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오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리오스는 큰곰자리에 있는 별로, 바이어 명명법에 따라 큰곰자리 엡실론으로 불리기도 한다. 국제천문연맹(IAU)이 공인한 고유 명칭인 알리오스는 아랍어에서 유래되었으며, 힌두교 문화권에서는 앙기라스로 불린다. 동아시아 별자리에서는 북두칠성의 다섯 번째 별로, 중국 사기에는 북두오 또는 옥형으로, 당나라 밀교 경전에는 염정으로 기록되어 있다. 지구에서 약 81광년 떨어져 있으며, 사냥개자리 알파2형 변광성의 특징을 보이는 특이 분광형 A1p에 속한다. 알리오스는 강한 자기장과 자전축에 기울어진 자기축으로 인해 특이한 분광선을 보이며, 자전축과 자기축은 거의 90도 각도를 이룬다. 과거 분광 쌍성일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현재는 별 자체의 회전 주기로 인한 변동으로 여겨진다. 미국 해군의 크레이터급 화물선 USS 알리오스 (AK-109)는 이 별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냥개자리 알파²형 변광성 - HR 465
HR 465는 273일의 궤도 주기를 가지며 0.47의 이심률을 보이는 분광 쌍성으로, 두 구성 요소는 최소 37,400,000km 떨어져 있다. - 사냥개자리 알파²형 변광성 - 마하심
마하심은 마차부자리에 위치한 삼중성계로, 흰색 A형 주계열성인 마하심 A와 태양과 비슷한 G형 주계열성인 마하심 B, 그리고 A와 B로부터 멀리 떨어진 마하심 C로 구성되어 있다. - 북두칠성 - 미자르
미자르는 망원경으로 발견된 최초의 쌍성계로 추정되는 큰곰자리 제타별이며, 사중성계이고, 알코르와 함께 북두칠성을 이루는 별 중 하나로서 시력 검사 대상으로 여겨지며 다양한 문화권에서 신화 및 전설과 관련된 이름으로 불린다. - 북두칠성 - 메그레즈
메그레즈는 큰곰자리의 델타별로, '큰 곰의 꼬리 기저'라는 아랍어에서 유래한 이름을 가지며, 태양보다 질량과 밝기가 크고 A형 주계열성이며, 큰곰자리 이동성단의 일원이자 파편 원반을 가진 별이고, 한국에서는 문곡성으로 불린다. - A형 거성 - 아셀라
아셀라는 궁수자리에 있는 겉보기 등급 +2.59의 쌍성계 별로, '겨드랑이'를 뜻하는 라틴어에서 유래했으며, 찻주전자 별자리의 일부이고 국제천문연맹에서 공식 승인된 명칭이다. - A형 거성 - 황소자리 세타
황소자리 세타는 바이어 명명법에 따라 명명된 황소자리의 이중성계로, 밝은 주성분은 델타 방패자리형 변광성인 백색 A형 거성 Aa와 동반성 Ab로, 어두운 구성 요소는 주황색 K형 거성 Ba와 동반성 Bb로 이루어져 있으며, 마야 신화에서 "Chamukuy"로, 중국 천문학에서 필수육(畢宿六)으로 불린다.
알리오스 | |
---|---|
기본 정보 | |
![]() | |
명칭 | 알리오트 |
다른 이름 | 알리아트, 알리아트 |
바이어 명명법 | 큰곰자리 엡실론 |
플램스티드 명명법 | 큰곰자리 77 |
HD | 112185 |
HR | 4905 |
HIP | 62956 |
SAO | 28553 |
GC | 17518 |
FK5 | 483 |
BD | +56°1627 |
관측 정보 | |
기원 | J2000 |
겉보기 등급 | 1.77 |
별자리 | 큰곰자리 |
특징 | |
분광형 | A1III-IVp kB9 |
B-V 색 지수 | -0.02 |
U-B 색 지수 | +0.02 |
변광성 유형 | 사냥개자리 알파2형 변광성 |
측성학 | |
시선 속도 | -9.3 km/s |
고유 운동 (적경) | +111.91 mas/년 |
고유 운동 (적위) | -8.24 mas/년 |
연주시차 | 39.51 mas |
연주시차 오차 | 0.20 mas |
절대 등급 | -0.2 |
물리적 세부 정보 | |
질량 | 2.91 태양 질량 |
반지름 | 4.29 ± 0.2 태양 반지름 |
광도 | 104.4 태양 광도 |
표면 온도 | 8908 K |
표면 중력 | 3.59 |
금속 함량 | +0.00 |
자전 속도 | 33 km/s |
나이 | 3억 년 |
2. 명칭
'''큰곰자리 엡실론'''은 바이어 명명법에 따른 명칭이다.
히파르코스 위성의 시차 측정에 따르면 알리오스는 지구에서 약 81 광년(25 파섹) 떨어져 있다. 분광형은 A1p로, 'p'는 '특이'(peculiar)를 의미하며, 사냥개자리 알파2형 변광성의 특징을 보인다. 이러한 특이 분광형은 알리오스의 강한 자기장과 자전축에 대해 기울어진 자기축의 영향으로 나타난다. 분광형 뒤에 붙는 'kB9' 기호는 칼슘 K선이 나타난다는 뜻으로, 이는 알리오스가 A1 분광형임에도 B9형 항성의 특성을 보임을 나타낸다.
'''알리오스(Alioth)'''는 국제천문연맹(IAU)이 공인한 고유 명칭으로, 아랍어에서 유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설이 있는데, '양의 굵은 꼬리'를 뜻하는 'alyat'에서 왔다는 설과,[8] "검은 말(또는 소)"을 의미하는 ''al-jaun''이 와전되었다는 설 등이 있다. 국제천문연맹은 2016년 항성의 고유명칭을 정리 및 표준화하기 위해 항성명칭심의위원회(WGSN)를 조직했고,[3] 알리오스 명칭은 위원회가 2016년 7월 발표한 목록에 포함되었다.[9]
힌두교 문화권에서는 이 별을 일곱 리쉬 중 한 명인 '앙기라스'로 불렀다.[10]
동아시아 별자리에서 알리오스는 북두(北斗)의 다섯 번째 별이다. 중국 사기 천관서(天官書)에는 '''북두오'''(北斗五)[11] 또는 '''옥형'''(玉衡)으로, 당나라 밀교 경전 불설북두칠성연명경(佛説北斗七星延命經)에는 '''염정'''(廉貞)으로 기록되어 있다.
3. 물리적 특징
알리오스의 자기장은 코르 카롤리의 15분의 1 수준이지만, 지구 자기장에 비하면 100배 이상 강하다. 알리오스가 분광 쌍성일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나, 최근 연구들은 별의 5.1일 주기 변동이 동반 천체 때문이 아니라 별 자체의 회전 주기로 인한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3. 1. 큰곰자리 운동성단
최근 연구에 따르면, 5.1일 간의 광도 변화는 목성의 14.7배 천체가 궤도 이심률 e=0.5의 위치에 존재하기 때문일 수 있다고 한다. 분리하면, 평균 0.055천문 단위이다.
알리오스는 크게 확산된 큰곰자리 운동성단에 속한다. 큰곰자리 운동성단은 공통된 고유 운동을 공유하는 별들의 집단이다.
4. 문화
미국 해군의 크레이터급 화물선 USS 알리오스(AK-109)는 이 별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12]
참조
[1]
서적
A Dictionary of Modern star Names: A Short Guide to 254 Star Names and Their Derivations
Sky Pub
2006
[2]
웹사이트
IAU Catalog of Star Names
http://www.pas.roche[...]
2016-07-28
[3]
웹사이트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s://www.iau.org/[...]
2016-05-22
[4]
웹사이트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http://www.pas.roche[...]
2016-07-28
[5]
서적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https://archive.org/[...]
Dover Publications Inc
2012-09-04
[6]
웹사이트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年 6 月 15 日
http://aeea.nmns.edu[...]
[7]
웹인용
IAU Catalog of Star Names
http://www.pas.roche[...]
2016-07-28
[8]
웹인용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WGSN)
https://www.iau.org/[...]
2016-05-22
[9]
웹인용
Bulletin of the IAU Working Group on Star Names, No. 1
http://www.pas.roche[...]
2016-07-28
[10]
서적
Star Names: Their Lore and Meaning
http://penelope.uchi[...]
Dover Publications Inc
2012-09-04
[11]
웹인용
AEEA (Activities of Exhibition and Education in Astronomy) 天文教育資訊網 2006 년 6 월 15 일
http://aeea.nmns.edu[...]
2018-02-28
[12]
웹인용
USS Allioth (AVS-4)
http://www.navsource[...]
2018-0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