다.[23]

나폴레옹 전쟁 이후, 빈 회의는 사보이, 니스, 피에몬테에서 사르데냐 왕을 복원하여 그의 전통적인 영토를 복원했고, 1796년 파리 조약을 무효화했다. 45년 후, 제2차 이탈리아 독립 전쟁 이후, 새로운 법적 행위로 대체되었다. 이 조약은 나폴레옹 3세와 사보이의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에 의해 1860년 3월 24일 토리노에서 서명되었으며, 사보이의 합병을 다루고 있다. 1861년 3월 7일에 서명된 경계 협정은 새로운 국경을 정의했다. 이탈리아가 형성되면서 몽블랑은 사보이 부서와 피에몬테 부서 사이의 옛 국경을 따라 처음으로 프랑스와 이탈리아의 국경에 위치하게 되었으며, 이전에는 사보이아 국가에 속해 있었다.[24]

1860년의 행위는 프랑스 정부와 이탈리아 정부 모두에게 여전히 법적으로 유효하다.[24] 이탈리아는 1865년 프랑스가 국경을 변경했다고 주장하는데, 프랑스 육군의 지도 제작자 자크 자비에 미울레 대위가 수행한 측량에서 정상을 프랑스 영토로 편입하여 국경이 분수령 선에서 벗어나게 되었고, 같은 시기에 이탈리아에서 발행된 지도와의 차이점을 발생시켰다.[25][26]

스위스 연방 지형국에서 발행한 현대 스위스 지도에는 몽블랑과 돔 뒤 구테 정상 주변에 분쟁 지역(statut de territoire contesté)이 표시되어 있다. 프랑스-이탈리아 국경에 대한 해석 중 하나는 두 정상을 프랑스와 이탈리아 사이의 지리적 능선(분수령)을 따라 직접 연결하여 두 국가가 정상을 동등하게 공유하도록 배치한다. 그러나 두 번째 해석은 몽블랑 드 쿠르마예르의 정상뿐만 아니라 두 정상을 프랑스 내에 단독으로 위치시킨다(후자의 경우 훨씬 덜 명확하지만).[21]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 지도는 과거 발효된 조약을 기반으로 하는 이탈리아 지리군사 연구소의 이탈리아 국립 지도 제작 기관에서 데이터를 가져온다.[27]

1832년 사르데냐 왕국의 지도로, 몽블랑 정상 통과하는 행정 경계선을 보여준다. 이는 현재 프랑스와 이탈리아 사이의 국경을 결정하기 위해 1860년 조약에 부속된 동일한 지도였다.





3. 3. 얀센 천문대

1890년, 천문학자이자 뫼동 천체 관측소의 소장인 피에르 얀센은 몽블랑산 정상에 천문대를 건설하는 것을 고려했다. 귀스타브 에펠은 얼음 아래 12m 미만의 깊이에서 암반 기반을 찾을 수 있다면 이 프로젝트를 맡겠다고 동의했다. 1891년, 스위스 측량사 임펠트는 얼음 정상 아래 23m에서 수평 터널 두 개를 12m 깊이로 팠지만, 단단한 기반을 찾지 못했다. 결과적으로, 에펠의 프로젝트는 포기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천문대는 1893년에 건설되었다. 1893년 1월의 혹한기 동안 몽블랑산에서 -43°C의 최저 기온이 기록되었는데, 이는 그곳에서 기록된 가장 낮은 온도였다.

얼음에 부착된 지렛대가 천문대를 지탱했다. 이것은 1906년까지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지만, 건물이 심하게 기울기 시작했다. 지렛대의 움직임으로 기울기가 약간 수정되었지만, 3년 후(얀센 사망 2년 후) 천문대 아래에 깊은 갈라진 틈이 생기기 시작했다. 결국 건물은 버려졌다. 결국 건물은 무너졌고, ''in extremis'' 타워만 겨우 구할 수 있었다.[29]

3. 4. 몽블랑 터널

이탈리아 몽블랑 터널 입구


1946년, 산을 관통하는 터널을 굴착하는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 몽블랑 터널은 프랑스의 샤모니와 이탈리아의 쿠르마유르를 연결하며, 두 국가 간 주요 알프스 횡단 교통로 중 하나가 될 예정이었다. 1965년, 터널은 11611m의 길이로 차량 통행을 시작했다.[33]

1999년, 몽블랑 산 아래 터널에서 운송 트럭에 화재가 발생하여 39명이 사망했다. 화재는 통제 불능 상태로 번졌다. 이 사고 이후 터널은 운전자 안전을 강화하기 위해 개조되었다. 개조 사항으로는 컴퓨터화된 감지 장비, 추가 안전 베이, 병렬 탈출 샤프트, 터널 중앙에 소방서 설치 등이 있다. 탈출 샤프트에는 통풍구를 통해 깨끗한 공기가 흐른다. 이제 안전 베이에 있는 사람들은 관제 센터와 실시간 영상 통신을 할 수 있다. 화물 안전 검사를 위한 원격 검사소가 이탈리아의 아오스타와 프랑스의 파시-르-파예 양쪽에 만들어졌다. 이곳에서 모든 트럭은 터널 진입 전에 검사를 받는다. 이 원격 검사소는 대기 장소로 사용되어 피크 시간대에 상업적 교통을 통제한다. 개조된 터널은 이 재해 발생 3년 후에 재개통되었다.[34]

1957년부터 1965년에 걸쳐, 프랑스 샤모니와 이탈리아 쿠르마유르를 잇는 총 길이 11.6km의 몽블랑 터널 굴착이 이루어졌으며, 이후 40년이 지난 현재에도 알프스 횡단의 주요 루트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4. 등반

몽블랑 정상 근처, 해발 4,362m에 위치한 최초의 발로 대피소 (현재 재건축됨)


몽블랑 3D


몽블랑 등반은 매년 평균 20,000명의 산악 관광객이 도전하는 인기 있는 활동이다. 잘 훈련되고 고도에 적응한 사람에게는 기술적으로 어렵지 않지만, 여전히 길고 힘든 등반이며, 낙석, 눈사태, 고산병 등의 위험이 따른다.[41][42]

에귀 뒤 미디(케이블카 정류장)에서 몽블랑은 1000m 더 높이 있어 매우 가깝게 보이지만, 실제로는 여러 봉우리를 넘어야 하는 긴 여정이다. 특히 '3개 봉우리 길'은 몽블랑 뒤 타퀼과 몽 모디를 넘어 가야 하므로 더욱 기술적이고 도전적이다.

매년 몽블랑에서는 등반 사망 사고가 발생하며, 특히 8월 성수기에는 지역 구조대가 빈번하게 출동한다. 따라서 몽블랑 등반을 위해서는 고산 등반 지식, 가이드(또는 숙련된 등산가), 적절한 장비가 필수적이다.

몽블랑에는 다음과 같은 산장과 대피소가 있다.

  • 발로 쉼터(4,362m)
  • 주세페 람푸냐니 비박(3,860m)
  • 마르코 크리파 비박(3,840m)
  • 구테 쉼터(3,817m)
  • 코라도 알베리코 – 루이지 보르냐 비박(3,684m)
  • 코스미크 쉼터(3,613m)
  • 테트 루스 쉼터(3,167m)
  • 프란체스코 고넬라 쉼터(3,071m)
  • 그랑 뮬레 쉼터(3,050m)


1786년 8월 8일, 자크 발마와 미셸 가브리엘 파카르가 최초로 몽블랑 등정에 성공했다. 이 등반은 오라스 베네딕트 드 소쉬르의 주도로 이루어졌으며, 근대 등산의 시작으로 여겨진다. 1808년에는 마리 파라디가 여성 최초로 몽블랑 정상에 올랐으며, 1886년에는 훗날 미국의 대통령이 되는 시어도어 루스벨트가 등반대를 이끌고 등정했다.

해발 9,000미터 상공에서 찍은 몽블랑의 항공 사진

4. 1. 주요 등반 루트

몽블랑 정상으로 이어지는 몇몇 고전적인 등반 경로가 있다.[38][39]

  • 구테 루트(Goûter Route): '크리스탈리에 길'(Voie Des Cristalliers) 또는 '로얄 길'(Voie Royale)이라고도 불린다. 생제르베레뱅(Saint-Gervais-les-Bains)에서 시작하여 몽블랑 트램웨이(TMB)를 타고 니드 데글 역(Gare du Nid d'Aigle)까지 간다. 등반은 테트 루스 산장(Refuge de Tête Rousse) 방향으로 시작하여 낙석 사고가 잦아 위험하다고 여겨지는 '그랑 쿠르와'(Grand Couloir) 또는 '구테 회랑'(Goûter Corridor)을 지나 구테 산장(Goûter Hut)에서 밤을 보낸다. 다음 날 경로는 돔 뒤 구테(Dôme du Goûter)로 이어지며, 응급 발로(Vallot) 대피소와 아레트 데 보스(l'Arête des Bosses)를 지난다.
  • 3개 봉우리 길(La Voie des 3 Monts): '횡단'(La Traversée)이라고도 불린다. 샤모니(Chamonix)에서 시작하여 에귀 뒤 미디 텔레페리크를 타고 콜 뒤 미디 방향으로 이동한다. 코스미크 산장(Cosmiques Hut)에서 하룻밤을 보낸다. 다음 날 등반은 몽블랑 뒤 타퀼(Mont Blanc du Tacul)과 몽 모디(Mont Maudit)를 넘어 계속된다.
  • 그랑 뮬레 산장(Grands Mulets Hut) 경유: 역사적인 여정, 또는 프랑스 측의 오래된 일반 루트로, 겨울에는 스키를 타고, 여름에는 샤모니로 하산할 때 가장 자주 이용된다.
  • 이탈리아 일반 루트(La route des Aiguilles Grises): '애귀유 그리제 길'이라고도 불린다. 미아제 빙하(Miage Glacier)를 건너 등반가들은 고넬라 산장(Gonella Hut|Gonella refuge)에서 밤을 보낸다. 다음 날, 콜 데 자귀유 그리제(Col des Aiguilles Grises)와 돔 뒤 구테를 지나 아레트 데 보스(Bosses ridge)에서 마무리된다.
  • 미아제-비오나세-몽블랑 횡단: 보통 3일 안에 이루어진다. 이 경로는 '매우 높은 고도에서 얼음과 눈의 아름다운 능선으로 이루어진 마법 같은 원정'으로 묘사되어 있다.[40] 이 경로는 콩타민-몽주아(Contamines-Montjoie)에서 시작하여 콩스크리 산장(Conscrits Hut)에서 밤을 보낸다. 다음 날, 돔 드 미아제(Dômes de Miages)를 건너 두리에(Durier) 대피소에서 밤을 보낸다. 세 번째 날에는 에귀유 드 비오나세(Aiguille de Bionnassay|l'Aiguille de Bionnassay)와 돔 뒤 구테를 지나 보스 능선을 통해 마침내 몽블랑 정상에 도달한다.


오늘날, 매년 평균 20,000명의 산악 관광객이 몽블랑 정상을 오른다. 잘 훈련되고 고도에 적응한 사람에게는 기술적으로는 쉽지만 어려운 등반으로 간주될 수 있다. 에귀 뒤 미디(Aiguille du Midi)(케이블카가 정차하는 곳)에서 몽블랑은 1000m 더 높이 있어 매우 가깝게 보인다. 그러나 정상이 보기보다 가깝게 보이지만, 3개 봉우리 길(다른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경로보다 더 기술적이고 도전적인 것으로 알려짐)은 최종 등반 구간에 도달하기 전에 다른 4000m 산인 몽블랑 뒤 타퀼(Mont Blanc du Tacul)과 몽 모디(Mont Maudit)를 두 번 더 등반해야 한다. 마지막 1000m의 정상으로 향하는 여정이 이어진다.

매년 몽블랑에서 등반 사망 사고가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8월경 가장 붐비는 주말에는 지역 구조대가 평균 12건의 임무를 수행하며, 대부분 산의 일반적인 경로에서 곤경에 처한 사람들을 돕는 데 집중한다. 일부 경로에는 고산 등반에 대한 지식과 가이드(또는 적어도 경험이 풍부한 산악인)가 필요하며, 모든 경로에는 적절한 장비가 필요하다. 모든 경로는 길고 고되며, 섬세한 통로와 낙석 또는 눈사태의 위험을 수반한다. 등반가는 또한 특히 적절하게 고도 순응되지 않은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고산병을 겪을 수 있다.[41][42]

4. 2. 등반 사고

몽블랑산에서는 여러 차례의 치명적인 등반 및 항공 사고가 발생했다. 1950년 에어 인디아 245편 추락 사고[30]와 1966년 에어 인디아 101편 추락 사고[31]가 발생하여 각각 48명과 117명이 사망했다. 두 항공기 모두 제네바 공항 접근 중 조종사의 잘못된 고도 계산으로 인해 발생했다. 특히 에어 인디아 101편에는 인도의 핵 프로그램의 아버지로 불리는 핵 과학자 호미 제항기 바바가 탑승하고 있었다.[32] 1950년과 1966년에 발생한 두 번의 인도 항공기 추락사고 지점은 모두 산 정상 부근이었고, 충분한 수색이 이루어지지 않아 2012년에는 외교 행낭이[72], 2013년에는 보석류가[73], 2017년에는 보잉 707형 항공기 엔진 1기와 유해 일부가 발견되었다.[74]

매년 평균 20,000명의 산악 관광객이 몽블랑 정상을 등반하고 있으며, 잘 훈련되고 고도에 적응된 사람에게는 기술적으로 어렵지 않지만 여전히 위험한 등반으로 간주된다. 매년 등반 사망 사고가 발생하며, 특히 8월경 가장 붐비는 주말에는 지역 구조대가 평균 12건의 구조 임무를 수행한다. 등반가들은 고도 순응 여부에 따라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고산병을 겪을 수도 있다.[41][42]

1994년 추산에 따르면 몽블랑산에서 총 6,000명에서 8,000명의 등반가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이는 다른 어떤 산보다 많은 수치이다.[40] 다만, 이 수치에는 에어 인디아 245편과 에어 인디아 101편 추락 사고 사망자는 포함되지 않는다. 언론에서 자주 언급되는 "연간 평균 100명의 등산객 사망" 주장은 근거가 부족하며,[43] 1990년대 이후 실제 연간 사망자 수는 10명에서 20명 사이이다. 2017년에는 2만 번의 정상 등반 시도 중 14명이 사망하고 2명이 실종되었으며, 2018년 8월 현재 15명이 사망했다.[44]

프랑스 연구에 따르면, 몽블랑산 일반 등반로 중 특히 위험한 "구테르 쿠아르"에서는 1990년부터 2011년까지 Tête Rousse 대피소(3187m)와 구테르 대피소(3830m) 사이에서 74명이 사망했다. 2012~2015년에는 17명이 더 사망했고, 2016년에는 사망자가 없었으며, 2017년에는 11명이 사망했다.[45]

2014년 7월, 미국의 기업가 패트릭 스위니는 9살 아들과 11살 딸과 함께 등반 기록 경신을 시도했으나 눈사태에 휘말려 중단했다.[57][58] 2014년 8월에는 오스트리아 등반가와 그의 5살 된 아들이 3200m 지점에서 산악 구조대에 의해 구조되어 하산했다.[59] 2017년 8월 5일에는 9살 된 헝가리 쌍둥이와 그들의 어머니가 3800m 지점에서 헬리콥터로 구조되었고, 아버지와 가족 친구는 등반을 계속했다.[60]

4. 3. 기후 변화의 영향

론 강과 포 강의 분수령에 위치한 몽블랑 산괴는 북부 및 서부 알프스와 남부 알프스 사이의 서로 다른 두 기후 지역에 걸쳐있다. 몽블랑 정상은 연중 얼음으로 덮여 있으며 기온은 약 -20°C이다.[14]

최근 기온 상승과 2015년, 2018년 여름과 같은 폭염은 몽블랑을 포함한 알프스 산맥의 많은 등반 경로에 큰 영향을 미쳤다.[46] 2015년에는 그랑 뮬레 루트가 통과할 수 없는 크레바스 지대에 막혔고, 구테 산장은 낙석 위험으로 인해 폐쇄되었으며, 일부 등반가들은 헬리콥터로 대피했다.[46] 2016년에는 고지대에 크레바스가 생겨 빙하의 움직임을 나타냈으며, 이는 등반대가 넘어야 할 장애물을 형성한다.[47][48]

몽블랑 산 정상은 두꺼운 얼음으로 덮여 있어 해발고도가 기후에 따라 변동한다. 실제 암석 정상은 4,792m이며, 얼음으로 덮인 정상으로부터 40m 떨어져 있다. 몽블랑의 해발고도는 다음과 같이 변화해왔다.

연도해발고도(m)비고
2002년4,810.4프랑스 국립지리원(IGN)에서 GPS로 측정
2003년4,808.45전년 대비 2m 감소, 정상 위치 75cm 이동
2005년4,808.75전년 대비 30cm 증가
2007년4,810.9
2021년4,807.812001년 이후 매년 평균 13cm씩 감소[70]



몽블랑


샤모니 시에 세워진 오라스-베네딕트 드 소쉬르와 의 기념비

5. 문화적 참조


  • 과자 몽블랑은 이 산의 모양을 본떠 만들었으며, 그 이름도 여기서 유래했다.
  • 필기구 브랜드 몽블랑만년필 "마이스터스튁"의 펜촉에 몽블랑산의 해발 고도인 "4810"을 새겨 넣고 있다.

에귀 뒤 미디에서 본 몽블랑

5. 1. 영화 및 TV


  • 장-뤽 프레보가 제작하고 1984년 에디션 소시에테 나쇼날 드 텔레비전 프랑세즈에서 발행한 다큐멘터리 《라 테르, 송 비사쥬(La Terre, son visage)》는 《아룬 타지에프는 그의 땅을 말한다, 1권》(Haroun Tazieff raconte sa terre, vol. 1) 시리즈의 일부이다. 이 다큐멘터리에서 그는 몽블랑 횡단을 이야기한다.[1]
  • 영화 《말라바 프린세스(Malabar Princess)》가 있다.[2]
  • TV 영화 《프르미에 드 코르데》(Premier de cordée)가 있다.[3]
  • 레니 리펜슈탈이 주연하고 아르놀트 팡크가 감독한 영화 《몽블랑의 폭풍(Storm over Mont Blanc)》(《슈튀르메 위버 데 몽블랑》(Stürme über dem Mont Blanc), 1930)이 있다.[4]
  • 아벨 강스 감독의 273분짜리 영화 《라 루(La Roue)》(《더 휠》(The Wheel), 1923)는 몽블랑 지역을 포함한 프랑스 남동부의 철도 운영, 노동자, 가족을 묘사한다.[5]
  • 존 크리스토퍼의 트라이포드 삼부작 중 처음 두 소설(《백색 산맥》, 《황금과 납의 도시》)을 각색한 BBC TV 드라마 트라이포드(The Tripods)(1985/86)는 두 시즌 동안 25개의 에피소드로 방영되었다. 주요 등장인물들은 트라이포드의 지배에서 벗어난 인간 집단이 살고 있는 몽블랑으로 여행을 떠난다.[6]

5. 2. 문학

6. 보호 노력

몽블랑산괴는 현대 등산의 발상지이자 상징으로 여겨지는 독특함과 문화적 중요성 때문에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61] 이 등재를 위해서는 이탈리아, 프랑스, 스위스 3개국 정부가 유네스코에 요청해야 한다.[62]

몽블랑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는 관광지 중 하나이다. 이러한 이유로 일부에서는 몽블랑을 위협받는다고 여기기도 한다.[63] 몽블랑 보호를 위한 국제 연합체인 프로-몽블랑은 2002년, 몽블랑의 보존에 대한 현재와 미래의 문제점을 폭로하는 책, ''Le versant noir du mont Blanc''(몽블랑의 검은 언덕)을 출판했다.[64]

2007년, 유럽에서 가장 높은 두 개의 화장실(해발 4260m)이 헬리콥터로 몽블랑 정상으로 운반되었다. 이 화장실은 헬리콥터로 유지 보수된다. 이 화장실은 매년 3만 명의 스키어와 등산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며, 봄철 해빙기에 산비탈로 흘러내리는 소변과 대변 배출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65]

지구 온난화로 인해 몽블랑의 빙하가 녹기 시작했고, 눈사태가 발생하여 등반 조건이 더욱 위험해지고 있다.[66]

참조

[1] 뉴스 'Exceptional year': Mont Blanc shrinks by another 2 metre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3-10-05
[2] 문서 Although [[Mount Elbrus]] is normally considered the tallest mountain in continental Europe, the latter continent is part of the [[Eurasian]] land mass, which culminates at Mount Everest (highest col between Mont Blanc and Mount Everest: 113 m [http://www.peakbagger.com/KeyCol.aspx?pid=9941]
[3] 웹사이트 ''Mont Blanc'' https://www.peakbagg[...] 2020-08-19
[4] 문서 {{langx|fr|Mont Blanc}}, {{IPA|fr|mɔ̃ blɑ̃|lang|LL-Q150 (fra)-LoquaxFR-mont-blanc.wav}}; {{langx|it|Monte Bianco}}, {{IPA|it|ˈmonte ˈbjaŋko|lang}}; both meaning 'white mountain')
[5] 웹사이트 Le mont Blanc a perdu un mètre en quatre ans et culmine désormais à 4807,81 mètres https://www.francetv[...] 2021-09-29
[6] 문서 the prominence of 4,696 m for Mont Blanc is taken from the "Ultras Project" ([http://www.peaklist.org/WWlists/ultras/EuroCoreP1500m.html#1 peaklist.org]
[7] 논문 Rock falls in the Mont Blanc Massif in 2007 and 2008 https://www.research[...] 2010-12
[8] 웹사이트 Resources minéralogiques du massif du Mont-Blanc et des régions limitrophes http://www.mineralog[...] 2016-06-02
[9] 웹사이트 Monte Bianco Massif (Mont Blanc Massif) http://www.mindat.or[...] Hudson Institute of Mineralogy 2016-02-13
[10] 웹사이트 Miage Glacier, Veny Valley, Monte Bianco Massif http://www.mindat.or[...] Hudson Institute of Mineralogy 2016-06-02
[11] 웹사이트 Les Droites (north face), Mont Blanc Massif, Chamonix http://www.mindat.or[...] Hudson Institute of Mineralogy 2016-06-02
[12] 웹사이트 Talèfre glacier, Mont Blanc Massif, Chamonix http://www.mindat.or[...] Hudson Institute of Mineralogy 2016-06-02
[13] 웹사이트 Climate: Chamonix-Mont-Blanc http://en.climate-da[...] AmbiWeb 2022-06-15
[14] 논문 Fluctuations of the 'Mer de Glace' (Mont Blanc area, France) AD 1500–2050 https://phzh.ch/MAPo[...] 2007
[15] 논문 The French Alps http://pubs.usgs.gov[...] U.S.Geological Survey 1993
[16] 서적 Mer de Glace La Fontaine de Siloé, Montmélian 2005
[17] 웹사이트 Facts About Mont Blanc – Highest Mountain in Western Europe http://climbing.abou[...] 2011-08-07
[18] 뉴스 Monte Bianco, la Francia "invade" il confine italiano: si rischia il caso diplomatico https://torino.repub[...] La Repubblica 2019-07-23
[19] 뉴스 Monte Bianco, cresce la tensione tra Italia e Francia: Macron vuole la vetta https://torino.repub[...] La Repubblica 2020-10-21
[20] 웹사이트 Parliamentary questions: Answer given by Ms Johansson on behalf of the European Commission https://www.europarl[...] 2021-03-03
[21] 웹사이트 Swiss National Map: Courmayeur (1:50,000) https://s.geo.admin.[...] 2020-07-29
[22] 웹사이트 A new map of the dominions of the King of Sardinia. (with) Isle and kingdom of Sardinia. (with) Mont Blanc in Faucigni and the subjacent Alps and glaciers. From the original published at Turin with royal approbation, and dedicated to his Sardinian Majesty. By Francis de Caroly; translated with improvements and additions. London, Published by Laurie & Whittle, 53, Fleet Street, 12th May 1799. Engrav'd by B. Baker, Islington. – David Rumsey Historical Map Collection https://www.davidrum[...] 2020-10-30
[23] 웹사이트 Conférence : Le différend frontalier Franco-Italien au sommet du mont Blanc https://www.youtube.[...] 2024-07-06
[24] 웹사이트 FICHE QUESTION http://questions.ass[...] 2017-10-23
[25] 웹사이트 La disfida del Monte Bianco http://archiviostori[...] 2020-10-30
[26] 논문 Ridateci il "nostro" Monte Bianco! http://www.cai.it/up[...] Club Alpino Italiano 2011-11
[27] 뉴스 Scontro Italia-Francia sul Monte Bianco https://www.swissinf[...] Swissinfo 2019-10-04
[28] 문서 The map is based on measurements taken in 1856 before the convention of 7 March 1861 and is identical to the map attached to the Treaty of Turin. See [[Institut géographique national (France)|IGN]]
[29] 웹사이트 Janssen et l'observatoire du sommet du mont Blanc (1893–1909) http://www.lesia.obs[...]
[30] 웹사이트 The glacier des Bossons : plane crashes: http://www.montblanc[...]
[31] 뉴스 1966: 117 die in Air India tragedy http://news.bbc.co.u[...] news.bbc.co.uk 1966-10-23
[32] 뉴스 Diplomatic bag contents revealed https://www.bbc.co.u[...] BBC News 2012-09-19
[33] 웹사이트 Timeline of the Mont Blanc Tunnel http://www.atmb.com/[...] 2017-10-23
[34] 웹사이트 Mont Blanc Tunnel http://www.tunneltal[...] 2017-10-23
[35] 웹사이트 The rock summit of the Mont Blanc, 40 m west of the ice summit http://ww2.cnrs.fr/e[...]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2015-04-29
[36] 웹사이트 Mont Blanc shrinks by 45 cm in two years http://www.smh.com.a[...] 2017-10-23
[37] 뉴스 Le mont Blanc a perdu un mètre en quatre ans et culmine désormais à 4807,81 mètres https://www.francetv[...] 2021-09-29
[38] 웹사이트 Routes description https://web.archive.[...] 2023-01-27
[39] 웹사이트 How to Climb Mont Blanc – The Two Easiest Routes http://www.ukclimbin[...] 2015-11-09
[40] 서적 The High Mountains of the Alps Diadem 1994
[41] 간행물 Altitude Acclimatization Guide. http://archive.rubic[...] 2009-03-05
[42] 간행물 Medical Problems in High Mountain Environments. A Handbook for Medical Officers http://archive.rubic[...] US Army Research Inst. of Environmental Medicine Thermal and Mountain Medicine Division Technical Report 2009-03-05
[43] 웹사이트 Why is Mont Blanc One of the World's Deadliest Mountains? https://www.theatlan[...] 2017-03-10
[44] 뉴스 Body of one of Italian Mont Blanc climbing trio found https://www.bbc.co.u[...] 2019-09-11
[45] 웹사이트 Fondation Petzl https://www.petzl.co[...] 2020-01-13
[46] 웹사이트 The Ice and the Canary: A Story of Alpine Climbing in a Changing Climate http://www.ukclimbin[...] 2015-11-09
[47] 웹사이트 "Mont Blanc : une grande crevasse barre la voie royale du toit des Alpes!" https://www.ledauphi[...] 2019-01-05
[48] 웹사이트 "Passage de la crevasse sur l'arête des Bosses " https://www.tripadvi[...] 2019-01-13
[49] 웹사이트 Henri GIRAUD https://web.archive.[...] 2017-10-23
[50] 뉴스 Danish Artist Drapes Mont Blanc in Red https://www.washingt[...] 2007-06-08
[51] 웹사이트 Jaccuzzi on mont-blanc summit http://www.jaccuzzi.[...] 2020-05-29
[52] 뉴스 '50 pilots topland Mont Blanc as Chamonix sees record day' http://www.xcmag.com[...] 2012-08-19
[53] 웹사이트 Extraordinary Speed Record on Mont Blanc http://www.climbing.[...] 2017-10-23
[54] 웹사이트 Mont-Blanc Speed Record: Ascent and Descent on Foot http://www.chamonix.[...] 2017-10-23
[55] 웹사이트 Summit Records https://web.archive.[...] Alpinrunning 2016-05-08
[56] 웹사이트 NEWS: Hillary Gerardi breaks Women's Mont Blanc FKT https://www.ukclimbi[...] 2023-06-22
[57] 뉴스 American climber whose children almost died in Mont Blanc avalanche says he has 'no regrets' amid criticism https://web.archive.[...] 2017-09-09
[58] 웹사이트 La présence d'enfants alpinistes sur le Mont-Blanc scandalise http://www.lefigaro.[...] 2014-07-28
[59] 웹사이트 Bodies of five climbers found on Mont Blanc after six go missing https://www.theguard[...] 2014-08-13
[60] 웹사이트 Ils tentent de gravir le Mont-Blanc avec leurs jumeaux de 9 ans https://www.francebl[...] France Bleu 2017-08-10
[61] 웹사이트 Massif du Mont Blanc UNESCO World Heritage Centre 2011-01-10
[62] 뉴스 "Pour l'inscription du massif à l'Unesco" https://www.lemonde.[...] 2018-12-25
[63] 뉴스 Climate change is melting the French Alps, say mountaineers https://www.theguard[...] 2019-03-20
[64] 웹사이트 proMONT-BLANC >> (Le versant noir du Mont-Blanc) http://pro-mont-blan[...] 2017-10-23
[65] 웹사이트 Europe's highest toilet http://www.ananova.c[...] Ananova 2011-08-20
[66] 뉴스 Warming threatens safety on Mont Blanc http://www.thetimes.[...] 2013-05-29
[67] 뉴스 Mont Blanc shrinks a metre since last official measurement in 2017 https://www.theguard[...]
[68] 뉴스 Mont Blanc shrinks a metre since last official measurement in 2017 https://www.theguard[...]
[69] 웹사이트 デジタル大辞泉の解説 https://kotobank.jp/[...] コトバンク 2018-05-27
[70] 뉴스 서유럽 최고봉 몽블랑, 표고 약 1미터 저하 https://www.afpbb.co[...] AFP 2021-09-30
[71] 서적 ララチッタ スイス JTBパブリッシング
[72] 뉴스 46年前のインドの外交行嚢、仏アルプスで発見 https://www.afpbb.co[...] AFP 2012-08-30
[73] 뉴스 フランスの氷河に大量の宝石、墜落機の荷物か https://www.cnn.co.j[...] CNN 2013-09-27
[74] 뉴스 仏モンブランで遺体発見 50年以上前の墜落機乗客か https://www.afpbb.co[...] AFP 2017-07-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