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알타이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알타이인은 크게 북부와 남부로 나뉘는 튀르크계 민족 집단으로, 러시아 알타이 지역에 거주하며 약 7만 명의 인구를 갖는다. 북부 알타이인은 북부 알타이어를, 남부 알타이인은 남부 알타이어를 사용하며, 첼칸인, 쿠만딘인, 투발라르인, 알타이 키지인, 텔레우트인, 텔렝기트인 등으로 구성된다. 알타이인은 키메크-킵차크 부족을 기반으로 형성되었으며, 역사적으로 몽골의 영향을 받았고 러시아 제국 및 소련의 지배를 받았다. 전통적으로 샤머니즘을 믿었으나 러시아 정교회, 불교, 부르칸교 등 다양한 종교의 영향을 받았으며, 유목, 사냥, 농업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생계를 유지했다. 유전적으로는 북부 알타이인이 예니세이, 우그르, 사모예드와, 남부 알타이인이 중앙아시아 튀르크 민족과 유사성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알타이인 - 투발라르족
    투발라르족은 튀르크계 부족이 시베리아 원주민과 융합되어 형성된 민족으로, 여러 지배를 거쳐 러시아에 복속되었고 전통 문화가 쇠퇴하였으나 현재는 문화와 언어 보존을 위해 노력하며, 잣나무 숭배와 정교회 및 샤머니즘 신앙을 가지고 있다.
  • 알타이인 - 텔렝기트족
    텔렝기트족은 알타이 지역 추야강을 따라 거주하는 남부 알타이인의 한 민족으로, 유목 또는 반유목 생활을 하며 자체 공국을 건설하기도 했고, 러시아 연방 소수 원주민으로 샤머니즘과 동방 정교를 믿으며 땅에 대한 유대감을 가진다.
  • 알타이 변경주 - 알레이강
    알레이 강은 러시아 알타이 지방의 오비 강 지류로, 농업에 적합한 비옥한 토지를 제공하며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지만, 수질 오염과 생태계 파괴 문제에 직면해 있다.
  • 알타이 변경주 - 카툰강
  • 알타이산맥 - 벨루하산
    벨루하산은 러시아 알타이 공화국과 카자흐스탄 국경에 위치하며 여러 빙하를 포함하고 1914년 초등되었고 빙하 코어 분석 연구가 진행되었다.
  • 알타이산맥 - 타반보그드산
    타반보그드산은 중국, 몽골, 러시아의 국경이 만나는 산악 지대로, 해발 4081m 또는 4104m의 봉우리가 세 국가의 국경 접점을 이루며, 여러 봉우리와 빙하를 포함하고 있다.
알타이인
기본 정보
알타이인
1911년의 알타이인
알타이 공화국 및 인근 지역의 알타이인
알타이 공화국 및 인근 지역의 알타이인
인구
전체 인구83,326명
러시아83,125명
알타이 공화국러시아 알타이 공화국
알타이 지방러시아 알타이 지방
몽골, 중국수천 명
카자흐스탄201명
언어
사용 언어북알타이어
남알타이어
러시아어
종교
종교최대 86%가 "알타이 신앙"(부르한 신앙, 샤머니즘, 기타 토착 종교의 현대적 종합), 기타 침례교 개신교, 몽골 불교 및 티베트 불교, 러시아 정교회, 수니 이슬람
관련 민족
관련 민족키르기스족, 텔레우트족, 기타 튀르크족, 특히 다른 시베리아 튀르크어족

2. 민족 집단

알타이인은 크게 북부와 남부 두 개의 민족 집단으로 나뉜다.[4][7][27]

북부 알타이인은 북부 알타이 언어와 그 방언을 사용하며, 첼칸인, 쿠만딘인, 투발라르인(투바-키지)을 포함한다. 남부 알타이인은 남부 알타이 언어와 그 방언을 사용하며, 알타이 키지인, 텔레우트인, 텔렝기트인을 포함한다. 텔레시인은 이전에는 포함되었지만 현재는 텔렝기트인에 동화되었다. 이들은 키메크-킵차크 부족을 기반으로 알타이 지역에서 형성되었다.[8][9]

1991년까지 소련, 2000년까지 러시아 연방 당국은 북부 알타이인과 텔레우트인을 알타이 민족의 일부로 간주했다.[10] 현재는 러시아 연방 정부 결의안 2000년 3월 24일자 255호에 따라 첼칸인, 쿠만딘인, 텔렝기트인, 텔레우트인, 투발라르인이 별도의 민족 집단이자 러시아 북부, 시베리아 및 극동의 소수 원주민으로 인정되었으나, 2010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서는 쿠만딘인과 텔레우트인만 별개의 민족 집단으로 인정되었다. 알타이인의 인구는 약 7만 명이다.

2. 1. 남부 알타이인

알타이 기마병


알타이 여인


남부 알타이인은 남부 알타이 언어와 그 방언을 사용하며, 알타이-키지, 텔레우트인, 텔렝기트인을 포함한다. 텔레시는 이전에는 포함되었지만 현재는 텔렝기트인에 동화되었다.[4][7][27]

북부 및 남부 알타이인은 키메크-킵차크 부족을 기반으로 알타이 지역에서 형성되었다.[8][9]

1991년까지 소련, 2000년까지 러시아 연방에서 당국은 북부 알타이인과 텔레우트인을 알타이 민족의 일부로 간주했다.[10] 현재, 러시아 연방 정부 결의안 2000년 3월 24일자 255호에 따르면, 첼칸인, 쿠만딘인, 텔렝기트인, 텔레우트인, 투발라르인이 별도의 민족 집단으로 인정되었으며, 러시아 북부, 시베리아 및 극동의 소수 원주민이기도 하다. 그러나 2010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서, 유일하게 인정된 별개의 민족 집단은 쿠만딘인과 텔레우트인이다.

2. 2. 북부 알타이인

북부 알타이 언어와 그 방언을 사용하는 북부 알타이인에는 첼칸, 쿠만딘, 투발라르 (투바-키지)가 있다.[4][7][27] 북부 및 남부 알타이인은 키메크-킵차크 부족을 기반으로 알타이 지역에서 형성되었다.[8][9]

1991년까지 소련, 2000년까지 러시아 연방 당국은 북부 알타이인과 텔레우트를 알타이 민족의 일부로 간주했다.[10] 2000년 3월 24일자 러시아 연방 정부 결의안 255호에 따르면 첼칸, 쿠만딘, 텔렝기트, 텔레우트, 투발라르는 별도의 민족 집단이자 러시아 북부, 시베리아 및 극동의 소수 원주민으로 인정되었다. 그러나 2010년 러시아 인구 조사에서는 쿠만딘과 텔레우트만 별개의 민족 집단으로 인정되었다.

  • '''북부 알타이인'''
  • * 투발라르인
  • * 첼칸인
  • * 쿠만딘인

3. 역사

알타이인은 기원전 2천 년기부터 금속 가공에 뛰어났다. 알타이 지역은 고대에 스키타이, 흉노, 유연, 돌궐, 위구르 제국, 예니세이 키르기스 등의 영향권에 있었다.[49]

13세기부터 18세기까지는 몽골의 정치적, 문화적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북원 시대에 몽골인들은 이들을 "텔렝기드"라고 불렀으며, 16세기에 서몽골의 오이라트 4부족 연맹에 합병되었다. 18세기 준가르 칸국이 멸망한 후 청나라에 복속되어 "알타이 우량카이"의 일부로 여겨졌다.[49]

18세기부터 러시아 제국이 이 지역으로 확장하며 알타이인과 접촉하기 시작했고, 1864년부터 알탄 누르는 공식적으로 러시아의 영토가 되었다. 알타이인들은 러시아인들의 보드카를 "불의 물"이라고 부르며 중독되기도 했다.[16] 종교적으로는 일부는 샤머니즘을 유지했고, 다른 이들은 러시아 정교회로 개종했다. 1904년에는 부르칸교라는 종교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1918년 알타이인들은 카라코룸 정부를 세워 독립을 시도했으나, 내전볼셰비키의 승리로 끝나고 이오시프 스탈린의 통치가 시작되며 탄압을 받았다. 소련 시대에 오이로트 자치주가 설치되었으나, 스탈린 정부는 알타이 민족주의자들을 친일파라고 비난했고, "오이로트"라는 단어는 반혁명적이라고 선언하여 고르노알타이 자치주로 개칭되었다.[21]

소련의 산업화 이후 많은 러시아인들이 이 지역으로 이주해 왔고, 1990년 고르노-알타이 자치주는 자치 공화국으로 선언, 1992년에는 알타이 공화국으로 개명되었다.[23] 21세기 초 알타이 공화국 인구 중 알타이인 비율은 약 31%이다.[24]

3. 1. 기원 및 형성

알타이인의 기원은 명확하지 않으며, 알타이 지역은 고대에 스키타이, 흉노, 유연, 돌궐, 위구르 제국, 예니세이 키르기스 등의 영향권에 있었다. 남부 알타이인은 킵차크족이 몽골족과 섞여 형성되었고, 북부 알타이인은 튀르크족이 사모예드족, 케트족 등 시베리아 민족들과 섞여 형성된 것으로 추정된다.[49]

13세기부터 18세기까지 알타이인은 몽골의 정치적, 문화적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북원 시대에 몽골인들은 이들을 "텔렝기드"라고 불렀으며, 16세기에 서몽골의 오이라트 4부족 연맹에 합병되었다. 18세기 준가르 칸국이 멸망한 후 청나라에 복속되어 인근의 오이라트 몽골족과 함께 "알타이 우량카이"의 일부로 여겨졌다.

18세기부터 러시아가 이 지역으로 확장하며 알타이인과 접촉하기 시작했고, 1864년부터 알탄 누르는 공식적으로 러시아의 영토가 되었다. 러시아 혁명 이후 1918년 알타이인들은 카라코룸 정부를 세워 독립 국가를 형성하려 시도하고 멘셰비키를 지원했으나, 내전이 볼셰비키의 승리로 끝나고 이오시프 스탈린의 통치가 시작되며 잠재적인 "반혁명 분자"로 여겨져 탄압을 받았다.

소련의 산업화 이후 상당한 규모의 러시아인들이 이 지역으로 이주해 왔으며, 21세기 초 알타이 공화국 인구 중 알타이인 비율은 약 31%이다.

3. 2. 몽골의 영향

13세기부터 18세기까지 알타이인은 몽골의 정치적, 문화적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49] 북원 시대에 몽골인들은 알타이인들을 "텔렝기드"라고 불렀으며, 16세기에 서몽골의 오이라트 4부족 연맹에 합병되었다.[13] 이 시기에 킵차크와 몽골 부족의 혼합으로 남부 알타이인의 기원을 추정할수 있다. 한편, 북부 알타이인은 튀르크 부족과 사모예드, 케트 및 다른 시베리아 원주민 민족 집단의 융합으로 생겨났다.[11]

18세기에 준가르 칸국이 멸망한 후, 알타이인은 청나라에 복속되었고, 청나라는 이들을 '알탄 누르 우리양카이'라고 불렀다.[14] 알타이인은 우리앙카이와 유전적으로 관련이 있는데, 이는 몽골오이라트 몽골 민족 집단이다.

3. 3. 청나라와 러시아의 지배

13세기부터 18세기까지 알타이인은 몽골의 정치적, 문화적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11] 북원 시대에 몽골인들은 이들을 "텔렝기드"라고 불렀으며, 16세기에 서몽골의 오이라트 4부족 연맹에 합병되었다.[13] 18세기 준가르 칸국이 멸망한 후에는 청나라에 복속되어 인근의 오이라트 몽골족과 함께 "알타이 우량카이"의 일부로 여겨졌다.[14]

한편 18세기부터 러시아 제국이 이 지역으로 확장하며 알타이인과 접촉하기 시작했고,[15] 1864년부터는 알탄 누르가 공식적으로 러시아의 영토가 되었다. 알타이인은 러시아인들의 보드카를 "불의 물"이라고 부르며 중독되기도 했다.[16]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1918년 알타이인들은 카라코룸 정부를 세워 독립 국가를 형성하려 시도하고 멘셰비키 측을 지원했으나,[18] 내전이 볼셰비키의 승리로 끝나고 이오시프 스탈린의 통치가 시작되며 이들은 잠재적인 "반혁명 분자"로 여겨져 탄압을 받았다.[21]

3. 4. 러시아 혁명과 독립 시도

1917년 러시아 혁명이 일어나자 알타이인들은 카라코룸 정부를 세워 독립 국가를 형성하려 시도하고 멘셰비키 측을 지원했다.[18][19][20] 이들은 부르칸교를 믿는 알타이 연방 공화국을 세우려 했으며, 준가르 칸국의 다른 영토나 시베리아의 모든 튀르크 민족을 포함하는 더 큰 오이로트 공화국을 세우고자 했다.[18][19]

그러나 내전이 볼셰비키의 승리로 끝나고 이오시프 스탈린의 통치가 시작되면서 알타이인들은 잠재적인 "반혁명 분자"로 여겨져 탄압을 받았다.[21] 이후 오이로트 자치주가 설치되었으나, 스탈린 정부는 알타이 민족주의자들이 친일파라고 비난했고, "오이로트"라는 단어는 반혁명적이라고 선언되었다.[21]

3. 5. 소련 시대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1918년 알타이인들은 카라코룸 정부를 세워 독립 국가를 형성하려 시도하고 멘셰비키를 지원했으나, 내전은 볼셰비키의 승리로 끝났다. 이오시프 스탈린 통치 시기 이들은 잠재적인 "반혁명 분자"로 여겨져 탄압을 받았다.[49] 소련의 산업화와 함께 많은 러시아인들이 이 지역으로 이주해 왔으며, 21세기 초 알타이 공화국 인구 중 알타이인 비율은 약 31%이다.[24]

3. 6. 현대

알타이인은 13세기부터 18세기까지 몽골의 정치적, 문화적 지배를 받았다.[11] 남부 알타이인은 이 시기에 킵차크와 몽골 부족의 혼합으로 형성되었고, 북부 알타이인은 튀르크 부족과 사모예드, 케트 등 시베리아 원주민 민족 집단의 융합으로 형성되었다.[11] 16세기에 서부 몽골의 오이라트에 병합되었고,[13] 북원 시대에 몽골인들은 이들을 "텔렝기드" 또는 "텔렝기드 아이마크"라고 불렀다.[13] 18세기에 준가르 칸국이 멸망한 후 청나라에 복속되었고, 청나라는 이들을 '알탄 누르 우리양카이'라고 불렀다.[14]

18세기부터 러시아와 접촉하기 시작했다. 차르 시대에 알타이인은 '오이로트' 또는 '오이로트'라고도 불렸는데,[15] 이는 17세기의 오이라트가 이끄는 준가르 칸국의 이전 신민이었던 것에서 유래되었다.[15] 많은 알타이인들이 러시아인들의 보드카에 중독되었고, 이를 "불의 물"이라고 불렀다고 한다.[16]

종교적으로 일부는 샤머니즘을 유지했고, 다른 사람들은 러시아 정교회로 개종했다. 1904년에는 부르칸교라는 천년주의 토착주의 종교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1917년 러시아 혁명 이후, 알타이 민족주의자들과 사회혁명당은 알타이 연방 공화국(카라코룸-알타이 지역)을 만들려고 시도했으나,[18] 내전에서 볼셰비키가 승리하면서 오이로트 자치주가 설립되었다.[20] 이오시프 스탈린 정부는 알타이 민족주의자들을 친일파라고 비난했고, "오이로트"라는 단어는 반혁명적이라고 선언되었다.[21] 그 때문에 자치주는 고르노-알타이 자치주로 개명되었다. 1950년까지 소련의 산업화 정책과 개발로 인해 상당한 러시아인의 이주가 발생하여, 총 인구에서 알타이인의 비율이 50%에서 20%로 감소했다.[22]

1990년 고르노-알타이 자치주는 자치 공화국으로 선언되었고, 고르노-알타이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개명되었으며, 1992년에는 알타이 공화국으로 개명되었다.[23] 21세기 초에 알타이 민족은 알타이 공화국 인구의 약 31%를 차지한다.[24]

4. 문화

알타이인은 튀르크어족 계통의 알타이어를 사용하는데, 남북 방언 차이가 커서 남부 알타이어와 북부 알타이어로 나뉜다.

전통적으로 알타이 샤머니즘 신앙을 믿었으며, 19세기에는 불교러시아 정교회의 선교가 있었으나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 1904년에는 부르칸교라는 독특한 신앙 운동이 퍼졌으나, 볼셰비키의 탄압으로 약화되었다. 최근에는 부르칸교와 샤머니즘이 부흥하고 있으며, 조사에 따르면 최대 87%의 알타이인이 샤머니즘 등 "토착 신앙"을 믿고 있다. 이외에 약 11%는 러시아 정교, 약 2%는 티베트 불교 신자이다.[48]

1917년 러시아 혁명의 혼란을 틈타 알타이인은 독립하여 오이로트라는 부르하니즘 공화국을 세우려 했지만, 러시아 내전에서 패배하고 1922년 소련에 편입되었다. 이후 오이로트 자치주(1922년), 고르노알타이 자치주(1948년)를 거쳐 1991년 고르노알타이 공화국으로 승격되었고, 소련 붕괴 이후 1992년 러시아알타이 공화국이 되었다.

4. 1. 전통 생활 방식

투바 공화국 크즐의 알타이 무당


남알타이인은 대부분 유목 또는 반유목 생활을 하며 가축을 길렀다. 이들은 , 염소, 양, 를 길렀다.[11] 북알타이인은 주로 사냥을 통해 생계를 유지했다. 이들은 주로 타이가(아한대림)의 동물들을 사냥했다. 그러나 일부 알타이인은 영세 농업, 수렵 채집, 어업에도 종사했다.[11][25]

알타이인은 기원전 2천 년기부터 금속 가공 기술이 뛰어났다. 18세기부터 알타이인은 러시아 제국 시대의 러시아와 교류하기 시작했다. 오늘날 많은 알타이인은 러시아의 보드카에 중독되어 있으며, 보드카를 “불의 물”이라고 부른다.

알타이인은 본래 유목민으로, 사냥을 하거나 , , 염소를 방목했다. 17세기경부터 러시아 제국과 교류하면서 정착 생활을 시작했다. 특히 북쪽 그룹(타타르)은 순록 사육이나 사냥, 채집을 주로 했고, 남쪽 그룹(오이라트 또는 칼미크인)은 농경과 목축을 하는 생활을 했다. 일부 알타이인은 전통적인 샤머니즘을 믿었고, 다른 사람들은 19세기 중반부터 러시아의 영향을 받아 동방 정교회로 개종했다. 1904년에는 러시아의 식민지 정책에 반발하여 "악 장" 또는 "부르하니즘"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샤머니즘으로 전향하는 종교 운동이 일어났다.

4. 2. 주거

전통적인 목조 가옥인 ''아일''


대부분의 남알타이인은 전통적으로 유르트에서 거주했다. 많은 북알타이인은 통나무와 나무 껍질로 만든 원뿔형 지붕이 있는 다각형 유르트를 주로 지었다. 일부 알타이-키지족은 자작나무 껍질 박공 지붕과 통나무 또는 널빤지로 벽을 만든 흙집에서 살았다. 텔레우트족과 소수의 북알타이인은 막대기나 나무 껍질로 만든 원뿔형 집에서 살았다.[11] 러시아인의 유입이 늘면서, 러시아의 영향으로 2~4개의 경사 지붕이 있는 큰 오두막 건설이 증가했다.[11] 많은 현대적이고 정착된 알타이인 가족은 여전히 마당에 유르트를 보관하고 있으며, 주로 여름철 부엌이나 여분의 방으로 사용한다.[36]

4. 3. 의복

알타이 여성의 전통 의상


역사적으로 남부 알타이인의 전통 의상은 남녀 간 차이가 거의 없이 매우 유사했다.[26] 일반적인 의상은 긴 셔츠, 넓은 반바지, 로브, 모피 코트로 구성되었다. 다른 의류로는 털모자, 높은 부츠, 양가죽 코트 등이 있었다.[26] 북부 알타이인과 일부 텔레우트인들은 전통적으로 짧은 반바지, 리넨 셔츠, 단추가 하나 달린 동양식 로브를 입었다. 오늘날 대부분의 알타이인들이 현대적인 옷을 입고 있지만, 전통 의상은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27]

4. 4. 요리

알타이 요리는 말 또는 양고기로 만든 수프로 구성된다. 고퍼, 오소리, 마멋, 발효유 제품, 크림(끓인 우유로 만든), 순대, 버터, 볶은 보리 가루, 특정 채소로 만든 요리도 알타이 요리의 기본 음식이다. 인기 있는 음료로는 ''아르키''(쿠미스로 만든 독한 술)가 있다.[27][28]

5. 종교

알타이인들은 전통적으로 샤머니즘 신앙을 믿어왔다. 19세기에는 불교러시아 정교회의 선교 시도가 있었으나 대체로 성공적이지 못했다. 1904년부터는 부르칸교라는 독특한 신앙 운동이 알타이인 사이에 퍼졌으나, 볼셰비키 집권 이후 탄압을 받아 크게 약화되었다.[48] 최근에는 부르칸교와 샤머니즘이 다시 부흥하고 있는데, 한 조사에 따르면 알타이인의 최대 87%가 샤머니즘 등 "토착 신앙"을 유지하고 있으며, 약 11%는 러시아 정교 신자, 약 2%는 티베트 불교 신자인 것으로 나타났다.[48]

5. 1. 전통 신앙

전통적으로 알타이인들은 샤머니즘 신앙을 믿었다. 이들의 샤머니즘은 튀르크 신화와 여러 초자연적 존재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지하 세계의 신인 에를리크 등이 대표적이다.[48] 19세기에는 불교러시아 정교회의 선교 시도가 있었으나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48] 특히 19세기 말 러시아 민족주의가 부상하면서, 러시아화된 정교 기독교가 강요되었고, 이는 시베리아 원주민들의 문화를 억압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많은 알타이인들은 기독교를 외래 종교로 여겨 거부했고, 러시아 정교회 선교사들은 개종을 거부하는 이들에게서 토지를 몰수하기도 했다.[30][31][32]

몽골과 티베트 불교 선교사들 역시 19세기 동안 알타이인들에게 불교를 전파하려 했으나, 러시아 정부와 정교회의 억압으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불교의 사상과 원리는 알타이인들의 영적 신념에 일부 영향을 주었다.[30]

1904년부터는 부르칸교라는 새로운 신앙 운동이 알타이인들 사이에서 퍼지기 시작했다.[48] 부르칸교는 악-부르칸이라는 유일신을 믿는 일신교 신앙으로, 러시아인과 전통적인 알타이 샤먼 모두에게 반대했다.[27] 그러나 볼셰비키가 권력을 잡으면서 부르칸교를 포함한 모든 종교가 탄압을 받게 되었다.[27]

최근에는 부르칸교와 샤머니즘이 다시 부흥하고 있다. 조사에 따르면, 알타이인의 최대 87%가 샤머니즘 등 "토착 신앙"을 유지하고 있으며, 약 11%는 러시아 정교, 약 2%는 티베트 불교 신자인 것으로 나타났다.[48]



알타이 샤먼의 북

5. 2. 외래 종교의 영향

알타이인들은 전통적으로 샤머니즘 신앙을 믿었지만, 19세기부터 외래 종교의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 러시아 정교회 선교사들이 이 지역에 들어와 선교 활동을 펼쳤으나, 러시아 민족주의의 부상과 함께 알타이인들의 문화와 종교에 대한 억압이 심해졌다.[27] 러시아 정교회 선교사들은 개종을 거부하는 알타이인들의 토지를 몰수하기도 했으며, 강제 개종도 이루어졌다.[30][31][32]

몽골과 티베트의 불교 선교사들도 알타이인들에게 포교 활동을 했지만, 러시아 정부와 정교회의 탄압으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30] 그러나 불교의 사상과 원리는 알타이인들의 영적 신념에 일부 영향을 주었다.[33]

1904년경에는 알타이인들 사이에서 부르칸주의라는 새로운 종교 운동이 일어났다. 부르칸주의는 일신교적 성격을 띠며, 러시아인과 전통적인 알타이 샤먼 모두에게 반대했다. 볼셰비키 혁명 이후 종교 탄압이 이루어지면서 부르칸주의는 쇠퇴했지만, 최근에는 부르칸교와 샤머니즘이 다시 부흥하고 있다.[48]

한 조사에 따르면, 알타이인의 대다수(최대 87%)는 여전히 샤머니즘 등 "토착 신앙"을 믿고 있으며, 약 11%는 러시아 정교, 약 2%는 티베트 불교 신자인 것으로 나타났다.[48]

5. 3. 부르칸교

알타이인들은 전통적으로 샤머니즘 신앙을 믿어왔다. 19세기에는 불교와 러시아 정교회의 선교 시도가 있었으나 대체로 성공적이지 못했다. 1904년부터는 부르칸교라는 독특한 신앙 운동이 알타이인 사이에 퍼지기 시작했으나, 볼셰비키 집권 이후 탄압을 받아 크게 약화되었다. 최근에는 부르칸교와 샤머니즘의 부흥이 돋보인다. 한 조사에 따르면 최대 87%의 알타이인이 샤머니즘 등 "토착 신앙"을 유지하고 있으며, 약 11%는 러시아 정교 신자, 약 2%는 티베트 불교 신자이다.[48]

전통적인 알타이 샤머니즘은 풍부한 신화와 초자연적 존재들로 이루어져 있다. 인기 있는 신으로는 지하 세계의 신인 에를리크와 역사적인 준가르 (오이라트) 칸, 그리고 고대 전설적인 영웅들이 혼합된 영웅적 인물인 오이로트 칸이 있다. 그러나 여러 차례의 이주, 정착지 변화, 러시아인의 존재, 그리고 러시아 제국과의 통합으로 인해 알타이인들은 불교, 기독교, 이슬람교와 마주하게 되었다. 처음에는 알타이인들은 이러한 외래 신앙과 이들의 지역(현대 알타이 공화국) 확장에 무관심했고 때로는 적대적이기도 했다. 1829년, 러시아 정교회 선교가 이 지역이 러시아 제국의 보호령이 된 직후 설립되었다.[27] 초기 선교사들은 문화적 감수성을 보이며 알타이인과 그들의 관습에 관대했다. 그러나 19세기 말 러시아 민족주의의 부상은 국가에서 러시아화된 정교 기독교를 야기했으며, 시베리아의 대부분 러시아인 성직자들 또한 이 이데올로기를 따랐다. 이는 시베리아 원주민(알타이인 포함)과 그들의 문화에 대한 편협한 시각을 만들었고, 많은 알타이인들이 기독교를 외국 러시아 종교로 간주하여 거부하는 결과를 낳았다. 그럼에도 러시아의 통치는 정치적으로나 종교적으로 점점 더 엄격해졌다.[27] 러시아 정교회 선교사들은 기독교로 개종을 거부하는 알타이인들로부터 정기적으로 토지를 몰수했고,[30] 알타이인들은 종종 강제로 기독교로 개종되었다.[31][32]

몽골과 티베트의 불교 선교사들은 19세기 동안 알타이인들 사이에서 신앙을 전파하려고 시도했다. 불교 선교사들은 또한 알타이인들에게 러시아에 대항하여 단결하도록 장려했다. 그러나 그들의 활동과 설교는 러시아 국가와 정교 기독교 선교사들에 의해 모두 억압되었다. 불교는 알타이인들 사이에서 거의 진전을 이루지 못했지만, 많은 불교 사상과 원리가 알타이 영적 신념에 스며들었다.[30] 일부 알타이인들은 몽골 보고 칸국을 방문하여 20세기 초 부르칸주의 운동의 부상 전후에 불교 학습 센터에서 공부했다고 전해진다. 이는 새로운 종교에 대한 상당한 불교적 영향을 나타낸다.[33]

1904년경, 알타이인들 사이에서 부르칸주의의 발전이 진행되었다. 부르칸주의는 추종자들이 유일신으로 믿고 인정하는 신인 악-부르칸의 이름을 딴 일신교이다. 부르칸주의는 러시아인과 전통적인 알타이 샤먼 모두에게 반대했다. 샤먼에 대한 적대감은 너무 커서 샤먼들은 러시아 당국으로부터 보호를 받아야 했다. 20세기 초 볼셰비키의 부상은 알타이 민족의 토착 신앙을 포함한 모든 종교에 대한 잔혹한 탄압으로 이어졌다. 그 후 수십 년 동안, 종교의 공개적 표현은 심각하게 감소했으며, 샤머니즘과 고대 다신교 신앙만이 혼란 속에서 살아남았다. 이것은 고대 종교적 신념이 세대에서 세대로 쉽게 구두로 전달될 수 있었기 때문이라고 여겨진다. 또한 억압에서 부르칸주의 텍스트가 살아남지 못했고, 종교적 신념의 주요 출처가 러시아 선교사, 여행가 및 학자들로부터 나온 것일 가능성이 높다.[27]

5. 4. 현대의 종교 상황

전통적으로 알타이 샤머니즘 신앙을 믿었으며 19세기에 불교러시아 정교회의 선교 시도가 있었으나 대체로 성공적이지 못했다. 1904년부터는 부르칸교라는 독특한 신앙 운동이 알타이인 사이에 퍼지기 시작했으나 볼셰비키가 권력을 얻으며 탄압을 받아 크게 약화되었다.[48] 최근에는 부르칸교와 샤머니즘의 부흥이 돋보이는데, 한 조사에 따르면 최대 87%의 알타이인이 샤머니즘 등 "토착 신앙"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외에 약 11%의 러시아 정교 신자, 약 2%의 티베트 불교 신자가 있다.[48]

최근 부르칸교와 전통 알타이 샤머니즘이 알타이 지역에서 부활하고 있으며, 특히 알타이 청년들 사이에서 인기가 높다. 최근 통계 연구에 따르면, 알타이인의 최대 70%[34] 또는 86% (알타이 연구 국립 연구소 데이터)[35]가 "알타이 신앙": 부르칸교, 샤머니즘 및 기타 토착 종교를 계속 신봉하고 있다. 나탈리아 주코프스카야에 따르면, 전통 알타이 샤머니즘은 알타이인 대다수의 최고 종교이다.[4]

현재 샤머니즘은 많은 텔렝기트족에 의해 행해지고 있으며, 정교회 기독교를 신봉하는 사람들도 많다. 부르칸교는 알타이인 중 가장 큰 집단인 알타이-키지족의 주요 종교이지만, 정교회 기독교인도 상당수 존재한다. 쿠만딘족, 투발라르족, 텔레우트족, 첼칸족의 대다수는 러시아 정교회 신자이지만, 샤머니즘을 실천하는 소수도 있다.[27] 소수의 알타이인들은 복음주의 기독교인[3]티베트 불교도[36]이다.

원칙적으로 부르칸교도와 샤머니스트로의 구분은 알타이인의 현대 종교성에 더 이상 관련이 없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21세기 초에는 전통 샤먼이나 고전적인 부르칸교 반 샤머니스트는 거의 없었다. 주된 것은 단일한 "알타이 신앙" (Алтай јаҥ|Altai jangalt)—부르칸교와 알타이 샤머니즘의 잔재, 몽골 및 티베트 불교, 그리고 기타 부족 신앙과 관습을 결합한 형태의 전통적인 민족 종교였다.[37][38]

6. 유전학

알타이인은 언어, 문화, 유전을 바탕으로 북부와 남부 집단으로 나눌 수 있다. 2012년 연구에 따르면, 북부 알타이인은 유전적으로 북쪽의 예니세이, 우그르사모예드와 더 유사한 반면, 남부 알타이인은 남부 시베리아와 중앙 아시아의 다른 튀르크어 사용 민족과 더 큰 친화성을 보인다. 같은 연구에서는 알타이 샘플에서 발견된 Y 염색체 하플로그룹 Q-M242에 대한 고해상도 분석을 수행하여 남부 알타이인과 아메리카 원주민이 최근 공통 조상을 공유한다는 결론을 내렸다.[39]

러시아 유전학자들의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북부와 남부 알타이인의 유전적 분리는 부인할 수 없다. 남부 알타이인은 Q-M242 및 R1a와 같은 Y 염색체 하플로 그룹 변형이 지배적이며, I-M170 및 O-M175도 존재한다. 북부 알타이인 내에서는 R1a 하플로 그룹이 지배적이며, Q-M242는 드물게 발견되고, I-M170과 O-M175는 전혀 발견되지 않는다.[40]

북부 및 남부 알타이인 집단의 모계 유전적 조상은 알타이 공화국 주민 490명의 코딩 영역 SNP 및 조절 영역 염기서열을 특성화하여 조사되었다. mtDNA 하플로 그룹 프로파일의 차이는 북부 알타이 민족 집단 사이, 그리고 북부 알타이인과 알타이-키지 사이에서 관찰되었으며, 첼칸족은 매우 뚜렷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알타이 민족 집단 간의 비교는 몇 가지 일관된 패턴을 보여주었다. mtDNA 하플로 그룹 B, C, D 및 U4는 모든 알타이 집단에서 발견되었지만, 빈도는 다양했으며, 남부 알타이인(알타이-키지, 텔렝기트, 텔레우츠)은 낮은 빈도로 서유라시아 하플로 그룹의 더 많은 다양성을 보이는 경향이 있었다. 때때로 북부 알타이인으로 분류되는 쇼르족은 C, D, F1의 중간 빈도를 포함하여 다른 북부 알타이 민족 집단과 유사한 하플로 그룹 프로파일을 보였지만, 다른 것들(N9a 및 U)은 부족했다. 하플로 그룹 C와 D는 알타이인에서 가장 빈번한 mtDNA 계통으로, 시베리아 mtDNA 유전자 풀의 전반적인 모습과 일치한다.[41]

인종은 몽골로이드를 기저로 하며, 코카소이드가 섞여 있다. 유전자는 인도유럽어족 계통의 하플로그룹 R1a (Y 염색체)가 40~50%의 높은 빈도로 나타나고, 그 다음으로 알타이 계통의 하플로그룹 C2 (Y 염색체)가 15~25%이다. 하플로그룹 N (Y 염색체)나 하플로그룹 D (Y 염색체)[42] 등도 낮은 빈도로 나타난다. 산악 지형으로 인해 비교적 오래된 유형도 남아 있으며, 역사적 경위로 인해 몽골로이드 계통과 코카소이드 계통의 다양한 하플로그룹이 나타난다.[43][44]

참조

[1] 웹사이트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https://rosstat.gov.[...]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2024-08-31
[2] 웹사이트 Agency of the Republic of Kazakhstan on statistics. 2009 Census http://www.stat.kz/p[...] 2012-05-01
[3] 백과사전 Алтайцы Great Russian Encyclopedia Pub.
[4] 백과사전 Алтайцы https://books.google[...] OLMA Media Group
[5] 백과사전 Altai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6] 웹사이트 Agency of the Republic of Kazakhstan on statistics. 2009 Census http://www.stat.kz/p[...] 2012-05-01
[7] 서적 Этнический состав и происхождение алтайцев. Историко-этнографический очерк Nauka
[8] 웹사이트 Ethnic history, History of a region, Statistic information at http://eng.altai-republic.ru/index.php http://eng.altai-rep[...] 2011-07-17
[9] 웹사이트 NUPI Centre for Russian Studies http://www2.nupi.no/[...] 2007-09-30
[10] 웹사이트 Northern Altai http://www.endangere[...] ELP Endangered Languages Project 2021-07-15
[11] 서적 Encyclopedia of the World's Minor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12] 학술지 Genomic study of the Ket: a Paleo-Eskimo-related ethnic group with significant ancient North Eurasian ancestry 2016-02-11
[13] 웹사이트 Ulaanbaatar hosts Altaic People International Conference https://www.pressrea[...] The UB Post 2021-02-25
[14] 문서 Encyclopedia of Mongolia and the Mongol Empire
[15] 웹사이트 Znamenski 2005, Power of Myth https://web.archive.[...]
[16] 웹사이트 People from Russia — Interviews on the Streets http://www.waytoruss[...] Way To Russia 2003-09-24
[17] 문서 The Red Book of the Peoples of the Russian Empire
[18] 웹사이트 Znamenski 2005, Power of Myth, p.45-46 https://web.archive.[...]
[19] 웹사이트 Znamenski 2005, Power of Myth, p.46 and passim https://web.archive.[...]
[20] 웹사이트 Znamenski 2005, Power of Myth https://web.archive.[...]
[21] 웹사이트 Как в СССР Ойрот-хана победили. 70 лет назад Ойрот-Туру переименовали в Горно-Алтайск https://www.gorno-al[...] 2021-03-11
[22] 웹사이트 Altay http://www.nupi.no/c[...] NUPI 2006-04-24
[23] 웹사이트 https://archive.toda[...]
[24] 웹사이트 Altai Republic :: official portal http://eng.altai-rep[...] 2006-10-24
[25] 웹사이트 The Altaics https://www.eki.ee/b[...] The Red Book of the Peoples of the Russian Empire 2022-10-08
[26] 학술지 Traditions and Innovations in the Clothing of Southern Altaians 2019
[27] 서적 Encyclopedia of the World's Minor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8] 웹사이트 The Altai Turks http://pandora.cii.w[...] 2022-04-21
[29] 서적 Sámánok Eurázsiában Akadémiai Kiadó
[30] 서적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sia and Oceania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31] 서적 Ethnic Groups of North, East, and Central Asia: An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ABC-CLIO
[32] 서적 Russia's Frozen Frontier: A History of Siberia and the Russian Far East, 1581-1991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33] 학술지 Mongolian Buddhism's Influence 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Burkhanism in Altai http://dx.doi.org/10[...] 2007
[34] 서적 Современная религиозная жизнь России. Опыт систематического описания Keston Institute
[35] 뉴스 Алтайцам следует принять буддизм http://regnum.ru/new[...] Regnum 2021-10-23
[36] 서적 Human: The Definitive Visual Guide https://books.google[...] Dorling Kindersley
[37] 논문 Contemporary religious life in the Republic of Altai: the interaction of Buddhism and Shamanism 2003
[38] 논문 Два взгляда на бурханизм у алтай-кижи https://cyberleninka[...] 2013
[39] 논문 Mitochondrial DNA and Y Chromosome Variation Provides Evidence for a Recent Common Ancestry between Native Americans and Indigenous Altaians 2012-02-10
[40] 웹사이트 Коренные народы Алтае-Саян: соотношения генофондов по данным о ДНК маркерах — аутосомных и Y хромосомы https://www.genofond[...] Лаборатория геногеографии/Genogeography laboratory 2021-07-14
[41] 논문 Mitochondrial DNA and Y chromosome variation provides evidence for a recent common ancestry between Native Americans and Indigenous Altaians 2012-02-10
[42] 논문 Gene pool differences between Northern and Southern Altaians inferred from the data on Y-chromosomal haplogroups
[43] 문서 The Western and Eastern Roots of the Saami—the Story of Genetic “Outliers” Told by Mitochondrial DNA and Y Chromosomes 2004
[44] 문서 Contrasting patterns of Y-chromosome variation in South Siberian populations from Baikal and Altai-Sayan regions 2005
[45] 백과사전 Altai https://books.google[...] Greenwood Press
[46] 웹사이트 Agency of the Republic of Kazakhstan on statistics. 2009 Census http://www.stat.kz/p[...]
[47] 백과사전 Алтайцы https://books.google[...] OLMA Media Group
[48] 웹인용 Пандито Хамбо лама: Алтайцам следует принять буддизм https://www.gorno-al[...] 2019-01-17
[49] 서적 Encyclopedia of the World's Minor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